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전적 의미, rd1=벨)] [include(틀:캐나다의 이동통신사)] ||||<#0067a3><:>{{{#ffffff 벨 캐나다(Bell Canada)}}}[br]{{{#ffffff BCE Inc.}}} || ||||<#0067a3><:>[[파일:attachment/벨/Bell_logo.jpg|height=50]] || || 형태 || [[주식회사]] || || 국가 || [[캐나다]] || || 본사 || [[퀘벡 주]] [[몬트리올]] || || 사업 지역 || [[캐나다]] 전역 || || 상품 || TV, 인터넷, 유선전화, 이동통신 || || 웹사이트 || [[http://www.bell.ca/]] || [목차] [clearfix] == 개요 == [[1880년]] 설립된 [[캐나다]]의 [[통신사]]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설립한 [[미국]]의 Bell Telephone Company[* [[1889년]] [[AT&T]]로 사명 변경]의 캐나다 법인(The Bell Telephone Company of Canada)으로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1975년]]까지 [[미국]]의 [[AT&T]]의 자회사였다. 이후 미국의 AT&T도 베이비 벨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벨 캐나다도 재구조화가 이뤄져 BCE(Bell Canada Enterprises)로 모회사가 변경되었다. 캐나다 2위의 통신회사이며, [[TV]], [[인터넷]], 집전화, 이동전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중 유선망은 독보적으로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KT]]와 비슷한 위치. Virgin Plus라는 [[MVNO]]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지상파]] 채널인 [[CTV]]와 함께 캐나다 내 유일 [[HBO]] 제휴 서비스인 CRAVE도 산하에 두고 있다. == 상세 == 이동통신 사업부에서는 원래 제공하던 이동통신 방식이 한국처럼 [[CDMA]]방식으로 서비스를 하였으나, [[3G]]로 넘어오면서 위험 분담차원에서 캐나다 제3의 이통사인 Telus[* 동부는 Bell, 서부는 Telus 식으로 운영함.]와 함께 [[HSPA]]([[WCDMA]])망 사업을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4세대 이동통신인 [[LTE]]까지 서비스한다. [[캐나다]]라는 나라의 특성상 워낙 국토가 넓다보니[* 전 세계 나라들 중 국토 면적 1위인 [[러시아]] 바로 다음이 캐나다이다.] 지도상으로 보면 서비스가 안되는 지역이 엄청 넓지만 웬만한 거주지역은 다 커버한다.[* 그래도 전화망 커버가 가장 넓어서 그 전화망을 이용한 [[ADSL]] 사업도 가장 크게 한다.] 참고로 이 회사에서 [[스마트폰]]을 쓰려면 기본 약정이 2년이다. 다른 캐나다의 메이저 통신회사도 무조건 약정이 2년이다. 한때는 그나마 다른 회사 서비스보다 나을 때도 있었지만 오히려 가격 면에서 로저스나 텔러스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싸지고, 서비스의 질도 낮아진다. 캐나다 방통위(CRTC)의 규정 변경으로 telecommuications consumer right에 의거하여 모든 통신사 약정 기간이 2년으로 바뀌고 기존 3년짜리 계약도 2년이 되면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다. [[2017년]] [[매니토바]]의 통신회사인 MTS를 인수하였지만 [[반독점법]]에 의해 MTS 가입자 절반을 텔러스에 강제로 넘겼다. [[MVNO]] 사업자로 Virgin Plus를 운영 중이다. == 기타 == 지금은 없어진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노텔 네트웍스]]도 원래는 벨 캐나다의 자회사로 시작했었다. [[몬트리올]] 회사라 그런지 [[몬트리올]]과 [[퀘벡]]내 [[LTE]] 품질이 다른 통신사 보다 좋다. [[퀘벡]]에서 주로 머물 예정이라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포춘 선정 가장 위대한 현대 디자인 100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벨, version=97)][[분류:Clean Telco]][[분류:캐나다의 통신회사]][[분류: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분류:1880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