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Band on the Ru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28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887)]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The Streak ||<#FFE400><:> {{{+1 → }}} ||<#FFE400><:> '''Band on the Run''' ||<#FFE400><:> {{{+1 → }}} ||<#FFE400><:> Billy Don't Be a Hero || ---- }}} || ||<#010200><-2> '''{{{+1 Band on the R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jlvdcBAKdg, width=100%, height=200)]}}}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200; font-size: .9em" [[Band on the Run|{{{#fff '''Band on the Run'''}}}]]}}} || ||'''앨범 발매일'''||[[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3년]] [[12월 5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73년]] [[12월 7일]]|| ||'''싱글 발매일'''||[[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4년]] [[4월 8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74년]] [[6월 28일]]|| ||'''싱글 B면'''||[[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Nineteen Hundred and Eighty-Five[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Zoo Gang|| ||'''작사/작곡'''||[[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프로듀서'''||[[폴 매카트니]]|| ||'''장르'''||[[팝 록]], 프로그레시브 팝|| ||'''러닝 타임'''||5:09[* [[라디오]]에서는 주로 3분 50초짜리로 편집된 버전이 방송되었다.]||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tr_single.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iqLJsCjcPz0)]|| || '''7인치 싱글 버전'''[* 후술할 라디오에서 주로 방송된 편집판이 이 버전이다.] || ||[Youtube(XypZETogEus)]|| || '''DTS Mix'''[* 1996년 발매된 [[DTS]]-CD [[5.1채널]] 리믹스 버전. 들어보면 곡 도입부의 기타 노트 일부가 누락되어 있는데, 초기 프레스 당시 모종의 사유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고 한다. 이후 기존의 보라색이 아닌 노란색으로 프린팅 된 재발매판 CD에서는 정상적으로 수정되었다.] || ||[Youtube(_m_6KvHSyx4)]|| || '''[[1976년]] [[Wings over America]] 투어 당시 라이브''' || [[폴 매카트니]]와 그의 밴드 [[윙스]]가 [[1973년]] 발표한 노래. 곡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파트는 감옥에 갇히는 상황에서 시작한다. 두 번째 브릿지 파트는 탈옥을 꿈꾸는 내용을 담고 있고, 마지막 세 번째 파트에서 도망다니는 장면을 묘사한다. 이 세 부분은 각각 다른 멜로디와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어 비틀즈 시절 비슷한 멜로디와 리듬의 파편들을 합쳐서 만들던 기법에서 한층 발전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속과 도망, 자유라는 테마는 폴 매카트니의 실제 경험을 반영한 것인데, 폴 매카트니는 [[마리화나]] 소지 혐의로 [[1972년]]에 두 번이나 체포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마리화나에 얽힌 악연으로 자유를 갈망하며 만든 또 다른 노래로는 '[[Wanderlust]]'를 들 수 있다. 가사의 모티프는 [[조지 해리슨]]이 비틀즈 해체에 서명하면서 했던 발언에서 영감을 받았다. 조지는 비틀즈 해산과 관련한 법적 분쟁을 겪으면서 밴드의 옛 동료들에게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죄수야, 내가 여기서 나간다면...'이라는 발언을 했는데, 폴은 이 멘트가 가사의 시작으로 괜찮을 것 같다는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 단어가 멋지게 이어진 겁니다. 사실 저는 분석하지는 않아요, 설령 분석한다고 해도 한 3개월 뒤 쯤 침대에 누워 무슨 의미였는지 기억하는 정도에 불과하죠. 'Band on the Run'은 '내가 여기서 나간다면'으로 시작합니다. [[애플 레코드|애플]] 시절 모임에서 조지 해리슨이 한 말에서 따왔어요. 조지는 '우리는 어떤 의미에서 모두 죄수'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가 여기서 나간다면'으로 앨범을 시작하면 꽤 근사할 것같다고 생각했죠. 뭐 사실 이유를 대라면 수백 만가지를 댈 수 있겠죠. 여기서 모두 털어놓을 수 없습니다. 너무 많으니까요. 저는 그런 이유를 분석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도망가는 밴드는 탈출, 자유, 범인 뭐라고 생각해도 좋아요. > ''- 폴 매카트니'' [[Band on the Run]]은 비틀즈 해체 후 발매된 [[폴 매카트니]]의 앨범 중에서 가장 많이 팔렸으며 또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앨범인데, 타이틀 곡인 이 곡은 특히 가사가 호평을 받았다. 폴 매카트니는 평론가들로부터 '사랑 타령이나 한다'는 비판을 숱하게 받았는데, 이 곡은 사랑 타령에서 벗어나 '[[자유]]'라는 가치를 노래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Uncle Albert/Admiral Halsey]]처럼 미완성 곡을 단순한 조합한 것이 아닌 별개의 곡이 유기성을 가지고 하나로 뭉친듯한 치밀한 구성 때문에 [[프로그레시브]]한 팝송이 탄생했다. 따라서 평론가와 대중들이 모두 호평하는 드문 곡 중 하나가 되었다. 원래 폴 매카트니는 앨범과 싱글을 분리하여 발매하는 [[비틀즈]] 시절의 관행을 이어서 Band On The Run 앨범에서는 싱글을 따로 발매하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음반사의 계속되는 발매 압박으로 결국 1974년 2월 '[[Jet]]'을 시작으로, [[4월 8일]]에는 Band on the Run 싱글을 미국에서 발매하게 된다. 싱글은 [[빌보드 핫 100|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올랐다. 판매량은 1백만장을 돌파해 [[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기도 했다. [[197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22위에 올랐다. 영국에서는 [[6월 28일]]에 발매하여 3위까지 올랐다. 앨범 발매로부터 거의 반 년이 지난 시점에 발매한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성공이라 할 수 있다. 라디오에서는 주로 방송용으로 3분 50초짜리 편집본을 만들어 방송했다. 편집된 부분은 원곡의 26~37초, 2분 52~3분 38초, 3분 48~4분 7초이다. == 가사 == || '''{{{+4 Band on the Run}}}''' Stuck inside these four walls Sent inside forever Never seeing no one nice again Like you, mama You, mama, you 사방이 막힌 이 곳에 갇혀서 영원히 나갈 수 없는 이 곳에서 다시는 볼 수 없겠지 당신처럼 멋진 사람을 당신처럼 멋진 사람을 If I ever get out of here Thought of giving it all away To a registered charity All I need is a pint a day If I ever get out of here If we ever get out of here 내가 여기서 나간다면 내가 가진 전부를 자선 단체에 기부해버릴거야 내가 필요한 건 한 잔의 맥주일 뿐 내가 여기서 나간다면 우리가 여기서 나간다면 Well, the rain exploded with a mighty crash As we fell into the sun And the first one said to the second one there "I hope you're having fun" 햇볕을 쬐러 나갔을 때 갑자기 굉음과 함께 폭우가 쏟아지자 한 녀석이 옆의 녀석에게 말했지 "잘 있어라!"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And the jailer man and Sailor Sam Were searching everyone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교도관과 수병 샘이 전부 수색하네 For the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For the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밴드가 도망가네 밴드가 도망가네 밴드가 도망가네 밴드가 도망가네 Well, the undertaker drew a heavy sigh Seeing no one else had come And a bell was ringing in the village square For the rabbits on the run 아무도 오지 않는 걸 보고서 장의사는 깊은 한숨을 쉬었지 마을 광장의 종은 울려퍼지지 도망가는 토끼를 위해서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And the jailer man and Sailor Sam Were searching everyone For the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그래서 교도관들이 수색하고 있네 도망가는 밴드 때문에 도망가는 밴드때문에 Yeah, the band on the run The band on the run The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Well, the night was falling as the desert world Began to settle down In the town they're searching for us everywhere But we never will be found 밤이 되면서 사막의 하루도 안정을 찾지만 도시에서 교도관들은 온동네를 뒤지며 우리를 찾아다니지 하지만 결코 우리를 못 찾을 거야 Band on the run Band on the run And the county judge, who held a grudge Will search forever more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그리고 앙심을 품은 시골 판사는 계속해서 우리를 찾겠지 For the band on the run For the band on the run The band on the run, yeah The band on the run, yeah 도망가는 밴드를 찾아서 도망가는 밴드를 찾아서 밴드는 도망가네 밴드는 도망가네 [[파일:PaulMcCartney .png|width=200]] || [[분류:1973년 노래]][[분류:1973년 싱글]][[분류:폴 매카트니 노래]][[분류:팝 록]][[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