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본즈(기업)|{{{#ffffff,#2d2f34 본즈}}}]] {{{#ffffff,#2d2f34 애니메이션}}}''' || || [[도쿄 매그니튜드 8.0]] [br] 2009년 3분기 || → ||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br] 2009년 4분기 || → ||<-2> [[HEROMAN]] [br] 2010년 2분기 || [include(틀:DARKER THAN BLACK 시리즈)] ||<-2>
{{{#ffffff,#ffffff '''{{{+1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2009)[br]DARKER THAN BLACK -流星の双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다크 판타지]], [[현대 이능력물]], [[능력자 배틀물|배틀]], [[하드보일드]], [[액션]] || || '''{{{#ffffff,#ffffff 원작}}}''' ||[[본즈(기업)|본즈]][br][[오카무라 텐사이]]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이와하라 유지]] || || '''{{{#ffffff,#ffffff 감독}}}''' ||[[오카무라 텐사이]]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2>[[코모리 타카히로]]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야스다 타카히로(やまだたかひろ) || || '''{{{#ffffff,#ffffff 미술 디자인}}}''' ||아오이 타카시(青井 孝)[br]오카다 토모아키(岡田有章)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아오이 타카시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미즈타 노부코(水田信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칸바야시 고(神林 剛)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와카바야시 카즈히로(若林和弘) || || '''{{{#ffffff,#ffffff 음악}}}''' ||이시이 야스시(石井妥師) || || '''{{{#ffffff,#ffffff 기획 프로듀서}}}''' ||나카야마 코타로(中山浩太郎)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본즈(기업)|[[파일:본즈(기업)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 '''{{{#ffffff,#ffffff 제작}}}''' ||DTBG [[제작위원회]][* [[애니플렉스]], [[본즈(기업)|본즈]], MOVIC, [[하쿠호도]] DY 미디어 파트너즈,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7화부터 크레딧에 추가], [[마이니치 방송]]]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9년 10월|2009. 10. 09.]] ~ 2009. 12. 25.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이니치 방송|MBS]] / (금) 01:2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2화 || || '''{{{#ffffff,#ffffff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www.d-black.net/2n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7년 4월부터 9월까지 방영하며 특유의 세계관과 설정,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과 탄탄한 전개로 호평을 받은 TV 애니메이션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의 정식 후속작. [[애니메이션/2009년 10월|2009년 10월 9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방영하였다. 서브 타이틀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어째서인지 DTB 2기가 아니라 '''흑의 계약자 2기'''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애니맥스가 신작을 발표했을 때도 '''다커 댄 블랙 2기'''(DTB 2기)로 소개했다. 또한 제미니가 [[쌍둥이자리]]를 뜻하므로 국내에서는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쌍둥이-' 라고도 불리운다. 전작의 스토리 시발점이 [[일본]] [[도쿄]]였다면 유성의 제미니는 '도쿄 익스플로전' 2년 후 초겨울에 접어들기 시작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시작되어, 다시 도쿄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다. 서브 타이틀이 바뀐 만큼 주인공도 [[헤이]]보다는 쌍둥이 중 한명인 [[스오우 파블리첸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일종의 더블 주인공 체제. 1기와 2기 사이의 '''인과 헤이의 도피 시절 외전'''을 다룬 총 4화의 OVA가 제작되었는데, 2기의 DVD/BD 짝수권마다 영상특전으로 포함시켰다. 제목은 'DARKER THAN BLACK -GAIDEN-' 상업적 측면에서는 BD 평균 판매량이 12,152장으로 오히려 전작보다 성공하게 된다. 본즈 작품들 중에서는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2003)]], [[혈계전선(애니메이션 1기)|혈계전선]],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에 이어 4위. 2014년 1월 [[Blu-ray Disc|Blu-ray]] BOX로도 발매되었는데 초동 판매량은 2천장 정도로 집계되었다. == 등장인물 == === 헤이 일행 === * '''[[헤이(DARKER THAN BLACK)#s-5.5|헤이]]'''(黑) * '''[[스오우 파블리첸코]]''' * '''[[마오(DARKER THAN BLACK)#s-2|마오]]'''(猫)=페차 * '''[[줄라이(DARKER THAN BLACK)#s-2|줄라이]]''' === 스오우의 가족과 주변 인물 === * '''[[시온 파블리첸코]]''' * '''[[미하일 파블리첸코]]''' * '''[[마키미야 아사코]]''' * '''[[니카 로바노프]]''' * '''사샤''' {{{-1 - 성우: [[나가타 요리코]] / [[한채언]]}}} [[스오우 파블리첸코]]의 친구 1. [[양갈래 머리]] 소녀. 하지만 1화 B파트에서 ME로 스오우와 타냐에 대한 기억이 삭제돼버려 자신을 숨겨달라는 스오우를 알아보지 못했다. * '''엘레나''' {{{-1 - 성우: ○○ / [[박희은]]}}} [[스오우 파블리첸코]]의 친구 2. [[안경]] 소녀. ~~사샤는 생까는 장면이라도 있었는데~~ 그냥 공기. 취미는 윈도우 쇼핑. 묘하게 [[사와사키 요코]]와 닮았다. === 영국 정보국 비밀정보부([[MI-6(DARKER THAN BLACK)|MI-6]]) === * '''[[어거스트 7]]''' * '''[[에이프릴(DARKER THAN BLACK)|에이프릴]]''' === 미국 중앙정보국([[미국 중앙 정보국|CIA]]) === * '''[[존 스미스]]''' ===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 * '''[[레프닌]]''' * '''[[고란(DARKER THAN BLACK)|고란]]''' * '''[[타냐 아쿨로]]''' * '''[[이리야 소코로프]]''' === 삼호기관 === * '''[[코바야시 고로우]]''' * '''[[시즈메 겐마]]''' * '''[[하즈키 미나]]''' * '''[[사와사키 요코]]''' * '''[[키리하라 미사키]]''' === 레바논 가족 === * '''[[레바논(DARKER THAN BLACK)|레바논]]''' * '''[[노리오(DARKER THAN BLACK)|노리오]]''' * '''[[미치루(DARKER THAN BLACK)|미치루]]''' === 쿠라사와 탐정 사무소 === * '''[[쿠라사와 가이]]''' * '''[[카야누마 키코]]''' === 기타 인물 === * '''[[마담 오레이유]]''' * '''[[리카코(DARKER THAN BLACK)|리카코]]''' * '''[[인(DARKER THAN BLACK)#s-2|인]]'''(銀) * '''아리엘''' & '''베레니스''' {{{-1 - 성우: [[타카히라 나루미]](아리엘), [[신도 케이]](베레니스) / [[이미형]](아리엘&베레니스)}}} [[파일:external/i45.tinypic.com/e9xmqx.jpg]] [[롤빵머리]]에 [[고스로리]]틱한 복장을 한 쌍둥이 [[인형|돌]]. [[마담 오레이유]]와 항상 함께 다니며 [[스오우 파블리첸코]]가 계약자로 각성하는 순간 '각성했다', '끝이 시작될 것이다'라는 둥 작 내내 의미심장한 말만 한다. 살짝 미소짓는 표정, 괜찮은 어휘력과 더불어 스오우 일행의 상태를 늘 관측하고, 게이트 안에서 [[줄라이(DARKER THAN BLACK)|줄라이]]에게 길을 알려주는 등 일반적인 돌과는 다른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마지막에는 다시 게이트가 열렸다며 관측령 상태로 손을 잡고 뛰어나가는 모습이 나온다. == 주제가 == ||<-2>
'''{{{#ffffff,#ffffff OP[br]달빛의 이정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URt5ozgjgQ,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SLtqAr32rA,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스테레오포니]] || || '''작사''' ||<|2> AIMI || || '''작곡''' || || '''편곡''' || [[스테레오포니]]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答えのない毎日が 코타에노 나이 마이니치가 답이 없는 하루 하루가 ただ過ぎていく時間が 타다 스기테유쿠 지카응가 그저 지나쳐가는 시간이 これから先どうなるのだろう? 코레카라 사키 도오나루노다로오? 이제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걸까? わからない… 와카라나이… 모르겠어… 闇よりも深い夜の孤独に 야미요리모 후카이 요루노 코도쿠니 어둠보다도 깊은 밤의 고독에 惑わされてた 마도와사레테타 홀려 있었어 だれかに今気づいてほしい… 다레카니 이마 키즈이테 호시이… 누군가 지금 알아채줬으면 해… ここから逃げ出したいから 코코카라 니게다시타이카라 여기서 도망치고 싶으니까 窓から見える朝焼け 마도카라 미에루 아사야케 창 밖으로 보이는 아침노을 部屋に鳴り響く音 헤야니 나리히비쿠 오토 방에 울려퍼지는 소리 アラームに起こされて 아라-무니 오코사레테 알람 소리에 깨어나 薄暗い中 家飛び出すよ 우스구라이 나카 이에 토비다스요 어두컴컴한 가운데 집에서 뛰쳐나가지 カバンの中には 카바은노 나카니와 가방 속에는 何も変わらない平凡詰め込んで 나니모 카와라나이 헤이보은 츠메코은데 변한 게 없는 평범함을 쑤셔 넣고 そしていつもの場所へ 소시테 이츠모노 바쇼에 그리고 항상 가던 곳으로 だれかが言った言葉が 다레카가 이잇타 코토바가 누군가가 해줬던 말이 気になって 惑わされて 키니 나앗테 마도와사레테 신경 쓰여서 홀려서 争いたくなんてないから 아라소이타쿠 나은테 나이카라 싸우긴 싫으니까 何も言えない 나니모 이에나이 아무 말 못해 夢や理想はあるけれど 유메야 리소오와 아루케레도 꿈과 이상은 있긴 하지만 気持ちばかり先に行って 키모치 바카리 사키니 이잇테 마음만 먼저 가버려서 現実がずっと後ろから 게은지츠가 즛토 우시로카라 현실이 계속 뒤에서 ボクを見てる 보쿠오 미테루 날 보고 있어 ねぇだれか教えて 네에 다레카 오시에테 저, 누가 좀 알려줘 みんなそうなのかな? 민나 소오나노카나? 다들 그런 건가? 今日が幸せなら 쿄오가 시아와세나라 오늘이 행복하면 それでいいと思えるって 소레데 이이토 오모에루읏테 그거면 됐다고 생각해버리고 幼いころには 오사나이 코로니와 어릴 적에는 確かにあったよ 타시카니 아앗타요 확실히 있었어 夢を追いかけてた 유메오 오이카케테타 꿈을 좇아갔던 적이 でもそれも遠い記憶 데모 소레모 토오이 키오쿠 하지만 그것도 먼 옛날 일 答えのない毎日が 코타에노 나이 마이니치가 답이 없는 하루 하루가 ただ過ぎていく時間が 타다 스기테유쿠 지카응가 그저 지나쳐가는 시간이 これから先どうなるのだろう? 코레카라 사키 도오나루노다로오? 이제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걸까? わからない… 와카라나이… 모르겠어… ツキアカリのミチシルベ 츠키아카리노 미치시루베 달빛의 이정표 雲を越えボクに届け 쿠모오 코에 보쿠니 토도케 구름을 넘어 나에게 닿아서 進むべき道を照らしてよ 스스무베키 미치오 테라시테요 나아갈 길을 비춰줘 今日がどんなに壊れそうでも 쿄오가 돈나니 코와레 소오데모 오늘이 아무리 무너질 것 같아도 何があっても 나니가 앗테모 무슨 일이 있어도 何があっても 나니가 앗테모 무슨 일이 있어도 信じてたいから 시은지테타이카라 믿고 싶으니까 あの日の遠い記憶 呼び覚ますから 아노 히노 토오이 키오쿠 요비사마스카라 그 날의 아득한 기억 되살릴 테니까 忘れないでね 胸に刻みつけ 와스레나이데네 무네니 키자미츠케 잊지 말아줘, 가슴에 새겨둬 答えは自分の中に 코타에와 지부은노 나카니 해답은 자기 자신 속에 必ずあるものだから 카나라즈 아루 모노다카라 분명 있을 테니까 あきらめないで 아키라메나이데 포기하지 마 強く生きることをやめないで 츠요쿠 이키루 코토오 야메나이데 강하게 살아가는 걸 포기하지 마 悲しすぎて 카나시 스기테 너무 슬퍼서 前に進めない時でも 마에니 스스메나이 토키데모 앞으로 나아질 못 할 때에도 共に悩み歩んだぼくらに 토모니 나야미 아윤다 보쿠라니 함께 고민하며 걸었던 우리에게 風は吹く 카제와 후쿠 바람은 불어 どこまででも 도코마데데모 어디까지나 || }}}}}}}}} || ||<-2>
'''{{{#ffffff,#ffffff ED[br]From Dusk Till Daw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s-e8LdpQXQ,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Wkz0hXZ-4k,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abingdon boys school]] || || '''작사''' || 니시카와 타카노리 (西川貴教) || || '''작곡''' || 시바사키 히로시 (柴崎浩) || || '''편곡''' || [[abingdon boys school]]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暮れてく 夕映えに 背中を押されて 쿠레테쿠 유우바에니 세나카 오사레테 저물어 가는 저녁노을에게 등이 떠밀려서 歩き出す 影が示す方へ 아루키다스 카게가 시메스 호오에 그림자가 가르키는 쪽에 걸어나가 絶えない 幾つもの 出会いと別れを 타에나이 이쿠츠모노 데아이토 와카레오 끊을 수 없는 몇 가지의 만남과 이별을 繰り返し どこへ向かうのか 쿠리카에시 도코에 무카우노카 반복해서 어디로 향하는 걸까 人は誰も 迷いながら 히토와 다레모 마요이나가라 사람은 누구나 망설이면서 罪という名の 運命(さだめ)を背負って 츠미토 이우나노 사다메오 세옷테 죄라는 이름의 운명을 짊어지고 それでもなお 生きる意味を 소레데모 나오 이키루 이미오 그러고도 살아가는 의미를 知るだろう 시루다로오 알아가겠지 僕らは そう Day by day 보쿠라와 소오 Day by day 우리들은 그래 Day by day 明日へ 続く道の途中で 아시타에 츠즈쿠 미치노 토츄우데 내일로 이어지는 길도중에서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君とふたりのまま 키미토 후타리노 마마 너와 단 둘이서 居られたならいいのにな 이라레타나라 이이노니나 있었으면 좋겠는데 何かを 失って 何かを手に入れて 나니카오 우시나앗테 나니카오 테니이레테 무언가를 잃고 무언가를 얻고 削れてく 僕の心には 케즈레테쿠 보쿠노 코코로니와 깎여지는 나의 마음은 傷だらけで 痣にも似た 키즈다라케데 아자니모 니타 상처투성이에 반점과 닮은 数えきれない ほころびがあって 카조에키레나이 호코로비가 아앗테 수 많은 터짐이 있어 それでもまた 光差す場所を 소레데모 마타 히카리사스 바쇼오 그리고 또 빛이 비추는 곳을 目指して 메자시테 향해서 僕らが そう Day by day 보쿠라가 소오 Day by day 우리들이 그래 Day by day 描いた 果てない未来の地図に 에가이타 하테나이 미라이노 치즈니 끝 없는 미래를 지도에 그렸어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ずっとあの日のまま 居られたなら 즈읏토 아노히노마마 이라레타나라 계속 그때처럼 있었으면… 限りある時の中で 카기리아루 토키노 나카데 한정 되어있는 시간 속에서 限りない夢を抱いて 카기리나이 유메오 이다이테 무한정의 꿈을 품으며 打ち鳴らす胸の鼓動が 우치나라스 무네노 코도오가 가슴의 고동이 울리면서 君を呼び続ける 키미오 요비 츠즈케루 너를 계속 부르고 있어 From Dusk Till Dawn From Dusk Till Dawn From Dusk Till Dawn ひそやかに 野に咲く 히소야카니 노니 사쿠 조용하게 들에 핀 名もなき花びらの様に 나모나키 하나비라노 요오니 이름모를 꽃잎처럼 そう Day by day 소우 Day by day 그래 Day by day 明日へ 続く道の途中で 아시타에 츠즈쿠 미치노 토츄우데 내일로 이어지는 길도중에서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Now say it again 君とふたりのまま 키미토 후타리노 마마 너와 단 둘이서 移り行く世界に 우츠리유쿠 세카이니 움직이고 있는 세상에서 その足跡だけを 残して 소노 아시아토다케오 노코시테 그 발자취만 남겨놓으면서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1 제1화}}} || {{{-1 黒猫は星の夢を見ない…[br]검은 고양이는 별의 꿈을 꾸지 않는다...}}} ||<-3> {{{-1 [[오카무라 텐사이]]}}} || {{{-1 [[코모리 타카히로]]}}} || {{{-1 日: 2009.10.09.[br]韓: }}} || || {{{-1 제2화}}} || {{{-1 堕ちた流星…[br]떨어진 유성…}}} ||<|2> {{{-1 [[요시노 히로유키(각본가)|요시노 히로유키]]}}} || {{{-1 오카무라 텐사이}}} || {{{-1 치바 다이스케[br](千葉大輔)}}} || {{{-1 코다이라 요시유키[br](小平佳幸)}}} || {{{-1 日: 2009.10.16.[br]韓: }}} || || {{{-1 제3화}}} || {{{-1 氷原に消える…[br]빙원으로 사라지다…}}} ||<-2> {{{-1 [[하츠미 코이치]]}}} || {{{-1 무라이 타카시[br](村井孝司)}}} || {{{-1 日: 2009.10.23.[br]韓: }}} || || {{{-1 제4화}}} || {{{-1 方舟は湖水に揺蕩う…[br]방주는 호수 위에서 요동친다...}}} ||<|3> {{{-1 [[오카다 마리]]}}} || {{{-1 [[이가라시 타쿠야]]}}} || {{{-1 [[이와사키 타로]]}}} || {{{-1 쿠도 유카[br](工藤裕加)}}} || {{{-1 日: 2009.10.30.[br]韓: }}} || || {{{-1 제5화}}} || {{{-1 硝煙は流れ、命は流れ…[br]화약 연기는 퍼져가고, 생명은 떠나가고...}}} ||<-2> {{{-1 [[야마모토 히데요]]}}} || {{{-1 사이토 에이코[br](斉藤英子)}}} || {{{-1 日: 2009.11.06.[br]韓: }}} || || {{{-1 제6화}}} || {{{-1 香りは甘く、心は苦く…[br]향기는 달고 마음은 쓰다...}}} || {{{-1 하라구치 히로시[br](原口 浩)}}} || {{{-1 스가야 유리코[br](すがやゆりこ)}}} || 와타나베 루리코[br](渡辺るりこ) || {{{-1 日: 2009.11.13.[br]韓: }}} || || {{{-1 제7화}}} || {{{-1 風花に人形は唄う…[br]흩날리는 눈 속에서 인형은 노래한다...}}} ||<|3> {{{-1 오오니시 신스케[br](大西信介)}}} ||<-2> {{{-1 카네코 신고[br](金子伸吾)}}} || {{{-1 [[이시이 유리코]]}}} || {{{-1 日: 2009.11.20.[br]韓: }}} || || {{{-1 제8화}}} || {{{-1 夏の日、太陽はゆれて…[br]여름날, 태양은 요동치고...}}} || {{{-1 [[모리 타케시]]}}} ||<-2> {{{-1 이토 히데키[br](伊藤秀樹)}}} || {{{-1 日: 2009.11.27.[br]韓: }}} || || {{{-1 제9화}}} || {{{-1 出会いはある日突然に…[br]만남은 어느 날 갑자기...}}} ||<|2> {{{-1 오카무라 텐사이}}} || {{{-1 오오니시 케이스케[br](大西景介)}}} || {{{-1 오다시마 히토미[br](小田嶋 瞳)[br]네기시 히로유키[br](根岸宏行)}}} || {{{-1 日: 2009.12.04.[br]韓: }}} || || {{{-1 제10화}}} || {{{-1 偽りの街角に君の微笑みを…[br]거짓된 길모퉁이에서 너의 미소를...}}} || {{{-1 오카다 마리}}} || {{{-1 히가 나오토[br](比嘉 直)}}} || {{{-1 코다이라 요시유키[br]하세베 아츠시[br](長谷部敦志)}}} || {{{-1 日: 2009.12.11.[br]韓: }}} || || {{{-1 제11화}}} || {{{-1 水底は乾き、月は満ちる…[br]물 밑은 마르고, 달은 가득 찬다...}}} ||<|2> {{{-1 스가 쇼타로[br](菅 正太郎)}}} ||<-2> {{{-1 야마모토 히데요}}} || {{{-1 무라이 타카시[br]와타나베 루리코[br]나가이 타츠로[br](永井達郎)}}} || {{{-1 日: 2009.12.18.[br]韓: }}} || || {{{-1 제12화}}} || {{{-1 星の方舟[br]별의 방주}}} ||<-2> {{{-1 오카무라 텐사이}}} || {{{-1 이시이 유리코[br]이토 히데키[br]오다시마 히토미[br]네기시 히로유키}}} || {{{-1 日: 2009.12.25.[br]韓: }}} || == 국내 방영 == 국내에선 전작에 이어 [[애니맥스]]에서 2011년 12월 신작으로 방영되었다. 자체 제작이었던 1기와 달리 2기는 외주 제작사인 [[더빙/외주사 일람#s-2|I&T Digital]]가 더빙을 담당했다. 연출은 최지현 PD. 하지만 그동안 악명높은 I&T 치곤 적절한 신구 조화와 더불어 중복도 생각보다 거의 없어서 팬들을 놀라게 했으며, 게다가 추가 게스트도 상당히 성의있는 모습을 보였는데, 2화만에 퇴갤하는 어거스트 7에 [[김영선(성우)|김영선]], 7화에 한번 얼굴 비추고 순식간에 [[퇴갤]]하는 이리야에 [[신용우]], 얼마 나오지도 않는 아사코는 [[배정미]]를 캐스팅했으며, 비중도 별로 없는 전작 인물들인 에이프릴의 [[김효선(성우)|김효선]], 마유코의 [[서지연]], 앰버의 [[하미경]], 가이의 [[변영희]], 키코의 [[이주희(성우)|이주희]]를 그대로 유지하기까지 했다. 또한 타이틀 로고도 원판과 거의 흡사하게 만들어졌으며, 편집도 괜찮아서 [[약빨다|약빤 거 아니냐는]] 소리도 들었다. 이 PD가 중복과 발연출로 욕먹었던 [[하야테처럼!]]을 생각해보면 진짜 사람이 이렇게 달라지는가 싶을 정도. == 후속작? == [[오카무라 텐사이]] 감독은 인터뷰에서 DTB는 이걸로 끝났고, 3기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DVD 판매량이 많이 나오면 3기가 나올 수도 있다는 말도 있어서 3기가 제작될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 흑의 계약자 BD는 상당한 판매고를 올렸고, 유성의 제미니도 판매고가 괜찮다. 이렇자 3기는 없다던 감독도 "3기는 팬들의 성원에 달렸다"며 한 발 물러설 정도. 웹라디오에서 [[키우치 히데노부]]가 감독이 팬들의 반응을 체크 중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몇 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소식이 없는 걸 보니... 그런데 유튜브 ADBC 대형팬더에서 본즈 직원들을 인터뷰하는데 DTB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3기 가능성을 언급했다. 직원들이 가능성을 언급한 만큼 가능성은 높다는 것. 하지만 자세한 내용들은 피하는 태도를 취했다. 19년까지 기다려 보는 것이 좋을듯하다. 2018년 2월 13일, 총원화작가 코모리씨가 트위터에 DTB에 대한 이야기를 하여 3기에 대한 가능성이 열린듯하다. 내용은 방영된지 10년이 지난 흑의계약자를 회상하며 이야기하는 토크쇼인데... 일반적인 토크쇼이긴 하나 이 토크쇼에서 3기에 대한 얘기를 하지 않을까 라고 예상된다. 흑의 계약자를 제작했던 핵심 맴버들이 모여서 갑작스럽게 열린 토크쇼 아무래도 이상하다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다. 그렇기에 3기에 대한 언급을 기대해도 좋을듯하다.[[http://www.loft-prj.co.jp/schedule/lofta/83141|#]] 토크쇼가 끝난 지금, 3기에 대한 언급은 있었으나 모든 예측은 빗나갔다. 토크쇼에서 "남은 건 4월에 나오는 잡지에서 확인해봐라" 라는 말이 끝이었다. 결국 DTB시리즈는 이렇게 끝나는 것으로 보인다. [[http://scblog.tistory.com/1657|완결후 감독 인터뷰(현재 비공개처리 됨)]] [[http://gall.dcinside.com/list.php?id=anigallers&no=77768&page=1&search_pos=-75401&k_type=1000&keyword=%EB%8B%88%EC%96%B4%EB%A6%AC&bbs=|팬의 제작사별 패러디]], [[http://m.blog.daum.net/ckaudcjf/16884419|사진이 안보일 시]], [[https://sokoani.com/archives/12296.html|18년 11월 4일 본즈 20주년 기념전에서의 DTB 토크쇼 보고서]] == 기타 == * 작품의 특징인 소소한 면은 설명하지 않는 점과 일종의 오픈엔딩으로 인해 각자 이야기가 완결되는 것보다 한가지 확실한 설명을 바라는 팬들의 빈축을 샀다. 심지어 3기가 나온다면 '다시 [[재탕]]해서 봐야 될 것이다' 할 정도로 내용이 난해하다는게 다수. * 공개 초기에는 두근두근 학원물을 연상시키는 정보만 미디어에 노출하는 특이한 홍보 전략을 내세워 수많은 이를 낚았다. "2기엔 헤이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라던가, 스오우를 비롯한 미소녀들만 있는 일러스트를 보여준다거나 하는 식으로. * 제작진 중에 [[밀덕]]이 있는지, 이런 종류의 매체에서 보기 드문 러시아제 총기와 복장이 꽤 준수한 디테일로 나온다. 아예 오프닝부터 등장하는 [[PTRD-41]]부터 시작해서 벽에 디스플레이된 채로 스쳐지나가는 [[모신나강]], [[FSB]] 요원들의 복장과 독특하게 생긴 헬멧이 실제 FSB 계통 [[스페츠나츠#s-1]]의 복식과 같고, 들고 나오는 무기도 그쪽 계열에서 애용하는 [[VSS 빈토레즈]]나 KEDR 기관단총(기차역에서 헤이가 들고 쏘기도 했던 조그만 기관단총)이다. 2화 끝 부분에서는 도약식 [[지뢰]]를 연상시키는 특수장치가 등장하기도 했다. * 최종화에서 리센슌이 살던 하숙방의 할머니라든지 흑인청년 등, 1기의 인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또 마지막화에서 3호 기관의 부장이 들고 있던 총은 [[듀크 토고|고르고 13]]의 커스텀 [[M16 소총]]. [[분류:DARKER THAN BLACK]][[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