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WWDC(Apple 세계 개발자 회의), rd1=WWDC)]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UppityNiceObsequiousRake,합의사항1=Apple 이벤트 영상을 업로드 기준 2년간 유지하고 이후 하이퍼링크로 대체하기, ...)] [include(틀:Apple 미디어 이벤트)] [목차] == 개요 == [[Apple]]에서 신제품 또는 기존 제품의 업데이트 등을 미디어에 공개하는 행사이다. == 특징 == 이벤트 일정은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WWDC는 매년 6월, 새로운 iPhone 공개 이벤트([[키노트]][* 애플의 시각화 발표 프로그램([[MS 오피스]]의 Powerpoint 격) 이름이기도 하다.])는 9월 쯤으로 굳어져 왔다. 다만 공급망 사정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도 없진 않다. 행사를 알리는 초대장이 보통 2주, 늦으면 1주 전에 언론을 통해 공개되며, Apple에서 보내는 광고성 메일을 수신 동의했다면 메일을 통해서도 날아온다. 이벤트의 세부 내용은 행사 당일까지 비밀인 경우가 많다. 초창기에는 초대장에 노골적으로 행사의 주제를 암시하기도 하였으나, 2012년부터는 단순히 Apple 로고를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하여 초대장을 만든다. 때문에 초대장이 발송되면 그것을 보고 이벤트에서 출시될 제품을 예측해보는 사람들도 많지만, 막상 이벤트가 끝나고 보면 큰 관련은 없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행사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대면 행사로 진행되었다. [[Apple Park]]가 완공되기 전에는 주로 극장을 대관하여 진행했고, 2017년부터 신제품 발표는 Apple Park에서, WWDC는 컨벤션 센터를 대관하여 진행했으나 2020년 이후 모두 키노트는 온라인으로 중계하고, 오프라인 세션은 Apple Park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오프라인 세션에서도 키노트는 온라인 중계 영상을 동일하게 스크린에 띄운다. 키노트 영상은 선곡과 장면 간 전환 기법 등 다양한 부분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https://youtu.be/4Xz_sLkzee0|참고 영상]][* 당장 유튜브에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apple+event+transitions+|Apple Event Transitions]]이라고 검색해보면 이와 관련된 영상이 많이 나온다. Apple 특유의 영상미가 느껴지며 좋은 반응을 이끄는 중.] 또한 사전 녹화다보니 애플 파크 이외의 장소에서도 많이 촬영한다. 주로 이벤트들은 Apple [[https://www.apple.com|공식 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user/Apple|유튜브]], [[https://twitter.com/apple|트위터]] 등을 통해 생중계되며,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중계와 동시에 한국어 자막을 지원한다. 지난 이벤트 영상은 [[https://www.apple.com/kr/apple-events/|공식 홈페이지]], [[https://podcasts.apple.com/kr/podcast/apple-events-video/id275834665/|팟캐스트]], [[https://www.youtube.com/user/Apple|유튜브]], [[Apple TV(앱)|Apple TV 앱]]에서 시청할 수 있다. == 목록 == === [[/2000년대|2000년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pple 이벤트/2000년대)] === [[/2010년대|2010년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pple 이벤트/2010년대)] === [[/2020년대|2020년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pple 이벤트/2020년대)] == 기타 == *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간 화질 차이가 꽤 있는 편이다. 보다 선명하게 보고 싶다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시청해보자. * [[iOS]], [[iPadOS]] 기기에서 [[Safari]]로 Apple 공식 홈페이지를 접속한 다음, 초대장의 Apple 로고 부분을 누르면 해당 이벤트 테마의 숨겨진 AR 초대장을 볼 수 있다. 일종의 이스터 에그. * 온라인 발표 전환 이후 공식 홈페이지에서 시청하면 한국어 자막을 볼 수 있다. 이전의 실시간 중계 방식 특성상 자막 제공이 불가능했으니, 사전녹화의 장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유튜브 영상에는 이벤트 종료 이후 추가된다.] [[분류:Apple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