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16가지 성격 유형)] [목차] == 개요 == '''성격 유형 검사'''([[MBTI]], [[16 Personalities]], [[TRUITY]] 등)에서 통용되는 16가지 유형 중 '''ISTP 유형'''을 설명하는 문서. ## Extraver'sion', Introver'sion'이 아닌 이유는 모바일 줄바꿈 문제 때문입니다 ||<-4> '''{{{+1 선호 지표의 비교}}}''' || || [[ESTP#개요|{{{#000,#fff {{{+1 E}}} }}}]] || 외향 {{{-1 Extrovert}}}[br]{{{-2 외부 · 표출}}} || '''내향 {{{-1 Introvert}}}[br]{{{-2 내면 · 생각}}}''' || '''{{{+1 I}}}''' || || '''{{{+1 S}}}''' || '''감각 {{{-1 Sensing}}}[br]{{{-2 현실 · 실용 · 실천}}}''' || 직관 {{{-1 iNtuition}}}[br]{{{-2 이상 · 이론 · 예측}}} || [[INTP#개요|{{{#000,#fff {{{+1 N}}} }}}]] || || '''{{{+1 T}}}''' || '''사고 {{{-1 Thinking}}}[br]{{{-2 논리 · 사실판단}}}''' || 감정 {{{-1 Feeling}}}[br]{{{-2 인간관계 · 가치판단}}} || [[ISFP#개요|{{{#000,#fff {{{+1 F}}} }}}]] || || [[ISTJ#개요|{{{#000,#fff {{{+1 J}}} }}}]] || 판단 {{{-1 Judging}}}[br]{{{-2 목적 · 계획 · 절차}}} || '''인식 {{{-1 Perceiving}}}[br]{{{-2 자율성 · 유동성}}}''' || '''{{{+1 P}}}''' || ||<-4> {{{#!wiki style="margin: -5px" [[ENFJ#개요|'''{{{#fff {{{-2 뒤집기}}}}}}''']]}}} || ||<-4><^|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4가지 선호 지표에 의한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text-align: left" * '''내향형''' ('''{{{+1 I}}}'''ntroversion) * 깊이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 자기 내부에 주의를 집중함. * 내부 활동과 집중력. * 조용하고 신중함. * 말보다는 글로 표현하는 편. * 이해한 다음에 경험함. * 서서히 알려지는 편. * '''감각형''' ('''{{{+1 S}}}'''ensing) * 오감에 의존하여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며 지금,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정확, 철저히 일처리한다. * 지금, 현재에 초점. * 실제의 경험 중시. * 정확하고 철저한 일 처리. * 사실적 사건묘사. * 숲보다 나무를 보려는 경향. * 가꾸고 추수함. * '''사고형''' ('''{{{+1 T}}}'''hinking) * 진실과 사실에 주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 진실, 사실이 주관심사. * 원리와 원칙을 중시함.[*참고 이 설명에 따르면 감정형(F)은 사고형(T)에 비해서 원리와 원칙, 규범을 덜 중시해야 할 것 같지만, 감정형 중 외향 감정(Fe)을 주/부기능으로 쓰는 경우 ''''모든 사람'이 동의할 만한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고형(T)과는 다른 의미의 원칙과 규범(보편적 통념, 또는 사회적 규범)을 중시하게 된다.] * 논리적, 분석적. * 옳고 그름(참/거짓). * 규범과 기준을 중시함.[*참고] * 지적 논평을 선호. * '''인식형''' ('''{{{+1 P}}}'''erceiving) * 목적과 방향은 변화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일정이 달라지며 자율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이 있음. * 이해로써 수용함. * 유유자적한 과정. * 융통과 적응. *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 출처: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어세스타]]}}} || }}}}}}}}} || ##위의 표 형식은 16개 유형이 통일된 템플릿이므로 내용이나 양식 수정 시 가급적 16개 유형 모두 일관적으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배려하여 사이즈 수정한 것은 기타 유형에 추후 일괄 적용 예정. ||<-3> '''{{{+1 기능의 서열}}}''' || || '''순서''' || '''기능''' || '''설명''' || || '''주 기능''' || '''{{{+1 Ti}}}''' ||'''내향 사고'''[br]{{{-2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고 비평'''하는것을 가장 선호함}}} || || '''부 기능''' || '''{{{+1 Se}}}''' ||'''외향 감각'''[br]{{{-2 '''현실적인 문제'''를 두고 남들(자신 포함)과 '''타협'''하는것을 선호함}}} || || '''3차 기능''' || '''{{{+1 Ni}}}''' ||'''내향 직관'''[br]{{{-2 '''머릿속 생각'''을 토대로 '''이론이나 예측을 하여 패턴이나 본질을 인식'''하는것을 덜 선호하는 편임}}} || || '''열등 기능''' || '''{{{+1 Fe}}}''' ||'''외향 감정'''[br]{{{-2 '''감정을 토대로 상황에 적절한 판단을 하거나 감정을 토대로 외부세계를 통제, 집단의 조화를 중요시'''하는것을 선호하지않는 편임}}} || ||<-3><^|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각 기능의 우위 결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text-align: left" * MBTI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인식(INPUT)하거나 판단(OUTPUT)하는 방식 차이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 ISTP는 인식기능이 '''S(감각)''', 판단기능이 '''T(사고)'''이므로 (자주 쓰는) 주/부기능이 감각 기능과 사고 기능이 된다. * 또한, ISTP는 '''P(인식)'''유형이기 때문에 인식 기능을 외향으로, 판단 기능을 내향으로 쓴다.[* MBTI에서의 마지막 지표 J/P는 각각 (외향)판단형과 (외향)인식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J유형은 내향인식/외향판단, P유형은 외향인식/내향판단 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눈여겨볼 점은 인식/판단 기능 지표가 같아도 마지막 지표의 차이로 인해 사용하는 기능이 아예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주/부기능이 '''외향 감각(Se)'''과 '''내향 사고(Ti)'''가 된다. * 마지막으로, ISTP는 '''I(내향)'''유형이므로 주기능이 내향 기능이 된다. 따라서, 주기능이 Ti, 부기능이 Se가 되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3차 및 4차 기능은 각각 부기능과 주기능의 반대인 Ni, Fe가 된다. }}} || }}}}}}}}} || ||<-3> Te · '''{{{#e09e22 Ti}}}''' | '''{{{#eba92f Se}}}''' · Si | Ne · '''{{{#f5b53d Ni}}}''' | '''{{{#ffc14d Fe}}}''' · Fi || ##위의 표 형식은 16개 유형이 통일된 템플릿이므로 내용이나 양식 수정 시 가급적 16개 유형 모두 일관적으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배려하여 사이즈 수정한 것은 기타 유형에 추후 일괄 적용 예정. [clearfix] || {{{#!folding ◎ 출처 표기에 대한 설명 ◎ {{{#!wiki style="text-align: left" {{{-1 [br]'''{{{+1 0) 공통 사항}}}''' * 원문을 직역했을 때 오히려 이해가 흐려지는 부분이 있으므로, 일부 진술을 이해 목적에 맞게 '''각색하거나 추론'''한 부분이 있음. * 예상 독자들로 하여금 문서 정독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는 차원에서 원본의 문장 구조를 변형하거나 순서를 재조합, 이에 따른 적합한 접속사의 추가 등이 수반되었음. 비슷한 내용은 가급적 ^^{{{[∑]}}}^^ 각주로 묶거나 다루지 않았음.[br] '''{{{+1 1) 출처 표기용 각주}}}''' * [*16P [[https://www.16personalities.com/infp-personality|infp-personality]][br]© 2011-2021 NERIS Analytics Limited.[br] '''1.''' 영국(잉글랜드·웨일즈) 법에 따라 규율된 내용으로 수백 가지 선구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되는 항목들임.[br]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여러 통계적 수치를 제공하면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고 밝힘.[br]'''2.'''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 '''[[16Personalities]]'''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일관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75와 0.87 사이로 높게 나타남. ‘검사-재검사 관계성(응답자: 2,900명 이상)’의 부문 상관 계수가 0.74와 0.83 사이로 높게 나타남. 척도별 독립성을 나타내는 ‘판별 타당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에서도 오차의 범위는 -0.29에서 0.37 사이로 나타남(참고로 오차 허용치는 0.70에서 0.80). 또한 재평가를 받은 사람은 약 6개월 정도 휴식을 취한 후에도 모든 척도에서 비슷한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힘. * [*TR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NFP|The INFP Personality Type]][br]COPYRIGHT © 2020, TRUITY. ALL RIGHTS RESERVED.[br][[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TRUITY]]''':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 [*AS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어세스타]]] '''어세스타''': 한국의 기업으로 인간의 생각과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평가 및 서비스 기관이라고 소개함. 자체 연구 인력을 통해 심리평가 도구를 개발하거나 해외의 검증된 도구를 국내화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과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적용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운영하고 있음. * [*MKR [[https://www.mbti.co.kr/|한국 MBTI 연구소]]] '''한국 MBTI 연구소''': 1990년 6월 1일 심혜숙 박사와 김정택 박사에 의해서 설립됨. 설립 이후 MBTI에 관련된 꾸준한 교육, 저술, 연구 및 번역활동을 진행 중. * [*MM [[https://jinsengjellyfish.tistory.com/42|MBTI Form M]]] ''''MBTI Form M 책자''''의 사진이 첨부된 블로그 * [*INT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xkX1YAgTk1ngy2RHReuBxcR-eRtoTq6_|MBTI 시즌 1 # 16가지 성격 유형]][br]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저술하다'의 정의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글이나 책 __따위__를 쓰다'인데, 해당 영상은 대부분의 분석 내용이 영상 자막에 '''글로써''' 작성되어 있음. 또한, '자료'의 정의에 의거하면 영상 자료 역시 자료의 범주에 부합한다고 볼 여지가 충분함.] '''인터TV''' 내의 MBTI 시즌 1 영상 리스트: '심리 분석 전문가'를 자처하고 있으며, 'MBTI GCP 과정 수료', '심리분석사 1급', '심리상담사 1급' 등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심리 분석 상담 등을 진행중이므로 '준전문가' 이상의 지위에 부합함.[*증거 [[https://www.youtube.com/watch?v=naBN1mG-zkM|영상]]] INFP 영상 뿐 __아니라__ 각 심리 기능에 관한 비교 및 분석, 타 유형에 대한 분석 등의 자료 역시 '''일부 포함되어 있음'''. * [*SO [[http://www.socionics.com/rel/rel.htm|사회인격학 공식 페이지]] '소시오닉스(Socionics)'라고도 하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유전학적으로 타고난 심리 유형에 따라 결정지을 수 있다고 보는 실험적 이론임. 또한, 해당 출처는 각 성격 유형관의 관계를 분류해놓은 웹 페이지임.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해석하면 '성격 유형 간의 관계'] * [*ETC] 기타 출처 상기한 출처 이외의 사이트에 기반한 출처에 첨부하였음. {{{#!folding ▼ '기타 출처'에 해당하는 출처 목록 * [*ETC1 [[https://students.usask.ca/documents/secc/ISTJ.pdf]]] (설명) * [*ETC2 [[https://personalityjunkie.com/06/cognitive-type-functions-eye-movements-ni-ne-fi-ti-se-si-fe-te/|출처]]] (설명) * [*ETC3 [[https://www.typeinmind.com/fine|출처]]] (설명) }}} '''{{{+1 2) 편집 도구용 각주}}}''' * [*∑ 출처가 있는 서술은 아니나 모두 출처를 밝힌 하위 리스트의 공통점만 추출하였기에 토론 합의 사항에 부합함.] __출처를 밝힌__ 하위 리스트들의 '''공통적 특성을 종합'''하여 상위 리스트로 진술한 것. 하위 리스트 각 항목이 출처를 밝혔으므로 출처를 따로 표기하지 않을 수 있음. * [*⊃ 해당 서술의 하위 항목들은 전부 이 서술과 같은 출처를 가지고 있음.] 하위 리스트의 서술이 상위 리스트의 서술과 '''전부 같은 출처'''를 가지는 경우에만 하위 리스트의 출처를 표기하지 않고 상위 리스트에 이 각주를 함께 첨부함. 이때, [*∑] 각주가 첨부된 서술은 고려하지 않는다. * [*(번호)] '통계 자료' 또는 '참고용'으로 밝히는 출처. 이 경우엔 사실관계를 재확인하여 신뢰성이 낮을 경우 삭제할 수 있음.}}} }}} }}} || || {{{#!folding ◎ 지표 및 기능 관련 각주에 대한 설명 ◎ {{{#!wiki style="text-align: left" {{{-1 [br] '''※ 이 각주는 반드시 첨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자신이 어떠한 특성에 대한 '''부연 설명'''을 덧붙이고 싶을 때만 문장으로 따로 쓰지 말고 이 각주를 첨부하면 됩니다. [br]'''{{{+1 1) 4가지 선호 지표}}}''' * [*I 내향형의 특징]: '''I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S 감각형의 특징]: '''S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T 사고형의 특징]: '''T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P 판단형의 특징]: '''P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1 2) 4가지 심리 기능}}}''' * [*1Si Si가 주기능이기 때문]: '''Si가 주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2Te Te가 부기능이기 때문]: '''Te가 부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3Fi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 혹은 3차 기능에 불과하기 때문] :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4Ne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 || == 설명 == {{{+1 만능 재주꾼, '''장인'''}}} 과묵하며 절제된 호기심으로 인생을 관찰하고, 상황을 파악하는 민감성과 도구를 다루는 뛰어난 능력이 있다. 말수가 적으며,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인생을 관찰하는 유형이다. 필요 이상으로 자신을 발휘하지 않으며, 일과 관계되지 않는 이상 어떤 상황이나 인간관계에 직접 뛰어들지 않는다. 가능한 한 에너지 소비를 하지 않으려 하며, 사실적 자료를 정리, 조직하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과관계]]나 객관적 [[원리]]에 관심이 많다.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으로 눈치가 빠르며, 조용히 자기 일만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주변 상황파악도 다 하고 있다. 열등 기능은 Fe(외향 감정)으로 타인에게 공감을 잘 못하는 경향이 있다.[*A [[https://www.verywellmind.com/istp-introverted-sensing-thinking-perceiving-2795993|#]] ] 가까운 사람에게는 허물 없이 대하는 면이 있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무관심]]한 경향이 있으며 [[무표정]]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고 냉소적이고 차가운 이미지로 비춰진다. || {{{#000066,#ccffff {{{+1 '''가까울 수 있는 키워드 20'''}}}}}} || || {{{#666,#bbb 개개인 존중, 개방적 사고, 개인주의, 객관적 원리, 결단력, 기브 앤 테이크, 논리적 사고, 노력 절약, 독립성, 무관심, 사실주의, 생산성, 선택적 사교성, 실용적, 임기응변, 자유주의, 합리주의, 현실적 사고, 현재지향적, 효율}}} || || {{{#660000,#ffcccc {{{+1 '''멀 수 있는 키워드 20'''}}}}}} || || {{{#666,#bbb 가식적, 간섭, 감정적, 공감능력, 권위주의, 규칙, 긴장, 맹목적, 수다, 스트레스, 언변, 에너지 소비, 오지랖, 위계질서, 잔소리, 잡생각, 종교, 창의적 사고, 통념, 통제}}} || === 일반적인 특징 === ## 특징을 서술할 때 각 문장마다 출처를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를 위해 16개 유형에 출처 표기를 위한 각주 템플릿을 통일하였으니 이 방향으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보 오염의 우려가 있는 내용(출처가 불분명한 서술, 신뢰도가 떨어지는 개인적 견해 등)가 난립해 누적되었을 때 이를 구분해내기 위함입니다. * 일반적으로 조용한 편이나 필요에 따라 사교적이다. [*AS] * 마음에 없는 얘기를 상대방 기분 때문에 하지는 않는다. [*AS] * 주기능은 '''Ti(내향 사고)'''로 분석적이고 논리적이다.[* [[INTP]]와 같다.] [*AS] * 3차 기능은 '''Ni(내향 직관)'''으로 겉으로는 완만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완고한 편이다. [*AS] * 틀에 박히고 [[통념]]적인 생활을 싫어한다. [*AS] * 타인의 일에 무관심한 편이다. [*AS] * 모든 MBTI 유형 중 가장 [[오지랖]]이 적은 유형이다.[* 열등 기능이 외향 감정(Fe)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반대 유형인 [[ENFJ]]는 오지랖이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AS] * 맹목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싫어하는 특성상, [[무종교]]인 및 [[무신론자]] 비율이 높다. [*AS] * 느낌과 감정, 타인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기 어려워한다. [*AS] * 감정에 사로잡힐 때 이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려고 하거나, 혼자 핸드폰을 하는 등의 시도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스스로를 소위 '극 T'라고 소개할 수 있다. I치고는 인맥이 넓고, S치고 미래지향적인 성향이 부족한 편은 아니며, P답게 즉흥적이라 해도 할 일은 다 하는 스타일이지만, T 중에서도 감정적인 편에는 결코 속하지 않는다. * 부기능은 '''Se(외향 감각)'''으로 정밀을 요하는 일을 잘 해낸다.[* 상위 기능인 Ti(내향 사고) 때문에, 정밀함은 빛을 발하게 된다.] [*AS] * 논리적인 사고 능력과 배려형 [[개인주의]]가 공감능력 부족을 어느 정도 가려주는 면이 있어서 심리적으로 적당히만 건강하다면 어느 성격하고든 트러블이 별로 없을 수 있다. [*AS] *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별개로 대인관계는 원만한 편이다. *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며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파트너가 자신의 삶을 너무 많이 통제하려고 하면 거리를 둔다. * 시사적인 분석이나 문제에 열중한다. [*AS] * 관심 분야가 아니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AS] * 말이 없고 내색을 않는다. [*AS] * 노력을 절약하면서 일의 능률을 높인다. [*AS] * 어울려 다니는 사람들 중 내적으로 편안한 사람들만 친구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지인 수준으로 간주한다.[* [[ENTP]]와 비슷하다.] 실용적인 활동에 능한 성향상 타인들과 어울려 다닐 수밖에 없는 유형이다.[* 상술한 대로 대인관계가 원만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 불건강한 경우 책임과 관계를 무시하고 특정 관심사나 취미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 ISTP 부모 === * 통제를 많이 하지 않고 개방적이다. * 아이들의 감정적인 면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아이들이 넓은 시야로 세상을 탐험하기를 원한다. *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갖게 하길 원한다. * 아이들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 ISTP 자녀 === * 학교의 많은 규칙과 요구사항이 힘들 수 있다. * [[수학]]과 [[과학]] 과목에 흥미가 있다.[* 다만 과학의 경우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이론 정립이나 이해에 관심이 없다. * 개인 스포츠나 [[비디오 게임]] 같은 섬세함을 요구하는 종목에서 뛰어난 두각을 보인다. * 상황 적응력이 뛰어나다.[* 특히 임기응변] * 혼자서 잘 논다. * 수천 개의 조각 퍼즐 맞추기도 잘한다. * 긴 설명을 듣고도 대답은 아주 간단하게 한다.[* 상황에 따라 다르나 단답형 대답만 이어진다면 이해를 못 했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것일 수 있다.] * 간섭과 권위주의를 매우 싫어하므로 반항을 많이 한다. * 여아도 전형적인 여자 아이 놀이를 싫어하는 편이다. * 과학 [[실험]]은 좋아하지만 [[이론]]적이거나 [[추상화|추상]]적인 문제에는 관심이 없다. * 개인적인 시간을 즐긴다. * 읽기나 언어 과목에 소질이 없다.[* 대체로 [[이과]] 타입. 문학은 노력하면 잘하지만 효율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최단시간 안에 적은 노력을 들이면서 끝내는 방법을 연구한다. 다만 [[언어학]]은 기본적으로 문과에 속하지만, 연구 방법론이 이과에 가깝기 때문에 소질이 있을 수 있다. (통사론, 조어론, 음성학, 음운론, 비교언어학 등 대부분의 언어학 영역은 연구 방법론이나 결과 도출 과정에 있어서 이과적 특성이 강한 편이다.)] * 감정적인 호소나 감정을 기반으로 한 설명과는 맞지 않는다. * 하고 싶은 것만 하고 하기 싫은 것은 절대 안 한다. * 상대방 기분만 맞춰 주려고 마음에도 없는 소리를 하는 것을 싫어한다.[* [[https://www.psychologyjunkie.com/2015/09/17/the-childhood-struggles-of-every-myers-briggs-type/|#]]][*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이 건강하게 발달된 경우,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노코멘트를 시전하기도 한다.] === 통계 및 여담 === * 테스트별 별칭은 다음과 같다. ||<-2> '''[[MBTI|{{{#373a3c,#dddddd MBTI}}}]]''' ||<-2> '''[[16Personalities|{{{#373a3c,#dddddd 16Personalities}}}]]''' || || 영 || 논리적인 실용주의자[br]{{{#gray {{{-2 The Logical Pragmatist}}}}}} || 영 || 거장 {{{#gray {{{-2 Virtuoso}}}}}}[* 주로 음악 분야의 명연주자 등에서 사용하는 단어인데 장인 정신을 의미하는 [[뉘앙스]]로 해석 가능하다. [[비르투오소]]를 참조할 것.] || || 한 || 백과사전형 || 한 || 장인 || ||<-4> '''[[TRUITY|{{{#373a3c,#dddddd TRUITY}}}]]''' || ||<-4> 공예가 {{{#gray {{{-2 The Craftsman}}}}}} || * 다음은 테스트 참여도에 따른 [[인구]] 통계를 추론한 것이다. ('''평균 배분율'''은 100{{{-2 {{{#888 (%)}}}}}}을 16으로 나눈 '''6.25'''{{{-2 {{{#888 (%)}}}}}}임.) ||<-3> '''대한민국''' ||<-2> '''세계''' || ||<-2> [[16Personalities|{{{#352508,#f7e7cb '''16Personalities'''}}}]][* [include(틀:16 Personalities 인구 비율/대한민국)] ][* 다만 16Personalities 통계는 중복검사를 반영하지 않은 자료라 정확한 인구수 추정에는 큰 의미가 없다. 중복검사를 반영하는 거의 모든 국가 통계에서 [[ISTJ]], [[ISFJ]], [[ESTJ]]가 가장 많은 인구수를 차지하며 애초에 특정 IN 유형이 8프로를 넘는 경우 자체가 일본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이는 가장 많은 표본을 가진 미국 역시 마찬가지다. 나라마다 각 유형별 분포차이가 있지만 아주 큰 차이는 아니다. 그러나 16Personalities 통계를 중복검사를 반영한 여러 국가들의 통계와 비교해보면 한국이 혼자 외계행성이여야만 가능한 극심한 차이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1위에 있는 [[INFP]]와 2위에 있는 [[ENFP]]는 그만큼 중복검사를 많이하는 유형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전체적으로 NF유형이 성격검사에 관심이 많은 편이며,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유형에 속하는 [[INFJ]]와 [[ENFJ]]가 저 통계에서 각각 8위와 9위로 잡힌 것 역시 중복검사의 영향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는 거의 항상 인구수 1위부터 3위 사이에 위치하는 [[ISTJ]], [[ESTJ]] 가 한국에서만 5프로 이하라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애초에 MBTI별 인구수에는 세계적인 경향성이 있다. N이 S보다 적고, 근면성실하고 룰을 따르는 것에 민감하여 사회의 중추를 유지하게되는 [[ISTJ]], [[ISFJ]], [[ESTJ]] 유형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 ][* 16Personalities 통계가 최신 통계이니 정확하고 국내 MBTI연구소 등 다른 통계는 10년 전 통계이니 부정확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상식적으로 후천적 영향만큼 DNA풀의 영향도 큰 성격이 10년만에 대규모 세대교체되고, 그것도 인구 대교체 수준으로 폭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그렇고 외국도 그렇고 성격과 관련된 인구분포 통계는 그정도로 쉽게 요동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통계는 유형별로 MBTI 검사를 받은 횟수의 총합 순위를 나타내는 수치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인구수 추정에는 16Personalities 통계보다는 차라리 MBTI연구소 통계 자료가 훨씬 더 정확하다고 보는 것이 옳다. ] || [[https://www.career4u.net/ResourceCenter/ResourceCenter_View.asp?Seq=8500&nowPage=1&Board_Cd=A036|{{{#448b01,#b1d223 '''어세스타'''}}}[br]{{{-2 {{{#fff 한국인 (2012~2021)}}}}}}]] ||<-2> [[TRUITY|{{{#c4933b,#f4e9e2 '''TRUITY'''}}}]] || ||<-2> '''{{{+1 3.11%}}}''' {{{#e2a942,#f7e7cb ('''14'''위)}}} ||<|3> '''{{{+1 4.08%}}}''' {{{#448b01,#b1d223 ('''10'''위)}}} ||<-2> '''{{{+1 5%}}}''' || ||<|3> 1.79%[br]{{{-2 (Turbulent) }}} ||<|3> 1.32%[br]{{{-2 (Assertive) }}} || 9%[br]{{{-2 (남성) }}} || 2%[br]{{{-2 (여성) }}} || * [[에니어그램]]의 경우 '''[[5번(에니어그램)]]''' 유형이 48.72%로 가장 높았으며 그중 '''[[5번(에니어그램)#s-6.2|5w6]]'''(해결사) 유형이 69%로 다수를 차지하고 5w4(인습타파주의자) 유형이 31%를 차지했다. [[https://thoughtcatalog.com/heidi-priebe/2016/01/mbti-and-the-enneagram-2/3/|출처]] * 개인적인 성향 중 그들은 <[[비판]]적인, 냉철한, 방어적인, 독립적인, 자원이 넘치는[* '자원이 넘치는'이라 함은 영단어 '''resourceful'''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데, 구글 검색 등에서 resourceful meaning이라고 검색하거나 영영사전 등을 찾아보면 실제 의미는 '''단순히 (물리적인) 자원이 넘친다는 뜻이 아니다.''' 케임브리지 대학 사전을 예를 들면 'Skilled at solving problems and making decisions on your own'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쉽게 말해 '''똑똑한''' 내지는 '''문제 해결에 능한'''이라는 뜻이다. 어찌보면 외적, 내적으로 가진 '자원'이 많아서 쉽고 똑똑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이 넘치는'이라고 해도 아주 틀린 의미는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TR] * 논리적이고 [[이성(철학)|이성]]적인 동시에 행동력이 뛰어나고 터프하기에 [[Badass]] 캐릭터의 경우 ISTP인 경우가 많다.[* [[https://www.personalitycafe.com/threads/the-most-badass-type.24605/|설문조사 예시1]][[https://www.personality-database.com/profile/54921/badass-people-traits-qualities-and-emotions-mbti-personality-type|2]].] 실제로 [[창작물]]에 등장하는 어지간한 [[Badass]] 캐릭터는 ESTP 아니면 ISTP이다. * 세계기준 16유형중 15위로 매우 적은 유형인데 반해,[* 한국에서도 2021년 기준으로 14위의 비율] 성비는 남성비율이 75%로 16유형중 남성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이다. [[https://platanus9390.tistory.com/241|출처]] * [[다크 히어로]], [[안티 히어로]] 성격으로 자주 설정된다. 반대로 [[판타지]] 등에 흔히 나오는 [[용사(판타지 용어)|용사]]나 백마 탄 [[왕자]] 캐릭터는 반대 유형인 [[ENFJ]]가 자주 설정된다. * [[모터사이클]], [[스카이다이빙]], [[트라이애슬론]] 등의 [[익스트림 스포츠]]를 가장 즐기는 유형 중 하나이다. * [[법]] 집행 및 [[기술]], [[무역]], [[군사]] 직종에서 흔히 발견된다. * 평균 [[지능 지수|지능 지수(IQ)]]가 16유형 중 9위이고,[* 감각형(S) 중에서는 1위.][* IQ의 경우 대체로 I, T가 우세이고 N은 S에 비해 사실상의 절대 우세다.] 평균 학업 성취도는 11위이다. * xSxP 중에 [[수학]] 성적(학업성취도)이 안 좋은 사람들은 ‘학습목표를 장기와 단기로 나누어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된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937|강윤수. (2020).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수학교육 논문집, 34(3), 299-324.]]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단기 학습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성찰노트)이나 수학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근거를 제시하는 수학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 == 타 유형과의 관계 == === TRUITY의 설명 === === 사회인격학 === || '''◎ 이 문단에서 {{{#red 유의할 점}}}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기존의 [include(틀:사회인격학 주의사항)]이 삭제되면서, 소시오닉스 이론에 대한 주의사항을 문단 내에 서술하기로 한 편집지침[[https://namu.wiki/thread/ObnoxiousTellingLyingParty]]이 위배된 상황입니다. ## 이에 따라 틀의 내용을 가져와 문서 내에 삽입했으나, 근본적으로 소시오닉스 이론이 가진 논란이나 신빙성 문제를 감안하면 해당 이론이 MBTI 문서에 서술되는 것 자체가 적합한지에 대한 토론이 다시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사회인격학'''[*SO] 이론은 각 유형의 심리 기능의 위계만으로 관계를 분석한 이론이며,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이론에 기반한 내용(특히 좋은 관계/나쁜 관계 등에 대한 서술)은 실제 인간관계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함. * 이미 '''해당 이론 자체에 많은 논란'''이 있으며, 같은 성격 유형 내에서도 심리 기능의 위계는 천차만별이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어떠한 인간관계를 성격 유형만으로 점치는 행위는 관계에 대해 노력하지 않거나 시작도 하기 전에 포기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함.[* 실제 인간관계는 성격만으로 결정되는 것도 아닐 뿐더러 영향을 끼치는 변수가 셀 수 없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도 있구나' 정도로만 받아들이기 바람.]}}} }}} || 사회인격학의 쿼드라 그룹 모형으로는 Beta 그룹에 속한다. 해당 접근 방법에 의하면 MBTI식 기준으로 [[ENFJ]], [[ESTP]], [[INFJ]]인 사람과 집단을 형성했을 때 가장 큰 심리적 편안함을 느낀다.[*주의사항 '사회학'과 'MBTI'는 J-P의 어떠한 차이를 구분하고 있다. 쿼드라 모형에서의 J와 P는 각각 판단(J)과 인식(P)을 의미한다. MBTI에서는 J-P가 J('''외향적''' 판단)과 P('''외향적''' 인식)을 의미한다. 난해함을 막기 위해 나무위키에서는 MBTI로 변환한 결과를 기재하였다.] 사회인격학의 갈등 관계(Conflict, Conflicting Relations) 분석에서, 가장 상극인 MBTI 유형은 [[ENFP]](MBTI식 지표)이다.[* [[https://www.sociotype.com/socionics/quadras/Beta|#]]] === 연애 스타일 === [[https://mbti.f5game.co.kr/complete?type=ISTP|출처]] >상황 파악 능력과 손재주가 좋은 ISTP 유형의 사람들은 타인과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려워하는 편입니다. 이들은 새로운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오래된 인연을 아끼고 가꾸는 타입입니다. 좁고 깊은 인간관계를 유지해가며 내 사람에게 잘하는 편입니다. ISTP는 혼자 시간을 보낼 자유를 중시하며, 취미나 관심사가 같은 연인을 선호합니다. 운동 등의 동적인 데이트를 즐기기보다는 함께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연애를 좋아합니다. ISTP는 애정 표현을 잘 못해서 무뚝뚝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속이 깊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 보완해야 할 점 == ||<-2> '''TRUITY에서 제시한 ISTP의 장단점(개선 사항) 키워드''' || || '''{{{#red +}}}''' || 낙관적이고 활기찬, 실용적인, 즉흥적이고 합리적인, 위기상황에서 훌륭,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을 이해 || || '''{{{#blue -}}}''' || 개인적이고 내성적인, 위험한 행동, 무감각한, 쉽게 지루함, 싫은 약속 || * 계획을 세우고 바라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인내심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 편리 추구 및 노력 절약 경향이 지나칠 수 있으므로, 열성과 적극성을 키워야 한다. * 느낌이나 감정, 타인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기 어려워할 때가 많다. 그러므로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느낌이나 생각, 정보, 계획을 개방하고 타인과 나누는 노력이 필요하다. * 표정이 차갑게 보일 수 있으므로 표정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필요하다. * 가끔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STP/relationships|#]]] == 능력 발휘 분야 == * 엔지니어 직종 대부분 * 시스템 분석가 * 응급의학과 의사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소프트웨어 개발자 * 공학자 * 경제학자 * 예산 분석가 * 과학자[* 이론 정리보다는 현상 파악에 적합하다.] * 경찰관 * 사설탐정 * 항공기 조종사 * 항공교통관제사 * 철도기관사 * 사진작가 == 커뮤니티 == * [[http://gall.dcinside.com/istp|디시인사이드 갤러리/ISTP 마이너 갤러리]] == ISTP 인물 ==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3|나무위키 기본방침 규정]]에 따라 '__해당 인물 문서의 프로필 및 여담 참조.__'와 같은 식으로 다른 문서의 내용이 있었다는 사유만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s-2.2|나무위키 편집지침 규정]]에 따라 '__명확한 외부 링크가 없어 근거 확인이 어려운 서술__'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 || === 정치인 === * [[용혜인]]([[제21대 국회의원]]) [[https://youtu.be/alG7huJANT0|출처]] === 체육인 === * [[강소휘]](배구선수)◆ [[https://www.instagram.com/p/CB0fW5uFKpp/?igshid=1qehvrd2hpim4|출처]] * [[김도영(2003)|김도영]](야구선수) [[https://youtu.be/PeGWekE_L0s|출처]] * [[송교창]](농구선수) [[https://youtu.be/w6vYjIEVjMA|출처]] * [[윤성빈(스켈레톤)|윤성빈]](스켈레톤 선수) [[https://youtu.be/1M06x9CJLi4?t=102|출처]] * [[오상욱]](펜싱선수) [[https://youtu.be/dYBGyld7Sj8?si=dOa8dStUMkPkqDm2|출처]] * [[오원석]](야구선수) [[https://www.youtube.com/watch?v=3R4bdWHePbg|출처]] * [[이정현(1999)|이정현]](농구선수) [[https://youtu.be/VksGkGP-_lM|출처]] *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야구선수) [[https://www.youtube.com/watch?v=FWDaMLZ92nY|출처]] === 연예인 === * [[곽시양]]※ [[https://www.instagram.com/siyang87k/p/CQdiXGGjtqF/?utm_medium=copy_link|출처]] * [[권진아]] [[https://youtu.be/kILOzsScgq0|출처]] * [[금조(가수)|금조]]([[나인뮤지스]], [[나인뮤지스A]])※ [[https://youtu.be/z_zET--pzhU|출처]] * [[김성규(인피니트)|김성규]]([[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https://tv.naver.com/v/13825458|출처]] * [[김채원(LE SSERAFIM)|김채원]]([[LE SSERAFIM]]) [[https://youtu.be/Bb5MQvoX5C4|출처]] * [[고윤정]] [[https://youtu.be/0y8og5BqNh4|출처]] * [[공유빈]] [[https://twitter.com/NakyoungFrance/status/1590399172901212161?s=20&t=g9UwR8E-3-5CUsnRFZFIog|출처]] * [[나연]]([[TWICE]]) [[https://www.youtube.com/watch?v=1eYQXLIf6d0&feature=youtu.be|출처]] * [[미나(TWICE)|미나]]([[TWICE]]) [[https://youtu.be/gb_bMJACl1o?si=u2RDRGPVPQ2_gopu|출처]] * [[덱스(유튜버)|덱스]] [[https://youtu.be/ZyXAIGPyc1w|출처]] * [[민영(브브걸)|민영]]([[브브걸]]) [[https://youtu.be/xykex_dDynE?t=554|출처]] * [[민희]]([[CRAVITY]])[[https://www.vlive.tv/video/291989|출처]] * [[박명수]] [[https://tv.naver.com/v/13835806|출처]] - ISTP의 워낙 상징적인 연예인으로 유명해서 ISTP 밈으로 검색하면 박명수 사진이 우르르 나올 정도다. 박명수 특유의 [[4차원]]적인 면모나 아무말, 내향적 성격, 급발진, [[츤데레]] 등이 ISTP와 잘 어울린다는 말이 많다. * [[배진영]] [[https://www.vlive.tv/video/244384|출처]][[https://youtu.be/0cDnx3cf4VE|출처]] * [[사토 타케루]] [[https://youtu.be/2QcwBq-jG7o?t=307|출처]] * [[성민(CRAVITY)|성민]]([[CRAVITY]]) [[https://twitter.com/m_801ahn/status/1550398961034428417?s=19|출처]] * [[소희(RIIZE)|소희]]([[RIIZE]]) [[https://youtu.be/FHkbdmdGrFE|출처]] * [[슈가(방탄소년단)|슈가]]([[방탄소년단]]) [[https://namu.wiki/w/슈가%28방탄소년단%29|출처]] * [[안유진]]([[IVE]]) [[https://www.vlive.tv/post/1-25586404|출처]] * [[양준모]] [[https://m.blog.naver.com/allthat_art/222899437294|출처]] * [[우빈]]([[CRAVITY]])[[https://twitter.com/KimbbangS2/status/1568480984148115461?s=20|출처]] * [[유빈]]([[원더걸스]]) [[https://www.anewsa.com/detail.php?number=2132615&thread=07|출처]] * [[유지애]] * [[윤여정]] [[https://youtu.be/csuCT6OtAZw|출처]] * [[은석]]([[RIIZE]]) [[https://youtu.be/FHkbdmdGrFE|출처]] * [[은지원]] [[https://m.vlive.tv/video/208912|출처]] * [[은하(VIVIZ)|은하]] [[https://twitter.com/springB63/status/1249026418802999296|출처]] * [[이종화]] [[https://youtu.be/--orlQhZEUE?t=579|출처]] * [[장규리]] [[https://youtu.be/3RI7hqHjNEk|출처]] * [[전도염]] [[https://youtu.be/Ay1ff0ZUm90?t=317|출처]] * [[전우성]] [[https://youtu.be/myfYieMRhLQ|출처]] * [[정해인]] [[https://youtube.com/watch?v=ey2dRx7nC7c&si=-5BF4evgX_SKYXWl|출처]] * [[조유리]] [[https://www.youtube.com/watch?t=60&v=qJbY-JafVM4&feature=youtu.be|출처]] * [[주우재]]◆ [[https://youtu.be/j01xmAUliRg|출처]] * [[지수(BLACKPINK)|지수]]([[BLACKPINK]]) [[https://youtu.be/SxLvoNxi8Zo|출처]] * [[최소라]]([[모델]]) [[https://namu.wiki/w/%EC%B5%9C%EC%86%8C%EB%9D%BC|출처]] * [[채원빈]] [[https://outerkorea.com/47/?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4020403&t=board|출처]] * [[케이타]]([[EVNNE]]) * [[타케나카 유메키]] [[https://www.instagram.com/p/Cg3rtBLhCfg/?igshid=ZjA0NjI3M2I=|출처]] * [[하석진]]◆[[https://www.youtube.com/watch?v=j_01bhBd8O4&t=520s|출처]] * [[한(Stray Kids)|한]]([[Stray Kids]]) [[https://twitter.com/weeklyidol_/status/1430712176885387269?s=21|출처]] * [[한혜진]]([[모델]]) [[https://namu.wiki/w/한혜진%28모델%29|출처]] * [[해원]] [[https://youtu.be/4dymlCcWyXU|출처]] * [[혜주(Loossemble)|혜주]]([[Loossemble]]) [[https://youtu.be/byfCJCo8UQw|출처]] * [[홍진경]]※ [[https://youtu.be/YhsIseusZlE|출처]] * [[환웅(원어스)|환웅]]◆ [[https://www.youtube.com/watch?v=PYOMcfXGrMs|출처]] * [[휴닝카이]] [[https://namu.wiki/w/%ED%9C%B4%EB%8B%9D%EC%B9%B4%EC%9D%B4|출처]] === 인터넷 방송인 === * [[가우르 구라]] [[https://www.youtube.com/watch?v=7h9KZwlChlY|출처]] * [[강지]] [[https://twitter.com/GANGZIIII/status/1547096712598065152?t=Yg0vHjIa1REIPpLidkHgVw&s=19|출처]] * 금화 [[https://youtu.be/ypsD_o5s9hI|출처]] * [[꽃자]] [[https://youtu.be/bApUY9yLIaA|출처]] * [[눈꽃(인터넷 방송인)|눈꽃]] [[https://youtu.be/Yj6dha5bn10|출처]] * [[배돈]] [[https://www.twitch.tv/videos/720847709|출처]] * [[살인마협회장]] [[https://www.youtube.com/watch?v=ANXNLpzFjC0|출처]] * [[소람잉]] [[https://www.youtube.com/watch?v=dAoroC8HOgc|출처]] * [[수담]] [[https://youtu.be/qRsX9Bon73A|출처]] * [[수탉(인터넷 방송인)|수탉]] [[https://youtu.be/RI7y0JDpUn8|출처]] * 승냥이 [[https://youtu.be/qqoV7iDHRBQ|출처]] * [[우주하마]] [[https://youtu.be/klnLVgaDRvE|출처]] * [[유우양]] [[https://www.youtube.com/watch?v=IivSsPpBick|출처]] * [[유혜주]] [[https://youtu.be/WgCjn3YjPt0|출처]] * [[조강현]] [[https://www.twitch.tv/videos/1106627674?t=04h31m22s|출처]] * [[지여닝]] [[https://instagram.com/delay_1994?igshid=1ecygn1djy071|출처]] * [[청묘]] [[https://www.youtube.com/watch?v=dAoroC8HOgc|출처]] * [[쵸키]] [[https://youtu.be/Srs-z7W6zAg|출처]] * 햅번 [[https://youtu.be/Q851wvICg8I|출처]] * [[JUNE]] [[https://www.youtube.com/watch?v=lIQ2NIoP5jA|출처]] * [[Veiled 베일드]] [[https://youtu.be/n0UTdzKSkZU?t=1513|출처]] === 프로게이머 === *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instagram.com/p/Cm0rgdluL9m/?utm_source=ig_embed&ig_rid=2445b7c4-2a8b-4ac5-ba64-14b2e90bc5ab|출처]] * [[김광희]](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dqGw6RJne54&t=181s|출처]] * [[도재욱]](스타크래프트) [[https://vod.afreecatv.com/player/89049663|출처]] * [[류제홍]](오버워치) [[https://www.youtube.com/watch?v=dAoroC8HOgc|출처]] * [[서대길]](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PRM8hvmpnnQ|출처]] * [[성연준]](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EcyxB78shQc|출처]] * [[유수혁]](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dqGw6RJne54&t=181s|출처]] *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스타크래프트) [[https://youtu.be/hC1U5R3hLuk|출처]] * [[이상혁]](리그 오브 레전드) [[https://twitter.com/s2FAKER/status/1518435213604401153|출처]] * [[이성진(프로게이머)|이성진]](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dAoroC8HOgc|출처]] * [[이주한(프로게이머)|이주한]](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dqGw6RJne54&t=181s|출처]] * [[이재원(1998)|이재원]](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EcyxB78shQc|출처]] * [[장윤철]](스타크래프트) [[https://www.youtube.com/watch?v=gLggFGyAQcU|출처]] * [[조건희]](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youtube.com/watch?v=dqGw6RJne54&t=181s|출처]] * [[정윤종]](스타크래프트2) [[http://vod.afreecatv.com/PLAYER/STATION/58337730|출처]] * [[진성준(프로게이머)|진성준]](리그 오브 레전드) [[https://www.fmkorea.com/5479427555|출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FP, version=3069, title2=ISFP, version2=1759)] [[분류:16가지 성격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