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FNC}}}'''[br]''Fabrique Nationale Carabine''[br]''국립 제작소 카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_fnc_76.jpg|width=100%]]}}}|| ||<-2><:> {{{#000,#ddd {{{-1 기본형 / Standard[* 초기형 모델. 흔히 FNC 76이라고 불린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FN FNC/a.jpg|width=100%]]}}}|| ||<-2><:> {{{#000,#ddd {{{-1 단축형 / Paratrooper[* 사진의 모델은 아래 Mk2 모델 기반이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_FNC.jpg|width=100%]]}}}|| ||<-2><:> {{{#000,#ddd {{{-1 개량형 / Mk2[* 벨기에군 현용 모델이다. 권총손잡이와 방아쇠울의 형상이 변경되었고, 사진에선 안 보이지만 조정간도 개량되었다. 흔히 FNC Mk2라고 하며, FNC 80, FNC M2라고도 한다. 하지만 별개의 명칭이 존재하는 건 아니다. 단, 이 문서에서는 구분을 위해 Mk2를 사용한다.]}}}}}} || || '''종류''' ||[[돌격소총]][br][[카빈]]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크기=23)]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79년]]~현재 || || '''개발''' ||[[FN 에르스탈]] || || '''개발년도''' ||[[1975년]]~[[1977년]] || || '''생산''' ||[[FN 에르스탈]][br]보포스 칼-구스타프(현 [[사브#s-2|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br]PT 핀다드 || || '''생산년도''' ||[[1979년]]~[[1999년]] || || '''사용국'''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벨기에]][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3]] [[베트남]][br][[파일:체코 국기.svg|width=23]] [[체코]][br][[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3]] [[아랍에미리트]][br][[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3]] [[인도네시아]][br][[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3]] [[나이지리아]][br][[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23]] [[스리랑카]][br][[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23]] [[엘살바도르]][br][[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23]] [[브루나이]] [br] [[파일:몽골 국기.svg|width=23]] [[몽골]] 등 || || '''사용된 전쟁''' ||[[소말리아 내전]][br][[스리랑카 내전]][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리비아 내전]][br]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국제여단 참전자중 한명이 사용하였다. [[https://taskandpurpose.com/news/american-army-veteran-ukraine/|#]]] || ||<-2> {{{#white '''기종'''}}} || || '''원형''' ||[[FN CAL|CAL]][* FNC가 완전히 [[FN CAL]]에서 파생된 것은 아니다. 다만 가스 피스톤 방식, 총열덮개, [[STANAG 탄창]] 등 CAL에서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았다.] || || '''파생형''' ||Ak 5[br]핀다드 SS1, SS2 || ||<-2> {{{#white '''제원'''}}} || || '''탄약''' ||[[.223 레밍턴]][br][[5.56×45mm NATO]] || || '''급탄''' ||20,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449mm(기본형)[br]363mm(단축형) || || '''전장''' ||997mm(기본형, 개머리판 폈을 때)[br]766mm(기본형, 개머리판 접었을 때)[br]911mm(단축형, 개머리판 폈을 때)[br]667mm(단축형, 개머리판 접었을 때) || || '''전고''' ||238mm || || '''전폭''' ||70mm || || '''중량''' ||3.84kg(기본형)[br]3.7kg(단축형) || || '''발사속도''' ||700RPM || || '''탄속''' ||965m/s(.223 레밍턴)[br]925m/s(5.56×45mm NATO) || || '''유효사거리''' ||45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c-Ccznqg5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jzWWNi3l30)]}}} || || [[래리 빅커스]]의 FN FNC Mk2 소개 및 발사 영상 || 야전 분해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army-fnc-stress-shoot.jpg|width=100%]]}}} || || FNC Mk2를 사격중인 [[미 육군]] [[제82공수사단]] 소속 병사.[* 2006년 5월 3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포트 브래그에서 실시된 [[엘살바도르]] 대테러작전사령부와의 합동 훈련 모습이며, 사진 속의 인물은 제82공수사단 중에서도 325보병연대 1대대 소속의 조슈아 커스웰 [[중사]]이다. 자세한 건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DA-SD-07-21417_FNC_cropped.JPEG#mw-jump-to-license|여기를 참조(영문).]]] || [[벨기에]]의 [[FN 에르스탈]]에서 개발한 [[돌격소총]]. == 상세 == 구조는 당시의 대세이던 [[AK-47|AK]] 계열 소총과 [[M16 소총]]을 비롯한 [[AR-15]] 계열 소총의 절충형인지라 신뢰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https://www.laipublications.com/en/fnc-80-une-kalashnikov-pour-loccident/|#]][* 그래서인지 작동방식이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인 [[FN FAL]]과는 다르게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이다.][* 이런 AK 계열과 AR-15 계열의 절충형은 국군의 [[K2 소총]]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K2 소총의 외형이 FNC와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AK-74]]와 [[AR-15]]가 이미 대세화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큰 인기를 얻지는 못하면서 [[벨기에]]나 [[스웨덴]], [[인도네시아]], [[통가]], [[몽골]] 등의 일부 국가에서 채용한 것이 전부로, 이전작이자 FN의 베스트셀러였던 [[FN FAL]] 수준의 실적을 올리지 못했다. [[냉전]] 종식 후에는 그 여파와 군비 감축의 대세화, 그리고 이미 NATO의 몇몇 가입국들은 냉전 시기에 이미 [[FAMAS|5.56mm]] [[베레타 AR70|돌격]][[CETME 소총|소총들]]을 이미 갖추고 있었고, [[독일]]의 [[H&K G36|G36]]과 [[H&K HK416|HK416]] 등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국 각국에서 새로운 5.56mm 돌격소총들이 채용됨에 따라 이렇다 할 성과는 내지 못했다. 만만해보이던 [[미군]]은 [[AR-15]] 계열에 무한 사랑을 쏟고 있는 만큼, 미국 시장 진출이라고는 민수용 모델을 팔아먹는 것밖에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엔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또한 1986년경 [[FN 에르스탈]]이 [[M16A2]]의 생산권을 따내면서 [[1999년]]에 생산이 중지되고 만다.[* 그래서 [[M16 소총|M16 계열]]은 현재도 FN 에르스탈에서 생산한다. 대표적인 게 [[M16A3]]와 [[M16A4]].] 서방권 소총이지만 공산권인 [[베트남]]이 소수 사용했다는 점이 특이하다.[* [[http://www.russiadefence.net/t3430-little-stories-of-us-soviet-and-other-foreign-weapons-in-vietnam|베트남군이 국제사격대회에서 사용한 사진이 있다.]]] [[파일:800px-FNC_IMG_1527.jpg|width=550]] 특이하게도 착검 돌기를 회전할 수 있는 소총이기도 하다. 그리고 [[노리쇠 멈치]]가 없다. 동사의 [[FN FAL]]에 비하면 상당히 아쉬운 부분. 탄피배출구 부분에도 스프링으로 동작하는 먼지덮개[* FAL에는 그런 게 없었다.]가 있다는 것과 작동 방식이 롱 스트로크 가스 프스톤 방식임을 감안할 때 아무래도 설계 컨셉까지 AK의 설계 컨셉(매우 높은 신뢰성)을 이어받은 듯. 그걸 감안하면 '총기의 약실이 열려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명목으로 노리쇠 멈치를 달지 않았다는게 합리적인 추측일 듯하다. 설계 컨셉 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한 듯.[* 오히려 추운 환경과 연관있는 스웨덴군 파생형인 Ak 5C가 노리쇠 후퇴 고정을 할 수 있다. [[https://youtu.be/E_N7IeksQYE|#]] 혹한 지대에서는 노리쇠 후퇴 고정이 내구성에 불리하다.] 이것 때문에 AK처럼 양손이 꼬일 만큼 빠른 재장전에 불리하며 [[https://youtu.be/UzTpCb0chxE|#]], 정 빠르게 재장전해야 한다면 이라크식 장전법 등으로 재장전해야한다고 알려졌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Ak 5C와 별개로 노리쇠 멈치가 있는 FNC 총몸도 등장했다. [[https://imgur.com/Yr3NFmi|#]][[https://imgur.com/juAVeOe|#]][* 사실 [[FN SCAR|SCAR-L]] 1세대도 기존 FNC 총몸에다 노리쇠 멈치를 추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https://www.americanrifleman.org/media/nhql3lts/keefereportscar5.jpg|#]]] [[파일:juAVeOe.jpg|width=550px]] 부품을 바꿔서 복합형 개머리판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kq1QDcT4eU|#]][[https://www.1919a4.com/attachments/fnc-jpg.86135/|#]][[https://stormwerkz.com/stock-adapters/fn-fnc-stock-adapter-type-1/|#]] == 파생형 == * Paratrooper [[파일:attachment/FN FNC/a.jpg|width=550]] 16인치 총열 [[카빈]]형. * Ak 5 [[파일:ak5.jpg|width=550]] [[파일:AK5.jpg|width=550]] 스웨덴의 환경에 맞춰 손을 본 [[스웨덴군]]의 제식소총형으로, 정식으로 라이센스 생산하여 군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작회사는 [[대공포]]나 [[기관포]]등으로 유명한 보포스 사(현 [[사브|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이다. FNC와 비교해보자면 조정간에서 3점사를 없앴다. 현재는 아래의 5C와 5D에게 주력 자리를 내어주고, 재고 및 치장물자로만 남아있다. 지정사수모델로 Ak 5B도 있는데 이 모델에는 [[SUSAT]]이 부착되었다. [[http://2.bp.blogspot.com/-a-pzGJ8t490/Tik40Z2b2NI/AAAAAAAADEo/25k2Uvvr-2Q/s1600/Ak5B-AK5c.jpg|#]] 참고로 [[https://www.thefirearmblog.com/blog/2015/02/02/strange-guns-bullpup-ak5-fnc/amp/|불펍 버전]]도 존재한다. [[AK-47]]이나 [[칼라시니코프]]와는 전혀 상관 없다. 다소 특이하게도 [[H&K G3]]의 총검을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http://www.holmback.se/bayonets/Gallery/Sweden/AK5_Baj.jpg|#]][[http://www.gotavapen.se/gota/artiklar/sv_perm_baj/vakt_ak5_600w.jpg|#]] * Ak 5C [[파일:AK5C_IRL_Photo.jpg|width=550]] AK 5의 카빈형으로, 총열이 짧아지고 노리쇠 멈치가 추가되었다.[* 한편 원본 총기인 Ak 5에도 노리쇠 멈치가 추가된 총몸을 부착했다. [[https://i.pinimg.com/originals/53/77/43/5377438adbf4b04d1df536f7c6f06557.jpg|#]]]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현재 스웨덴군 표준 제식소총은 이 모델이다. 이 파생형에도 총검을 부착할 수 있고 G3 총검이 아닌 다른 총검을 부착한다. [[https://external-preview.redd.it/CoI2eG1BHh4FCo3vd2XGcoDQeH4SUZbSJzWrFImQ0A0.jpg?auto=webp&s=35fa103de8d58027231d9e3123d4aa81f691fe4d|#]][[https://cdn1.cdnme.se/cdn/6-1/832263/images/2012/hgvakten-fr-frsta-gngen-40_202789643.jpg|#]] * AK 5D [[파일:Ak5DPrototype1.jpg|width=550]] Ak 5 시리즈 중에서 가장 짧은 모델로, 코만도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Ak 5C 핸드가드를 기반으로 제작된 단축형도 출시되었다. Ak 5C부터 있던 노리쇠 멈치도 추가된 건 덤. [[https://twitter.com/badlaz0rcat/status/940245769260535808|#]][[http://aalen.cocolog-nifty.com/blog/2013/12/ak5d-ed07.html|#]][[https://i.redd.it/bwaxlp52mcv61.jpg|#]]] * 핀다드 SS1/SS2 [[파일:menteri.png|width=550]] [[인도네시아]]의 면허생산 버전. Ak 5C와 마찬가지로 노리쇠 멈치가 추가되었고 [[http://3.bp.blogspot.com/-J-DK7CVhj7A/VkX93cTGH9I/AAAAAAAABKg/E5-tPSsXzOE/s1600/310691_4695652392461_490267573_n.jpg|#]] 현재는 독자적으로 개량되어 계속 사용되고 있다. (사진은 SS2 V2) 참고로 불펍 버전인 [[https://guns.fandom.com/wiki/Pindad_SS_Bullpup|SS3]]도 존재한다.[* 그런데 불펍 버전의 사진에서는 어째서인지 노리쇠 멈치가 제거되었다.] * 민수용 [[파일:attachment/FN FNC/fn.jpg|width=550]] 민수용으로도 존재하며, 민수용은 고정식 개머리판 등 여러 모델이 있다. == 영향 == * [[K2 소총]] [[파일:attachment/K2prototype.jpg|width=550]] 사진은 K2의 프로토타입인 XB-7이다. 장행정 가스 피스톤/다이얼식 가스 조절기 등 가스 기구는 거의 빼다 박았고, 외관에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K2의 시제품 중 제일 나중에 만들어진 XB-7은 FNC와 흡사하고, 가늠자의 형태나 개머리판의 위치, 소염기는 거의 동일하다. K2가 완성되기 전에 막 시장에 나온 최신 소총인 FNC를 참고한 것. 양산 단계의 K2 소총은 독자적인 모양새의 소염기와 폐쇄형 가늠쇠와 가늠자(통칭 동심원식 [[기계식 조준기]]), 접이식 개머리판이 적용되었다. * [[89식 소총]] [[파일:external/www.imfdb.org/HowaType89FullStock.jpg|width=550]] 89식 소총의 원형은 [[AR-18]]이긴 하나, FNC 역시 총열덮개 부분이나 가늠자와 가늠쇠, 탄창멈치 등에 영향을 주었다. * [[FN SCAR]] [[파일:external/www.imfdb.org/Scar_l-1.jpg|width=550]] 1세대의 경우 FNC의 아랫총몸을 거의[* 원본 총기에 없던 노리쇠 멈치가 추가되었다.] 그대로 사용했다. == 사용 국가 == * [[벨기에]] [[FN FAL]]을 대체하기 위해 상당히 늦은 시점인 1989년에 전군 제식으로 채택했다. 채용 이전에는 공수부대 등 일부 정예 부대들에 선행 지급하였다. 현대에는 [[FN SCAR|SCAR-L]]로 점점 대체해나갈 계획이다. 다만 스카가 워낙에 비싼 소총인지라 훈련소 등지에서는 여전히 FNC가 쓰이고 있다. * [[스웨덴]] 본국 [[벨기에]]보다 빠른 1986년에 Ak 5로 자체 개량하여 채택했다. 지정사수용 Ak 5B, 기계화보병 등이 쓰다가 이젠 전군의 무장이 되어가는 카빈형 Ak 5C, 총열을 5C보다 더 줄인 Ak 5D등 여러 파생형을 만들어내며 보병부터 특수부대까지 절찬리에 애용 중이다. * [[체코]] 제601특전단에서 스웨덴제 Ak 5를 사용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위 벨기에와 스웨덴보다 빠르게 제식 채용하였다. 1982년까지 1만정을 도입한 뒤, 1991년부터 Pindad SS1라는 명칭으로 라이선스 생산하였으며 [[콜롬비아]], [[말리]], [[나이지리아]], [[아랍에미리트]]에 수출하였다. 2006년에는 개량형인 Pindad SS2를 개발하였으며 [[이라크]], [[브루나이]], [[미얀마]]에 수출하였다. * [[통가]] * [[몽골]] * [[베트남]] 상술했다시피 국제사격대회에서 사용한 사진이 있다. *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침공 이후 벨기에에게서 지원물자로 기증받았다. 이근 대위와 로건이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으로 참전했을 당시, 가장 처음으로 수령받은 병기이다. 얼마 후 [[CZ-805|CZ BREN 2]]를 새로 수령받았다. * [[중국]]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대테러부대]] 중 하나인 특수경찰학원(特种警察学院, SPC)이 [[http://www.360doc.cn/article/2184121_43692343.html|주력 소총으로 썼었다.]] 1980년대 초기에 부대 출범 당시 [[제식 소총]]이던 [[81식 자동소총]]이 대테러 작전에 충분한 성능을 보이지 못했는데다 중국과 서방권의 사이가 특히 좋았던 시기라 가능했다. 이후 [[QBZ-95]]가 나오면서 대체되었다. * [[팔레스타인]] [[파일:EoqubN6XYAQXPf7.jpg_large.jpg]]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에서 사용했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보통 벨기에제 기본형 FNC보단 스웨덴 제식형인 Ak 5가 나오는 경우가 더 많다. === 게임 === [youtube(BTXU9R4i1Cg)] * [[레인보우 식스 시리즈]] * [[레인보우 식스 3 : 레이븐 쉴드]] 단축형인 FNC Paratrooper가 등장. * [[레인보우 식스 베가스 시리즈|레인보우 식스 베가스 2]] 레이븐 쉴드에 이어 단축형인 FNC Paratrooper가 재등장. 고증오류로 Ak 5C마냥 노리쇠 후퇴고정이 된다.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멀티 플레이에서 Ak 5가 포인트맨의 전용 무장으로 등장한다. 564RPM의 낮은 연사력을 가졌으며, AK-103보다 성능이 딸리기 때문에 선호도가 매우 낮다. * [[배틀필드 4]] 스웨덴의 FNC 면허 생산본인 Ak 5의 카빈형인 Ak 5C가 카빈으로 등장. 성능은 700RPM이라는 애매한 연사속도를 빠른 재장전과 우수한 탄속, 낮은 반동으로 메워버린다. 카빈 특성상 명중률이 약간 낮지만 반동이 낮아서 헤비 배럴을 달아도 여전히 반동이 적고, 카빈 중에서 범용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는 중. * [[블랙스쿼드]] 인도네시아 버전인 핀다드 SS2가 SS2V5란 이름으로 등장. 성능은 [[M4 카빈|M4 커스텀(M4 PIP)]]과 동일. * [[서바리움]] 기본형 FNC가 등장하는데, 성능이 [[영 좋지 않다]]. * [[소녀전선]] 3성 돌격소총 카테고리의 전술인형으로 나오는데, 스킬과 능력치가 3성치고는 상당히 좋아서 간혹 가다가 5성 사이에서 MVP를 먹튀 해 버릴 정도로 탈 3성 인형 중 하나라는 미친 가성비를 자랑한다. 캐릭터는 먹보 속성이라서 승리 포즈는 과자를 꺼내먹는 것이고 대사에도 과자 같은 음식이 빠지지 않으며, 중상 일러에서도 휴대한 온갖 과자들이 삐져나오는 등 존재감도 상당한 편. 자세한 건 [[FNC(소녀전선)]] 참조. 이후 9전역 한정 인형으로 Ak 5가 4성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일러스트의 총기를 보면 초기형 Ak 5로 보인다. SD 모션에서 '''유일하게 견착 사격을 하는''' 인형이기도 하다. 자세한 건 [[Ak 5(소녀전선)]] 참조. * [[이터널시티2]] 쉬운 제조, 싼 가격, 높은 크리티컬 확률, 많은 매물이라는 네 박자를 고루 갖추어, 게임 내 국민 소총으로 자리잡았다. 아이러니하게도 개조하면 [[FN FAL]]이 나오고, 이걸 다시 한번 개조하면 [[K2 소총|K2]]가 나온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1.13}}} 버전에서 등장한다. 3점사와 자동발사가 동시에 지원되는 몇 안되는 5.56mm 돌격소총이라서 일반 모드에서 주우면 [[H&K HK416|HK416]]과 같은 최신형 총기와 비교해도 의외로 쓸 만하다. 사격술 스킬이 낮아서 연사로 쏘면 탄을 낭비하는 저레벨 용병에게 들려주면 깔끔하게 3점사를 날리면서 쓸 수 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원래는 갈릴의 스킨이였지만 캐시로 파는데다가 기간제여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적었다. 그래서 이후 패치로 별도의 포인트 무기로 출시하였다. 일단 사용해보면 확실히 간지난다. 발사음도 꽤나 경쾌하다. 하지만 갈릴의 스킨이어서 그런 건지 안정성은 그다지 좋진 않은 편. 미카엘라 LE 일러스트에서 미카엘라가 이 총기를 들고 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 1편의 갈릴 스킨과는 달리 독립된 별개의 무기라서, 클래식 미션에서 가격 대비 성능이 준수한 총이다. 때문에 소음기 장착 기능이 빠진 테러리스트 전용 M4A1이라는 것이 중평. 꺼낼 때 개머리판을 촥 펴는 모션이 인상적이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Ak 5가 크리그 6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콜 오브 듀티 시리즈/고증오류#s-19|1986년부터 생산을 시작한 소총이 1981년에 나오고]] 게다가 스웨덴에서 면허 생산한 소총이 미군 특수부대는 물론 소련군, 동독 경찰, 이란 테러리스트까지 폭넓게 사용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위 블랙 옵스 콜드 워의 크리그 6가 2022 시즌 9 업데이트 때 그대로 출시되었다. * [[페이데이 2]] 스웨덴군 제식형인 Ak 5가 등장. 다른 총기들과는 다르게 실총과 동일한 Ak 5라는 이름으로 제대로 등장하는데 그 이유는 개발사 [[오버킬 소프트웨어]]가 스웨덴 회사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개조를 통해 Ak 5C로, 심지어 오리지널 FNC와 FNC Paratrooper로도 만들 수 있다. * [[AVA]] [[AVA/무기/라이플맨|라이플맨 전용 총기]]로 등장한다. M16A2의 강화판 격인 총기로 등장하며, M16보다 수직 반동은 낮으나, 좌우 반동이 더 강하며, 이것저것 파츠를 달 수 있어, 능력치 강화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비싼 가격치고는 M16A2보다 크게 나은 것이 없으며, 무엇보다 꺼낼 때 이외의 소리들이 전부 비호감인 데다가, 모델도 이상하게 되어 있어서 별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SA80|인류 무기 역사의 한 장을 비극으로 장식한 총기]]보다도 퀄리티가 떨어지니 말 다했다. === 영화 및 드라마 === * [[히트(영화)|히트]] 빈센트 한나([[알 파치노]])가 그 유명한 후반부 총격 장면에서 사용한다. 반자동으로만 사격하는데 민간용 반자동 모델인 듯 하다. * [[어둠 속으로]] 테렌치오라는 한 NATO 장교가 경비원으로부터 이 총을 뺏고 비행기를 강제로 이륙시키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 * [[요르문간드(만화)|요르문간드]] 단축형인 FN FNC Paratrooper가 주인공인 요나의 초반부 주무장으로 등장한다. 후에 동료들과 함께 [[맥풀 ACR|ACR]]로 교체한다. * [[우폿테!!]] 주인공으로 등장. 개머리판이 스켈레톤 스톡이란 이유로 [[T팬티|위험한 것]]을 입고 있다는 점이 포인트. == 에어소프트건 == * 아사히 화이어 암스 1987년에 일본에서 BV식 가스건으로 처음 등장하였고 1989년에 슈퍼 FNC라는 이름으로 개량판이 나왔다. 숏버전과 롱버전 두 가지가 있었고 탄창은 스프링 송탄식의 기본형과 에어 송탄의 별매 옵션이 있었다. 공장제 대량 생산품이 아닌 수제로 소량 생산된 개라지건이었지만 높은 완성도와 성능으로 호평받았다고 한다. BV식 가스건이 퇴장한 이후에도 전동건 유닛을 이식한 커스텀 버전이 나오기도 했다. * G&G 전동건. 물론 G&G답게 내구도에 문제가 있다. 하지만 내구도 문제와는 별개로 장전바의 후퇴 거리 하나는 실총과 동일한 수준으로 당겨져서 볼만하다. 원조 FN제 FNC와 스웨덴제 AK-5C 2가지가 존재한다. * STAR/ARES 전동건이 존재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IRA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체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네수엘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나이지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라오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캄보디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FN 에르스탈]][[분류:1979년 출시]][[분류:1999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