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트전투기/미국)] [include(틀:냉전/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x-width: 50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J-3M_VF-121_in_flight_1957.jpg|width=100%]]}}} || || VF-121 소속 FJ-3M || [목차] [clearfix] == 개요 == FJ-2 퓨리 전투기는 [[F-86]]을 기반으로 만든 미 해군용 제트전투기다. F-86의 시작이 해군의 [[FJ-1]] 퓨리를 육상용 전투기로 바꾸면서 동체를 앞뒤로 늘리고 날개를 [[후퇴익]]으로 바꾼 것인데, 이 F-86을 다시 함상용으로 바꾼 것이 FJ-2 퓨리이니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셈이다. 미 해군 명명법상으로는 FJ-2가 FJ-1 퓨리의 개량형이라는 뜻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거의 다른 전투기다. 신형전투기를 또 개발하는데 예산을 쓴다는 비난을 피하려고 마치 기존 전투기의 개량형인 것 처럼 FJ-2라는 제식명을 쓴 것이다. FJ-4도 FJ-2/-3와 외견상으로는 비슷해보여도 알맹이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나지만 마찬가지의 이유로 FJ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 FJ-2, FJ-3, FJ-4는 1962년 미 3군 통합 항공기 명명법에 따라 [[F-1]] 퓨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MiG-15]] 등과 마찬가지로 50년대 초기 제트 전투기들의 전형적인 기수에 설치된 공기흡입구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당시 전천후(야간)전투기가 아닌 이상 레이더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근거리에서만 사용이 가능했기에 대형 노즈콘을 설치하지 않고 비행기의 자세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당시 신뢰성이 아직 낮던 제트엔진에 비교적 안정적인 공기흐름을 구성할 수 있었다. 무장은 F-86의 12.7mm 기관총 6정이 [[MiG-15]]와의 공중전에서 예상 외로 저위력이었던 점을 반영하여 20mm 기관포 4문으로 강화되었다. == 제원 == || 형식/명칭 ||단발 단좌 함상전투기 / North American FJ-2 Fury || || 전장 / 전폭 / 전고 ||11.45 m / 11.31 m / 4.14 m || || 익면적 ||26.7 m² || || 탑승인원 / 초도비행 ||1명 / 1951년 12월 27일 || || 공허중량 / 전투중량 ||5,353 kg / kg || || 최대이륙중량 ||8,523 kg || || 동력 ||제너럴 일렉트릭 J47-GE-2 터보제트 엔진 1기 (추력 6,000 lb) || || 최대속도 ||마하 0.888 (1,088 km/h) || || 항속거리 ||1,593 km || || 상승한도 ||14,300 m || || 상승률 ||2,204 m/min || || 무장 ||20mm 콜트 Mk.12 4문 || || 전자장비 ||??? || || 생산수 ||741대 || || 형식/명칭 ||단발 단좌 함상전투기 / North American FJ-4 Fury || || 전장 / 전폭 / 전고 ||11.10 m / 11.90 m / 4.20 m || || 익면적 ||31.46 m² || || 탑승인원 / 초도비행 ||1명 / 1954년 10월 28일 || || 공허중량 / 전투중량 ||6,000 kg / 9,200 kg || || 최대이륙중량 ||10,750 kg || || 동력 ||라이트 J65-W-16A 터보제트 엔진 1기 (추력 7,700 lb) || || 최대속도 ||마하 0.89 (1,090 km/h) || || 항속거리 ||3,250 km || || 상승한도 ||14,300 m || || 상승률 ||2,335 m/min || ||<|4> 무장 ||20mm 콜트 Mk.12 4문 || ||LAU-3/A 70mm 로켓 6발 || ||[[AIM-9 사이드와인더]] 4발 || ||폭탄 1,400 kg || || 전자장비 ||??? || || 생산수 ||374대 || == FJ-2 == == FJ-3 == == FJ-4 == == 둘러보기 ==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