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N의 전문기구)]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word-break: keep-all;" '''{{{+2 국제민간항공기구}}}[br]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 (ICAO)}}}^^(영어)^^[* 영어로는 보통 아이케이오 /aɪˈkeɪ.oʊ/ 라고 읽는다.][br]Organisation de l'aviation civile internationale^^(프랑스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ternational_Civil_Aviation_Organization_logo.svg|width=60%]]}}} || || '''설립''' ||[[1947년]] [[4월 4일]] || || '''본부'''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몬트리올]] || || '''협력기구''' ||[[유엔]](UN) || || '''링크''' ||[[https://www.icao.in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icao|[[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https://facebook.com/InternationalCivilAviationOrganizati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ICAOYouTu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엔]]이 설립한 국제민간항공기구.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국제 항공 운송의 연결성, 효율성,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해서 모든 회원국이 준수해야 할 표준과 권고를 제정한다. 사람 생명과 직결되는 항공을 다루는 곳이다 보니 UN에서 가장 권한이 강한 기관 중 하나.[* 권고 뿐만 아니라 행정력도 있다.][* [[WHO]]도 해당되었지만,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요즘은 좀 시원찮다.]]] == 상세 == 1944년, [[국제민간항공협약]](시카고조약)에 근거해 발족한 [[유엔|UN]]산하 기구이며, 1947년 설립되었다. 국제민간항공에 관한 표준과 권고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SARPs)을 개발하고, 제정하여 항공분야 발달을 목적으로 한다. 본부는 [[캐나다]]의 [[몬트리올]]이다.[* 그러다 보니 [[주 국제민간항공기구 대한민국 대표부]]는 주 몬트리올 대한민국 총영사관에 입주해 있다.] 줄임말로는 'ICAO'이다. --항공종사자나 [[공군]] 내에서는 '아이카오'로 읽는다 카더라--ICAO 총회나 관련 컨퍼런스에 참가해 보면 알겠지만 영어권 원어민들이 주로 "아이카오"라고 발음한다. "이카오"라는 발음을 하는 경우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라 보면 된다. 로고에도 키릴 문자로 "이카오"가 쓰여있다. 우리나라는 [[1952년]] 가입하였다. === [[IATA]]와의 차이 === ICAO는 국제민간항공협약에 의하여 설립된 정부간 국제기구로서 UN 전문기구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반면 IATA는 [[항공사]]들로 구성된 민간 동업 조합(trade association)이다. == 이사국 == ICAO 이사회는 3년마다 개최되는 총회에서 당선된 36개 이사국 대표로 구성되며, 총회에서 결정된 항공정책의 집행을 결정·감독하고 항공분야 국제기준의 제·개정안 채택, 국제 항공분쟁 중재·조정 등 입법·사법·행정권한을 갖는 ICAO의 실질적 의사결정 기구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57048?sid=104|#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593842?sid=101|#2]] ICAO 이사회는 파트1부터 파트3까지 나눠 선출되며, 선출 이후에는 파트에 따른 구분 없이 활동하게 된다. * '''파트1 - 주요 항공국''' * [[미국]], [[중국]], [[이탈리아]], [[일본]], [[브라질]], [[독일]], [[영국]], [[캐나다]] 등이 속해 있다. * 기존 파트1이었던 [[러시아]]의 경우, [[2022년]] [[10월 4일]][* 캐나다 몬트리올 현지시간] 열린 제41차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총회에서 파트1 이사국 지위를 박탈당했다. 퇴출의 이유는 우크라이나의 침공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한다는 국제사회의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 '''파트2 - 주요 항행시설 기여국''' * [[싱가포르]], [[인도]], [[멕시코]], [[스페인]], [[네덜란드]] 등이 속해 있다. * '''파트3 - 지리적 대표국''' * [[대한민국]], [[그리스]], [[말레이시아]],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페루]], [[적도기니]], [[수단 공화국]], [[잠비아]] 등이 속해 있다. == ICAO부속서(ANNEX) == || '''ANNEX''' || '''명칭''' || ||ANNEX1||항공종사자 자격증명[br](Personnel Licensing)|| ||ANNEX2||항공규칙[br](Rules of the Air)|| ||ANNEX3||국제항공항행기상업무[br](Meteorological Service for International Air Navigation)|| ||ANNEX4||항공지도[br](Aeronautical Charts)|| ||ANNEX5||공중 및 지상 운영에 사용되는 측정단위[br](Units of Measurement to be Used in Air and Ground Operations)[br](Personnel Licensing)|| ||ANNEX6||항공기 운항[br](Operation of Aircraft)|| ||ANNEX7||항공기 국적 및 등록기호[br](Aircraft Nationality and Registration Marks)|| ||ANNEX8||항공기 감항성[br](Airworthiness of Aircraft)|| ||ANNEX9||출입국간소화[br](Facilitation)|| ||ANNEX10||항공통신[br](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ANNEX11||항공교통업무[br](Air Traffic Services)|| ||ANNEX12||수색 및 구조업무[br](Search and Rescue)|| ||ANNEX13||항공기 사고조사[br](Aircraft Accident and Incident Investigation)|| ||ANNEX14||비행장[br](Aerodromes)|| ||ANNEX15||항공정보업무[br](Aeronautical Information Services)|| ||ANNEX16||환경보호[br](Environmental Protection)|| ||ANNEX17||항공보안[br](Security)|| ||ANNEX18||위험물 안전수송[br](The Saf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by Air)|| ||ANNEX19||안전관리[br](Safety Management)|| == ICAO 공항 코드 ==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제정한 세계 각국 [[공항]]의 코드. 네 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어 세 자리를 딴 [[IATA]] 코드와 구별된다. IATA 코드가 도시, 혹은 항공편과 연계된 철도역까지 관여하는 반면에 ICAO 코드는 철저하게 공항 코드만 부여하는 것도 차이점이다.[* IATA는 일종의 운송사업조합이므로 철도와의 연계수송에 필요하다면 철도역에도 코드를 부여할 필요가 있는 반면, ICAO는 항공운항 그 자체를 규율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므로 철도역에 코드를 부여할 이유가 없다.] 대신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 군사기지나 활주로, 심지어 헬기장(헬리패드)에도 부여되기도 한다. IATA 코드와는 달리 지역구분 체계를 도입해 좀 더 체계가 있는 편이지만, 대개는 공항이나 도시 이름에서 쉽게 유추가 가능한 IATA 코드에 비해 일반인들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편이며, 운항 관리 등 전문적인 영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ICAO 코드의 앞의 1-2자리는 권역-국가별 코드로 구별된다. 좀 더 나가서는 지역별로 구별되기도 하나 보통은 1자리가 권역, 2자리가 국가로 나뉘는 편. 3-4자리는 지역이나 도시, 지역, 공항별로 구분되는 편이다. [[파일:attachment/b0013361_4dac32c0f0d2b.png]] 1자리의 권역별 구분 지도 [[파일:attachment/b0013361_4dac32b8411cd.png]] 1-2자리의 권역-국가(지역)별 구분 지도 || '''앞자리''' || '''국가''' || || '''{{{#e32a2b A}}}''' || '''[[오세아니아|남서태평양]]''' || || AG ||[include(틀:국기, 국명=솔로몬 제도)] || || AN ||[include(틀:국기, 국명=나우루)] || || AY ||[include(틀:국기, 국명=파푸아뉴기니)] || || '''{{{#e32a2b B}}}''' ||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코소보]]''' || || BG ||[include(틀:속령, 속령명=그린란드)] || || BI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슬란드)] || || BK ||[include(틀:국기, 국명=코소보)] || || '''{{{#e32a2b C}}}''' || '''[[캐나다]]''' || || C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 '''{{{#e32a2b D}}}''' || '''[[서아프리카]]''' || || DA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 || DB ||[include(틀:국기, 국명=베냉)] || || DF ||[include(틀:국기, 국명=부르키나파소)] || || DG ||[include(틀:국기, 국명=가나)] || || DI ||[include(틀:국기, 국명=코트디부아르)] || || DN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 || DR ||[include(틀:국기, 국명=니제르)] || || DT ||[include(틀:국기, 국명=튀니지)] || || DX ||[include(틀:국기, 국명=토고)] || || '''{{{#e32a2b E}}}''' || '''[[북유럽|북부]]·[[서유럽|서부]]·[[중부유럽]]''' || || EB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 ED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민간용) || || EE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 || EF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 || EG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EH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 EI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 || EK ||[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 || || EL ||[include(틀:국기, 국명=룩셈부르크)] || || EN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 || EP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 ES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 ET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군용) || || EV ||[include(틀:국기, 국명=라트비아)] || || EY ||[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 || || '''{{{#e32a2b F}}}''' || '''[[남아프리카]]''' || || FA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 FB ||[include(틀:국기, 국명=보츠와나)] || || FC ||[include(틀:국기, 국명=콩고 공화국)] || || FD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와티니)] || || FE ||[include(틀:국기, 국명=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FG ||[include(틀:국기, 국명=적도 기니)] || || FH ||[include(틀:속령, 속령명=어센션 섬, 출력=영국령 어센션 섬)] || || FI ||[include(틀:국기, 국명=모리셔스)] || || FJ ||[include(틀:속령, 속령명=영국령 인도양 지역)] || || FK ||[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 || || FL ||[include(틀:국기, 국명=잠비아)] || || FM ||[include(틀:국기, 국명=코모로)], [include(틀:국기, 국명=마다가스카르)], [include(틀:속령, 속령명=마요트)],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령 [[레위니옹]] || || FN ||[include(틀:국기, 국명=앙골라)] || || FO ||[include(틀:국기, 국명=가봉)] || || FP ||[include(틀:국기, 국명=상투메 프린시페)] || || FQ ||[include(틀:국기, 국명=모잠비크)] || || FS ||[include(틀:국기, 국명=세이셸)] || || FT ||[include(틀:국기, 국명=차드)] || || FV ||[include(틀:국기, 국명=짐바브웨)] || || FW ||[include(틀:국기, 국명=말라위)] || || FX ||[include(틀:국기, 국명=레소토)] || || FY ||[include(틀:국기, 국명=나미비아)] || || FZ ||[include(틀:국기, 국명=콩고민주공화국)] || || '''{{{#e32a2b G}}}''' || '''[[북아프리카|북]]·[[서아프리카]]''' || || GA ||[include(틀:국기, 국명=말리)] || || GB ||[include(틀:국기, 국명=감비아)] || || GC ||[include(틀:속령, 속령명=카나리아 제도)] (스페인령) || || GE ||[include(틀:속령, 속령명=세우타)], [include(틀:속령, 속령명=멜리야)] (스페인령) || || GF ||[include(틀:국기, 국명=시에라리온)] || || GG ||[include(틀:국기, 국명=기니비사우)] || || GL ||[include(틀:국기, 국명=라이베리아)] || || GM ||[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 || GO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 || GQ ||[include(틀:국기, 국명=모리타니)] || || GS ||[[서사하라]] || || GU ||[include(틀:국기, 국명=기니)] || || GV ||[include(틀:국기, 국명=카보베르데)] || || '''{{{#e32a2b H}}}''' || '''[[북아프리카|북]]·[[동아프리카]]''' || || HA ||[include(틀:국기, 국명=에티오피아)] || || HB ||[include(틀:국기, 국명=부룬디)] || || HC ||[include(틀:국기, 국명=소말리아)][* [include(틀:국기, 국명=소말릴란드)] 포함.] || || HD ||[include(틀:국기, 국명=지부티)] || || HE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 || HF ||[include(틀:국기, 국명=지부티)] || || HH ||[include(틀:국기, 국명=에리트레아)] || || HK ||[include(틀:국기, 국명=케냐)] || || HL ||[include(틀:국기, 국명=리비아)] || || HR ||[include(틀:국기, 국명=르완다)] || || HS ||[include(틀:국기, 국명=수단 공화국, 출력=수단)] || || HT ||[include(틀:국기, 국명=탄자니아)] || || HU ||[include(틀:국기, 국명=우간다)] || || '''{{{#e32a2b K}}}''' || '''[[미국]][* [[알래스카]], [[하와이]] 제외]''' || || K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본토) || || '''{{{#e32a2b L}}}''' || '''[[남유럽|남부]]·[[동유럽|동부]]·[[중부유럽]], [[이스라엘]], [[튀르키예]]''' || || LA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 || LB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 || LC ||[include(틀:국기, 국명=키프로스)] || || LD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 || LE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LF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include(틀:속령, 속령명=생피에르 미클롱)] 제도 포함.) || || LG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 LH ||[include(틀:국기, 국명=헝가리)] || || LI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LJ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 || LK ||[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 || LL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 LM ||[include(틀:국기, 국명=몰타)] || || LN ||[include(틀:국기, 국명=모나코)] || || LO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 LP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include(틀:속령, 속령명=아소르스 제도)] 포함) || || LQ ||[include(틀:국기, 국명=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LR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 || LS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 LT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 LU ||[include(틀:국기, 국명=몰도바)] || || LV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 || LW ||[include(틀:국기, 국명=북마케도니아)] || || LX ||[include(틀:속령, 속령명=지브롤터)] || || LY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include(틀:국기, 국명=몬테네그로)] || || LZ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 || '''{{{#e32a2b M}}}''' ||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 || MB ||[include(틀:속령, 속령명=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 MD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MG ||[include(틀:국기, 국명=과테말라)] || || MH ||[include(틀:국기, 국명=온두라스)] || || MK ||[include(틀:국기, 국명=자메이카)] || || MM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 MN ||[include(틀:국기, 국명=니카라과)] || || MP ||[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 || MR ||[include(틀:국기, 국명=코스타리카)] || || MS ||[include(틀:국기, 국명=엘살바도르)] || || MT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티)] || || MU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 || MW ||[include(틀:속령, 속령명=케이맨 제도)] || || MY ||[include(틀:국기, 국명=바하마)] || || MZ ||[include(틀:국기, 국명=벨리즈)] || || '''{{{#e32a2b N}}}''' || '''[[오세아니아]]([[남태평양]])''' || || NC ||[include(틀:속령, 속령명=쿡 제도)] || || NF ||[include(틀:국기, 국명=피지)], [include(틀:국기, 국명=통가)] || || NG ||[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길버트 제도]]), [include(틀:국기, 국명=투발루)] || || NI ||[include(틀:속령, 속령명=니우에)] || || NL ||[include(틀:속령, 속령명=왈리스 푸투나)](프랑스령) || || NS ||[include(틀:국기, 국명=사모아)], [include(틀:속령, 속령명=미국령 사모아)] || || NT ||[include(틀:속령, 속령명=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 NV ||[include(틀:국기, 국명=바누아투)] || || NW ||[include(틀:속령, 속령명=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 || NZ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include(틀:국기, 국명=남극)] || || '''{{{#e32a2b O}}}''' || '''[[서아시아]]([[중동]])[* [[이스라엘]], [[튀르키예]] 제외]''' || || OA ||[include(틀:국기, 국명=아프가니스탄)] || || OB ||[include(틀:국기, 국명=바레인)] || || OE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 OI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 || OJ ||[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요르단 강 서안 지구]] || || OK ||[include(틀:국기, 국명=쿠웨이트)] || || OL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 || OM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 || OO ||[include(틀:국기, 국명=오만)] || || OP ||[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 || OR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 || OS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 OT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 || OY ||[include(틀:국기, 국명=예멘)] || || '''{{{#e32a2b P}}}''' || '''[[오세아니아]](동북태평양), [[미국]] [[알래스카]], [[하와이]]''' || || PA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include(틀:속령2, 속령명=알래스카 주)] || || PB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령 베이커 제도 || || PC ||[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칸톤 에어필드, 피닉스 제도) || || PF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속령2, 속령명=알래스카 주)] 포트 유콘) || || PG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령 [include(틀:속령, 속령명=괌)], [include(틀:속령, 속령명=북마리아나 제도)] || || PH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속령, 속령명=하와이 주)] || || PJ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령 존슨 환초 || || PK ||[include(틀:국기, 국명=마셜 제도)] || || PL ||[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라인 제도) || || PM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령 [[미드웨이 섬]] || || PO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속령2, 속령명=알래스카 주)] 올릭톡 포인트) || || PP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속령2, 속령명=알래스카 주)] 포인트 레이) || || PT ||[include(틀:국기, 국명=미크로네시아 연방)], [include(틀:국기, 국명=팔라우)] || || PW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령 [[웨이크 섬]] || || '''{{{#e32a2b R}}}''' || '''자본주의권 [[동아시아]]''' || || RC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 RJ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본토 ([[혼슈]], [[시코쿠]], [[규슈]], [[홋카이도]])|| || RK[* 우연적인 배치이겠지만, '''R'''epublic of '''K'''orea로 외우면 쉽다. 물론, A~Z를 전부 사용하고 있어 R만 비어있던 상황도 아니며, China의 C, Japan의 J, Korea의 K, Okinawa의 O, Philippines의 P 등 의도적인 할당임을 감안했을 때 Republic 등의 R을 따 일부러 지정했을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ICAO 공항 코드 RKXX의 네자리 중 세번째 자리는 권역별로 달라진다. 서울ㆍ경기는 S, 강원도는 N, 대경권과 충청권역은 T, 영남,제주는 P, 호남권은 J가 붙는다.]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RO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오키나와현]] 전체, [[가고시마현]] [[오시마군(가고시마)|오시마군]] || || RP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 || '''{{{#e32a2b S}}}''' || '''[[남아메리카]]''' || || SA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 SB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C ||[include(틀:국기, 국명=칠레)] || || SD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E ||[include(틀:국기, 국명=에콰도르)] || || SF ||[include(틀:속령, 속령명=포클랜드 제도)] || || SG ||[include(틀:국기, 국명=파라과이)] || || SI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J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K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 || SL ||[include(틀:국기, 국명=볼리비아)] || || SM ||[include(틀:국기, 국명=수리남)] || || SN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O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프랑스령 기아나]] || || SP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 || SS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U ||[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 || SV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SW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SY ||[include(틀:국기, 국명=가이아나)] || || '''{{{#e32a2b T}}}''' || '''[[카리브해]]''' || || TA ||[include(틀:국기, 국명=앤티가 바부다)] || || TB ||[include(틀:국기, 국명=바베이도스)] || || TD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연방)] || || TF ||[include(틀:속령, 속령명=과들루프)], [[마르티니크|[[파일:마르티니크 기.png|width=27]]]] [[마르티니크]],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령) || || TG ||[include(틀:국기, 국명=그레나다)] || || TI ||[include(틀:속령, 속령명=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TJ ||[include(틀:속령, 속령명=푸에르토리코)] || || TK ||[include(틀:국기, 국명=세인트키츠 네비스)] || || TL ||[include(틀:국기, 국명=세인트루시아)] || || TN ||[[네덜란드령 카리브]], [include(틀:속령, 속령명=아루바)], [include(틀:속령, 속령명=퀴라소)], [include(틀:속령, 속령명=신트마르턴)] || || TQ ||[include(틀:속령, 속령명=앵귈라)]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령) || || TR ||[include(틀:속령, 속령명=몬트세랫)]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령) || || TT ||[include(틀:국기, 국명=트리니다드 토바고)] || || TU ||[include(틀:속령, 속령명=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 TV ||[include(틀:국기, 국명=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TX ||[include(틀:속령, 속령명=버뮤다)]([include(틀:국기, 국명=영국)]령) || || '''{{{#e32a2b U}}}''' || '''[[동유럽]], [[캅카스]], [[중앙아시아]]''' || || U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UA, UB, UD, UG, UK, UM, UT 제외) || || UA ||[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include(틀:국기, 국명=키르기스스탄)] || || UB ||[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 || UD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 || || UG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 || UK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UM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칼리닌그라드]]([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령) || || UT ||[include(틀:국기, 국명=타지키스탄)], [include(틀:국기, 국명=투르크메니스탄)],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 '''{{{#e32a2b V}}}''' ||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내륙 지역, [[홍콩]], [[마카오]]''' || || VA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서부 [[뭄바이]] 지역) || || VC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 || VD ||[include(틀:국기, 국명=캄보디아)] || || VE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동부 [[콜카타]] 지역) || || VG ||[include(틀:국기, 국명=방글라데시)] || || VH ||[include(틀:속령2, 속령명=홍콩 특별행정구, 출력=홍콩, 크기=27)] || || VI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북부 [[델리]] 지역) || || VL ||[include(틀:국기, 국명=라오스)] || || VM ||[include(틀:속령2, 속령명=마카오 특별행정구, 출력=마카오, 크기=27)] || || VN ||[include(틀:국기, 국명=네팔)] || || VO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남부 첸나이 지역) || || VQ ||[include(틀:국기, 국명=부탄)] || || VR ||[include(틀:국기, 국명=몰디브)] || || VT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 || VV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 VY ||[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 || || '''{{{#e32a2b W}}}''' ||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 [[필리핀]] 제외]''' || || WA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 WB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보르네오 섬), [include(틀:국기, 국명=브루나이)] || || WI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 WM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말레이반도]]) || || WP ||[include(틀:국기, 국명=동티모르)] || || WQ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 WR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 WS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 '''{{{#e32a2b Y}}}''' || '''[[호주|오스트레일리아]]''' || || Y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 '''{{{#e32a2b Z}}}''' || '''공산권 [[동아시아]]''' || || Z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ZK, ZM 제외) || || ZK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 ZM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 == ICAO [[항공사]] 코드 == [[IATA]] 항공사 코드와 달리 3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웬만한 항공운송 사업자는 IATA 코드는 없어도 ICAO 코드는 있다. IATA 코드보다 자리 수가 많다보니 아무래도 항공사 이름과 맞아 떨어지는 코드 확보가 상대적으로 쉬우나[* 예컨대 [[제주항공]]의 IATA 코드는 7C, ICAO 코드는 JJA이다. 누가봐도 ICAO 코드 쪽이 금방 와닿는다.], 항공편명 안내에 흔히 사용되는 IATA 코드에 비해 일반인 상대로 ICAO 코드의 사용비중이 낮으므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물론 항공사에서 ICAO 코드를 일종의 브랜드처럼 광고하는 경우[* 예컨대 [[대한항공|KAL]], [[일본항공|JAL]], [[전일본공수|ANA]], [[KLM 네덜란드 항공|KLM]], [[스칸디나비아항공|SAS]] 등]는 예외. === 대한민국의 항공사 === * '''[[FSC|FSC(Full Service Carrier)]]''' * [[대한항공]]: KAL * [[아시아나항공]]: AAR * '''[[저비용 항공사|LCC(Low Cost Carrier)]]''' * [[진에어]]: JNA * [[에어부산]]: ABL * [[제주항공]]: JJA * [[이스타항공]]: ESR * [[티웨이항공]]: TWB * [[에어서울]]: ASV * [[플라이강원]]: FGW * [[에어로K]]: EOK * [[에어프레미아]]: APZ * '''Air Taxi''' * [[하이에어]]: HGG * '''Air Freight''' * [[에어인천]]: AIH === 북한의 항공사 === * [[고려항공]]: KOR === 해외의 항공사 === * '''[[네덜란드]]''' * [[KLM 네덜란드 항공]]: KLM * '''[[독일]]''' * [[루프트한자]]: DLH * [[에어 베를린]]: BER * [[저먼윙스]]: GWI * [[콘도르 항공]]: CFG * '''[[러시아]]''' * [[S7 항공]]: SBI * [[아에로플로트]]: AFL * [[오로라항공]]: SHU * [[로시야 항공]]: SDM * 바시키르 항공: BTC * [[레드 윙스 항공]]: RWZ * '''[[멕시코]]''' * [[볼라리스 항공]]: VOI * [[비바 아에로부스 항공]]: VIV * [[아에로멕시코]]: AMX *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SLI * [[인테르제트 항공]]: AIJ * '''[[몽골]]''' * [[미아트 몽골항공]]: MGL * [[에어로 몽골리아]]: MNG * '''[[미국]]''' * [[내셔널 항공]]: NCR * [[델타항공]]: DAL * [[버진 아메리카항공]]: VRD * [[사우스웨스트 항공]]: SWA * [[선 컨트리 항공]]: SCX * [[스피릿 항공]]: NKS * [[아메리칸 항공]]: AAL * [[알래스카 항공]]: ASA * [[얼리전트 항공]]: AAY * [[에어 트랜스포트 항공]]: ATN * [[유나이티드 항공]]: UAL * [[제트 블루]]: JBU * [[프론티어 항공]]: FFT * [[하와이안 항공]]: HAL * '''[[싱가포르]]''' * [[싱가포르항공]]: SIA * [[스쿠트 항공]]: TGW * '''[[영국]]''' * [[버진 애틀랜틱항공]]: VIR * [[영국항공]]: BAW * [[이지젯]]: EZY * '''[[인도네시아]]''' * [[가루다 인도네시아]]: GIA * [[라이온 에어]]: LNI * '''[[일본]]''' * [[ANA 윙스]]: AKX * [[J-에어]]: JLJ * [[류큐 에어 커뮤터]]: RAC * [[바닐라 에어]]: VNL * [[솔라시드 항공]]: SNJ * [[스타플라이어]]: SFJ * [[신츄오 항공]]: CUK * [[아마쿠사 항공]]: AHX * [[아이벡스 항공]]: IBX * [[에어 두]]: ADO * [[에어재팬]]: AJX * [[오리엔탈 에어 브릿지]]: NGK * [[일본 에어 커뮤터]]: JAC * [[일본 트랜스오션항공]]: JTA * [[일본항공]]: JAL * [[일본화물항공]]: NCA * [[전일본공수]]: ANA * [[제트스타 재팬]]: JJP * [[춘추항공일본]]: SJO * [[피치 항공]]: APJ *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NTH * [[후지드림 항공]]: FDA * '''[[중국]]''' * [[상하이항공]]: CSH * [[샤먼항공]]: CXA * [[중국국제항공]]: CCA * [[중국남방항공]]: CSN * [[중국동방항공]]: CES * [[하이난항공]]: CHH * [[춘추항공]]: CQH * '''[[홍콩]]''' * [[캐세이드래곤항공]]: HDA * [[캐세이퍼시픽항공]]: CPA * [[홍콩 익스프레스]]: HKE * '''[[베트남]]''' * [[베트남항공]]: HVN * [[뱀부항공]]: BAV * [[비엣젯항공]]: VJC * [[퍼시픽항공]]: PIC * [[비엣트래블항공]]: VAG * [[바스코항공]]: VFC * '''[[마카오]]''' * [[에어마카오]]: AMU * '''[[캐나다]]''' * [[에어 캐나다]]: ACA * [[포터 항공]]: POE * [[웨스트젯]]: WJA * [[선윙]]: SWG * [[에어노스]]: ANT * '''[[프랑스]]''' * [[에어 프랑스]]: AFR * '''[[호주]]''' * [[콴타스]]: QFA * [[안셋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AAA''' * '''[[뉴질랜드]]''' * [[에어 뉴질랜드]]: ANZ * '''[[아일랜드]]''' * [[에어 링구스]]: EIN * [[라이언에어]]: RYR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항공]]: SAA * [[에어링크]]: LNK == ICAO [[항공기]] 코드 == * '''보잉''' * [[보잉 717]]: B712 * [[보잉 737]]: B731, B732, B733, B734, B735, B736, B737, B738, B739, B37M[* B737 MAX 7], B38M[* B737 MAX 8], B39M[* B737 MAX 9], B3XM[* B737 MAX 10] * [[보잉 747]]: B741, B74R[* 747-100SR, 747SR-100B], B742, B74S[* B747SP], B743, B744, B74D[* B747-400D], BLCF[* B747-400LCF 드림리프터], B748 * [[보잉 757]]: B752, B753 * [[보잉 767]]: B762, B763, B764 * [[보잉 777]]: B772, B77L[* B777-200LR, B777F], B773, B77W[* B777-300ER], B778, B779 * [[보잉 787]]: B788, B789, B78X[* B787-10] * '''[[맥도넬 더글라스]]''' * [[DC-10]]: DC10 * [[MD-11]]: MD11 * [[MD-80]]: MD81, MD82, MD83, MD87, MD88 * [[MD-90]]: MD90 * '''[[EADS]]([[에어버스]], [[유로콥터]] 등)''' * [[A220]]: BCS1[* A220-100], BCS3[* A220-300][* A221, A223이 아닌데, 그 이유는 [[A220]]이 에어버스가 아닌 봉바르디에에서 개발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봉바르디에 시절 명칭인 CS100, CS300의 코드를 그대로 사용한다.] * [[A300]]: A30B[* A300B1, A300B2, A300B4], A306, A3ST[* A300-600ST Beluga] * [[A310]]: A310 * [[A320]]: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A19N[* A319neo], A20N[* A320neo], A21N[* A321neo, A321LR, A321XLR] * [[A330]]: A330, A332, A333, A337[* A330-743L Beluga XL] * [[A330neo]]: A338, A339 * [[A340]]: A340, A342, A343, A345, A346 * [[A350]]: A359, A35K[* A350-1000] * [[A380]]: A388 * [[AS350/355]]: AS50, AS55 * [[Bo-105]]: B105 * [[SA365C]]: S65C * '''[[봉바르디에]]''' * [[CRJ200]] 시리즈: CRJ1(CRJ100), CRJ2(CRJ200) * [[CRJ700]] 시리즈: CRJ7(CRJ700), CRJ9(CRJ900), CRJX(CRJ1000) * [[A220]]: BCS1(A220-100/CS100), BCS3(A220-300/CS300) * '''드 해빌랜드 에어크래프트 오브 캐나다'''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s-5.1|DHC-8-100 Dash 8/8Q]] : DH8A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s-5.2|DHC-8-200 Dash 8/8Q]] : DH8B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s-5.3|DHC-8-300 Dash 8/8Q]] : DH8C * [[드해빌랜드 캐나다 Dash 8-400|DHC-8-400 Dash 8Q]] : DH8D * '''[[안토노프]]''' * [[An-12]]: AN12 * [[An-22]]: AN22 * [[An-26]]: AN26 * [[An-28]]: AN28 * [[An-30]]: AN30 * [[An-32]]: AN32 * [[An-72]]/[[An-74]]: AN72 * [[An-124]]: A124, A125 * [[An-140]]: A140 * [[An-148]]: A148 * [[An-225]]: A225 * '''[[일류신]]''' * [[Il-76]]: IL76 * '''[[미그]]''' * [[MiG-29]]: MG29 * [[MiG-31]]: MG31 * '''[[투폴레프]]''' * [[Tu-134]]: T134 * [[Tu-154]]: T154 * [[Tu-160]]: T160 * [[Tu-22M]]: TU22 * [[Tu-95]]: TU95 * '''[[야코블레프]]''' * [[Yak-40]]: YK40 * [[Yak-130]]: Y130 * '''[[베리예프]]''' * A-50: A50 * [[베리예프 Be-200|Be-200]]: BER2 * '''[[세스나]]''' * [[세스나 152]]: C152 * [[세스나 162]]: C162 * [[세스나 172]]: C172 * [[세스나 182]]: C182 * [[세스나 208]]: C208 * '''시러스 에어크래프트''' * 시러스 SR20: SR20 * [[시러스 SR22]]: SR22 * [[시러스 SR22|시러스 SR22T]]: S22T * '''로빈슨 헬리콥터''' * [[로빈슨 R22]]: R22 * [[로빈슨 R44]]: R44 * 로빈슨 R66: R66 * '''다이아몬드 에어크래프트''' * [[다이아몬드 DA40]]: DA40 * ~~[[산타클로스]] [[산타클로스#s-6|썰매]] : SLEI~~[* [[Flightradar24]]에서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이벤트성으로 산타 썰매(...)를 표시하는데 ICAO 코드에 SLEI가 쓰여있다. 영어로 썰매를 뜻하는 Sleigh를 4글자로 압축한 것이다.] == ICAO Doc 9303 (여권 및 신분증) == ICAO의 [[https://www.icao.int/publications/pages/publication.aspx?docnum=9303|Doc 9303]]은 세계 각국 정부에 [[여권]]에 관련된 규격이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한다. 다만 규격 자체가 비시민 여권과 여행증명서, 선원수첩, 난민문서, [[사증]], [[신분증]]까지 포괄하기 때문에 문서 내에서는 여권이라는 단어보다는 'MRTDs'(Machine readable travel documents)나 'MROTDs'(Machine readable official travel documents)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문서는 총 13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드 사이즈의 TD1, A7 사이즈의 TD2[* 1990년대 유럽 등에서 쓰였던 신분증 사이즈다.], 여권 사이즈의 TD3, 비자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전자여행문서의 [[스마트카드]] 규격은 [[ISO/IEC 14443]]을 사용하고 있다. [[유럽연합]]과 [[영국]][* 다만 영국은 이 규격에 준거한 내국인용 신분증은 폐지했으며, 재영 외국인 신분증인 Biometric Residence Permit에 ICAO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 체류허가]] 참조.], [[메르코수르]], [[독립국가연합]], [[걸프 협력회의]], [[동아프리카 공동체]] 회원국의 거의 모든 [[신분증]]은 ICAO Doc 9303 규격을 일부 혹은 전부 준수한다. [[독일 신분증]], [[칠레 신분증]], [[우크라이나 신분증]], [[키르기스스탄 신분증]]을 보면 각각 전혀 다른 국가의 국내 신분증임에도 불구하고 여권처럼 뚜렷한 인적사항 분류, 유효기간, MRZ[* 기계판독영역(MRZ: Machine Readable Zone)]에, 전자여행문서 마크[[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bgcolor=#ffffff&width=28]]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유럽 연합은 Regulation (EU) 2019/1157을 통해 모든 회원국에게 ICAO Doc 9303의 보안 기준에 따를 것을 규정하고 있다. [[신분증]]을 이용한 출입국이 생소한 국가에서도 TD1을 자국 신분증에 도입하는 나라가 많은 편이다. 전자여권 수준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어 최신 기술에 대한 불신을 어느정도 상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Doc 9303''' Machine Readable Travel Documents || 영어 || ||Part 1: Introduction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1_cons_en.pdf|EN]] || ||Part 2: Specifications for the Security of the Design, Manufacture and Issuance of 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2_cons_en.pdf|EN]] || ||Part 3: Specifications Common to all 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3_cons_en.pdf|EN]] || ||Part 4: Specifications for Machine Readable Passports (MRPs) and other TD3 Size 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4_cons_en.pdf|EN]] || ||Part 5: Specifications for TD1 Size Machine Readable Official Travel Documents (MRO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5_cons_en.pdf|EN]] || ||Part 6: Specifications for TD2 Size Machine Readable Official Travel Documents (MRO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6_cons_en.pdf|EN]] || ||Part 7: Machine Readable Visa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7_cons_en.pdf|EN]] || ||Part 8: Emergency Travel Document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8_cons_en.pdf|EN]] || ||Part 9: Deployment of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Electronic Storage of Data in e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9_cons_en.pdf|EN]] || ||Part 10: Logical Data Structure (LDS) for Storage of Biometrics and Other Data in the Contactless Integrated Circuit (IC)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10_cons_en.pdf|EN]] || ||Part 11: Security Mechanisms for 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11_cons_en.pdf|EN]] || ||Part 12: Public Key Infrastructure for MRTD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12_cons_en.pdf|EN]] || ||Part 13: Visible Digital Seals || [[https://www.icao.int/publications/Documents/9303_p13_cons_en.pdf|EN]] || 참고로 [[한국조폐공사]]는 ICAO Doc 9303에 관한 기술을 가지고 실제로 [[키르기스스탄 신분증]]을 수주한 실적도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국내에서는 여권을 제외하고는 해당 기준에 준거한 신분증 발행을 하지 않고 있다. 물론 신분증 양식은 발행 기관에서 정하는 것이라 [[행정안전부]]가 [[주민등록증]]을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것이 아닌 이상 단기간에 ICAO Doc 9303에 준거한 신분증이 발행될 것 같지는 않다. 사실 대한민국에서도 참여정부 때 "대한민국 신분증"이라는 이름으로 개편하면서 주민등록증에 MRZ를 넣을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불발된 적이 있었다. == 여담 ==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은 ICAO가 직권으로 항공 사고를 조사한 몇 안되는 사례이다. 007편 사건은 [[한국]]-[[미국]]-[[소련|소련(러시아)]]이 엮여있고, 민간인 수백명이 군용기에 의해 다수가 사망한 만큼 민감한 사안이라 ICAO가 직권으로 조사했다. [[블랙박스#s-1|블랙박스]] 분석은 제 3국인 [[프랑스]]의 BEA가 담당했다. * 반면 [[위버링겐 상공 공중충돌 사고]]와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는 '''[[직무유기]]를 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제대로 보여준 사고이다. * 항공업계에서 사용하는 단위로 [[국제단위계]]를 권장하고 있다.(ANNEX 5)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제단위계를 사용하지 않고 [[미국 단위계]]를 사용하고 있다. *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의 영웅 체슬리 설렌버거 기장이 2021년 ICAO 미국 대표로 임명됐다. [[분류:I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