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DS-39}}}'''[br]''Дегтярёва Станковый образца 1939 года''[br]''덱탸료프 1939년형 중기관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orld.guns.ru/ds39-1.jpg|width=100%]]}}}|| || '''종류''' ||[[중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39년]]~[[1945년]] || || '''개발''' ||[[덱탸료프#바실리 덱탸료프|바실리 덱탸료프]] || || '''개발년도''' ||[[1930년]] || || '''생산''' ||[[툴라 조병창]] || || '''생산년도''' ||[[1939년]]~[[1941년]] || || '''생산수''' ||10,345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br][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 || '''사용된 전쟁''' ||[[겨울전쟁]][br][[제2차 세계 대전]][br]- [[독소전쟁]][br]- [[계속전쟁]] || ||<-2> {{{#White '''제원'''}}} || || '''탄약''' ||[[7.62×54mmR]] || || '''급탄''' ||탄띠 급탄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720mm || || '''전장''' ||1,170mm || || '''중량''' ||14.3kg[br]18.7kg (삼각대) || || '''발사속도''' ||600~1,200RPM || || '''탄속''' ||800m/s || || '''유효사거리''' ||1,000m || || '''최대사거리''' ||3,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3XQBmhUhiY)]}}}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1 '''Д'''егтярёва '''С'''танковый образца 1939 года (ДС-39)}}} 소련의 [[덱탸료프#바실리 덱탸료프|바실리 덱탸료프]]가 설계한 중[[기관총]]. [[맥심 기관총#PM M1910|PM M1910]] 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전쟁 중에 생산이 중단되어 [[SG-43]]이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 상세 == 일선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으나 겨울전쟁 당시 실전을 치루면서 오작동이나 탄 걸림 등 시험 당시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갖가지 문제점과 불만이 일어났다. 게다가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독일이 침공하면서]] 생산에 타격을 입게되자 생산에 있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았던 기존의 PM M1910을 재생산하게 되었다. 1942년에 DS-39를 개량하여 군에 제시하지만 고류노프의 [[SG-43]] 기관총이 더 우수해서 탈락되었다. 전쟁 중 200여정이 핀란드군에게 노획되어 사용하였고, 1941년 즈음부터는 대다수가 빨치산에게 운용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TOZ]][[분류:1939년 출시]][[분류:194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