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zov_in_Mariupol_3.jpg|width=100%]]}}} || || '''БТР-4 «Буцефал»'''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cme7UWu9N0)]}}} || || '''BTR-4E 기동 영상''' || [[우크라이나]]의 [[하리코프 모로조프 설계국]]에서 개발한 [[차륜형 장갑차]]/[[보병전투차]]. 명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마 [[부케팔로스]]에서 따왔다.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보병전투차 겸 차륜형 장갑차로서 운용되고 있고, 인도네시아, 이라크, 나이지리아에서도 운용하고 있다. == 제원 == ||<-2>
{{{#White '''{{{+1 BTR-4}}}'''}}} || |||| ||<:><-2>{{{#White '''개발 및 생산'''}}}|| ||<:>'''개발 '''||<(>Харківське Конструкторське Бюро з Машинобудування ім. О.О. Морозова, or ХКБМ, KhKBM[br](Morozov Machine Building Design Bureau, [[하리코프 모로조프 설계국]])|| ||<:>'''개발연도'''||<(>2006년[* [[키이우]]에서 열린 Aviasvit 2006에서 프로토타입이 첫 선을 보임]|| ||<:>'''생산기관'''||Завод імені В.О. Малишева (Kharkiv Locomotive Factory, KhTZ, ([[말리셰프 공장]]) || ||<:>'''생산연도'''||<(>2008년~현재|| ||<:>'''생산량'''||<(>300대 이상|| ||<:>'''운용연도'''||<(>2008년~현재|| ||<:>'''운용국가'''||<(>[[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 [[이라크]], [[나이지리아]]|| ||<:><-2>{{{#White '''제원'''}}}[* 기본형인 BTR-4를 기준으로 작성]|| ||<:>'''전장'''||<(>7.76 m (25.5 ft)|| ||<:>'''전폭'''||<(>2.93 m (9.6 ft)|| ||<:>'''전고'''||<(>3.02 m (9.9 ft)|| ||<:>'''중량'''||<(>17t|| ||<:>'''탑승인원'''||<(>승무원 3명(차장, 포수, 조종수), 보병 7명|| ||<:><-2>{{{#White '''무장'''}}}|| ||<:>'''BM-7 Parus 모듈 [* [[우크라이나군]] 도입사양] '''||<(><#ffffff>\ ZTM-1 30mm 기관포[br]KBA-117 30mm 고속유탄발사기 [br][[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7.62x54mmR 공축기관총[br]2발의 [[9M113 콘쿠르스]] 또는 Baryer[* 우크라이나산 대전차미사일.] 대전차미사일 || ||<:>'''GROM 모듈'''||<(><#ffffff>ZTM-1 30mm 기관포[br]KBA-117 30mm 고속유탄발사기[br][[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7.62x54mmR 공축기관총[br]4발의 [[9M113 콘쿠르스]] 또는 Baryer 대전차미사일|| ||<:>'''BAU 23 모듈'''||<(><#ffffff>23mm 기관포 2문[br][[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7.62x54mmR 공축기관총|| ||<:><-2>{{{#White '''기동력'''}}}|| ||<:>'''엔진'''||<(>[[3TD 엔진|3TD 2행정 디젤엔진]], Deutz EBPO III 4행정 디젤엔진|| ||<:>'''최고출력'''||<(>500hp|| ||<:>'''출력비'''||<(>29.4 hp/t (기본형 기준)|| ||<:>'''최고속도'''||<(>'''도로 :''' 110 km/h (68 mph) '''수상 :''' 10 km/h (6.2 mph)|| ||<:>'''항속거리'''||<(>690km (430마일)|| ||<:><-2>{{{#White '''방어력'''}}}|| ||<:>'''장갑''' ||<(>전면 12.7mm 기관총탄, 전방위 7.62x39mm 철갑탄 방호 가능 슬롯 아머 혹은 증가 장갑 장착 가능 || == 설계 == 기술적으로는 [[BTR-80]],[[BTR-70|70]]등 기존 [[BTR]]시리즈를 바탕으로 했으나 전작인 [[BTR-3]]와 달리 서방측 차륜형 장갑차 설계사상을 받아들여 기존 BTR 시리즈와는 크게 벗어나는 설계를 가진 차량이다. 정면을 기준으로 조종석-포탑-병력수송실-엔진-워터제트 순서로 배치된 BTR을 포함한 기존 동구권 장륜 장갑차들의 형상에서 벗어나 조종석-엔진-포탑-병력수송실의 전형적인 서구권 장갑차 형상을 가졌다. 이러한 변화의 의의는 구 소련제 장갑차들에서 차체 후방 공간을 거대한 엔진과 워터제트가 전부 차지해서 보병은 작은 해치를 통해 적의 공격에 노출되는 측면이나 천장으로 내려야 한다는 고질병을 해결했다는 점에 있다.[* 러시아군이 소련시절의 설계사상은 커녕 기존의 생산설비와 차량조차 대체하지 못하고 여전히 BTR-80A를 주력으로 굴리는점과 대조된다. 다만, 당시부터 제기되던 문제점이라 비슷한 공산권 국가였던 체코의 [[OT-64]] 장갑차는 일찍이 이런 설계를 채택했다.] 이로 인해 구동계 설계가 복잡해지고, 피탄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장갑차의 본 목적인 안전한 병력수송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더 중요히 여겨져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추운 기후에서도 작전 능력을 보존할 수 있도록 열풍기가 장착되어 있고, 자동 소화 장치, NBC 방호도 마련되어있다. BTR-80의 파생형 혹은 개량형이라는 오해가 있으나 같은 BTR 계보에 속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완전히 다른 차량이다. 전작인 BTR-3도 대략적인 형상은 유지했지만 차체 자체는 새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BTR-4는 상술했듯 기존 BTR과 유난히 설계상으로 벗어난데다 우크라이나의 장륜 장갑차들은 BTR-70의 영향을 80 이상으로 지대하게 받았다. 다만 GROM 포탑이 BTR-70에도 호환되는등 체계는 기존 BTR과 많은 부분이 호환된다. == 무장 == BTR-4는 다양한 무장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 중 [[우크라이나군]]을 포함하여 가장 많이 장착되는 것은 BM-7 Parus 모듈이다. BM-7 Parus의 주무장인 ZTM-1 30mm 기관포는 30x165mm를 사용하며 이중 급탄 장치를 통해 상황에 따라 탄종을 변경할 수 있다. 부무장으로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공축기관총, KBA-117 30mm 고속유탄발사기, 그리고 2발의 [[9M113 콘쿠르스]] 또는 Baryer 대전차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 디지털 사격 통제 장치와 열화상 조준장치를 제공하며, 사격통제장치가 파손된 경우에도 크랭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포수석은 포탑과 분리되어 있다. 차장석에도 포수와 동일한 관측,조준장치가 있어 포수가 사망하더라도 차장이 무장을 조작할 수 있다. [youtube(JG0TFl_-wFU)] GROM 모듈은 ZTM-1 30mm 기관포,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공축기관총, KBA-117 30mm 고속유탄발사기, 4발의 [[9M113 콘쿠르스]] 또는 Baryer 대전차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 오버헤드 건 타입의 포탑이며 BM-7 Parus와 달리 포탑이 회전하면 좌석도 같이 회전한다. [[https://en.ukrmilitary.com/2020/09/bau-23-2.html]] BAU 23 모듈은 2연장 23mm 기관포와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M]]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보병탑승칸 측면에는 총안구가 있어 보병들이 차내에서 외부를 공격할 수 있다. == 방어력 == 전면장갑은 50구경 기관총탄에 대해 유효한 방호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면 방탄유리창은 접혀있는 방탄판을 펼쳐 총탄과 파편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방탄판을 전개할 경우에는 잠망경을 통해 시야를 확보한다. 측후면 장갑은 STANAG 4569 레벨 2[* 지근거리서 발사된 7.62x39mm AP 탄환 또는 꽤 떨어진 거리에서 폭발한 155mm 포탄의 파편을 방호가능.]의 방호 능력을 가지고 있다. 포탑에는 6개의 81mm 연막탄 발사기가 장착되어 적의 공격에서 차량 혹은 보병들을 연막으로 보호할 수 있다. 슬롯아머와 증가장갑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NBC계열 무기에 대한 방어도 마련되어 있다. == 기동성 == 3TD 디젤엔진 혹은 Deutz사의 EBPO III 엔진은 500마력의 출력을 제공하며 전진 5단, 후진 1단의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다.이에 힘입어 도로상에서 최고 110km/h의 속도로 기동할 수 있고, 차체 후면에 장착된 2개의 프로펠러를 통해 10km/h의 수상주행이 가능하다. 험지 돌파력도 준수하여 60% 경사로를 등반가능하고, 0.6m의 수직장애물을 통과 할 수 있으며 폭 2m의 참호나 도랑을 통과할 수 있다. == 파생형 == * '''BRM-4K''' - 정찰차량 * '''BTR-4K''' - 지휘차량 * '''BTR-4KSh''' - 지휘 및 참모 차량 [youtube(K8kBFlPwPXA)] * '''BTR-4MV1''' - [[NATO]] 표준에 맞추어 개량한 버전으로, 무게가 7톤가량 늘어났으며 [[파트리아 AMV]]와 비슷한 차체를 가졌다. * '''MOP-4K''' - 화력지원차량 * '''BREM-4K''' - 구난차량 * '''BSEM-4K''' - 의료차량 == 실전 == 우크라이나 나름대로 기술을 집약해 만든 장갑차이자 보병전투차이고, 성능도 우수하지만, 국가의 경제사정이 좋지 않고, 설상가상으로 각종 분쟁까지 겹치면서 품질관리를 하지 못한 탓에 [[http://andrei-bt.livejournal.com/528503.html|장갑에 균열이 가있고,]] 기관포에 심각한 결함이 발견되었다. 게다가 전쟁이 지속됨에 따라 공장을 가동할 여유가 없어, 이라크군에서 2009년에 발주한 420대 중 88대만이 2013년까지 납품되었다가 계약 취소를 겪었으며, 인도네시아에선 수륙양용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상당수 국가에서 계약이 파기되는 등 악재를 겪었다. 개발국인 우크라이나도 많이 배치하지 못했다가 대대적인 군비 증강과 군 개편을 실시한 [[페트로 포로셴코]]의 임기에 비로소 품질 균일화와 대량 도입에 성공하고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함에 따라 도입해 운용중이다.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에서도 40대 이상을 배치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의 침공]]이 발발하자 러시아군에 맞서 [[BTR-3]]와 함께 눈부시게 활약중이다. 러시아의 주력 장갑차인 [[BMP]] 시리즈, [[BMD]] 시리즈보다 우월한 2세대 열상과 사통, 기동력으로 장갑차간 교전에서 압도함은 물론 시가전에서 러시아의 T-72B3도 측면을 노려 제압하는 활약을 보여줬다. [youtube(q3oRu_M4mgA)] [[마리우폴 전투]]에서 [[아조프 연대]] 소속 BTR-4와 [[러시아군]]의 [[BMP-1|BRM-1]][* BMP-1의 개량형.] 및 보병들[* 장갑차의 바닥쪽을 자세히 보면 보병들의 발이 보인다.]의 교전 장면. [[베테랑|교본으로 써도 될 정도로 완벽한 사격술]]을 보여주는데 초탄으로 적 BRM-1의 연막탄 발사기부터 정확히 조준해 파괴하여 적 기계화보병의 산개를 차단한 뒤, BRM의 포탑에 기관포 수십 발을 사격해 무력화한 다음 즉시 차체 아래를 사격해 장갑차 뒤에 엄폐한 보병들의 다리를 공격하고, 마지막으로 차체를 계속 쏴서 완전 격파를 확인한 뒤에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월에는 마리우폴 외곽에서 [[러시아군]] [[T-72]] 전차 2대를 후방에서 공격하여 격파하는 등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https://twitter.com/rhoint_en/status/1512165686084354067|교전영상]] 동급 장갑차도 격파할 수 있는 30mm 기관포를 사용하기에 노출된 보병에게는 사신과도 같은 위력을 발휘한다. [[https://t.me/mysiagin/7321|교전 영상]]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차드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2006년 공개]][[분류:2008년 출시]][[분류:차륜형 장갑차]][[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분류:인도네시아군/기갑차량]][[분류:이라크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