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경제]][[분류:주식]] [include(틀:주식투자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바이오]], [[전지(장치)|배터리]], [[인터넷]], [[게임]] 산업을 의미한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대한민국]] 증시를 이끄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떠올랐으며, [[반도체]] 업종과 함께 [[코스피]] 3000 시대의 주역이 되었다. == 평가 == 과거 [[코스피]] 2000 시대의 주역인 '[[중국|차이나]] 플레이'([[중국]] 관련주), '[[차화정]]'([[자동차]], [[화학]], [[정유]])에 이어 BBIG가 증시 주도주가 되면서 [[대한민국]] 주력 산업의 세대교체를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107/104804862/1|#]] 5년 전만 해도 [[시가총액]] 상위 Top10에는 금융주를 비롯해 저[[주가순자산비율|PBR]] 가치주가 다수 존재했었는데, 2021년에는 TOP10에 BBIG 등 성장주가 다수 들어오게 되었다.[* [[삼성전자]] 및 [[삼성전자]] 우선주,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현대차]], [[LG화학]], [[네이버]]는 Top10을 지켰고, [[한국전력공사]], [[아모레퍼시픽]], [[삼성생명]], [[삼성물산]]이 나가는 대신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삼성SDI]], [[카카오(기업)|카카오]]가 새로 들어왔다.] [[반도체]]와 BBIG 주도의 장세가 지속되면서 [[코스피]]가 체질적으로 변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108_0001298252|#]] 그러나 2021년 하반기부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 등 각국이 금리 인상 등의 긴축정책을 펼치면서, BBIG의 인기는 시들해진 상태이다. 전기차 수요 확대로 인해 실적이 견조한 2차전지 종목만 계속 올라갔고, 바이오·인터넷·게임 종목은 크게 내려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910027600002|#]] == 주요 종목 == === [[주식]] === * [[바이오]] * [[삼성바이오로직스]] * [[셀트리온]] * [[SK바이오팜]] * [[배터리]] * [[LG화학]] => [[LG에너지솔루션]] * [[삼성SDI]] * [[SK이노베이션]] * [[인터넷]] * [[카카오(기업)|카카오]] * [[네이버]] * [[더존비즈온]] * [[게임]] * [[엔씨소프트]] * [[넷마블]] * [[펄어비스]] === [[상장지수펀드|ETF]] === * [[미래에셋자산운용]]: 2020년 10월 [[한국판 뉴딜|K-뉴딜]] 시리즈를 상장했는데, 3개월만에 순자산 1조원을 돌파했다. 2021년 1월 13일 기준, 4개 업종을 다 합친 [[미래에셋 TIGER ETF|TIGER BBIG ETF]] 수익률은 27.6%인데, 2차전지 ETF 수익률은 62.8%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 ETF 수익률은 7.5%로 가장 낮았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11393721|#]] 또한 한국 증시뿐만 아니라 미국, 홍콩 증시에도 글로벌 BBIG ETF 시리즈를 상장했는데, 2021년 1월 23일 기준 한국, 미국, 홍콩을 다 합치면 순자산이 10조 원이 넘는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12313411874525|#]] * TIGER KRX BBIG K-뉴딜 * TIGER KRX바이오K-뉴딜 * TIGER KRX2차전지K-뉴딜 * TIGER KRX게임K-뉴딜 * TIGER KRX인터넷K-뉴딜 * TIGER 2차전지테마 * 삼성자산운용 * KODEX 2차전지산업 * NH-Amundi자산운용 * HANARO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 KB자산운용 * KBSTAR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 한국투자자산운용 * KINDEX Fn K-뉴딜디지털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