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MD-1.jpg|width=100%]]}}} || || '''БМД-1''' || [목차] == 개요 == [[소련]]의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에서 개발한 [[공수장갑차]]. [[BMD]] 패밀리의 시초이다. == 제원 == ||
'''무게''' ||7.6 t || || '''길이''' ||5.41 m || || '''전폭''' ||2.63 m || || '''전고''' ||1.97 m || || '''승무원''' ||3|| || '''탑승인원''' ||4|| || '''엔진''' ||[[UTD-20 엔진|5D20]] 6기통 디젤엔진 (240 마력)|| || '''장갑''' ||마그네슘 합급(초기형), 알루미늄 합금(중/후기형)|| || '''현가장치''' ||유기압식 서스펜션 + 토션바|| || '''주무장''' ||73 mm [[2A28]] Grom 활강식 [[저압포]]|| || '''부무장''' ||3 × 7.62 mm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 (동축기관총 x 1, 전방기관총 x 2), 3 × 9M14 ATGM|| == 개발 == BMD-1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소련 공수부대원들은 수송기의 무게 제한 때문에 마땅한 병력이 탑승할 장갑차를 항공기에 싣을 수 없었고, 공수부대 보병들은 사실상 소총과 유탄발사기 정도의 무장만 소지했다. 물론 1940년대 말부터 [[ASU-57]]같은 공수자주포가 개발되어 공수부대의 화력을 지원하기는 했지만, 화력지원 이외에도 소련 육군의 [[BMP-1]]처럼 보병들이 탑승할 수 있는 장갑차가 필요했다. 하지만 BMP-1의 무게는 13톤으로 당시 소련의 [[An-12]] 수송기에 여러대 공수되기 어려워서[* 공수 자체는 가능했다. 문제는 BMP-1이 별도의 낙하선 전개 장치도 없고, 무게 때문에 수송기에 많이 탑재될 수 없었기 때문에 공수부대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BMP-1을 공수부대가 사용할 수는 없었다. 이렇게 1965년부터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에서 새로운 공수장갑차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은 이전에 오비옉트 764[* 이후 발전하여 오비옉트 765, [[BMP-1]]이 되었다]에게 패배한 오비옉트 914 설계안을 기반으로 경량화를 위해 차체 크기와 장갑 두께를 조금 줄이는 대신에 73mm 주포 무장은 유지한 오비옉트 915를 개발하였고, 이것이 BMD-1으로 1968년에 채택되어 1970년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 상세 == 주무장은 73mm 저압포와 [[9K11 말륫카|AT-3]] 새거 대전차미사일의 조합으로 최초의 보병전투차인 [[BMP-1]]과 같다. 이 외에도 차체 전방 기관총이 2정이 달려있다. 포탑 구조 자체는 [[BMP-1]]과 동일하며, 무장도 BMP-1과 동일하게 73mm 2A28이다. 기본 운용에 필요한 승무원은 포수와 조종수로 2명이며 6명의 무장병력이 탑승 가능하다. 장전수와 기관총사수는 추가되는 6명의 병력에 포함되기에 실질적으로 탑승하고 하차하는 병력은 4명이다. [[유기압 현가장치]]를 도입한 덕에 서스펜션의 높이가 조절가능한데, 항공기로 수송할 때 최대한 높이를 낮춰서 수납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이외에도 헐 다운으로 차체를 숨길때도 차고 조절 기능이 사용될때도 있었다고 한다. 장갑은 경량화를 위해 ABT-101 합금으로 만들어졌으며, 해당 합금은 91% [[알루미늄]], 6% [[아연]], 3% [[마그네슘]]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나온 [[BMD-2]]에서는 장갑 합금에 ABT-102로 변경되어 알루미늄을 94%로 늘리고 아연을 4%, 마그네슘 비율을 2%로 줄였다. 참고로 여기서 언급되는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은 [[BMP-1]]의 파도막이에도 사용되는 재질이다. 단지 이쪽은 차체만큼은 [[강철]]로 만들어서 문제가 없는 것뿐.. ~~둘 다 불타긴 마찬가지 아닌가?~~ --마그네슘은 심지어 [[조명탄|이것]]의 재료다-- == 바리에이션 == * BMD-1 (오비옉트 915) : 첫 생산 모델. 포탑 상부 오른쪽에 돔형 NBC 방호 필터가 설치되었다. === 소련 === * BMD-1K : BMD-1의 지휘차량 사양. R-126, R-107 무전 송수신기가 추가되었고, 통신용 안테나와 발전기도 추가되었다. * BMD-1P : 1977년에 나온 현대화 개량형. 9S428 [[대전차미사일]] 발사기가 경첩이 달린 9P135M-1 발사기로 교체되어 [[9M113 콘쿠르스]], 9M113M, [[9K111 파곳]], 9K111-2 대전차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 BMD-1PK : BMD-1P의 지휘차량 사양. R-123M 무전기 세트와 발전기, GPK 59 회전 나침반(자이로컴퍼스), PRKhR 방사선 및 화학물질 탐지기, 2개의 탈부착식 케이블이 추가되었다. 차체 앞 왼쪽에 있던 부무장 기관총과 전방 기관총사수의 좌석이 제거되었고, 탄약 적재량이 줄어들면서 9M113 1발, 7.62mm 기관총탄 250발이 적게 들어간다. * BMD-1M : 두번째 현대화 개량을 거친 사양. 포탑 후면에 연막탄 발사기가 추가되었고, 환기 장치와 [[보기륜]]들이 새롭게 개선되었다. * [[2S2 피알카]] : BMD-1의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공수자주포]]. * [[BTR-D]] : BMD-1의 개발사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에서 BMD-1을 기반으로 포탑을 제거하고 차체를 늘려서 병력수송 능력을 4인에서 10인까지 대폭 향상시킨 차량. === 러시아 === [[소련 해체]] 이후 기존의 BMD-1의 포탑을 새로운 1인용 TKB-799 포탑으로 교체하고 주무장도 30 mm 2A72 기관포로 교체하여 BMD-2에 준하게 개수하였다. === 벨라루스 === 기존 차량들의 2인용 포탑을 신형 1인용 포탑인 2A42 코브라 포탑으로 교체하는 개량을 거쳤다. 따라서 [[BMD-2]]처럼 차량 운용에 필요한 탑승 인원이 2인으로 줄었다. == 실전 == === [[냉전]]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소련 공수군이 운용했다. ==== [[오가덴 전쟁]] ==== 전쟁에 개입한 쿠바군이 사용했다.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 === 현대 === ==== [[제1차 체첸 전쟁]] ==== ==== [[제2차 체첸 전쟁]] ==== ==== [[남오세티야 전쟁]] ==== ==== [[돈바스 전쟁]] ==== ====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헤르손 전선에서 러시아군의 BMD-1KSh-A이 우크라이나군에게 노획되었다. == 운용국 == === 유럽 === ==== 동유럽 ==== ===== [[소련]] ===== ===== [[러시아]] ===== ===== [[우크라이나]] ===== ===== [[몰도바]] ===== ===== [[벨라루스]] ===== ===== [[압하지야]] ===== ===== [[남오세티야]] ===== === 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 [[튀르크메니스탄]] ===== ==== 서아시아 ==== ===== [[아르메니아]] ===== ===== [[아제르바이잔]] ===== ===== [[이라크]] ===== ===== [[이란]] ===== ==== 남아시아 ==== ===== [[인도]] =====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리비아]] ===== ===== [[알제리]] ===== ==== 중앙아프리카 ==== ===== [[앙골라]] ===== === 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 [[쿠바]] ===== == 매체에서 == [[지온 공국]]군의 PVN.44/1 Weasel 장갑차의 디자인이 바퀴만 궤도에서 타이어로 바꾼 BMD-1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VgTZ의 차량)] [include(틀:냉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도네츠크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공수장갑차]][[분류:보병전투차]][[분류:수륙양용전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벨라루스군/장비]][[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