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GAU-19}}}'''[br]''Gun Aircraft Unit-1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u-19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개틀링 기관총|다총열기관총]][br][[기관총#s-3.1|중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br]1983년~현재 || || '''개발''' ||[[제너럴 일렉트릭]] || || '''생산''' ||제너럴 일렉트릭[br][[록히드 마틴]][br]제너럴 다이내믹스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br][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br][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br][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br][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2> {{{#White '''기종'''}}} || || '''원형''' ||[[발칸포|M61 벌컨]] || || '''파생형''' ||GAU-19/A[br]GAU-19/B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50 BMG|12.7×99mm NATO]] || || '''급탄''' ||M9 벨트형 탄띠 || || '''작동방식''' ||전기점화식[br][[개틀링 기관총|개틀링식]] || || '''총열길이''' ||914mm || || '''전장''' ||1,369mm || || '''중량''' ||48~63kg || || '''발사속도''' ||1,000~2,000RPM || || '''탄속''' ||887m/s || || '''유효사거리''' ||1,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fsF2b__Saeg, width=580)] '''G'''un '''A'''ircraft '''U'''nit-19는 [[미군]]의 제식 [[개틀링 기관총|다총열]] [[기관총#s-3.1|중기관총]]이다. == 역사 == [[파일:gau-19_sh-60.jpg|width=580]] 1946년의 [[미 육군]] [[육군 항공대#s-3|항공대]]의 [[불칸|벌컨(Vulcan)]] [[개틀링 기관총|개틀링식]] [[기총]] 개발 사업에 참여한 [[제너럴 일렉트릭]] 사는 [[발칸포|M61]] [[기관포]]의 설계를 바탕으로 여러 [[각종 탄약, 포탄 구경 일람|구경]]의 [[M134 미니건|M134]] 또는 [[GAU-8]]과 같은 파생형들을 차례차례 개발하였는데, 그러한 시도 가운데에는 [[.50 BMG|12.7×99mm NATO]] 탄약에 맞춘 GAU-6도 포함되어 있었다. 1983년을 즈음하여 본격적인 양산형인 GECAL 50이 [[미 공군]]에 GAU-19/A의 제식명으로 채택되었지만, 이에 대한 제조권이 [[록히드 마틴]] 사를 거쳐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로 바뀌는 우여곡절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미 해군]] 및 [[미 육군]]에 추가 도입되기도 했다. 1999년에는 [[일본]] [[해상보안청]]과 [[콜롬비아군]] 등으로의 해외 수출이 이루어졌으며, 2012년에 들어서는 [[미 육군]]의 ASH PMO(Armed Scout Helicopter Project Management Office, 무장형 정찰 [[헬리콥터]] 사업 관리부문)의 긴급 요구사항에 맞추어 훨씬 가벼워진 GAU-19/B가 등장하였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u-6_prototype.jpg|width=100%]]}}} || || GAU-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u-19a_civil 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동인광학]]제 중기관총 광학조준경인 DCL-120이 장착되어 있다.}}} || [[삼각형]] 모양으로 구성된 [[총열]] 3개의 회전을 통해 [[.50 BMG|12.7×99mm NATO]] 탄약을 [[분]]당 1,000~2,000발의 속도로 발사시킬 수 있어 하위 구경의 [[M134 미니건]]보다 우월한 화력과 유효 사거리를 갖추었지만, 조달 단가가 2015년을 기준으로 22,040[[미국 달러|달러]]에 달할 정도로 매우 비싸다는 단점 또한 뒤따른다. == 종류 == || 명칭 ||
[[파일:gau-19_profile 0.jpg|width=250]] || [[파일:gau-19_profile 0.jpg|width=250]] || || 제식명[br]제품명 || '''GAU-19/A'''[br]'''GECAL 50''' || '''GAU-19/B''' || || 연도 || 1983년~현재 || 2012년~현재 || || 운용처 || [[미 육군|USA]][br][[미 공군|USAF]][br][[미 해군|USN]] || USA || || 제조처 || [[제너럴 일렉트릭|GE]][br][[록히드 마틴|LM]][br]GD || GD || || 재고번호 || 1005-01-560-2160[br]1005-01-481-4867 || 불명 || || 중량 || 63kg || 48kg || || 발사속도 || [[분]]당 1,000~2,000발 || [[분]]당 1,300발 || === GAU-19/A === [[파일:gau-19a_ah-6j 0.jpg|width=580]] 1983년 [[미 공군]]의 [[UH-60|HH-60 페이브 호크(Pave Hawk)]] [[헬리콥터]] 전용으로 채택된 것을 시작으로 1992년 [[미 해군]]의 [[SH-60 시호크|SH-60 씨 호크(Sea Hawk)]] [[헬리콥터]] 전용과 2005년 [[미 육군]]의 [[500MD|AH-6J 리틀 버드(Little Bird)]], [[OH-58|OH-58D 카이오와 워리어(Kiowa Warrior)]] [[헬리콥터]] 전용으로 뒤이어서 도입된 기본형으로, 개발 초기에는 [[총열]]의 갯수가 원형이라 할 수 있는 GAU-6와 동일한 여섯 개였으나 전체 중량 및 발사속도의 절감을 위해 세 개로 줄어들었다. === GAU-19/B === [[파일:gau-19b_ah6m 0b.jpg|width=580]] 2012년 [[미 육군]] [[500MD|AH-6J/M 리틀 버드(Little Bird)]], [[OH-58|OH-58D/F 카이오와 워리어(Kiowa Warrior)]] [[헬리콥터]] 전용으로 도입된 개량형으로, 외관 상으로는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으면서도 소재 변경 등으로 인해 전체 중량이 48kg로 경량화되고 발사속도는 [[분]]당 1,300발로 느려졌다.[* 구경이 커질수록 탄약이 커져서 탑재량이 적어질 수 밖에 없다. 12.7mm도 같은 이유로 5.56mm나 7.62mm보다 탑재량이 적어진다. 그러나 구경이 큰 만큼 콘크리트 벽 따위 가볍게 관통할 수 있을 만큼 위력도 강해서 미니건처럼 분당 2000~6000발까지 발사 해버리면 그저 과잉화력에 불과하다. 게다가 발사속도가 느려졌다고 해도 GAU-19는 이미 일반적인 중기관총 발사속도의 2배나 더 빨리 발사 할 수 있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www.gd-ots.com/armaments/individual-crew-served-weapons/gau-19b/]] * [[https://en.wikipedia.org/wiki/GAU-19]] * [[http://modernfirearms.net/en/machineguns/u-s-a-machineguns/gau-19a-eng/]] * [[http://www.deagel.com/Cannons-and-Gear/GAU-19A_a001380001.aspx]] * [[http://www.navweaps.com/Weapons/WNUS_50cal-GAU-19_MG.php]] * [[https://loadoutroom.com/879/gau-19-gatling-50-cal/]] * [[http://firearmsworld.net/usa/mg/vulcan/gau19.htm]] === [[PDF]] === * [[https://www.gd-ots.com/wp-content/uploads/2017/11/GAU-19-B-50CAL-Gatling-Gun.pdf]] * [[https://www.forecastinternational.com/archive/disp_pdf.cfm?DACH_RECNO=1060]] * [[http://www.midkiff.cz/obj/firma_produkt_priloha_91_soubor.pdf]] * [[http://www.midkiff.cz/obj/firma_produkt_priloha_92_soubor.pdf]] * [[http://www.midkiff.cz/obj/firma_produkt_priloha_141_soubor.pdf]] == 등장매체 == === [[영화]] === * [[둠스데이: 지구 최후의 날]] * --[[아바타(영화)| 아바타(2009)]]-- 작중 '하이드라(Hydra)'라는 이름의 3총열 50구경 중기관총이 등장하지만 개틀링이 아니라 각 총열마다 따로 탄띠가 붙어있고 발사도 총열 3개가 번갈아가며 속사식으로 발사되는, 말하자면 기관총 3개를 합쳐놓은 것 같은 가상의 중기관총이다. === [[게임]] === * [[F.E.A.R. 시리즈]] * [[F.E.A.R. 3]]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바이오하자드 5]] * [[언차티드 시리즈]] * [[언차티드 2: 황금도와 사라진 함대]] * [[언차티드: 새로운 모험의 시작]]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홈프론트 시리즈 * [[홈프론트]] * [[하프라이프 시리즈]] * [[하프라이프]] 중화기 유격 부사관이 하프라이프 개발시 알파단계에 존재하다 삭제된 모델이 GAU-19를 들고 있다. 초기 설정으로는 로켓 발사기를 가지고 다녔으며, 얼굴 모델링은 [[유해 환경 전투 부대]]중 유탄수로 재활용되게 된다. * [[GTA 시리즈]] * [[Grand Theft Auto Online]] * [[워페이스]] === [[애니메이션]] === * [[AKIRA#s-5.1]]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s-3.2|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2nd GIG]]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 [[스컬맨(애니메이션)|스컬맨]] * [[애플시드|애플시드(OVA)]] * [[플래그#s-6]]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대만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항공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