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갈틱 폰}}}'''[br]'''Gartic Pho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갈틱폰 썸네일 2.png|width=100%]]}}} || || '''개발''' ||Onrizon|| || '''플랫폼''' ||[[웹 게임]]|| || '''장르''' ||[[캐주얼 게임]]|| || '''가격''' ||무료|| || '''출시''' ||[[2020년]] [[12월]]|| || '''지원 플랫폼''' ||컴퓨터, 모바일, Discord 활동|| || '''한국어 지원''' ||지원|| || '''링크''' ||[[https://garticphone.com|[[파일:갈틱폰.svg|width=30]]]] [[https://youtube.com/channel/UCVAzJZIgcEt31Cf8REvGu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garti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ter.com/gartic|[[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https://discord.com/invite/9TTZau3|[[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 스튜디오 Onrizon에서 [[2020년]] [[12월]]에 출시한 [[웹 게임]]. [[텔레스트레이션]] 온라인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21년]] [[7월]]경부터 여러 방송인들이 플레이를 하며 인기가 급상승하였다. Onrizon이 [[2008년]]에 처음 출시한 Gartic이라는 게임에서 이름을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며 Gartic은 [[캐치마인드]]와 같은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고 그 그림을 맞춘 사람이 점수를 받는 게임이였다. 하지만 게임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구린 편이었는데, 이후 같은 방식의 게임인 [[Skribbl.io]]가 유명해지면서 이에 편승하여 캐주얼한 디자인으로 개편한 [[https://gartic.io/|Gartic.io]]를 출시했다. == 플레이 방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rDGqneHgy0)]}}} || || 공식 플레이 방법 설명 영상(영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OFdCpGGcjU)]}}} || || Discord 활동으로 플레이 방법 설명 영상(영어) || 게임을 시작하면 기본적으로 각 플레이어가 모두 모드에 따라 자신만의 첫 문장이나 첫 그림으로 시작을 한다. 그리고 다음 턴이 되면 다른 사람의 첫 결과물을 보고 자신이 유추한 내용에 따라 문장이나 그림으로 이어간다. 이런식으로 또 다음 턴에도 다른 사람의 이전 결과물을 보고 이어가는 방식을 취한다. 그렇게 마지막 턴까지 완료하면 이제까지의 과정이 담긴 앨범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추상적인 그림과 문장을 거치면서, 처음 주제에서 얼마나 기상천외하게 변해 나가는지 보는 게 포인트이다. 1명이어도 진행은 할 수 있다. 하지만 [[노잼|재미가 없으며]] 무엇보다 핵심인 그림 그리기를 못하기 때문에 의미없다. 플레이를 위해서 방을 파지만 사람들이 게임을 위해 갈틱폰의 계정을 만들어서 랜덤으로 참여하는것이 아니고 공식 Discord등을 통해 만들어진 방 주소를 전파하여 사람들을 모으는 방식이다. == 모드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일반.png|width=120]] ||<|2>제시어 -> 그림 -> 정답 -> 그림 -> 정답 형태의 모드. 기본적인 모드이다. || || '''일반'''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넉오프.png|width=120]] ||<|2>처음부터 그림을 그리고, 그 뒤로도 계속 그림을 따라 그리는 모드이다. 제한시간이 점점 줄기 때문에 후반부로 들어서면 난이도가 상당하다. 덕분에 그림이 뒤로 갈수록 [[개판]]이 되어버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넉오프'''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비밀.png|width=120]] ||<|2>게임 중에 그림과 문장이 비밀로 숨겨져 있는 모드이다. 쓰는 문장은 ●로 검열되며 그림은 선을 그으면 서서히 사라진다.|| || '''비밀'''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애니메이션.png|width=120]] ||<|2>모두 그림을 그려 그림을 이어지게 하고 최종적으로는 움직이는 그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드이다.|| || '''애니메이션'''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아이스브레이커.png|width=120]] ||<|2>일반 모드와 비슷하지만 처음 정한 주제를 계속 가지고 시작한다.|| || '''아이스브레이커'''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점수.png|width=120]] ||<|2>문장과 그림의 의미를 맞출 때마다 점수를 얻는 모드이다.|| || '''점수'''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서두를 필요 없음.png|width=120]] ||<|2>기본적으로 일반 모드와 닮았지만 시간 제한이 없으며, 과반수의 플레이어가 완료를 눌렀을 때부터 시간이 흐르게 된다.|| || '''서두를 필요 없음'''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스피드런.png|width=120]] ||<|2>일반모드와 비슷하나, 제한시간이 일반 모드보다 훨씬 적어 빠르게 그려야 하는 모드이다.|| || '''스피드런'''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샌드위치.png|width=120]] ||<|2>제시어 -> 그림 -> 그림 -> 그림 -> 정답 형태의 모드로, 일반 모드 중간에 정답 없이 그림만 반복된다. 그림이 점점 뒤틀려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 || '''샌드위치''' || ||<#CAC0E2> [[파일:갈틱 폰 모드 크라우드.png|width=120]] ||<|2>15명 이상부터 플레이가 가능하며 턴 수가 일반 모드의 절반이다.|| || '''크라우드''' || || '''보완''' || 원래 그림에 다른 플레이어 그림을 더하는 방식의 모드이다. || == 관련 문서 == * [[텔레스트레이션]] * [[캐주얼 게임]] [[분류:2020년 게임]][[분류:브라질 게임]][[분류:소셜 게임]][[분류:웹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