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Day Tripper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BC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비틀즈 100대 명곡, 순위=3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155)] ---- }}} || ||<-2><#c93f18> '''{{{+1 Day Tripper}}}'''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IbPn5j2YKk, 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1965년]] [[12월 3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1965년]] [[12월 6일]]|| || '''싱글 A면''' ||[[We Can Work It Out]]|| || '''스튜디오''' ||RCA 스튜디오 || || '''장르''' ||[[팝 록]] || || '''작사, 작곡''' ||[[레논-매카트니]]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러닝 타임''' ||2:50||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we-can-work-it-out-day-tripper-single-us.jp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Sound of Silence ||<#FFE400><:> {{{+1 → }}} ||<#FFE400><:> [[We Can Work It Out]] / Day Tripper(2주) ||<#FFE400><:> {{{+1 → }}} ||<#FFE400><:> Sound of Silence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Sound of Silence ||<#FFE400><:> {{{+1 → }}} ||<#FFE400><:> [[We Can Work It Out]] / Day Tripper(1주, 도합 3주) ||<#FFE400><:> {{{+1 → }}} ||<#FFE400><:> My Love || ---- [include(틀:UK 차트 1위 곡, 전번_곡=The Carnival Is Over, 전번_아티스트=시커즈,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Day Tripper, 이번_곡2=We Can Work It Out,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이번_1위_기간=5주 연속, 후번_곡=Keep On Running, 후번_아티스트=스펜서 데이비스 그룹, 후번_1위_기간=1주 연속)]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YZlME0mQB8, height=250)]}}} || || ''''The Music Of Lennon & McCartney'에서.''' || 1965년 발매된 [[비틀즈]]의 싱글. 비틀즈의 첫 더블 A 싱글이다. [[We Can Work It Out]]과 마찬가지로 [[Rubber Soul]] 앨범 세션 도중 녹음되었지만 앨범에 수록되지는 않았다. 더블 A 싱글로 발매된 이유가 있는데, 명목상으로는 레논-매카트니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 곡은 상당 부분을 [[존 레논]]이 작곡했고 [[We Can Work It Out]]은 [[폴 매카트니]] 가 작곡했다. 결국은 두 곡 사이에 경쟁이 붙어 두 싱글 다 A면으로 내게 된 것이다. 이때를 기점으로 협력적 파트너 관계였던 [[레논-매카트니]]가 선의의 경쟁 관계로 점차 변모하게 된다. 존에 의하면 옛 민요를 바탕으로 작곡했으며, 정말 힘들었던 작업이었다고 한다. 1965년 10월 서리주 웨이브릿지에 있는 레넌의 집 켄우드에서 작곡되었다고 한다. 폴은 원래 공동 작업이었지만 존에게 주된 공로를 돌렸고 아마도 존이 리드 보컬을 했기 때문에 그랬다고 회상했다. 또한 폴은 그 노래가 마약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나중에야 인정했지만, 당시 비틀즈의 깔끔한 이미지가 그 언급들이 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원나잇 스탠드]]를 다루는 가사이지만 많은 사람들로부터 마약 체험의 경험을 은유적으로 다룬 곡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아야 했다. 실제로 비틀즈는 [[피트 베스트]]를 제외한 멤버 전원이 [[함부르크]] 공연 시절 각성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고, 곡을 작곡한 1965년에는 [[밥 딜런]]을 통해 [[LSD]]를 처음 접하던 때였으므로 연관성이 충분히 있을 수도 있다. E 장조의 경쾌한 로큰롤에 인상 깊은 기타 [[리프]][* 둥 둥둥둥둥둥둥둥 둥 둥둥둥둥둥둥둥둥하면서 리프가 시작되고 [[탬버린]]소리와 함께 경쾌한 [[링고 스타]]의 드러밍이 시작되는데 중독성이 상당하다], 버스와 코러스로 이루어진 A-B 형식 등 [[롤링 스톤즈]]의 [[(I Can't Get No) Satisfaction]]과 여러모로 공통점이 많은 곡이다. 심지어 퇴폐적인 가사도 비슷하다. 이 때문에 두 곡을 섞어서 커버하는 [[https://youtu.be/26cHYy-BFDQ|경우]]도 존재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초단편 소설 <[[32살의 데이트리퍼]]>의 제목은 이 곡에서 따온 것이다. == 가사 == ||<-2><#c93f18> ---- {{{+2 '''{{{#f2c12a Day Tripper}}}'''}}} ---- Got a good reason for taking the easy way out 쉽게 살아가려 하는 데에는 다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지 Got a good reason for taking the easy way out now 이제 편한 인생을 살아 보려는 건 당연한 건지도 몰라 She was a day tripper, 그녀는 당일치기 여행객이었고 a one way ticket yeah 편도 차표밖에 갖고 있지 않았지 It took me so long to find out, 그걸 알아내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and I found out 결국 알아냈지 She's a big teaser, 그녀는 남자를 몹시 애타게 하는 사람이었고 She took me half the way there 나를 절반 정도만 만족시켰지 She's a big teaser, 그녀는 남자를 몹시 애타게 하는 사람이었고 She took me half the way there now 나를 절반 정도만 만족시켰지 She was a day tripper, 그녀는 당일치기 여행객이었고 a one way ticket yeah 편도 차표밖에 갖고 있지 않았지 It took me so long to find out, 그걸 알아내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and I found out 결국 알아냈지 Tried to please her, 그녀를 기쁘게 해주고 싶었는데 She only played one night stands 하룻밤 사이로 끝나 버렸지 Tried to please her, 그녀를 기쁘게 해주고 싶었는데 She only played one night stands now 그저 하룻밤 스쳐 가는 인연에 불과했지 She was a day tripper, 그녀는 당일치기 여행객이었고 a Sunday driver yeah 약간은 서툴렀지 It took me so long to find out, 그걸 알아내는 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and I found out 결국은 알아냈지 Day tripper 당일치기 여행객 Day tripper yeah 하루 만에 끝나버린 ----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분류:1965년 싱글]][[분류:1965년 노래]][[분류:비틀즈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팝 록]][[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