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3> {{{#!wiki style="margin:5px" [[휘트니 휴스턴|[[파일:Whitney_signature ver.3.png|width=65]]]] [br] [[휘트니 휴스턴|{{{#fff {{{-1 '''Album Chronology'''}}}}}}]]}}} || ||<#fff> {{{#000,#fff ←}}} ||<|2> {{{#fff {{{-1 '''정규 3집'''}}}[br]{{{+1 ''' ''I'm Your Baby Tonight'' '''}}}[br]{{{-1 (1990)}}}}}} ||<#fff> {{{#000,#fff →}}} || ||<#fff> {{{#009ed6 {{{-2 정규 2집}}}}}} [br][[Whitney(음반)|{{{#009ed6 {{{-1 ''' ''Whitney'' '''}}}}}}]][br]{{{#009ed6 {{{-2 (1987)}}}}}} ||<#fff> {{{#000000 {{{-2 OST}}}}}}[br][[The Bodyguard: Original Soundtrack Album|{{{#000 {{{-1 ''' ''The Bodyguard OST'' '''}}}}}}]][br]{{{#000000 {{{-2 (1992)}}}}}} || ||||<:> '''{{{+1 {{{#fff I'm Your Baby Tonight }}}}}}''' || ||<-2>{{{#!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KakaoTalk_Photo_2020-04-13-15-09-13.jpg|width=100%]]}}} || || '''발매일''' ||[[1990년]] [[11월 6일]] || || '''녹음''' ||[[1989년]] [[11월]] ~ [[1990년]] [[8월]] || || '''장르''' ||[[팝 음악|팝]] · [[컨템퍼러리 R&B]] · [[뉴 잭 스윙]] || || '''재생 시간''' ||53분 45초 || || '''프로듀서''' ||[[Babyface]] · L.A. Reid · [[Luther Vandross]] · [[Stevie Wonder]] · Michael Masser · Narada Michael Walden · [[Whitney Houston]] || || '''곡 수''' ||11곡, 13곡[* Japan Bounstrack 한정.]|| || '''레이블''' ||Arista, BMG||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I'm Your Baby Tonight(음반))]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72)] [[1990년]] [[11월 6일]] 발매된 [[휘트니 휴스턴]]의 정규 3집 앨범. == 소개글 == ||<#000> '''{{{#fff 공식 홈페이지의 앨범 소개글}}}''' || || {{{-2 (원문)}}} ''{{{#000 Whitney Houston’s third album, I’m Your Baby Tonight, was her first collaboration with producers Babyface and L.A. Reid, and featured a duet with Motown legend Stevie Wonder. It has sold 10 million copies worldwide and includes the #1 Billboard Hot 100 singles “I’m Your Baby Tonight” and “All The Man That I Need,” plus the hits “Miracle” and “My Name Is Not Susan.” The success of the album and its singles earned Whitney four Billboard Music Awards, including Top R&B Artist, Top R&B Album, and Top R&B Singles Artist.}}}'' || || {{{#!folding [ 번역글 보기 ] {{{-2 (번역)}}} {{{-1 휘트니 휴스턴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인 "I'm Your Baby Tonight"은 프로듀서 베이비페이스와 L. A. 리드와의 첫 번째 협업이었으며, 모타운의 전설 스티비 원더와의 듀엣을 특징으로 합니다.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10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2곡의 빌보드 1위 싱글인 "I'm Your Baby Tonight", "All The Man That I Need"와, 이외의 히트 싱글인 "Miracle", "My Name Is Not Susan"을 포함합니다. 앨범과 싱글의 성공은 Top R&B Artist, Top R&B Album, Top R&B Singles Artist 부문을 포함하여 휘트니에게 4개의 빌보드 뮤직 어워드를 안겨주었습니다. }}} }}} || == 상세 == === 배경 === [[1985년]] 발매된 1집 《[[Whitney Houston(음반)|Whitney Houston]]》과 [[1987년]] 발매된 2집 《[[Whitney(음반)|Whitney]]》이 상업적으로 대성공했지만, 흑인 비평가들로부터 '백인들의 취향인 음악을 [[소울 음악|소울]] 창법으로만 부른 것이다' 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에 [[휘트니 휴스턴]]은 기존 두 앨범의 히트의 주역인 프로듀서 Narada Michael Walden과 Michael Masser의 참여를 줄이고 [[베이비페이스]], [[루서 밴드로스]], [[스티비 원더]]와 같은 흑인 음악 분야에서 활약하던 프로듀서를 들여와 3집을 작업하였다. 또한 본인도 프로듀싱에 참여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스타일의 음반을 만들고자 하였다. === 특징 === 그리고 이러한 음반 작업 끝에 당시 흑인 음악의 트렌드인 [[뉴 잭 스윙]]이 음반 안에 충실히 녹아들게 된다. 3집의 첫 번째 싱글 "[[I'm Your Baby Tonight]]"과 네 번째 싱글 "[[My Name Is Not Susan]]"의 장르도 바로 [[뉴 잭 스윙]]이다. == 성적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4)] 음반은 '''미국에서 약 400만 장 이상'''의[* RIAA 인증 기준이다.][* 실물 음반 판매량(순수 판매량)은 472만 장 정도이고, 스트리밍 등을 합산한 총 판매량이 530만 장 정도라고 추정되기도 한다. [[https://youtu.be/TZ5seEAC2ZE|#]] ] 판매고를 올려 RIAA 4×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전세계에서 약 1,0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2곡의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배출했다. [[빌보드 200]]에서는 첫 주 3위로 데뷔하여 51주간 차트인했으며, '''1991년 [[빌보드 200]] 연말 차트 10위'''를 기록했다. [[그리스]]에서 '''1위'''를 기록했고, 그 외 대부분의 국가 음반차트에서 Top5안에 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전세계 2,0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던 1집, 2집에 비해 소폭의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지만, 여전히 이 음반은 전반적인 업계 기준에서 성공한 음반이었다. 새 기록을 경신하진 못했지만, 휘트니는 정규 3집까지 상업적으로 성공시키면서 자신의 커리어 전성기를 이어나가게 된다. 한편, 리드 싱글이자 타이틀 곡인 "[[I'm Your Baby Tonight]]"의 경우 전 세계의 주요 차트 Top5를 기록하면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다. == 트랙 == ||<-3><#000000> '''{{{#fff I'm Your Baby Tonight의 트랙리스트}}}''' || || {{{#fff No.}}} || {{{#fff 곡명}}} || {{{#fff 길이}}} || || {{{-2 {{{#003D68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Your Baby Tonight|{{{-1 {{{#000000 ''I'm Your Baby Tonight''}}}}}}]]'''^^{{{-2 '''{{{#003D68 TITLE / LEAD}}}'''}}}^^ || 4:59 || || {{{-2 {{{#003D68 2}}}}}}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My Name Is Not Susan|{{{-1 {{{#000000 ''My Name Is Not Susan''}}}}}}]]''' || 4:39 || || {{{-2 {{{#003D68 3}}}}}}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All the Man That I Need|{{{-1 {{{#000000 ''All the Man That I Need''}}}}}}]]''' || 4:11 || || {{{-2 {{{#003D68 4}}}}}} || '''{{{-1 {{{#000000 ''Lover for Life''}}}}}}''' || 4:49 || || {{{-2 {{{#003D68 5}}}}}} || '''{{{-1 {{{#000000 ''Anymore''}}}}}}''' || 4:23 || || {{{-2 {{{#003D68 6}}}}}}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Miracle(휘트니 휴스턴)|{{{-1 {{{#000000 ''Miracle''}}}}}}]]''' || 5:42 || || {{{-2 {{{#003D68 7}}}}}}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 Belong to You(휘트니 휴스턴)|{{{-1 {{{#000000 ''I Belong to You''}}}}}}]]''' || 5:30 || || {{{-2 {{{#003D68 8}}}}}} || '''{{{-1 {{{#000000 ''Who Do You Love''}}}}}}''' || 3:57 || || {{{-2 {{{#003D68 9}}}}}} || '''[[We Didn't Know|{{{-1 {{{#000000 ''We Didn't Know''}}}}}}]]''' [br] {{{-4 {{{#003D68 ''(Duet with [[Stevie Wonder|{{{#003D68 Stevie Wonder}}}]])''}}}}}} || 5:30 || || {{{-2 {{{#003D68 10}}}}}} || '''{{{-1 {{{#000000 ''After We Make Love''}}}}}}''' || 3:57 || || {{{-2 {{{#003D68 11}}}}}} || '''{{{-1 {{{#000000 ''I'm Knockin'''}}}}}}''' || 4:58 || ||<-3><#000000> '''{{{#fff 일본어 음반 추가 트랙}}}''' [br] {{{-2 {{{#fff (Japanese Edition Bonus tracks)}}}}}} || || {{{-2 {{{#003D68 12}}}}}} || '''{{{-1 {{{#000000 ''Takin' a Chance''}}}}}}''' || 4:11 || || {{{-2 {{{#003D68 13}}}}}} || '''[[Higher Love|{{{-1 {{{#000000 ''Higher Love''}}}}}}]]''' || 5:09 || [[분류:휘트니 휴스턴]][[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1990년 음반]][[분류:빌보드 3위 앨범]][[분류:팝]][[분류:뉴 잭 스윙]][[분류:컨템퍼러리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