||<-2>
{{{#White '''{{{+3 AAI SPIW}}}'''[br]''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br]특수 목적 개인화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gen2)_profile 0.jpg|width=100%]]}}}|| ||<-2><:> {{{#000,#ddd {{{1966년의 2세대형}}}}}} ||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4년]]~[[1968년]] || || '''개발''' ||[[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 '''개발년도''' ||[[1964년]] || || '''생산'''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White '''기종'''}}} || || '''파생형''' ||XM19 || ||<-2> {{{#White '''제원'''}}} || || '''탄약''' ||5.6×53mm[br]5.56×57mm || || '''급탄''' ||50~60발 드럼형 [[탄창]][br][[탄띠]][* 경기관총 파생형에만 해당된다.]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457mm || || '''전장''' ||1,016mm || || '''중량''' ||비장탄 - 5.0kg[br]장탄 - 5.9kg || || '''발사속도''' ||연사 - 분당 700발[br]점사 - 분당 2,400발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FANjlr4I9Q,width=600)]}}} || || [[Forgotten Weapons]]의 2세대 [[SPIW]] 리뷰 영상 || SPIW(특수 목적 개인화기, 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는 [[https://en.wikipedia.org/wiki/AAI_Corporation|AAI]][[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Aircraft Armaments, Inc)]] 사에서 개발된 [[미군]]의 [[돌격소총]]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ringfield-spiw_garand 0.jpg|width=100%]]}}} || || '''[[https://en.wikipedia.org/wiki/John_Garand#/media/File:John_C._Garand_shouldering_his_final_advanced_rifle_design,_the_T31_Bullpup.jpg|1962년]] [[M1 개런드|존 C. 개런드]]가 조준 중인 [[스프링필드 조병창]]의 SPIW'''[* 뒤에는 왼쪽을 기준으로 찰스 P. 바토(Charles P. Bartow) 스프링필드 부조병창장, [[페이퍼클립 작전]]을 거쳐 1946년에 [[미국]]으로 귀화한 [[독일]] [[마우저]] 사 출신의 오토 H. 폰 로스니처(Otto H. von Lossnitzer) 계획관리부장, 허먼 F. 호손(Herman F. Hawthorne) 소화기연구개발부장이 있다.] || 1962년에 개시된 [[미합중국 육군]]의 [[SPIW|특수 목적 개인화기]] 사업에 참여한 [[AAI]] 사에서는 과거의 [[https://en.wikipedia.org/wiki/Special_Purpose_Individual_Weapon#Project_SALVO|샐보(Salvo)]] 계획 시기부터 설립자 중 한명인 [[https://goordnance.army.mil/hof/1980/1985/barr.html|어윈 R. 바(Irwin R. Barr)]]가 줄기차게 제시해온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탄약]]을 사용하는 뇌관 작동식(Primer-Actuated) [[돌격소총]]이 1964년에 제출되어 다른 3개[* 올린-윈체스터, 해링턴 & 리처드슨 사의 것은 결함이 많아 애초에 탈락했으므로 실질적인 경쟁 상대는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의 편파적인 지지를 받고 있던 [[스프링필드 조병창]] 뿐이었다.] 기종들과 경합을 벌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_1964.jpg|width=100%]]}}} || || '''[[https://smallarmsreview.com/revisiting-the-spiw-part-ii/|1964년]] 시연에 쓰인 AAI 사의 SPIW''' || 얼마 지나지 않아 발발한 [[베트남 전쟁]]에서의 수요로 [[M16 소총|XM16E1]]의 정식 운용이 가까워지자 높은 요구 조건에 한참 미달되는 성능 평가까지 더해져 점점 나중을 위한 [[연구개발|연구개발품]] 수준으로 격하되었으며, 창설된지 얼마 안 된 미합중국 육군[[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Contractors_Guide_to_the_U_S_Army_Materi/62pNAQAAMAAJ?hl=ko&gbpv=1&dq=us+army+weapons+command+wecom&pg=PA9&printsec=frontcover|무기사령부]]와 미합중국 육군[[https://apps.dtic.mil/sti/pdfs/AD0870784.pdf|전투개발사령부]](현 미합중국 육군[[미합중국 육군미래사령부#예하부대|전투능력개발사령부]])의 입장 차이로 인한 마찰로 개발 지연을 겪다가 후속의 [[FRS(군사사업)|미래형 소총]] 사업의 [[XM19 SFR|XM19]]를 포함한 그 어느 기종도 실전에 쓰이지 못한채 [[https://en.wikipedia.org/wiki/Rock_Island_Arsenal|록 아일랜드 조병창]] [[https://en.wikipedia.org/wiki/Rock_Island_Arsenal_Museum|박물관]]의 한켠을 장식하는 신세로 남게 되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_reload 0.jpg|width=100%]]}}} || || '''재장전 중의 SPIW''' || 곧은 [[탄도]]로 400m의 거리에서 0.25인치(6.35mm) 두께의 철판을 뚫는 [[http://pewpewpew.work/usa/r/spiw/flchtest39.jpg|관통력]]을 보이는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탄약]]을 2,400발이라는 빠른 발사 속도의 [[점사]]로 점 표적을 맞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M14 소총|M14]] 및 [[M16 소총|M16]]에 비해 압도적인 성능 차이를 보여줄 것이라 여겨졌지만 실제로 보여준 것은 기대 이하의 낮은 명중률과 살상력 뿐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35.jpg|width=100%]]}}} || || '''DBCATA 유탄발사기''' || 범위 표적을 상대하는데 필요한 3연발 반자동식 [[유탄발사기]]는 운용이 불편하고 신뢰성마저 낮은데다 4.5kg 이하의 전체 중량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로 작용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탄피]]가 약실과 포신을 겸하는 형태로 바뀌었음에도 단가 상승 및 기존 규격과의 호환 불가로 [[가격 대비 성능|효율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했다. == 종류 == ||
[[파일:aai-spiw 0.jpg|width=50%]] || [[파일:aai-spiw 1.jpg|width=50%]] || ||<-2> '''SPIW의 변천사''' || === 플레셰트 [[산탄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hotgun_illust 0.jpg|width=100%]]}}} || ||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원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12ga_shotshell.jpg|width=100%]]}}} || || '''32개의 화살촉이 내장된 [[http://www.cruffler.com/trivia-May00.html|AA-32]]''' || 이중탄두 및 이중총열[* [[M1 개런드]]의 아버지 [[https://en.wikipedia.org/wiki/John_Garand|존 C. 개런드(John C. Garnad)]]가 직접 설계한 [[https://guns.fandom.com/wiki/T31|T31]] 외에도 [[M14 소총|T44]]와의 경쟁에서 탈락한 [[FN FAL|FAL]] 기반의 [[https://en.wikipedia.org/wiki/T48_rifle|T48]]로도 실험이 진행되었다.] 개념에만 몰두한 [[미합중국 육군]][[https://en.wikipedia.org/wiki/Operations_Research_Office|작전연구소]] 대신 1952년에 [[미합중국 해군]][[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Naval_Research_Laboratory|연구소]]와의 계약을 통해 개발된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관련 구상으로, 기종 불명의 [[12게이지]] [[산탄총]]을 가지고 약 460m의 거리에서 [[M1 철모]]의 측면을 관통시키는 놀라운 결과로 [[다트|화살촉]]이 차세대 [[탄자]] 중 하나로 쓰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 === APHH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aphhw_sheet 0.jpg|width=100%]]}}} || || '''APHHW''' || [[https://looserounds.com/556timeline/|1959년]]의 APHHW(다목적 휴대화기, All Purpose Hand-Held Weapon) 사업에 제출된 원형으로, [[http://www.cartrology.com/cartridges/2080|5.6x53mm XM110]] 탄약의 성능을 시험하는데 주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극도로 단순한 [[원통|원통형]] 외관으로 [[연필]]이라는 별칭이 붙여지기도 했다. [[미국]] [[알래스카]] 포트 그릴리(Fort Greely)에서의 극지 환경 실험 이후에 당시의 [[제식 소총]]인 [[M14 소총|M14]] 보다 만족스럽지 못한 명중률과 관통력을 보였음에도 미합중국 육군[[https://en.wikipedia.org/wiki/Ballistic_Research_Laboratory|탄도학 연구소]]에서의 평가는 다소 긍정적이었기에 미합중국 육군[[https://en.wikipedia.org/wiki/Chief_of_Ordnance_of_the_United_States_Army|병기부장]]의 승인 아래 추가 개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 SPIW === ==== 1세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gen1_sheet 0.jpg|width=100%]]}}} || || '''[[레버액션|레버액션식]] [[유탄발사기]]와 결합된 1세대형''' || SPIW 사업의 시작을 함께한 1964년의 제1차 심사용(Phase I Trial) 초기형으로, 상술된 APHHW 사업과 병합된 니블릭[* 이는 9번 [[아이언(골프)|아이언]] [[골프클럽]]의 별칭으로, 미합중국 육군 [[소화기(동음이의어)#小火器: 소형 화기 혹은 개인 화기|소화기]] 연구개발부장 [[https://goordnance.army.mil/hof/2010/2010/studler.html|르네 R. 스터들러(Rene R. Studler)]] [[대령]]의 부관인 잭 버드(Jack Bird)가 [[미국 국방부|미합중국 국방부]] [[펜타곤|청사]] 뜰에서 [[스프링]]을 넣은 [[파이프]]를 가지고 날려보낸 [[골프공]]의 [[포물선]] 궤적에서 비롯되었다.] 계획의 부산물인 [[총열]] 하단 부착식 [[유탄발사기]]의 개발도 함께 진행되었으나 요구 조건에 미달되는 제원으로 다른 경쟁자의 제출품과 똑같이 선정되지 않았다. ==== 2세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gen2_sheet 0.jpg|width=100%]]}}} || || '''DBCATA 유탄발사기와 결합된 2세대형''' || SPIW 사업이 절정에 달한 1966년의 제2차 심사용(Phase II Trial) 중기형으로, 무게를 어떻게든 줄이려는 시도에서 탄생한 무총열 DBCATA(일회용 범위 표적 탄약, Disposable Barrel and Case Area Target Ammunition) 유탄발사기가 적용되었지만 당대의 [[X-1 유탄발사기|X-1]] 등과 마찬가지로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한데다 보병용 [[유탄]]의 표준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40×46mm]] 규격에도 맞지 않아 효용성 문제에 부딫혀 채택되지 못했다. ==== 3세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piw(1967)_series.jpg|width=100%]]}}} || || '''다양한 라인업의 3세대형'''[* 왼쪽을 기준으로 [[탄띠|탄띠식]] 경기관총형, 불펍형, [[유탄발사기]] 부착형, 일반형이다.] || SPIW 사업이 중단된 1967년의 후기형으로, 발사 시에 생기는 과도한 소음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소음기]]가 기본적으로 달리거나 [[하모니카|하모니카식]] [[탄창]]의 3연발 [[유탄발사기]] 구성 등으로 바뀌었으며 동시기의 [[https://apps.dtic.mil/sti/pdfs/AD0488336.pdf|SAWS(종합 소화기, Small Arms Weapons System)]] 사업을 의식한 여러 파생형들도 제시되었다. === [[XM19 SFR|XM1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early)_samples.png|width=100%]]}}} || || '''XM19 초기형''' || 연장 목적의 [[FRS(군사사업)|미래형 소총]] 사업을 노린 3세대형 SPIW 기반의 개량형으로, 재설계된 [[https://guns.fandom.com/wiki/5.56%C3%9757mm_XM645|5.56×57mm XM645]] 탄약에 맞춘 [[https://www.forgottenweapons.com/magazine-for-an-xm19-spiw-flechette-rifle/|바나나형]] [[탄창]]과 30mm [[유탄발사기]]에서 차이점을 찾을 수 있으며 1971년의 좋지 못한 성능 평가를 끝으로 단종되고 말았다. == 출처 == * [[https://guns.fandom.com/wiki/AAI_SPIW]] * [[https://modernfirearms.net/en/assault-rifles/u-s-a-assault-rifles/spiw-eng/]] * [[https://www.forgottenweapons.com/aai-2nd-gen-spiw-flechette-rifles/]] * [[https://www.historicalfirearms.info/post/182746955044/aai-flechette-prototype-the-late-1950s-saw-aai]] * [[http://pewpewpew.work/usa/r/spiw/spiw_aai.htm]] * [[https://www.ebay.com.sg/itm/134187612843?hash=item1f3e347aab:g:H8kAAOSw7Mxi5~L-]]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