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연방 행정부)]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파일:FDA 로고.svg|width=500&bgcolor=#ffffff]] {{{+1 미국 식품의약국}}} {{{+2 {{{#808080 |}}}}}} {{{+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목차] == 개요 == || [youtube(5D9LqMIRZa0)] || ||의약품 및 동물용 의약품, 생물학적 제제, 의료기기, 국내 식량공급, 화장품, 그리고 전자파를 방출하는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FDA의 사명입니다. 또한 의약품과 식품을 더 효과적으로, 더 안전하게, 더 저렴하게 하기 위한 기술혁신을 가속하여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것, 그리고 국민이 스스로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의약품과 식품에 관한 과학에 입각한 올바른 정보를 국민에게 주는 것 또한 FDA의 책무입니다. -FDA 홈페이지 위에 적혀있는 FDA의 사명(FDA's mission statement).|| '''미국 식품의약국'''은 식품이나 의약품, 화장품, 동물약, 장난감 등 소비자가 평소 생활에서 접하는 제품에 대해 그 허가나 위반품 단속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미국의 국가행정조직으로 한국의 [[보건복지부]]에 해당하는 HH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보건사회복지부]])에 소속한 기관이다. 한국의 동 분야 행정기관 이름을 따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이라고도 불리나, 한국의 경우 구 식약청은 처(處)급으로 격상되어 [[국무총리]] 소속의 [[식약처]]가 되었다. 식품에 대해서는 소관하는 행정청이 [[보건복지부]] 이외에도 여러 개의 부처([[농림축산식품부]] 등)에 걸쳐 있는 한국과 달리 FDA로 일원화되어 있다. 하지만 고기나 달걀의 위생관리는 농무부가 담당하는 등, 업무의 일부는 다른 관청이 담당하고 있다. 한때 한국의 식품행정에서 매스컴이나 식자가 지적하는 것처럼 식품 관련 업무가 여러 관청에 걸쳐 있던 시절[* [[부서 이기주의|담당 부처가 나뉘어지면 책임 소재도 불분명해진다.]]], 이 문제를 언급할 때 하나의 비교예로서 이 FDA가 자주 인용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출범하고 나서는 보건복지부의 식·의약품 안전관리 분야와 농림수산식품부의 농·수산물 위생 안전관리 분야가 통합되어 사정이 좀 나아진 편이다. 분명히 국제기구나 중립적인 학술단체가 아닌 한 나라의 정부기관임에도 신뢰성 덕분에 FDA 인증은 '''국제적으로 어디서나 인정을 받는다.''' 특히 개발도상국이나 중진국에서 식품,의약품 안전같은 돈이 너무 많이 드는 분야의 검사,검증,인증작업에 투자할 여력이 없기 때문에, __미국같은 최고 선진국에서 검증된 것이니 그대로 써도 되겠지__라는 판단하에 FDA기준을 그대로 가져다 써서 해결하는 방식으로 국제화되었다. 1900년대 초 [[미국]]에서도 잘못된 의약품 남용, 의사들과 제약회사의 부조리로 인해 [[마약]]이나 [[방사능]]이 함유된 약품들이 버젓이 처방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로 인한 수많은 부작용과 사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의사로부터 [[라듐]]이 함유된 '라디톨' 음료를 처방받고 3년 동안 1,400병을 마셨다가 비참한 몰골이 되고 사망한 [[에벤 바이어스]]의 사례가 터진 이후 미국 정치권이 이런 사례들을 모아서 본격적으로 미국 의료계와 제약회사들을 철저히 조사한후 FDA에 막강한 권한을 부여한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이후 [[화이자]], [[모더나]], [[얀센]] 백신의 긴급사용 승인을 내리는 등 갈수록 FDA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2021년 8월 23일에는 코로나19 백신들 중 [[화이자 백신]]을 안전성이 검증된 백신으로서 공식적으로 최초이자 유일하게 '''정식 승인'''을 내렸다. 이는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화이자 백신이 안전하다는 신뢰를 주는 결정이며, 백신 기피자들도 안심하고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다. 이로써 미국 정부는 그동안 FDA의 화이자 백신 정식 승인 이전 개인의 백신 접종 선택을 중시했다면. 이제는 FDA의 정식 승인으로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의무화를 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 내 백신 접종률 속도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문제점 == 전세계적으로 신뢰를 받는 집단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문제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미국은 로비(뇌물)가 합법인 국가로서 많은 기업이나 단체들이 정치인들을 후원하며, 기업의 뒤를 봐주는 정치인들을 만들어 둔다. 그리고 이 정치인들은 국회 뿐만 아니라 FDA 같은 정부 기관에도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한다. 이 때문에 미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인 총기, 마약, 패스트푸드[* 패스트 푸드가 우습게 볼 것이 아닌 것이, 미국은 고도 비만인 사람이 너무 많아 12살짜리 아이가 자신의 몸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이다.] 같은 법을 개선 시켜야 하는 문제들을 정치인들이 바꿀려고 하면 돈에 미친 맥도날드나 제약 회사 같은 거대 기업들이 정치인들에게 로비를 해 못 바꾸게 한다. 이는 FDA도 마찬가지 이기에 굉장히 위험한 약물과 식품들이 미국 사회에 퍼지는 데에도 이를 막기가 어렵다. == 관련 항목 == * [[식품의약품안전처]] * [[유럽의약품청|EMA]] * [[MHRA]] * [[CDC]] * [[WHO]] * [[영양성분표시|Nutrition Facts]] [[분류:식품안전]][[분류:미국의 국가행정조직]][[분류:보건부]][[분류:약]][[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