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래픽 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em; 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000000, #fff )" {{{+3 '''INKSCAPE'''}}}[br]잉크스케이프}}} || ||<-2> [[파일:Inkscape 로고.svg|width=100%]] || || {{{#000000,#FFFFFF '''개발'''}}} {{{#000000,#FFFFFF '''서비스'''}}} ||The Inkscape Team || || {{{#000000,#FFFFFF '''용도'''}}} ||[[SVG]] 벡터 이미지 편집 || || {{{#000000,#FFFFFF '''최신버전'''}}} ||1.22 || || {{{#000000,#FFFFFF '''라이선스'''}}}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2]] || || {{{#000000,#FFFFFF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Linux|[[파일:Linux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Linux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2> {{{#000,#e5e5e5 [[https://inkscape.org/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nkscape)] | [[https://mastodon.art/@inkscape|[[파일:마스토돈(SNS) 아이콘.svg|width=24]]]]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3년]] 출시된 [[오픈소스]]계의 가장 대표적인 [[자유 소프트웨어]] [[벡터]] 에디터. [[W3C]]의 표준 [[벡터 그래픽]] 포맷인 [[SVG]]를 네이티브로 공식 지원한다. 타일 클론 기능 등 복잡한 패턴을 만들기 위한 기본 기능도 충분하며, [[태블릿]] 필압 인식 등 벡터 프리드로잉에도 호환된다.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대체 가능하며, SVG를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오픈소스 툴 사이에서는 가장 강력한 툴이다. 무료 프로그램중 [[리브레오피스]] Draw보다 전문적인 벡터 툴을 갖추고 있다. 벡터 그래픽 툴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나 [[Affinity Designer]]보다 사용법이 쉽다고 할수 있으며 상용 프로그램 못지않게 강력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어도비 플래시]]의 지원이 완전히 중단된 현 시점에서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벡터 그래픽 포맷이 SVG가 유일하므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려는 사람은 한번쯤 사용해볼 것을 권한다. [[유튜브]]에 잉크스케이프 강좌가 풍부하다.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inkscape|Inkscape로 검색]]해보자. == 특징 == 잉크스케이프의 기본 [[SVG]] 포맷은 [[벡터 그래픽]] 포맷이기 때문에 확대/축소를 아무리 해도 깨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svg로 올라가 있는 그림은 [[A4]]로 그냥 인쇄해도 깔끔하게 인쇄돼 나온다. 그리고 .svg 포맷은 [[W3C]]의 표준 벡터 그래픽 포맷이기 때문에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의 .ai 포맷과 다르게 [[HTML5]]를 제대로 지원하는 브라우저라면 파일 변환 없이 바로 읽어들일 수 있다. 다만 .ai같은 별도의 프로젝트 파일이 존재하는 일러스트레이터와는 다르게, 잉크스케이프는 svg파일 자체를 그냥 프로젝트로 사용한다. 따라서 잉크스케이프로 생성하고 작업한 svg파일에는 수십~수백줄의 [[XML]] 메타데이터가 들어가 용량이 커지고, 그대로 인쇄하면 페이지뷰와의 크기 오차로 인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 svg파일이나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내보낸 svg파일을 열면 잉크스케이프에서 깨져 보인다고 호환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사실 svg자체는 이미지 포맷이며, 프로젝트(레이어 등)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잉크스케이프는 독립적인 메타데이터를 사용해 이를 구현하는 것일 뿐이다.] 이는 일러스트레이터는 프로젝트 파일과는 별도로 svg파일 익스포트를 지원하는 것과 대조된다. 따라서 완전히 svg로 렌더링된 결과를 뽑아내기 위해선 저장 옵션 중 plain svg로 저장하거나 (웹 등에서) 용량까지 줄이고 싶다면 별도의 svg minifier가 필요하다. == 기타 == [[오픈소스]] 그래픽 툴로, [[Blender|블렌더]], [[GIMP|김프]]와 같이 3종 세트로 묶인다. 특히 잉크스케이프와 GIMP는 어도비 제품군의 일러스트레이터와 포토샵과 대립 구도를 세우고 있다. [[리눅스]] 버전이 [[Microsoft Windows|윈도우]] 보다 안정적이다. 윈도우 버전에서는 과거 GTK와 문제가 있었다. 특히 1.0 이전이었던 0.92.4까지만 해도 윈도우에서는 불안정 했다. 특히 객체가 많은 문서에서 전체 선택 시에 크래시 문제[* 다행히 내문서 폴더에 백업 파일을 자동 생성한 뒤 크래시되었다]나, 수치 상자 편집 불가능 문제 등 문제가 있었으나, 다행히 이 문제는 잉크스케이프가 1.0으로 버전업하면서 동시에 GTK3을 사용하게 되어 해결되었다. 타블렛의 필압 감지를 지원하기는 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면 데이터량이 급증하는 문제가 있다. 그냥 화면에 점만 찍으면 되는 [[포토샵]] 같은 [[비트맵]] 에디터와 달리 불규칙한 그 선을 아웃라인으로 그리기 때문. [[오픈소스]] 그래픽 프로그램답지 않게 인터페이스는 공을 들인 편이다. 도구들의 [[단축키]]가 F1, F2, F3...처럼 이어져있는 식으로[* [[알파벳]] 약어 방식의 단축키도 사용 가능]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거나, 도구 모음이나 여러 버튼이 캔버스 영역을 최대한 많이 보이도록 배치되어있는 등 인터페이스 개선에 꽤나 노력을 기울이는 편으로 보인다.[* 잉크스케이프 위키의 [[http://wiki.inkscape.org/wiki/index.php/Developer_manual#Implementing_User_Interface_Changes|이런 문서]]나 [[http://wiki.inkscape.org/wiki/index.php/UI_improvements|이런 문서]] 참고.][* 하지만 현재 대형 디스플레이가 보급이 많이 되었고, 최대한 많이 보이도록 하는 것보다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게 더 중요하다.] 잉크스케이프는 SVG 표준을 완전하게 구현하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라는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http://wiki.inkscape.org/wiki/index.php/FAQ#How_did_Inkscape_start.3F]]]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들만 사용한다면 굳이 일러스트레이터를 쓸 필요 없이 잉크스케이프만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다만 자신이 SVG 표준에 없는 고급 기능[* 예를 들어 Defussion curve의 경우 아직 SVG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는다. SVG 2 표준안이 채택되면 아마 지원될 듯.]이나 잉크스케이프에 없는 편의기능들을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전문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일러스트레이터나 비트맵 드로잉을 함께 지원하는 Affinity Designer 등을 알아보아야 한다. == 여담 == 잉크스케이프에서 제대로 지원을 못 하고 있긴 하지만 사실 .svg 포맷은 [[애니메이션]] 기능도 있다.[* [[:파일:2021년 G7 콘월 정상회담.svg|이 파일]]이 대표적인 예시. 만약 움직이지 않는다면 해당 파일을 사용하는 문서에서 확인해보자.]다만 현재 상황은 그 모든 애니메이션을 코드로 작성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잉크스케이프 제작자들이 Synfig studio 제작자들과 협업해서 'svg import' 기능을 [[Synfig]]에 넣고있다.[* 다만 Synfig 자체도 인터랙티브한 플래시 같은 툴이 아니라 2D 애니메이션용으로 개발된 툴이라 미흡하다.] [[Linux|리눅스]]의 [[아이콘]]은 [[Microsoft Windows|윈도우]]와 다르게 [[비트맵]] 이미지가 아닌 벡터 이미지로 저장되는데, 저장 형식이 .svg 포맷이다. 때문에 아이콘을 편집하려면 잉크스케이프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Pling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디자인의 아이콘 테마들을 찾아볼 수 있다. == 릴리즈 노트 == 잉크스케이프의 전신인 Sodipodi프로젝트는 로리스 카플린스키(Lauris Kaplinski)가 시작했으며 이것은 또한 페데리코 메나(Federico Mena) 및 라프 레비엔(Raph Levien)의 GILL(Gnome Illustrator)프로젝트에 기반해서 진행됐었다. 로리스 카플린스키(Lauris Kaplinski)와 프랭크 펠프(Frank Felfe)는 GILL의 캔버스 프로그램에 [[베지어 경로]] 객체 클래스를 구현하는 개발로부터 시작했다고 알려져있다. 로리스 카플린스키(Lauris Kaplinski)는 W3C SVG를 기본 파일 형식으로 선택한 최초의 목표에 대해서 이는 GILL(Gnome Illustrator)프로젝트에 영감받았음을 확신한바 있다. [* [[http://linux.omnipotent.net/article.php?article_id=12529]]] Sodipodi프로젝트는 1999년을 기점으로 0.17버전을 공개한바있다. [* (sourceforge) Sodipodi프로젝트 웹사이트[[https://sourceforge.net/projects/sodipodi/]]] 그후 2004년 잉크스케이프(Inkscape)가 Sodipodi프로젝트로부터 포크되었다. [* Inkscape위키 ,Inkscape History[[https://wiki.inkscape.org/wiki/InkscapeHistory]]] 2020년에 드디어 정식 안정 버전 1.0이 공개되었다. || '''주요 릴리즈 노트'''(Release Notes)[* 잉크스케이프 Release Notes[[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dev/?latest=1]]] || || 잉크스케이프(Inkscape)0.37버전 - 2004년 2월 10일: Sodipodi 0.34으로부터 포크 || || 잉크스케이프(Inkscape) 0.40 -2004-11-28 || || 잉크스케이프 0.45.1 - 2007 [* 잉크스케이프 0.91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0.45.1/?latest=1]]] || || 잉크스케이프 0.48 - 2010 [* 잉크스케이프 0.48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0.48/?latest=1]]] || || 잉크스케이프 0.91 - 2015 [* 잉크스케이프 0.91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0.91/?latest=1]]] || || 잉크스케이프 1.0.2 - 2020 [* 잉크스케이프 1.0.2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1.0/?latest=1]]] || || 잉크스케이프 1.1.2 - 2021 [* 잉크스케이프 1.1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1.1/?latest=1]]] || || 잉크스케이프 1.2 - 2022 [* 잉크스케이프 1.2 [[https://inkscape.org/release/inkscape-1.2/?latest=1]]] || == 환경설정 == 환경설정으로 알려진 프리퍼런스(preference)는 툴(tools), 인터페이스(Interface), 작동동작(Behavior), 입출력(Input/Output),시스템(system)등으로 분류되어있으며 특히 렌더링(Rendering)같은 특수 환경설정을 기호나 취향에따라 반영할수있도록 커스터마이징할수있는 다이얼로그 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냅(snapping)은 작동동작(Behavior) 하위 메뉴에서 별도로 조절할수있다. 잉크스케이프1.2에서는 빠른 스냅핑 접근 및 컨트롤을 위한 버튼이 상단 툴박스 오른쪽끝에 추가되었다. 토글 버튼도 추가되었다. [* 잉크스케이프1.2 기준 (1번째 경로) Edit > preference > Behavior > snapping 또는 (2번째 경로) File > Document Properties...> preference > Behavior > snapping.] 테블릿 드로윙을 위한 장치 연결은 Edit(편집) 메뉴바에 있는 장치연결(Input Devices)을 통해서 설정할수있다. == 드로윙 ==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그래픽 예시 || [[파일:typography_n.svg|width=400px]] || || 폰트 영어 알파벳 소문자 n의 구현 || || 그리드 뷰에서 손쉽게 스냅되어 드로윙으로 그려지는 웨이브(wave) 곡선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F4DQerPSFE, width=100%)]}}} || == 폰트 == 오픈소스 계열의 폰트들을 기본(default)으로 지원하고 있다. 어센더 사(Ascender Corporation)의 리버레이션 폰트(Liberation fonts) 패밀리, URW의 URW 베이스24(URW base24) 글꼴 패밀리(font family) 등은 잘 알려져있는 잉크스케이프에서 사용하는 폰트들이다. == 단축키 == 잉크스케이프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대한 단축키를 제공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개인설정도 지원하고 있다. 더 나아가 default.xml 파일의 지침에 따라 사용자 정의 단축키를 만들고 사용자 정의 키보드 단축키 파일을 로드할 수도 있는 강력한 기능을 추가 제공하고 있다.[* 잉크스케이프 공식 문서 - 키보드와 마우스 단축키 [[https://inkscape.org/ko/doc/keys.html?switchlang=ko]]] == QR코드 == 확장기능(Extensions)으로는 줄무늬 [[바코드]](bar code)나 [[QR코드]]의 svg포맷 생성기를 내장하고 있다.[* 확장기능(Extensions)> 렌더(Render) > 바코드(Barcode).] 바코드는 13자리(EAN13+ Extensions) 이상도 지원하고 있다. [[분류:그래픽 툴]][[분류:나무위키 이미지 벡터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