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위성방송]] [include(틀:AT&T)] ||<-2>
'''{{{#ffffff 디렉TV}}}'''[br]{{{#ffffff DirecTV}}} || ||<-2> [[파일:DirecTV 로고.svg|width=300]] || || '''기업 형태''' ||주식회사|| || '''모기업''' ||[[AT&T]] {{{-2 (70%)}}}[br]TPG {{{-2 (30%)}}} || || '''본사''' ||[[미국]] [[캘리포니아]] 엘 세군도|| || '''사업 지역''' ||[[미국]], [[카리브 제도]], [[라틴아메리카]]|| || '''공식 사이트''' ||[[https://www.directv.com/]]||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에서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위성방송]] 사업자, 미국 본토 이외에도 [[카리브 제도]], [[라틴아메리카]]에도 진출해있다. 여러차례 인수와 합병을 거치는 등 꽤나 복잡한 역사를 가진 회사이며, [[2015년]]에 [[AT&T]]가 인수해 AT&T의 자회사가 되었다가 [[2021년]]에 재분사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recTV old.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recTV ATT Logo.svg|width=100%]]}}}|| || 2004~2015년까지의 로고 || [[AT&T]] 자회사 시기 로고 || [[1990년]]에 [[인공위성#s-3.2|통신위성]] 등을 제작하던 항공우주산업 및 [[방위산업체]]인 휴즈 에어크래프트(Hughes Aircraft)[* 1932년에 [[하워드 휴즈]]가 설립했으며, [[1985년]]에 [[제너럴 모터스]]에 인수되었다. 1997년에 [[레이시온]]에 인수되면서 소멸했다.]가 [[NBC(미국 방송)|NBC]], [[뉴스 코퍼레이션]], 케이블비전(Cablevision)과 조인트벤처를 통해 세계 최초의 고출력 [[디지털 방송]]인 Sky Cable을 설립하려고 했지만 실패한 이후, [[1994년]]에 단독으로 최초의 고출력 직접[[위성방송]](direct-broadcast satellite) 시스템인 휴즈 디렉TV(Hughes/DirecTV)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휴즈 디렉TV는 [[GPS]] 기술을 이용해 175개 채널을 [[수신#s-1|수신]]할 수 있는 18인치 [[안테나#s-1.2.2|파라볼라 안테나]]를 개발했으며, 유나이티드 스테이트 새틀라이트 브로드캐스팅(USSB)[* [[1981년]]에 설립된 위성방송 회사]과 협력해 고출력 디지털 방송 위성을 띄웠다. 그리고, [[1994년]] [[6월 17일]]에 개국하면서 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1996년]] [[빌 클린턴]] 행정부의 전자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 개정 후 직접위성방송에 유리한 시장이 형성되면서 위성방송 가입자가 늘어났고, 이후 디렉TV는 라이벌 [[위성방송]] 사업자들을 인수하면서 규모를 키워갔는데 [[1998년]]에는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던 USSB를 13억 달러에 인수했고 [[1999년]]에는 PrimeStar를 18억 3천 달러에 인수했다. [[1997년]]에 휴즈 에어크래프트가 [[제너럴 모터스]]로부터 분리된 이후로도 휴즈 디렉TV는 GM 산하의 계열사로 있었지만, [[2000년]]에 실적악화를 문제삼은 GM 주주들의 압박으로 매물로 나왔다. [[2001년]]에 [[루퍼트 머독]]의 [[뉴스 코퍼레이션]]이 80억 달러에 인수를 제안했지만 협상 끝에 결렬되었고, 이후 라이벌 위성방송인 디쉬 네트워크(Dish Network)를 소유하고 있는 EchoStar가 260억 달러에 인수를 하기로 하지만 [[법무부(미국)|법무부]]와 [[FCC]]가 [[반독점법]]을 발동할 수 있다는 경고를 하고 EchoStar는 인수를 포기한다. 그 이후, [[2003년]]에 [[뉴스 코퍼레이션]]이 GM이 포함하고 있던 모든 휴즈 주식을 포함한 34%의 주식을 66억 달러에 매입하고 대신 리버티 미디어(Liberty Media)가 5억 달러 상당의 뉴스 코퍼레이션의 주식을 매입해서 머독 일가에 이은 2번째 뉴스 코퍼레이션의 대주주가 되는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친 이후, [[FCC]]는 인수를 조건부 승인했고 뉴스 코퍼레이션이 새로운 디렉TV의 주인이 되었다. 뉴스 코퍼레이션에 인수된 이후 디렉TV는 위성방송에 집중하겠다고 하면서 사명을 디렉TV 그룹(DirecTV Group, Inc.)으로 개칭하고 이후 통신위성 사업을 담당하고 있던 휴즈 네트워크 시스템(Hughes Network Systems)에서 분사했다. [[2006년]]에는 디렉TV 주식 38.5%+4개의 [[Fox Sports Networks]] 지역국[* 유타, 피츠버그, 노스웨스트, 로키 마운틴]+[[현금]] 5,500만 달러와 리버티 미디어가 가지고 있던 뉴스 코퍼레이션 주식 19%를 교환함으로써 리버티 미디어가 디렉TV 지분을 획득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디렉TV가 리버티 엔터테인먼트[* 리버티 미디어에서 분사]의 일부가 되었고, 동시에 리버티 미디어가 지분을 54%까지 늘림으로 인해 대주주가 되었다. 그리고, [[2014년]] [[5월 18일]]에 미디어 영역으로 확장을 계획하고 있던 [[AT&T]]가 '''671억 달러'''에 디렉TV 인수를 발표했고, 뉴스 코퍼레이션과 리버티 미디어 주주들의 승인 그리고 [[FCC]]의 허가를 통과한 [[2015년]] [[7월 24일]]에 AT&T가 디렉TV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다. [[AT&T]]가 디렉TV를 야심차게 인수하긴 했지만 [[스트리밍]] 미디어의 발달로 가입자가 정체되면서 기대했던 이익을 거두지 못하고, [[2019년]] [[타임 워너]] 인수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AT&T]]는 디렉TV를 비롯한 비주력 부분을 매각하기로 노선을 선회했다. AT&T는 완전 매각을 여러차례 추진했지만 사양세에 접어든 [[위성방송]]을 인수할 사업자는 나타나지 않았고, [[2021년]] [[2월]]에 [[사모 펀드]]인 TPG Capital에 지분 30%를 넘기는데 합의하였다.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10225006201/en/ATT-TPG-to-Form-New-Entity-to-Operate-ATT%E2%80%99s-U.S.-Video-Unit|#]] [[2021년]] [[8월]]에 매각 절차는 마무리되었고, 인수된지 6년만에 디렉TV는 AT&T가 70%, TPG Capital이 30%의 지분을 가진 별개의 회사로 분사하게 되었다. [[https://www.fiercevideo.com/financial/at-t-has-finalized-its-deal-to-sell-directv|#]] == 사업 지역과 가입자 == 라이벌 업체 인수와 [[2008년]]에 이미 121개의 [[HD]] 채널을 송출하는 등, 미국 케이블/위성 사업자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HD 채널을 서비스하면서 꾸준한 가입자 증가세를 보여서 [[2014년]]에 [[미국]] 가입자가 2천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넷플릭스]] 등 [[인터넷]] 매체 발달로 인한 [[케이블TV|코드 커팅]] 트렌드로 인해 현재는 2천만명대 초반에서 가입자가 정체되어 있다. ===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 [[카리브 제도]]와 [[라틴아메리카]]에서도 서비스를 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약 1,5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뉴스 코프 계열 영국 Sky 사와 경쟁을 벌였었으나, 이후 이 둘은 합병했다. 현재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그리고 브라질에서는 Sky라는 상표를 라이선스 아래 사용하고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DirecTV라는 상표로 운영중이다. === 일본 (철수) === 일본에도 진출한 적이 있었는데, 비슷한 시기에 뉴스 코프 계열 영국 Sky 사도 J. Sky B.라는 자회사를 세워 일본 위성 방송 시장에 진출했었다. 이때 애니메이션 [[집 보는 에비츄]]를 방영한 적이 있다. 이후 J. Sky B.와 DirecTV가 합병해 스카이 퍼팩TV(Sky PerfecTV!)가 되었고, 나중에는 양 쪽 모두 지분을 일본 회사로 넘겨 일본 시장에서 철수했다. [[AT-X]](애니메이션 시어터 X)가 첫 송출되기 시작한 사업자이기도 하다. == 기타 == * [[HD]] 채널을 가장 빠르게 보급한 디렉TV답게 [[2014년]] [[11월]]부터 [[4K]] 컨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2016년]] [[골프#s-5.4.1|마스터즈 오픈]]부터 4K로 [[스포츠]] 경기를 송출하기 시작했다. * 최소 $19.99에서 $35.99까지 [[한국어]] 채널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https://www.att.com/directv/international/korean.html|#]] 그래서, 여유가 좀 되는 미국 거주 [[한국인]]과 [[재미교포]] 집에는 디렉TV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디렉TV 제공 호텔인 경우 아리랑 TV, KBS World와 같은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 [[제트 블루]], [[아메리칸 항공]], [[델타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기내 위성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 개국 초기부터 [[NFL]]의 Out of Market[* 시청 권역 밖] 경기 시청 채널인 [[내셔널 풋볼 리그#s-6.5|NFL Sunday Ticket]]을 서비스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한 시즌(4개월) $293.94라는 '''미칠듯이 아름다운 가격'''이 흠인데, [[2012년]] 이후로 초이스 패키지 이상 가입자는 한 시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는게 그나마 위안이다.[* 또는, 학생 계정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신청하면 '''그나마''' 저렴한 $99.96에 신청할 수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