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2> '''{{{#ffffff 2016 타이어뱅크 KBO 리그}}}''' || ||<-2> [[파일:2016 타이어뱅크 KBO 리그 엠블럼.svg|width=370]] || ||<-2> [[파일:타이어뱅크 KBO 리그 워드마크(2016~2017).svg|width=330]] || || '''{{{#ffffff 기간}}}''' || 2016년 4월 1일[* [[한국프로야구/2007년|2007년 시즌]] 이후 9년만에 평일에 개막한다.] ~ 2016년 11월 2일 || || '''{{{#ffffff 참가팀}}}''' ||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SK 와이번스]] [br]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kt wiz]] || || '''[[KBO 리그/역대 리그 스폰서|{{{#ffffff 스폰서}}}]]''' || [[파일:타이어뱅크 로고.svg|width=200]][br][[타이어뱅크]] || [목차] || [youtube(aUhlEYk2xkY)] || || 시즌 프로모션 영상 || || [youtube(eHyGuCfDkLI)] || || 800만 관중 기념 영상 || || [youtube(Z9pHOecoH8o)] || || 2016 시즌 감사 영상 || [clearfix] == 스토브 리그 == * 시즌 시작 전의 변경 사항만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시즌 중의 변경 사항은 아래 '2016 시즌' 부분에 적어주세요. * 2007년 이후 처음으로 '''개막전이 평일에 진행된다.''' 개막일은 [[2016년]] [[4월 1일]] 금요일로 확정되었으며 저녁 7시에 플레이볼이 된다. 개막 시리즈는 '''3연전'''으로 편성되며 [[4월 2일]]은 오후 5시, [[4월 3일]]은 오후 2시에 플레이볼 된다. * 2016시즌 시범경기는 종전 팀 당 14경기에서 18경기로 늘었다. 즉 모든 팀과 대결하게 된다. 정규시즌은 2015년과 동일한 방식으로 치뤄진다. 단 개막전이 3연전으로 편성됨에 따라 개막 2연전 당시 빠졌던 경기에 대한 추후 편성은 없게된다. * FA협상은 [[프리미어12]]로 인해 11월 22일로 연기되었다. * KBO 단일구가 도입됨에 따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226421&date=20151222&page=1|스카이라인 사의 AAK-100모델이 단일 공인구로 2년간 사용된다.]][* 퓨처스리그는 ILB사의 IA-100 모델을 사용한다.] *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aid=0000563507&oid=311&|홈플레이트 충돌 방지 규정]]이 신설 되었으며 [[심판 합의 판정제]]도 개정되었다. * FA 기간 중 원소속구단 우선협상기간이 폐지되었다.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239026|KBO, FA 원소속구단 우선협상기간 폐지-OSEN 기사]] === 코칭 스태프 변경 === ||<-2>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width=55]]]] || ||<-2> '''{{{#ffffff 두산 베어스 }}}'''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2군 감독 || [[공필성]] [br] (前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터넷고]] 코치) || || 수석 코치 || [[한용덕]] [br] (투수코치직과 병행) || || 잔류군 총괄코치 || [[유지훤]] [br] (수석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타격 코치 || [[송재박]] [br] (2군 감독에서 보직 변경) || || 1군 트레이닝 코치 || [[유태현]] [br] (前 SK 와이번스 1군 컨디셔닝 코치) || || 1군 트레이닝 코치 || 구자욱 [* 그 [[구자욱]] 아님] || ||<-2>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65]]]] || ||<-2> '''{{{#ffffff 삼성 라이온즈 }}}''' || || {{{#074ca1 직책 }}} || {{{#074ca1 이름 }}} || || 1군 불펜코치 || [[조진호(야구)|조진호]][br](3군 투수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수비코치 || [[김호(야구)|김호]][br](3군 수비코치에서 보직 변경) || || 3군 투수코치 || [[조규제]][br](前 KIA 전력분석원) || || 3군 수비코치 || 이윤효[br](前 경운중 감독) || ||<-2>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width=65]]]] || ||<-2> '''{{{#ffffff NC 다이노스}}}'''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 2군 투수 보조코치 || [[박명환]] [br] (선수 은퇴) || ||<-2>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width=55]]]] || ||<-2> '''{{{#ffffff 넥센 히어로즈}}}'''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1군 1루 주루코치 || [[강병식]] [br] (타격보조코치에서 보직 변경 ) || || 1군 3루 주루코치 || [[정수성]] [br] (1루 주루코치에서 보직 변경) || || 필드 코디네이터 || [[쉐인 스펜서]][* [[김병현]]의 MLB 관련 행적에 적혀진 그 타자 맞다.][br](前 서머셋 패트리어츠 코치) || || 투수 코디네이터 || [[브랜든 나이트(야구)|브랜든 나이트]] [br] (前 SK 와이번스 외국인 스카우트) || || 2군 배터리코치 || [[박도현(야구)|박도현]][br](前 넥센 히어로즈 포수) || || 육성군 투수코치 || [[정재복]][br](선수 은퇴) || || 육성군 내야수비코치 || [[조재영]][br](前 LG 트윈스 내야수) || || 투수 인스트럭터 || [[데럴 마데이]][br](前 고양 원더스 투수) || ||<-2>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 ||<-2> '''{{{#ffffff SK 와이번스}}}'''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 1군 수석코치 || [[김성갑]] [br] (前 화성 히어로즈 감독 ) || || 1군 투수코치 || [[조웅천]][br](2군 투수코치에서 보직 변경) || ||<|2> 1군 수비코치 || [[박진만]][br](선수 은퇴) || || 후쿠하라 미네오[br](前 한화 이글스 수비코치) || || 1군 작전·주루코치 || [[김인호(야구)|김인호]][br](前 kt wiz 2군 작전코치) || || 1군 배터리코치 || [[박경완]][br](육성총괄에서 보직 변경) || || 2군 감독 || [[김경기]][br](루키 타격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투수코치 || [[김상진(1970)|김상진]][br](재활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수비코치 || [[백재호]][br](1군 수비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작전·주루코치 || 이종호[br](前 부천고 감독) || || 2군 배터리코치 || [[장광호]][br](前 LG 트윈스 2군 배터리코치) || || 재활코치 || [[김경태(1975)|김경태]][br](1군 투수코치에서 보직 변경) || ||<-2>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width=55]]]] || ||<-2> {{{#ffffff '''한화 이글스''' }}}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1군 투수코치 || 고바야시 세이지[br](前 주니치 드래곤즈 투수코치) || || 1군 주루코치 || [[윤재국]][br](前 SK 와이번스 2군 주루코치 ) || || 1군 작전·주루코치 || 바바 토시후미 || || 1군 배터리코치 || 오키 야스시[br](前 kt wiz 1군 배터리코치) || || 2군 타격코치 || [[김응국]][br](前 롯데 자이언츠 1군 작전코치) || || 육성군 투수코치 || [[마일영]][br](선수 은퇴)[* 2015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었으며 시즌 후 선수 은퇴를 선언하고 코치로 복귀했다.] || ||<-2>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width=65]]]] || ||<-2> {{{#ffffff '''KIA 타이거즈''' }}}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1군 수비코치 || [[김창희(야구)|김창희]][br](2군 주루코치에서 보직 변경) || || 1군 체력코치 || [[유동훈]][br](3군 체력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수비코치 || [[김민호(1969)|김민호]][br](1군 수비코치에서 보직 변경) || || 2군 투수코치 || [[신동수(1966)|신동수]][br](1군 투수코치에서 보직 변경) || || 전력분석코치 || 박종하 || ||<-2>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 ||<-2> '''{{{#ffffff 롯데 자이언츠 }}}'''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1군 감독 || [[조원우(야구)|조원우]] [br] (前 SK 와이번스 수석코치) || || 1군 수석코치 || [[김태균(1971)|김태균]] [br] (前 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 || 1군 주루ᆞ작전코치 || [[최만호]] [br] (前 넥센 히어로즈 1군 주루코치) || || 1군 타격코치 || [[정보명]] [br] (前 상무 피닉스 야구단 수석ᆞ수비코치)[* 1군 타격 서브코치. [[장종훈]]코치는 유임.] || || 1군 트레이닝 코치 || 장재영 [br] (前 롯데 자이언츠 1군 트레이닝 코치)[* 2014 시즌 끝나고 사퇴했다가 복귀했다.] || || 2군 트레이닝 코치 || 이영준 [br] ( 前롯데 자이언츠 2군 트레이닝 코치)[* 2014 시즌 끝나고 사퇴했다가 복귀했다.] || || 2군 수비코치 || [[박정환(1977)|박정환]] [br] (前 SK 와이번스 2군 수비코치) || || 2군 타격코치 || [[훌리오 프랑코]][br](前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감독) || || 3군 투수코치 || [[진필중]][br](前 [[SPOTV]]해설위원) || || 2군 투수코치 ||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 [br] (선수은퇴) || ||<-2>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15~2016).svg|width=65]]]] || ||<-2> '''{{{#ffffff LG 트윈스}}}'''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 1군 벤치코치[* 수석코치에서 호칭 변경을 통해 분위기 쇄신을 꾀하고자 새로운 시도를 했다.] || 최정우 [br] (육성군 재활 및 사감코치에서 보직변경) || || 2군 배터리코치 || [[손상득]] [br] (前 삼성 라이온즈 잔류군 배터리코치) || || 피칭 아카데미 원장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br] (前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 || || 해외 스카우트 및 인스트럭터 || [[잭 한나한]] [br] (선수 은퇴) || ||<-2>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width=50]]]] || ||<-2> '''{{{#ffffff kt wiz}}}'''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 1군 타격코치 || [[채종범]][br](2군 타격코치에서 보직 변경) || || 투수 육성 총괄코치 || [[차명석]][br](前 LG 트윈스 수석코치) || || 2군 타격코치 || [[이영우]][br](前 한화 이글스 2군 타격코치) || || 2군 투수코치 || [[가득염]][br](前 두산 베어스 투수코치) || || 2군 수비코치 || [[김일경(야구)|김일경]] || || 2군 배터리코치 || [[김필중]][br](前 넥센 히어로즈 2군(화성 히어로즈) 배터리코치) || || 잔류군 투수코치 || [[이승학]][br](前 상무 피닉스 투수코치) || || 잔류군 야수코치 || [[신명철]][br](선수 은퇴) || === 트레이드 === * 정규시즌 개막 전(3월 31일 이전) 트레이드만 기재. 정규시즌 개막 후(4월 1일 이후) 트레이드는 [[KBO 리그/2016년#s-10.3|해당 목차]] 참조. ||<-5> [[2015년]] [[12월 18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SK 와이번스|SK]] || [[신현철(야구선수)|신현철]] || ↔ || 없음[* 현금 없이 무상으로 트레이드] || [[kt wiz|KT]] || ||<-5> [[2016년]] [[3월 22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삼성 라이온즈|삼성]] || [[채태인]] || ↔ || [[김대우(1988)|김대우]] || [[넥센 히어로즈|넥센]] || === 신규 영입 === * [[넥센 히어로즈]] : [[박윤]](내야수, 前 SK 와이번스), [[황덕균]](투수, 前 kt wiz) * [[SK 와이번스]] : [[이승호(1981)|이승호]](투수, 前 NC 다이노스) * [[한화 이글스]] : [[김원석(야구선수)|김원석]](외야수, 前 연천 미라클), [[윤중환]](외야수, 前 SK 와이번스), [[이재우]](투수, 前 두산 베어스) * [[KIA 타이거즈]] : [[임창용]] * [[롯데 자이언츠]] : [[최영환]](투수, 前 한화 이글스) * [[kt wiz]] : [[안정광]](내야수, 前 SK 와이번스), [[이희근]](포수, 前 한화 이글스) ==== 육성 선수 ==== * [[삼성 라이온즈]] : 김영덕(외야수, 포철고-영남대), [[안주형]](내야수, 부경고-영남대), [[안창하]](투수, 충암고-건국대), 전승현(내야수, 야탑고 졸--前 한화[* 취소선을 친 이유는 아래 각주 참고.]--) * [[NC 다이노스]] : [[도태훈]](내야수, 부산고-동의대), [[문성용]](포수, 부경고-건국대), 배건하(내야수, 前 두산 베어스), 서보민(외야수, 前 LG), [[이강혁]](내야수, 前 연천 미라클), [[이민준(1992)|이민준]](투수, 세광고-경남대), 이준우(투수, 효천고) * [[두산 베어스]] : 김관일(내야수, 청원고-홍익대), 이태민(투수, 선린인터넷고) * [[넥센 히어로즈]] : 김진건(투수, 공주고-홍익대), [[김종덕(야구선수)|김종덕]](포수, 상원고-연세대), 김태완(포수, 개성고-경남대), [[김홍빈(야구선수)|김홍빈]](투수, 동성고), 박근만(투수, 일본규슈산업대), 박경택(내야수, 서울고-동국대), [[박승주(야구선수)|박승주]](투수, 경기고-동국대), 배근용(투수, 제물포고), [[이동건(1993)|이동건]](포수, 광주일고-인하대), 조민성(외야수, 진흥고-원광대) * [[SK 와이번스]] : 없음 * [[한화 이글스]] : [[김인환]](내야수, 화순고-성균관대), 박기환(내야수, 대전고-경희대), 송찬혁(외야수, 광주일고-원광대), 오경우(내야수, 화순고-중앙대), 이용석(포수, 인천고-단국대), [[정경운]](내야수, 광주일고-성균관대), 장대한(외야수, 북일고-원광대) * [[KIA 타이거즈]] : 권유식(포수, 마산고-동의대), 김기웅(투수, 선린인터넷고-고려대), [[김성민(1997)|김성민]](내야수, 덕수고), [[문성우]](투수, 야탑고-인하대), 신윤철(투수, 상원고), [[유근상]](투수, 설악고-연세대), [[임창용]][* 선수 등록 마감일인 1월 30일을 지나 입단했기 때문에 규정상 육성선수 신분이다.](투수, 前 삼성 라이온즈), 조재형(내야수, 경기고-고려대), 최재원(포수, 화순고-동국대) * [[LG 트윈스]] : 없음 * [[롯데 자이언츠]] : 이예찬(내야수, 개성고), 이진영(포수, 배명고-송원대), 이준형(외야수, 대구고-고려대), 최승훈(내야수, 광주일고) * [[kt wiz]] : 김민우(투수, 효천고), 박상원(투수, 선린인터넷고-고려대), 우현규(투수, 진흥고-고려대), 이민욱(투수 인천고-인하대), 임성재(내야수, 북일고-단국대) === [[외국인 선수]] === * [[kt wiz]]는 2016년까지 신생팀 혜택을 받아서 다른 팀보다 1명 더 많은 4명 보유, 3명 출전이 가능하고, 기존 9개구단은 3명 보유, 2명 출전이 가능하다 * 괄호안에 작년대비 연봉 변동을 표기.(전년보다 연봉 상승시 ↑, 하락시 ↓, 작년에 리그에 없었던 선수는 - 로 표시한다. ) || '''{{{#white 팀명}}}'''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비고}}}''' || '''{{{#white 계약연봉}}}''' || ||<|4>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width=55]]]] || [[더스틴 니퍼트]] ||<|2> [[투수]] || 재계약 || 120만 달러(↓) || || [[마이클 보우덴]] ||<|2> 신규영입 || 65만 달러(-) || || [[닉 에반스]] || 내야수 || 55만 달러(-) || ||<-4>­|| ||<|4>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65]]]] || [[앨런 웹스터]] ||<|2> [[투수]] ||<|3> 신규영입 || 85만 달러(-) || || [[콜린 벨레스터]] || 50만 달러(-) || || [[아롬 발디리스]] || [[내야수]] || 95만 달러(-) || ||<-4>­|| ||<|4>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width=65]]]] || [[에릭 해커]] ||<|2> [[투수]] ||<|3> 재계약 || 90만 달러(↑) || || [[재크 스튜어트]] || 75만 달러(↑) || || [[에릭 테임즈]] || [[내야수]] || 150만 달러(↑) || ||<-4>­|| ||<|4>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width=55]]]] || [[라이언 피어밴드]] ||<|2> [[투수]] || 재계약 || 58만 달러(↑) || || [[로버트 코엘로]] ||<|2> 신규영입 || 55만 달러(-) || || [[대니 돈]] || 야수 || 75만 달러(-) || ||<-4>­|| ||<|4>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 [[메릴 켈리]] ||<|2> 투수 ||<|2> 재계약 || 75만 달러(↑) || || [[크리스 세든]] || 50만 달러(↑) || || [[헥터 고메즈]] || 내야수 || 신규영입 || 65만 달러(-) || ||<-4>­|| ||<|4>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width=55]]]] || [[에스밀 로저스]] || 투수 || 재계약 || 190만 달러(↑) || || [[알렉스 마에스트리]] || [[투수]] ||<|2> 신규영입 || 5천만 엔(-)[* 선수 본인이 연봉을 엔화로 받기를 원했다고 한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028403|#]]] || || [[윌린 로사리오]] || 내야수, 포수, 지명타자 || 130만 달러(-) || ||<-4>­|| ||<|4>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width=65]]]] || [[브렛 필]] || 내야수 || 재계약 || 90만 달러(↑) || || [[헥터 노에시]] ||<|2> 투수 ||<|2> 신규영입 || 170만 달러(-) || || [[지크 스프루일]] || 70만 달러(-) || ||<-4>­|| ||<|4>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 [[조쉬 린드블럼]] ||<|2> 투수 ||<|3> 재계약 || 120만 달러(↑) || || [[브룩스 레일리]] || 68만 달러(↑) || || [[짐 아두치]] || 외야수 || 78만 달러(↑) || ||<-4>­|| ||<|4>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15~2016).svg|width=65]]]] || [[헨리 소사]] || 투수 ||<|2> 재계약 || 90만 달러(↑) || || [[루이스 히메네스(1988)|루이스 히메네스]] || 내야수 || 80만 달러(↑) || || [[스캇 코프랜드]] || 투수 || 신규영입 || 75만 달러(-)??[* 토론토 측에서 이적료를 비공개 했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다.] || ||<-4>­|| ||<|4>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width=50]]]] || [[앤디 마르테]] || 내야수 || 재계약 || 85만 달러(↑) || || [[슈가 레이 마리몬]] ||<|3> 투수 ||<|3> 신규영입 ||<|2> 60만 달러(-) || || [[트래비스 밴와트]] || || [[요한 피노]] || 70만 달러(-) || === 방출 및 임의탈퇴 === * [[두산 베어스]] : 김경도, [[김수완]], 김종원, 박원빈, 서두원, 유창준, [[이재우]],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 조윤성, [[최형록(야구선수)|최형록]] * [[삼성 라이온즈]] : [[강봉규]], 권현규, 김건필, 김경모, 김민, 김민석, [[김재우(1987)|김재우]], 김준호, 김지훈, 배진선, 신영재, 이상학, 이승우, 이용욱, [[임창용]][* 2015년 말 징계를 받아 72경기 출장정지 상태다.][* KIA 타이거즈에 입단], 차희태, [[허승민]], 허정수, 홍유상 * [[NC 다이노스]] : 김민호, [[김성계]], 김지호, [[마낙길(야구)|마낙길]], [[문수호]], __[[박정준]]__, 박지원, [[변강득]], [[이승호(1981)|이승호]], 이찬우, [[이태원(야구선수)|이태원]], 장기훈, 장민호, 장혁진, 차화준 * [[넥센 히어로즈]] : [[박성훈(야구)|박성훈]], __[[백승룡]]__, [[안규성]], [[안태영(야구)|안태영]], 엄일준, 오무열, 유대한, 이재림, [[하해웅]], 허승혁[* 방출 후에 경찰이 되었다고 한다.] * [[SK 와이번스]] : [[김강석]], [[김민형(야구)|김민형]], [[박상현(야구)|박상현]], [[박윤]], 설재훈, 신정익, [[안정광]], __[[엄정욱]]__, [[윤중환]], [[이상열(야구)|이상열]], 이양우, [[이재영(야구선수)|이재영]], [[이창욱]], __[[이한진]]__, __[[주민재]]__, 최윤철, [[홍명찬]] * [[한화 이글스]] : 김선호, 김성호, 김용섭, [[김재우(1991)|김재우]], 김정수, 김차연, __[[마일영]]__, [[명재철]], 문진범, [[박상규(야구선수)|박상규]], 신정윤, [[윤기호]], 이동형, 이영기, [[이희근]], [[임경완]], 임경훈, 임성수, --전승현[* 2015시즌 KBO 홈페이지의 선수 조회에 나오지 않았으므로 공식적으로는 입단한 것이 아니다.]--, 전형근, [[정민혁]], 정유철, [[조정원]], [[채기영]], [[최영환]], __[[추승우]]__, [[허유강]], 홍성곤, [[황재규]] * [[KIA 타이거즈]] : 고재황, 고지원, 김경탁, [[김광연(1991)|김광연]], [[류현철]], [[서용주]], 손성곤, 유성광, [[유재혁]], [[윤효섭]], 이다샘, [[이정훈(1991)|이정훈]], 임세황, 장시하, 정정환, 최근태, [[황수현(1991)|황수현]], [[황인준(1989)|황인준]][* 1989년생] * [[롯데 자이언츠]] : 고도현, 김동빈, 김준용, 김진솔, [[나승현]], 마상우, 박용운, 신승철, 안형권, 윤세곤, 이기표, 이병용, 이웅한, 이준명, 이현준, __[[임재철]]__, __[[황동채]]__ * [[LG 트윈스]] : 신민기, [[양승진(야구선수)|양승진]], 유재상, 유재호, 윤경원, 정다흰, [[최성민(1990)|최성민]], 최인영 * [[kt wiz]] : [[강혜성]], [[김기표]], 박충식, 박휘연, [[신석기(야구)|신석기]], 안진근, [[오현민]], 윤도경, 한덕교, 한상일, __[[한윤섭]]__, [[황덕균]] === 은퇴 === * [[두산 베어스]] : * [[삼성 라이온즈]] : [[진갑용]] * [[NC 다이노스]] : [[박명환]], [[손민한]], [[이대환]], [[이승재(1983)|이승재]], [[이혜천]] * [[넥센 히어로즈]] : [[정재복]] * [[SK 와이번스]] : [[박진만]] * [[한화 이글스]] : [[마일영]], [[오윤(야구)|오윤]] * [[KIA 타이거즈]] : [[박기남]], [[서재응]], [[최희섭]] * [[롯데 자이언츠]] : * [[LG 트윈스]] : * [[kt wiz]] : [[신명철]], [[장성호]], [[조중근]] === 해외 진출 ===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 || [[미네소타 트윈스]] || || 계약방식 ||<-3> 포스팅 시스템 || || 계약내용 ||<-3> 포스팅 금액 1285만 달러 [br] 계약금 4+1년[* 5년차인 2020년에는 구단이 옵션을 행사하는 조건의 계약이다.] 계약 총액 1800만달러 [br] || || [[김현수(1988)|김현수]] || [[두산 베어스]] ||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계약방식 ||<-3> FA || || 계약내용 ||<-3> 2년간 총액 700만달러 || === 국내 복귀 === [[김동엽(1990)|김동엽]], [[나경민]], [[남태혁]], [[정수민]] - 이들은 해외파 복귀 유예기간 2년 경과 후 신인 2차지명을 거쳐 입단했다. === [[KBO FA 제도|FA]] === ==== FA 대상자 ==== 총 24명이 자격을 얻었다.(2015년 11월 18일 공시) 이 중 20명 이상이 신청하면, 각 팀당 영입 가능한 FA는 '''최대 3명'''이 된다. * [[두산 베어스]] : [[고영민]], [[오재원]], [[김현수(1988)|김현수]] *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 [[박석민]] * [[NC 다이노스]] : 대상 선수 없음 * [[넥센 히어로즈]] : [[마정길]], [[이택근]], [[유한준]], [[손승락]] * [[SK 와이번스]] : [[박진만]], [[박정권]], [[박재상]], [[정상호]], [[채병용]], [[윤길현]], [[정우람]] * [[한화 이글스]] : [[조인성(야구)|조인성]], [[김태균]] * [[KIA 타이거즈]] : [[이범호]] * [[롯데 자이언츠]] : [[송승준]], [[심수창]] * [[LG 트윈스]] : [[이동현(1983)|이동현]] * [[kt wiz]] : [[장성호]], [[김상현(1980)|김상현]] [[박진만]](SK)은 은퇴를 선언했지만 아직 보류선수 공시 전인지라 FA 대상자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당초 FA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던 몇몇 선수들([[권오준]],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 [[박준서]], [[이우민]] 등)이 자격 요건이 되지 않아 FA 기회를 미루게 되었다. ==== FA 신청자 ==== 2015년 11월 21일, 총 24명 중 22명이 FA를 신청했다. 은퇴를 선언한 [[박진만]] 외에 kt wiz의 [[장성호]]가 자격 행사를 보류했다.[* 이후 장성호는 12월 7일 은퇴의사를 밝혔다.] 자격자들 가운데 20명 이상이 신청하면서 각 팀당 영입 가능한 FA는 '''최대 3명'''이 되었다. * [[두산 베어스]] : [[고영민]], [[오재원]], [[김현수(1988)|김현수]] *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 [[박석민]] * [[NC 다이노스]] : 대상 선수 없음 * [[넥센 히어로즈]] : [[마정길]], [[이택근]], [[유한준]], [[손승락]] * [[SK 와이번스]] : [[박정권]], [[박재상]], [[정상호]], [[채병용]], [[윤길현]], [[정우람]] * [[한화 이글스]] : [[조인성(야구)|조인성]], [[김태균]] * [[KIA 타이거즈]] : [[이범호]] * [[롯데 자이언츠]] : [[송승준]], [[심수창]] * [[LG 트윈스]] : [[이동현(1983)|이동현]] * [[kt wiz]] : [[김상현(1980)|김상현]] ==== FA 계약 ==== ||<-4> '''우선협상기간 중 원 소속팀과 계약''' || || 선수명 || 소속팀 || 계약날짜 || 계약 내용 || || [[송승준]]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7> 11월 28일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24억원, 연봉 4억원 등 총액 40억원 || || [[이범호]]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width=65]]]] || 계약 기간 4년(3+1), 계약금 10억원, 연봉 6.5억원 등 총액 36억원 || || [[마정길]] ||<|2>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width=55]]]] || 계약 기간 2년, 계약금 2억 2천만원, 연봉 2억원 등 총액 6억 2천만원 || || [[이택근]]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10억원, 연봉 5억원 옵션 5억 등 총액 35억원 ||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65]]]] || 계약 기간 2년, 계약금 16억원, 연봉 10억원 등 총액 36억원 || || [[김상현(1980)|김상현]]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width=50]]]] || 계약 기간 4년(3+1), 계약금 8억원, 연봉 2억원, 옵션 1억원 등 총액 17억원 || || [[이동현(1983)|이동현]]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15~2016).svg|width=65]]]] || 계약 기간 3년, 계약금 12억원, 연봉 6억원 등 총액 30억원 || || [[김태균]] ||<|2>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width=55]]]] ||<|2> 11월 28일[* 28일 자정직전에 계약하여 KBO에 극적으로 마감시한 직전에 팩스를 보냈다고 한다]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20억원, 연봉 16억원 등 총액 84억원[* 이로서 역대 KBO 리그 최고 연봉을 1억 더 늘렸다 ] || || [[조인성(야구)|조인성]] || 계약 기간 2년, 계약금 2억원, 연봉 4억원 등 총액 10억원 || || [[박정권]] ||<|2>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2> 11월 28일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14억원, 연봉 4억원 등 총액 30억원 || || [[채병용]] || 계약 기간 3년(2+1), 계약금 2.5억원, 연봉 2.5억원(마지막 3억원) 등 총액 10억 5천만원 || ||<-7> '''타 팀과의 협상기간 중 이적''' || || 선수명 || 원소속 || → || 이적팀 || 계약날짜 || 계약 내용 || 보상선수 || || [[정상호]] ||<|2>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 →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15~2016).svg|width=65]]]] ||<|3> 11월 29일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및 연봉 30억원, 옵션 2억원 등 총액 32억원 || [[최승준]] || || [[윤길현]] || →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18억원, 연봉 5억원 등 총액 38억원 || [[김승회]] || || [[유한준]] ||<|2>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width=55]]]] || →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width=50]]]]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36억원, 연봉 6억원 등 총액 60억원 || 없음[* 신생팀 혜택으로 보상금 300%만 선택 가능하다.] || || [[손승락]] || →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4> 11월 30일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32억원, 연봉 7억원 등 총액 60억원 || 없음[* 보상선수 대신 보상금 15억 9천만원을 받기로 결정했다.] || || [[박석민]]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65]]]] || →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width=65]]]]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56억원, 연봉 7억 5천만원, 옵션 10억원 등 총액 96억원 || [[최재원(야구선수)|최재원]] || || [[정우람]]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 → ||<|2>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width=55]]]]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36억원, 연봉 12억원 등 총액 84억원 || [[조영우]] || || [[심수창]]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width=65]]]] || → || 계약 기간 4년, 계약금 3억원, 연봉 2억 5천만원 등 총액 13억원 || [[박한길]] || ||<-7> '''모든 팀과의 협상기간 중 계약''' || || 선수명 || 원소속 || → || 이적팀 || 계약날짜 || 계약 내용 || 보상선수 || || [[박재상]]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width=55]]]] || → || 잔류 || 12월 7일 || 계약 기간 2년(1+1년), 1년차 연봉 2억, 2년차 연봉 2억 5천만원. 옵션 1억원 등 5억 5천만원 ||<|4> 해당 없음 || || [[김현수(1988)|김현수]] ||<|3>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width=55]]]] || → || [[볼티모어 오리올스|[[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width=65]]]] || 12월 24일 || 계약기간 2년, 총액 700만 달러 || || [[오재원]][* 기초군사훈련을 받는 관계로 우선협상 자체가 불가능하여 잔류를 하든 이적을 하든 이 케이스에 들어간다.] || → || 잔류 || 12월 30일 || 계약기간 4년, 계약금 12억원, 연봉 5억 5천만원, 인센티브 4억원 등 총액 38억원 || || [[고영민]] || → || 잔류 || 1월 13일 || 계약기간 1+1년, 연봉 1억 5천만원, 인센티브 2억원 등 총액 5억원 || '''두산'''의 경우, 2루수 고영민이 예전같지 않아서[* 베이징 올림픽 결승전에서 쿠바 선수의 슬라이딩을 피하는 백점프 송구, 09 WBC에서 멕시코 상대로 솔로포를 날린 그 선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부진하다. 그 당시를 기억하는 팬들에게는 눈에 습기가 찰 지경...] 오재원은 잡아야 했고 결국 잡았다. 김현수의 경우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계약하며 결별했다. 하지만 KBO 리그에서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뎁스가 넘쳐나는 팀이니[* 삼성은 4연패 기간을 거치면서 뎁스 부족을 체감하기 시작했고, NC는 두산 수준에 못 미치며, 비밀번호 중반 이후부터 유망주 물량을 축적한 LG는 질적인 면에서 열위에 있다.] 단 한명의 FA도 못잡고 외부 FA 영입도 못하는 일이 벌어지더라도 당분간 별 걱정은 없을 것이다. 김현수를 놓쳤지만 [[박건우(1990)|박건우]], [[김인태(야구선수)|김인태]], [[김동한(야구선수)|김동한]]이 어느 정도 그 공백을 채워줄 것으로 보인다. 일단 현 순위와 전력을 유지한 상태. '''삼성'''의 경우, 팀 케미 재수립을 겸해서 내부 FA인 이승엽과 박석민은 잡아야 했다. 이승엽은 잡는데 성공했고, 박석민은 이적했다. 1년 전만 하더라도 삼성 프런트는 팀의 간판인 박석민을 떠나보낼 일은 없을 거라고 공언했지만,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213384&date=20151201&page=1|FA 거품을 없애야 한다는 그룹 지시]]에 따랐다는 핑계를 대면서 박석민을 놓쳤듯이 앞으로도 내부 FA도 어지간하면 그냥 놔줄 가능성이 커졌다. 일단 3루수 공백은 삼성은 [[구자욱]]이 있긴 하지만 3루 수비가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관계로 심히 난감해질 것이다. 박석민의 보상 선수로 3루를 볼 수 있는 최재원을 선택했지만, 공격력 약화는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 '''NC'''의 경우, 약점이 좌완 투수와 3루수인데 3루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박석민을 잡았다. ~~이제 내년에 좌완투수 중 한 명 이상만 잡으면 된다.~~ ~~사실 좌완투수가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팀 방어율 1위이기에 큰 문제는 없다.~~ 문제는 [[박석민]]이 온 것 까지는 좋지만 보상선수를 넘겨주지 않아도 되는 신생팀 특례가 2014 시즌을 끝으로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 상황이라 이제는 다른 팀 FA 데려오려면 돈으로 받아갈 여지도 있으나 그 팀이 원한다면 보상 선수를 넘겨줘야 한다. 이전 시즌에서 주전 9명이 모두 규정타석을 채울 만큼 주전 의존도가 높고 뎁스가 너무 얇다는 소리가 나오는 판에 FA 데려오고 보상선수를 넘겨줘야 하는 게 그다지 달가운 상황은 아닐 것이다. 2015시즌 대주자와 대수비로 쏠쏠히 써먹었던 최재원이 보상선수로 나갔지만, 3루 주전으로 뛰었던 지석훈이 내야 대수비로 돌아오고, 대주자감은 많기 때문에 큰 유출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넥센'''의 경우, [[이택근]]과 [[유한준]]을 잡아야 했지만 이택근만 잡아 절반의 성공만 거두었고, 유한준은 결국 KT로 떠났다. 그리고 넥팬들은 왜 하필 이적해도 보상선수 못 데려오는 신생팀으로 가냐고 멘붕 중. ~~한준이가 수원 옆 군포 사는 걸 탓해야지 뭐...~~ 역시 시장에 나간 [[손승락]] 역시 롯데로 떠났다. 다만 손승락이 떠난 건 굳이 아쉬울 게 없다는 중론. 의외로 [[마정길]]이 비교적 높은 금액으로 잔류 했다는 게 특이점. 어느 정도 노쇠화가 뚜렷한 [[손승락|마무리]]야 그렇다쳐도, 팀의 4, 5번 타자가 모두 떠났기 때문에 대체 할만한 뉴페이스가 없다면 타선의 약화는 필연일 것이다. '''SK'''의 경우,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많다. 1명 은퇴했는데도 여전히 많다(...). 게다가 채병용, 박정권, 박재상 말고는 다 놓쳤다. [[정우람]]은 한화, [[정상호]]는 LG, [[윤길현]]은 롯데와 계약해 정식으로 팀을 떠났다. 리빌딩 시즌에 돌입한 상태다. '''한화'''의 경우 내부 FA는 다 잡았다. 외부 FA는 [[정우람]], [[심수창]]을 잡긴 했는데, 정우람이야 ~~비싸서 그렇지 [[김성근|사제지간의 인연]]도 있고 하니~~ 괜찮다고 쳐도 ~~사실 감독이 [[송은범|양아들]] [[살려조|취급 안하고 굴린다면 비싼 것도 아니다]].~~ 심수창과 계약했다는 순간 한화 팬들은 [[참된 약속]] [[조인성(야구)|배터리를 이룰 일 있냐며]] [[멘탈붕괴|멘붕]] 중. 심수창에게 줘야 할 보상 선수가 아깝다. ~~[[이대형/2014년|그냥 역사가 반복되기를 기대하는 게 빠르다]].~~ 그래도 [[에스밀 로저스]]를 잡았다는 건 다행. 전반적으로 상위권 팀들이 약화되면서 격차가 줄었다. '''KIA'''의 경우 외부수혈에는 관심이 없는 눈치다. [[이범호]]는 잡았지만 그 외의 FA는 단 한 명도 잡지 않고 있다. 잡을만한 인재로 정우람, 박석민과 손승락이 있었으나 각자 [[한화 이글스|다른]] [[NC 다이노스|팀으로]] [[롯데 자이언츠|이적]] 했다. 물론 2017시즌에 [[양현종]]이 FA가 되고 김선빈과 안치홍이 귀환하기 때문에 이 때를 대비할 필요도 있고 애초에 FA 거품이 대단한지라 그리 나쁜 선택만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박석민이나 손승락 정도는 잡아도 될 법한 선수임에도 잡지 않은 건 다소 아쉬운 점. '''롯데'''의 경우, '''FA 시장의 승자'''로 평가받는데, 가장 중요한 송승준을 잡는 데 성공했고, 심수창이 한화로 이적하면서 보상 선수를 노릴 수도 있게 되었다. 외부 FA로는 [[윤길현]]과 [[손승락]]이라는 유용한 선수들을 적정 가격에 잡았다. '''LG'''의 경우 일단 [[이동현(1983)|이동현]]을 잡으며 내부단속에 성공했다. 이제 남은 건 외부 FA인데, [[정상호]]를 영입하면서 지난 3년간 약점이 되었던 포수진을 우선 보강했다. '''KT'''의 경우, 내부 단속은 성공했다. FA 보상선수를 안 줘도 되는 혜택이 올해까지니까, FA 선수가 시장에 나온다 싶으면 바로 질러야 한다. 일단 [[유한준]]을 잡으면서 타선이 엄청나게 강해졌다 다만 2차 드래프트로 데려온 [[이진영]] 때문에 타순정리가 복잡 해진다는 건 감안해야 한다. === 군 입대 === * [[두산 베어스]] : [[변시원|변진수]], [[장승현]](이상 경찰), [[김응민]], [[양현(야구선수)|양현]](이상 상무), [[박종기(야구선수)|박종기]], [[사공엽]], [[양종민]] * [[삼성 라이온즈]] : [[박찬도]], [[홍정우]](이상 경찰), 곽병선, 김종석, 김호재, [[김희석]], 백승민, [[송준석(1994)|송준석]] * [[NC 다이노스]] : 유영준, [[윤대영]](이상 경찰), [[노성호]], [[노진혁]], [[박으뜸]](이상 상무), 윤강민, 이지우, 이호중, 홍지운 * [[넥센 히어로즈]] : [[김태훈(1992)|김동준]], [[이상민(야구선수)|이상민]](이상 경찰), [[문성현(야구선수)|문성현]], [[문우람]](이상 상무), 구자형, 김성진, 김영광, 박병훈, 백찬이, 임규빈, 조덕길 * [[SK 와이번스]] : [[박규민]], [[임재현(야구)|임재현]](이상 경찰), 이승진, 이윤재(이상 상무) * [[한화 이글스]] : [[김기현(1989)|김기현]], [[조지훈(야구선수)|조지훈]](이상 경찰), 이성진 * [[KIA 타이거즈]] :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 [[박준태(1991)|박준태]], [[이종석(야구선수)|이종석]](이상 경찰), [[문경찬]](상무), 황인준 * [[롯데 자이언츠]] : 심규범,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이상 경찰), [[구승민]], [[오윤석]](이상 상무), 김선균, 김훈호, 전병우, [[최영환]] * [[LG 트윈스]] : [[김재성(야구선수)|김재성]], [[양원혁]](이상 경찰), [[박지규]], [[임지섭]](이상 상무) * [[kt wiz]] : [[이윤학]], [[이지찬]](이상 경찰), [[송민섭]], 양형진, [[이창진]](이상 상무), 김병희, 김성윤, [[신용승]], 안승한, 이성복 김응민, 양현, 윤대영, 심규범, 이윤학, 양형진은 11월 27일 시행한 [[2016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로 군 입대 직전 소속 팀을 바꾸게 됐다. === 군 전역 === * [[두산 베어스]] : [[김인태(야구선수)|김인태]], [[박세혁]], 백진우, [[안규영]], [[이우성(야구선수)|이우성]], [[류지혁]] * [[삼성 라이온즈]] : [[김지훈(1993)|김지훈]], 김준호, 라준성, [[박상원(1994년 2월)|박상원]], [[성의준]], [[이동현(1989)|이동현]], [[이동훈(1992)|이동훈]], 이재익, 정두산, [[정우양]], [[배영섭]] * [[NC 다이노스]] : [[강진성]], [[박상혁(야구선수)|박상혁]], 이준평, [[이형범]], [[강구성]], [[장현식]] * [[넥센 히어로즈]] : [[박종윤(1993)|박종윤]], [[신재영]], [[이보근]], [[지재옥]], [[김상수(투수)|김상수]] * [[SK 와이번스]] : 류효용, [[문승원]], 유영하, 이경재, 이정담, [[임치영]],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 최민재, 최진호, [[최항(야구선수)|최항]] * [[한화 이글스]] : 권시훈, [[김경태(1991)|김경태]], [[양성우(야구선수)|양성우]], [[오선진]], [[최윤석]], [[하주석]], [[김용주(야구선수)|김용주]] * [[KIA 타이거즈]] : [[김윤동]], [[김종훈(1989)|김종훈]], [[박기철]], [[한승택]], [[홍재호]] * [[롯데 자이언츠]] : [[고원준]], [[김상호(1989)|김상호]], [[김성호(1989)|김성호]], [[박시영]], 박휘성, 백왕중, 장국헌, [[진명호]] * [[LG 트윈스]] : 김훈영, 나규호, [[배재준]], [[이천웅]], [[이희성(1988)|이희성]], [[임찬규]], 전호영, [[정주현]], [[최성훈(야구)|최성훈]], [[강승호]] * [[kt wiz]] : 양효석 === 2차 드래프트 === * [[두산 베어스]] : [[박진우(야구선수)|박진우]](NC), [[임진우]](삼성), [[정재훈(1980)|정재훈]](롯데) * [[삼성 라이온즈]] : [[김응민]](두산), [[나성용]](LG), [[정광운]](한화) * [[NC 다이노스]] : 윤수호(KT), [[김선규(야구)|김선규]](LG), 심규범(롯데) * [[넥센 히어로즈]] : [[김웅빈]](SK), [[양현(야구선수)|양현]], 김상훈(이상 두산) * [[SK 와이번스]] : [[최정용]](삼성), 김정민(한화), 박종욱(두산) * [[한화 이글스]] : [[장민석]](두산), [[차일목]](KIA), [[송신영]](넥센) * [[KIA 타이거즈]] : [[배힘찬]](넥센), [[윤정우]](LG), 이윤학(KT) * [[롯데 자이언츠]] : [[박헌도]](넥센), 김웅(LG), 양형진(KT) * [[LG 트윈스]] : [[김태형(1993)|김태형]](넥센), [[윤대영]](NC), [[윤여운]](KT) * [[kt wiz]] : [[이진영]](LG), [[김연훈]](SK), [[이상화(1988)|이상화]](롯데) == 경기 일정 == * 4월 1일부터 3일까지의 개막 3연전은, 2010년부터 시행된 룰을 기준으로 2년 전(2014년) 순위를 활용하여 편성되었다. '원정팀 : 홈팀 (경기장)' 순으로 작성한다. * 두산 : 삼성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공교롭게도 한국시리즈 이후 무대를 옮겨서 진행하는 것이다.] * 롯데 : 넥센 (고척 스카이돔)[* 한국프로야구 역사상 돔구장에서 열리는 최초의 프로 공식 경기.] * KIA : NC (창원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 한화 : LG (잠실 야구장)[* 무려 13년(직전 자력획득 개막 홈경기가 2003년[[6668587667|(...)]])만에 자력으로 홈구장 개막전을 치르게 된다. 2015년은 2년전 PO에서 두산에게 당해버려 최종 순위가 역전되는 바람에 개막전에 광주로 쫓겨났으니(...) 제외. 2007년에는 당시 KBO가 잠실 못 비우겠다는 집념 아래 변칙적으로 4위 KIA와 서로 장소를 바꿔서 경기를 치룬 것이며(LG는 2006년 시즌 8위를 차지했다.), 두산을 잠실로 불러들이자니, 상대할 팀이 2006년 우승팀 삼성이라서... ~~당시 신상우 - 하일성 체제니 병크 맞다~~ ~~물론 2017년에는 다시 원정경기(고척)로 개막전 해야 된다~~][* LG가 9년만에 홈 개막전을 가져가면서 2015년 포시가 좌절된 한화는 2017년에 LG가 기록한 가장 오랫동안 홈 개막전을 하지 못한 팀 타이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참고로 2017년 한화의 개막전 장소도 잠실 야구장으로, 2015년도 우승팀인 두산과의 대진이 예정되어 있다.] * KT : SK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 새로워진 규정 == * 이번 [[KBO 윈터미팅]]부터 일반인들의 참가가 가능해 졌다. * 선수들의 안전을 위한 '''홈 충돌 방지 규정이 신설'''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1&aid=0000563507|참조.]][* 2015시즌부터 메이저리그에서 도입되었으며, 2016시즌부터 [[일본프로야구]]도 도입한다.] * 허울뿐이었던 '''[[KBO FA 제도|FA]] 우선협상기간이 전면 폐지'''되어 FA가 시작되자마자 모든 구단과 협상이 가능하게 되었다. * 비디오 판독을 실패하면 그날 경기 비디오 판독을 할 수 없는 규정이 실패와 상관 없이 '''한 경기 최대 2번씩 바뀌었다.''' * [[메이저리그 베이스볼]]과 마찬가지로 '''KBO 자체 비디오센터를 통해 비디오 판독'''을 실시할 예정이다. 170억원을 들여서 자체 비디오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며, 빠르면 2016시즌 후반기 부터 자체 비디오판독이 가능해 질것이라고. * [[메이저리그 베이스볼]]과 마찬가지로 [[도핑]]테스트에서 일부 인원에 한해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449406|##]] == 인터넷, 스마트폰 티켓 예매 == 2016년 KBO 리그 티켓 예매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사이트명 || 예매 가능한 구단 || 링크 || || [[인터파크]] ||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넥센 히어로즈 ||[[http://ticket.interpark.com/contents/Promotion/Detail/gateway|#]]|| || 티켓링크 || 삼성 라이온즈, NC 다이노스,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kt wiz ||[[http://sports.ticketlink.co.kr/baseball|#]]|| || 자이언츠 클럽|| 롯데 자이언츠 ||[[http://ticket.giantsclub.com/loginForm.do|#]]|| 참고로 KBO 홈페이지에서도 티켓 예매가 가능한데 [[https://www.kbomarket.com/page/ticket/ticketMain.jsp|KBO 티켓예매]] 삼성, NC, SK, 한화, KIA, KT 등 6개 구단이며, LG는 추후에 서비스 할 예정이다. 두산, 넥센, 롯데는 KBO 홈페이지에서는 불가능하다. == 달라지는 점 == === 2곳의 신설 야구장 === [[삼성 라이온즈]]가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떠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사용하게 되었고 [[넥센 히어로즈]]가 [[목동 야구장]]을 떠나 [[고척 스카이돔]]을 사용하게 되었다. === 유료방송사의 중계진 변화 === * [[KBS N 스포츠]]와 [[SBS Sports]], [[SPOTV]]는 해설위원을 새로 영입하였다. 먼저 KBS N 스포츠는 통산 2100안타에 빛나는 스나이퍼 [[장성호]]를 해설위원으로 영입했으며 SBS Sports는 메이저리거 출신이자 KIA 타이거즈에서 투수로 활약한 [[서재응]]을 해설위원으로 영입하였다. SPOTV는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 코치 출신 [[염종석]]을 해설위원으로 영입했다. * KBS N 스포츠는 [[V-리그]] 중계와 [[우리동네 예체능]]의 경기 중계로 얼굴을 알린 이호근 캐스터가 시범경기 중계를 거쳐 정식으로 투입되었으며 [[권성욱]] 콘텐츠본부 편성국장이 중계에 복귀했다. * [[SPOTV]]는 최두영 캐스터 외에 김민수, 한재웅 캐스터를 야구 중계에 투입 하여 야구 중계 캐스터쪽에 보강을 하였다. * 이후 시즌 중인 5월, [[MBC SPORTS+]]에서도 ~~오글거리는 예고와 함께~~ [[최희섭]]을 해설위원으로 영입한다고 밝혔다. * [[skySports]]는 비거리 측정 홈런콜로 잘 알려진 [[김태우(1979)|김태우]] 캐스터가 5월 24일 중계부터 합류하였고, 정찬우 캐스터가 7월 8일 중계부터 합류하였다. * [[MBC SPORTS+]]는 지난 2012년부터 3년간 [[XTM]]에서 [[임용수]] 캐스터와 함께 야구 중계를 담당했던 김수환 캐스터가 6월 25일 중계부터 정식으로 합류하였다. === 경기 편성 관련 === == 중계 방송 == || 방송국 || 캐스터 || 해설위원 ||<-2> 비고 || ||<-7> '''FM 라디오''' || ||KBS 제2라디오 ||김관동,이재홍,유지철 ||[[동봉철]],[[이용철(야구)|이용철]] || || ||KBS 대전 제2라디오 ||김연선,박명원 ||김병준 ||[* 한화 이글스 대전 홈 경기 중계] || ||부산MBC 표준FM ||김세원 ||최효석 ||[*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 || ||대구MBC 표준FM ||이동훈 ||[[홍승규]] || || ||대전MBC 표준FM ||김학선,[[임세혁]],[[김경섭]]||여정권 || || ||MBC경남 창원본부 표준FM ||김진철 ||[[한만정]],김형표 ||[* NC 다이노스 마산 홈 전체 경기 중계(2015년에는 주말까지 홈경기 중계가 확대). 단, 진주본부는 광고체계 문제로 중계가 없음.] || ||SBS Love FM ||염용석,박찬민,정석문 ||[[안경현]],[[이종열]],[[최원호]],[[서재응]] ||[* 매월 1회 토요일 서울 연고팀 홈 경기 중계] || ||KNN Power FM ||이현동 ||[[이성득]] ||[*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 2015시즌부터 롯데의 상대팀으로 나오지 않는 한 NC의 경기를 중계하지 않는다. 단 포스트시즌에는 롯데, NC가 출전한 전 경기만 중계.] || ||TBC Dream FM ||김대진 ||서석진 ||[* 삼성 라이온즈 전 경기 중계] || ||TJB Power FM ||이정훈,최승희||김성호,장재혁 ||[* 한화 이글스 대전 홈 경기 중계] || ||<-7> '''지상파 TV & DMB''' || ||KBS 2TV ||[[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유지철 ||[[이용철(야구)|이용철]] || || ||MBC TV ||[[한명재]] ||[[허구연]],[[이종범]],[[정민철]] || || ||부산MBC TV ||김동현 ||[[한만정]] || || ||대전MBC TV || || || || ||SBS TV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이순철]],[[최원호]] || || ||mYTN DMB || || || 수도권 한정, MBC SPORTS+ 수중계[* 단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당일에는 개표방송인 [[YTN 선택]]을 수중계함.] || ||MBN-U1 || || || SPOTV 수중계 || ||QBS-JTBC[* 3년만에 다시 KBO 중계] || || || KBS N SPORTS 수중계 || ||한국경제(DMB)|| || || SBS Sports 수중계 || ||<-7> '''케이블 TV, IPTV 및 스카이라이프''' || ||KBS N SPORTS ||강성철,[[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유지철,[[이기호(아나운서)|이기호]],이호근,[[권성욱]]||[[이용철(야구)|이용철]],[[송진우(야구)|송진우]],[[조성환(1976)|조성환]],[[안치용(야구)|안치용]],[[장성호]],대니얼 김 || [* 시범경기 때는 신승준 캐스터도 참여했으나 정규시즌 개막 후에는 이호근만 정식으로 중계에 합류했다.] || ||MBC SPORTS+ ||정병문,[[정용검]],[[한명재]],[[김수환(아나운서)|김수환]][* 2012~2014년까지 [[XTM]]에서 야구중계를 맡았다.] ||[[박재홍(야구)|박재홍]],[[양준혁]],[[허구연]],[[이종범]],[[정민철]],[[김선우(1977)|김선우]],[[조용준]] || [* 김수환 캐스터는 6월 25일 중계부터 합류]|| ||SBS Sports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안경현]],[[이순철]],[[이종열]],[[최원호]],[[서재응]] || || ||skySports ||[[임용수]], [[김태우(1979)|김태우]], 정찬우[* WWE 팬이라면 아는 그분 맞다.] ||[[이효봉]],[[김진욱(1960)|김진욱]] || [* 김태우 캐스터는 5월 24일 증계부터 합류한다.]|| ||SPOTV ||[[최두영]],김민수,한재웅 ||[[민훈기]],[[염종석]][* 시범경기 때는 이광권 해설위원이 출연하기도 했으나 시즌 개막 후에는 퓨처스리그 중계 해설만 맡고 있다.] || ===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 * 4월 * 4월 1일 (금, 개막전) | 대구 - 두산 VS 삼성 ([[KBS 2TV|KBS2]]) * 4월 2일 (토) | 고척 - 롯데 VS 넥센 ([[MBC]]) * 4월 9일 (토) | 사직 - 삼성 VS 롯데 ([[SBS]]) * 5월 * [[어린이날|5월 5일]] (목) | 대구 - 넥센 VS 삼성 ([[KBS 2TV|KBS2]]) / 광주 - 롯데 VS KIA ([[MBC]]) / 잠실 - 두산 VS LG ([[SBS]]) * 9월 * 9월 23일 (금) | 마산 - KIA VS NC ([[KBS 2TV|KBS2]]) * 10월 * [[개천절|10월 3일]] (월) | 대구 - LG VS 삼성 ([[SBS]]) === 인터넷 생중계 === == 팀 유니폼 == == 2016 팀별 캐치프레이즈 == === 두산 베어스 === || [[http://img.focus.kr/mnt/news/file/2016/03/11/2016031100095637665_1.jpg]]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High Five! TEAM DOOSAN 2016!'''}}} || === 삼성 라이온즈 === ||[[파일:external/www.samsunglions.com/topVisual.png|width=100%]]||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Yes Begin Again'''}}} || === NC 다이노스 === ||[[파일:external/ncdinos.firstmall.kr/1452580162_main_main2_1_1452580141.jpg|width=100%]]||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거침없이 가자, 행진'''}}} || NC 다이노스가 함께 걷는 당당한 걸음라는 뜻의 행진을 통해 당당히 나아가겠다는 의미 === 넥센 히어로즈 === ||[[파일:FB_IMG_1475240668900.jpg|?width=7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Win the Championship, Heroes!'''}}} || === SK 와이번스 === || [[파일:/image/117/2016/01/21/201601211310562225_1_99_20160121131204.jpg|?width=10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전!'''}}} || === 한화 이글스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파일:한화 이글스 슬로건_2016.jpg]] [br]'''{{{#ffffff 나는 이글스 순간을 지배하라}}}''' || === KIA 타이거즈 === ||[[파일:external/www.tigers.co.kr/visual_tickets.jpg|width=10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동행_Always KIA TIGERS'''}}} || 'KIA 타이거즈는 언제나 팬과 함께한다'는 뜻과 함께 '흩어지지 않는 하나의 팀워크로 함께 나아간다'는 의미 === 롯데 자이언츠 === || [[파일:external/www.giantsclub.com/catch_ing.png|width=10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Team First, Fan First!}}}''' || === LG 트윈스 === ||[[파일:external/www.lgtwins.com/mainv_160212_1.png|width=10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혁신의 바람, 서울 LG 트윈스!'''}}} || === kt wiz === ||[[파일:external/www.ktwiz.co.kr/20160129185458311.jpg|width=100%]] || || {{{#ffffff '''2016년도 팀 슬로건'''}}} || || {{{#ffffff '''과감하게 도전하자!'''}}} || == [[KBO 시범경기]] == 2016년 시범 경기는 3월 8일(화)부터 27일(일)까지이며 2015 시즌보다 팀당 4경기를 늘려 팀당 18경기씩 치른 뒤 시즌을 시작한다. === [[KBO 시범경기]] 순위 === || '''{{{#white 순위}}}''' || '''{{{#white 구단}}}'''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승차}}}''' || '''{{{#white 정규시즌 성적}}}''' || '''{{{#white 최종 성적}}}''' || '''{{{#white 상세}}}''' || || '''1위''' || '''[[삼성 라이온즈]]''' || 16 || 11 || 0 || 5 || 0.688 || 0.0 || 9위 || 9위 || [[삼성 라이온즈/2016년/시범경기|#]] || || 2위 || [[kt wiz]] || 16 || 10 || 1 || 5 || 0.667 || 0.5 || 10위 || 10위 || [[kt wiz/2016년/시범경기|#]] || || 3위 || [[두산 베어스]] || 16 || 8 || 3 || 5 || 0.615 || 1.5 || 1위 || 1위 || [[두산 베어스/2016년/시범경기|#]] || || 4위 || [[한화 이글스]] || 16 || 9 || 0 || 7 || 0.563 || 2.0 || 7위 || 7위 || [[한화 이글스/2016년/시범경기|#]] || || 5위 || [[NC 다이노스]] || 17 || 8 || 1 || 8 || 0.500 || 3.0 || 2위 || 2위 || [[NC 다이노스/2016년/시범 경기|#]] || || 5위 || [[KIA 타이거즈]] || 15 || 7 || 1 || 7 || 0.500 || 3.0 || 5위 || 5위 || - || || 7위 || [[LG 트윈스]] || 17 || 7 || 2 || 8 || 0.467 || 3.5 || 4위 || 4위 || [[LG 트윈스/2016년/시범 경기|#]] || || 8위 || [[SK 와이번스]] || 16 || 6 || 2 || 8 || 0.429 || 4.0 || 6위 || 6위 || [[SK 와이번스/2016년/시범경기|#]] || || 9위 || [[넥센 히어로즈]] || 16 || 5 || 1 || 10 || 0.333 || 5.5 || 3위 || 3위 || - || || 10위 || [[롯데 자이언츠]] || 17 || 3 || 3 || 11 || 0.214 || 7.0 || 8위 || 8위 || [[롯데 자이언츠/2016년/시범경기|#]] || == 정규 시즌 == === 코칭 스태프 변경 === || {{{#ffffff 날짜 }}} || {{{#ffffff 직책 }}} || {{{#ffffff 이름 }}} || ||<-3> '''{{{#ffffff 한화 이글스}}}''' || ||<|4> 4월 13일 || 2군 투수코치 → 1군 투수코치 || [[정민태]] || ||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 || [[신경현]] || || 1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 || 고바야시 세이지[* 4월 17일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382&aid=0000467156|팀을 떠났다]].] || || 1군 배터리코치 → 2군 배터리코치 || 오키 야스시 || ||<-3> {{{#ffffff '''SK 와이번스''' }}} || || 4월 27일 || 2군 타격코치(신규영입) || [[이동수(야구선수)|이동수]] || ||<-3> '''{{{#ffffff 한화 이글스}}}''' || ||<|2> 7월 2일 || 1군 불펜코치 → 1군 투수코치 || [[이상군]] || || 1군 투수코치 → 1군 불펜코치 || [[정민태]] || ||<|4> 8월 13일 || 1군 투수코치 → 1군 불펜코치 || [[이상군]] || || 육성군 총괄코치 → 1군 투수코치 || [[계형철]] || || 1군 불펜코치 → 2군 투수코치 || [[정민태]] || || 1군 배터리코치 → 2군 배터리코치 || [[신경현]] || ||<-3> '''{{{#ffffff 롯데 자이언츠 }}}''' || ||<|4> 8월 18일 || 2군 투수코치 → 1군 투수코치 || [[크리스 옥스프링]] || || 2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 || [[훌리오 프랑코]] || || 1군 투수코치 → 드림팀 투수고치 || [[주형광]] || || 1군 타격코치 → 2군 타격코치 || [[장종훈]] || ||<-3> '''{{{#ffffff 한화 이글스}}}''' || ||<|4> 8월 18일 || 2군 투수코치 → 1군 불펜코치 || [[정민태]] || || 1군 투수코치 → -[* 보직없이 [[에릭 서캠프]]를 전담할 예정.] || [[계형철]] || || 1군 불펜코치 → 1군 투수코치 || [[이상군]] || ||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 || 오키 야스시 || === 선수 이동 === ==== 신규 영입 ==== ||<-3> '''{{{#ffffff 삼성 라이온즈}}}'''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조용성[* [[육성선수]]로 입단] || 포수 || [[연천 미라클]] || || [[아놀드 레온]] || 투수 || 버펄로 바이슨스[br]([[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트리플A) || || [[요한 플란데]] || 투수 || 前 [[콜로라도 로키스]] || ||<-3> '''{{{#ffffff 넥센 히어로즈}}}'''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스캇 맥그레거]] || 투수 || 서머셋 패트리어츠 || || [[앤디 밴 헤켄]] || 투수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3> {{{#ffffff '''한화 이글스'''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파비오 카스티요]] || 투수 || 엘패소 치와와스[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트리플A) || || [[에릭 서캠프]] || 투수 || 라운드락 익스프레스[br]([[텍사스 레인저스]] 산하 트리플A) || ||<-3> {{{#ffffff '''SK 와이번스'''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브라울리오 라라]] || 투수 || 세크라멘토 리버캣츠[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트리플A) || ||<-3> '''{{{#ffffff 롯데 자이언츠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저스틴 맥스웰]] || 외야수 || 포투켓 레드삭스[br]([[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트리플A) || ||<-3> '''{{{#ffffff kt wiz}}}'''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조쉬 로위]] || 투수 || 몬클로바[br](멕시칸리그) || || [[라이언 피어밴드]] || 투수 || [[넥센 히어로즈]] || ||<-3> '''{{{#ffffff LG 트윈스}}}'''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이전 소속팀}}} || || [[데이비드 허프]] || 투수 || 솔트레이크 비즈[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산하 트리플A) || ==== 방출 및 임의탈퇴 ==== ||<-3> '''{{{#ffffff 삼성 라이온즈}}}'''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콜린 벨레스터]] || 투수 || 웨이버 공시 || || [[앨런 웹스터]] || 투수 || 웨이버 공시 || || ~~[[안지만]]~~ || ~~투수~~ || ~~계약해지~~[* KBO가 계약해지 요청을 보류하였다. 결국 시즌 후 보류선수 제외로 방출.] || ||<-3> '''{{{#ffffff NC 다이노스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이태양(1993)|이태양]] || 투수 || 계약해지 || ||<-3> '''{{{#ffffff 넥센 히어로즈}}}'''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유선정]] || 포수 || 웨이버 공시 || || [[로버트 코엘로]] || 투수 || 웨이버 공시 || || [[라이언 피어밴드]] || 투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한화 이글스'''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윤중환]] || 외야수 || 웨이버 공시 || || [[알렉스 마에스트리]] || 투수 || 웨이버 공시 || || [[에스밀 로저스]] || 투수 || 웨이버 공시 || ||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 || 외야수 || 웨이버 공시 || || [[황선일]] || 외야수 || 웨이버 공시 || || [[권용관]] || 내야수 || 웨이버 공시 || || [[김태완(1984)|김태완]] || 내야수 || 웨이버 공시 || || [[박노민]] || 포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SK 와이번스'''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크리스 세든]] || 투수 || 웨이버 공시 || || [[이상백(야구선수)|이상백]] || 투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KIA 타이거즈'''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김민우(1979)|김민우]] || 내야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롯데 자이언츠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짐 아두치]] || 외야수 || 웨이버 공시 || || [[오현근]] || 외야수 || 웨이버 공시 || || [[이지모]] || 투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kt wiz}}}'''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슈가 레이 마리몬]] || 투수 || 웨이버 공시 || || [[김상현(1980)|김상현]] || 내야수 || 임의탈퇴 || || [[요한 피노]] || 투수 || 웨이버 공시 || ||<-3> '''{{{#ffffff LG 트윈스}}}'''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구분}}} || || [[스캇 코프랜드]] || 투수 || 웨이버 공시 || 이 항목엔 두산만 없다. === 트레이드 === * 정규시즌 개막 후(4월 1일 이후) 트레이드만 기재. 정규시즌 개막 이전(3월 31일 이전) 트레이드는 [[KBO 리그/2016년#s-1.2|해당 목차]] 참조. ||<-5> [[2016년]] [[4월 6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넥센 히어로즈|넥센]] || [[서동욱]] || ↔ || 없음[* 현금 없이 무상으로 트레이드] || [[KIA 타이거즈|KIA]] || ||<-5> [[2016년]] [[5월 14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두산 베어스|두산]]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 ↔ || [[노유성]] || [[kt wiz|KT]] || ||<-5> [[2016년]] [[5월 31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두산 베어스|두산]] || [[노경은]] || ↔ || [[고원준]] || [[롯데 자이언츠|롯데]] || ||<-5> [[2016년]] [[7월 23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두산 베어스|두산]] || [[김동한(야구선수)|김동한]] || ↔ || [[김성배]] || [[롯데 자이언츠|롯데]] || ||<-5> [[2016년]] [[7월 31일]] || || 팀명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명 || || [[SK 와이번스|SK]] || [[고효준]] || ↔ || [[임준혁]] || [[KIA 타이거즈|KIA]] || === 신인 드래프트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 지명 순서는 'KT > LG > 롯데 > KIA > 한화 > SK > 넥센 > NC > 삼성 > 두산' 순이며 Z자 형식을 취한다. 5년만에 1라운드 꼴찌 순서에서 밀려난 삼성이 포인트. ~~꼴찌만 아니지, 사실은 꼴찌 바로 앞이다~~ ~~211112라서 대형 유망주는 앞에서 다 쓸려나가는 꼴을 6년째 지켜봐야 된다. 그래서 드래프트에서의 [[김거김]]은 삼성에게는 다른 나라 이야기(...)~~ === 주요 사건 및 기록 === ==== 3월 ==== * 3월 14일 * KBO가 13일 음주운전으로 단속된 KT의 [[오정복]]에게 15경기 출장정지와 유소년야구 봉사활동 120시간을 부과했다. * 3월 15일 * KBO 2차 이사회가 열렸다. 대표적인 안건은 메리트 금지 시행세칙 마련과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 규정 개정. 메리트 금지의 경우, 한국시리즈 우승에 따른 성과급, 경기 수훈선수 시상, 주간·월간 MVP에 따른 시상금, KBO 기념상 및 기록달성에 따른 시상금, 홈런존 시상금, 용품구입비, 개인성적 옵션에 따른 메리트만 인정하기로 했다. 참고로 1월 12일 1차 이사회에서는 메리트 금지 규정을 위반한 구단에 대한 제재 사항[* 신인 2차 1라운드 지명권 박탈과 제재금 10억원 부과.]을 의결했다.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의 경우, 원래 전년도 우승팀 감독→준우승팀 감독 순으로 총재가 선임했으나, 개최 시기나 비중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총재가 선임하는 안으로 개정했다. * 3월 27일 * 4, 5, 9월 일요일 오후 2시 경기 중 일부를 야간경기로 편성하는 '선데이 나잇 베이스볼'을 실시하기로 했다. ==== 4월 ==== * 4월 2일 * LG [[이동현(1983)|이동현]]이 잠실 한화전에서 5대3으로 앞선 6회초에 등판해 1⅓이닝 1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8번째 개인통산 100홀드를 달성했다. * 4월 3일 * 잠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화-LG와의 경기에서 [[김재박]] 경기운영위원장이 우천에 따른 방수 조치가 미흡하다고 판단해 섣불리 경기를 취소시켰다. KBO에서는 4일 김재박에게 6경기 ~~휴가~~출장정지를 부과했다. * 4월 6일 * 삼성 [[윤성환]]이 수원 KT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이닝 4피안타 3탈삼진 1사사구 4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면서 역대 25번째 개인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 4월 8일 * SK [[박재상]]이 인천 LG전에서 8회말 대주자로 출장하면서 역대 125번째 개인통산 1000경기를 달성했다. * 4월 10일 * 롯데 [[윤길현]]이 사직 삼성전에서 5대1로 앞선 7회초에 등판하면서 역대 32번째 개인통산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4월 13일 * KT [[이대형]]이 고척 넥센전에서 연장 11회초 2사 3루 상황에서 내야 안타로 출루한 후 도루하면서 역대 4번째 개인통산 450도루를 달성했다. * 4월 15일 * 롯데 [[송승준]]이 마산 NC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2회까지 탈삼진 4개를 잡아내면서 역대 28번째 개인통산 1000탈삼진을 달성했다. * 4월 18일 * NC [[이호준]]이 마산 롯데전에서 6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해 1대0으로 앞선 1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2타점 적시타를 치면서 역대 8번째 개인통산 3000루타를 달성했다. 또한 [[박재홍(야구)|박재홍]]의 최고령 3000루타 기록도 경신했다. * 4월 22일 * 삼성 [[최형우]]가 대구 KT전에서 4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해 0대1으로 뒤진 2회말 선두타자로 나와 1점 홈런을 치면서 역대 39번째 개인통산 2000루타를 달성했다. * 4월 23일 * 한화 [[권혁]]이 잠실 두산전에서 2대3으로 뒤진 5회말에 등판하면서 역대 17번째 개인통산 6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4월 24일 * KIA [[최영필]]이 사직 롯데전에서 11대3으로 앞선 9회말에 등판하면서 역대 33번째 개인통산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또한 [[구대성]]의 최고령 500출장 기록도 경신했다. * SK [[김광현]]이 인천 NC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8이닝 4피안타 6탈삼진 2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면서 역대 26번째 개인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좌완투수로는 역대 3번째. * 두산 [[장원준]]이 잠실 한화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⅓이닝 2피안타 6탈삼진 2사사구 무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면서 역대 27번째 개인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좌완투수로는 역대 4번째. * 4월 28일 * 지난 2012년 9월 음주운전으로 인한 추돌사고로 인해 [[임의탈퇴]]로 공시됐던 [[손영민]]의 복귀에 대해 KBO 허가했다. 또한 KBO는 손영민에게 50경기 출장정지와 유소년 봉사활동과 사회봉사활동 각각 120시간을 부과했다. * 4월 30일 * 삼성 [[윤성환]]이 대전 한화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회까지 탈삼진 4개를 잡아내면서 역대 29번째 개인통산 1000탈삼진을 달성했다. ==== 5월 ==== * 5월 1일 * NC [[손시헌]]이 사직 롯데전에서 7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해 1대1로 맞선 2회초 무사 1루에서 내야 안타로 출루하면서 역대 개인통산 76번째 1000안타를 달성했다. * 5월 4일 * 상무 [[권희동]]이 익산 KT전에서 퓨처스리그 통산 23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 5월 6일 * 대구에서 열리는 SK-삼성 경기에서 최수원 심판이 심판 역대 8번째 개인통산 2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같은 경기에서 박근영 심판이 심판 역대 31번째 개인통산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5월 7일 * NC [[박석민]]이 마산 LG전에서 6번 3루수로 선발 출장해 2대0으로 앞선 4회말 1점 홈런을 치면서 역대 77번째 개인통산 1000안타를 달성했다. * 5월 11일 * KIA [[이범호]]가 광주 KT전에서 5번 3루수로 선발 출장해 2루타 3개를 치면서 역대 25번째 개인통산 2500루타를 달성했다. * 5월 15일 * KBO에서 '먼데이나이트 베이스볼'을 신설해 5월 16일부터 퓨처스리그의 주중 3연전 중 일부를 월요일 야간경기로 편성해 생중계하기로 결정했다. * 5월 27일 * 경찰 [[양원혁]]이 서산 한화전에서 퓨처스리그 통산 24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 5월 29일 * 넥센 [[이택근]]이 수원 KT전에서 2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해 1회초 안타를 치면서 역대 40번째 개인통산 2000루타를 달성했다. * KIA [[김주찬]]이 광주 NC전에서 3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해 5대5로 맞선 7회말 1점 홈런을 치면서 역대 41번째 개인통산 2000루타를 달성했다. ==== 6월 ==== * 6월 1일 * SK 최정이 대전 한화전에서 3번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1회초 좌중간 2점 홈런으로 개인통산 200홈런을 달성하였다. * 6월 2일 * NC [[에릭 테임즈]]가 창원 두산전에서 4번 1루수로 선발 출장해 4회말 무사 1루 상황에서 홈런을 치면서 역대 71번째 100홈런을 달성했다. 또한 [[타이론 우즈]]가 달성한 최소경기 100홈런 기록(324경기)도 314경기로 경신했다. * 6월 7일 * KT 이대형이 수원 두산전에서 2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1회초 좌익수앞 안타로 개인통산 1200안타를 달성하였다. * 6월 15일 * SK 최정이 대구 삼성전에서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1회초 3루타로 개인통산 2000루타를 달성하였다. * 6월 16일 * 두산 오재원이 광주 KIA전에서 6번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1000경기 출장기록을 달성하였다. * 두산 박건우가 광주 KIA전에서 1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KBO 통산 20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였다. * 6월 21일 * 마산 한화와 NC의 경기 6회말 송은범의 투구가 박석민의 등을 지나치면서 벤치클리어링이 일어났다. * LG [[박용택]]이 인천 SK전에서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해 3회초 안타로 출루한 후 득점하면서 역대 10번째 통산 1000득점을 달성했다. * 문학 LG와 SK의 경기 5회초 류제국의 투구가 김강민의 몸에 맞으면서 역시 벤치클리어링이 일어났고, 양 선수 모두 퇴장당했다. * 6월 25일 * 한화 [[이성열(1984)|이성열]]이 대전 롯데전에서 6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면서 역대 127번째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6월 26일 * 잠실에서 열리는 넥센-LG 경기에서 이민호 심판이 역대 24번째 개인통산 1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한화 [[송신영]]이 대전 롯데전에서 9회초에 등판하면서 역대 8번째 7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또한 가득염(37세 10개월 29일)의 최고령 700경기 출장 기록도 39세 3개월 25일로 경신했다. * 6월 28~29일 * 사직 삼성과 롯데의 시리즈 기간에 롯데 [[문규현]] 선수가 '''이틀 연속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 문규현은 28일 경기에서 [[안지만]]을 상대로 연장 10회말 끝내기 3점홈런을 기록했고, 다음날 29일에는 [[심창민]]으로 부터 끝내기 2타점 적시타를 기록하였다. 한 선수가 이틀 연속 끝내기 안타를 기록한 것은 KBO리그 사상 최초의 일이다. * 6월 30일 * 롯데 [[짐 아두치]]가 옥시코돈이라는 금지약물을 복용했다는 혐의가 드러났다. * 잠실 NC와 두산의 시리즈 마지막 날 [[마이클 보우덴]]이 13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으며, [[두산 베어스]]는 사상 최초로 외국인 투수가 2번 노히트 노런을 기록한 팀이 되었다. * 사직 롯데-삼성전에서 [[황재균]]이 4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해 7회말 1점 홈런을 치면서 역대 72번째 100홈런을 달성했다. 또한 황재균의 10회말 끝내기 홈런으로 롯데가 이기면서 KBO 리그 최초의 시리즈 전경기 끝내기 승 스윕을 달성했다. ==== 7월 ==== * 7월 1일 * KADA(한국도핑방지위원회)가 6월 30일 도핑방지 규정을 위반한 [[짐 아두치]]에게 32경기 출장 정지 제재를 내렸고, 소속 구단인 롯데는 아두치를 웨이버 공시했다. * 7월 4일 * KBO가 도핑 방지 규정을 위반한 [[짐 아두치]]의 소속 구단인 [[롯데 자이언츠]]에 대해 선수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으로 1000만원의 제재금을 부과했다. * 7월 7일 * 삼성 [[이승엽]]이 LG와의 홈 경기에서 3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여 5회말 우익수 앞 2루타를 쳐서 KBO 역대 2번째로 개인통산 3700루타를 달성했다. * 7월 8일 * SK 와이번스가 KT와의 홈 경기에서 2회말 [[헥터 고메즈]]의 좌월 2점 홈런으로 팀 20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하며 2004년 KIA 타이거즈의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 SK 최정이 KT와의 홈 경기에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하며 통산 12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7월 9일 * SK 와이번스가 KT와의 홈 경기에서 8회말 [[최정]]의 좌월 1점 홈런으로 팀 21경기 연속 홈런 신기록을 달성했다. * 7월 13일 * kt wiz가 공연음란 혐의로 불구속 입건된 [[김상현(1980)|김상현]]에게 임의탈퇴 처분을 내렸다. * 7월 20일 * 삼성 라이온즈의 [[안지만]]이 불법 인터넷도박사이트 개설에 돈을 대 준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기존사건]]과는 별개)로 검찰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고 있음이 알려졌다. * [[2016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에 연루되어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된 [[이태양(1993)|이태양]]이 소속팀인 NC 다이노스로 부터 계약해지되었다. * 7월 21일 * 삼성 라이온즈의 안지만이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과 관련하여 상습도박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었으며, 소속 구단인 삼성 라이온즈는 안지만을 계약해지하였다. ==== 8월 ==== * 8윌 2일 * [[NC 다이노스]] 소속 [[투수]] [[이민호(1993)|이민호]]의 [[외도]], [[폭행]] 사건이 터졌다. * 8월 7일 * 화성 [[임병욱]]이 익산 KT전에서 퓨처스리그 통산 25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 8월 11일 * [[LG 트윈스]] 소속 타자 [[박용택]]이 통산 6번째 [[성구회|2000안타]]를 기록했다. * 8월 28일 * [[LG 트윈스]] 소속 타자 [[정성훈]]이 통산 7번째 [[성구회|2000안타]]를 기록했다. ==== 9월 ==== * 9월 1일 * 전직 롯데 자이언츠 선수였고 코치를 역임했던 [[유두열]]이 신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 9월 7일 * 우천연기된 55경기를 조합하여 잔여경기 일정을 확정 발표하였다. 이로써 정규시즌은 10월 8일에 종료된다. * 9윌 8일 * 야구 해설과 KBO 사무종장을 지냈던 [[하일성]]이 자신의 회사 사무실에서 목을 멘 상태로 발견되었다. * [[삼성 라이온즈]] 소속 타자 [[박한이]]가 통산 8번째 [[성구회|2000안타]]를 기록했다. * 9월 11일 * 7,384,752명으로 역대 최다 관중 수를 갱신했다. * 9월 19일 * 롯데 vs. 넥센 경기 중 사직야구장에 [[2016년 경주 지진]]에 딸린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238074&redirect=true|진도 4.5 여진이 발생했다]]. * 9월 22일 * KT vs 두산. 잠실구장 두산 홈 경기에서 두산이 2 : 9 로 승리하며 21년만에 KBO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다. * 두산 베어스가 KBO 리그 최초 15승 선발 투수 4명을 배출하였다. (22일 기준으로 니퍼트 21승 , 보우덴 17승 , 유희관 15승, 장원준 15승) * 9월 28일 * 두산 vs. 한화. 대전구장 한화 홈 경기에서 두산이 12:3으로 승리하였다. 이로써 두산 베어스는 이하의 기록을 수립하였다. * 단일 시즌 팀 최다승 타이 (91승) * 단일 시즌 팀 최다 선발승 신기록 (75승) * 단일 시즌 팀 최다 득점 신기록 (912점) * 단일 시즌 팀 최다 타점 타이 (855타점) * 9월 29일 * 넥센 vs. 두산 잠실구장 두산 홈 경기에서 넥센이 9:1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서 두산 베어스는 [[박건우(1990)|박건우]]의 20호 솔로 홈런으로 이하의 기록을 수립하였다. * 단일 시즌 팀 최다 타점 신기록 (856타점) * 단일 시즌 20+ 홈런 타자 최다 타이 (29일 기준 5명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36개, [[오재일]] 26개, [[닉 에반스|에반스]] 23개, [[양의지]] 22개, [[박건우(1990)|박건우]] 20개) [* 이전 타이 기록 99해태, 00한화, 03삼성, 10두산] ==== 10월 ==== * 10월 1일 * SK와 LG의 잠실 LG 홈 경기 후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3917|LG팬~~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SK 치어리더를 성추행하였다]]. * 10월 2일 * 군검찰이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25&aid=0002647746|상무 소속 프로야구 선수 2명이 승부조작에 연루된 의혹을 수사 중이다]]는 기사가 나왔다. * 10월 4일 * 롯데 vs. 두산의 잠실구장 두산 홈 경기에서 두산이 5:6으로 승리함에 따라 역대 단일 시즌 팀 최다승 기록이 경신됐다. (92승) * 10월 5일 * 포스트시즌 경기일정을 발표하였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10월 10일~11일, 준플레이오프는 10월 13일~19일, 플레이오프는 10월 21일~27일, 한국시리즈는 10월 29일~11월 6일에 열린다. * [[KIA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에 승리하면서 포스트시즌 진출팀이 두산-NC-넥센-LG-KIA 로 확정되었다. === 구단별 시즌 기록 === [include(틀:KBO 리그 구단별 2016 시즌)] === 정규 시즌 최종 순위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게임차}}}''' || '''{{{#white 승률}}}''' || || 1 || [[두산 베어스|'''{{{#white 두산 베어스}}}''']] || 144 || 93 || 1 || 50 || 0.0 || 0.650 || || 2 || [[NC 다이노스|'''{{{#white NC 다이노스}}}''']] || 144 || 83 || 3 || 58 || 9.0 || 0.589 || || 3 || [[넥센 히어로즈|'''{{{#white 넥센 히어로즈}}}''']] || 144 || 77 || 1 || 66 || 16.0 || 0.538 || || 4 || [[LG 트윈스|'''{{{#white LG 트윈스}}}''']] || 144 || 71 || 2 || 71 || 21.5 || 0.500 || || 5 || [[KIA 타이거즈|'''{{{#white KIA 타이거즈}}}''']] || 144 || 70 || 1 || 73 || 23.0 || 0.490 || || 6 || [[SK 와이번스|'''{{{#white SK 와이번스}}}''']] || 144 || 69 || 0 || 75 || 24.5 || 0.479 || || 7 || [[한화 이글스|'''{{{#black 한화 이글스}}}''']] || 144 || 66 || 3 || 75 || 26.0 || 0.468 || || 8 || [[롯데 자이언츠|'''{{{#f58220 롯데 자이언츠}}}''']] || 144 || 66 || 0 || 78 || 27.5 || 0.458 || || 9 || [[삼성 라이온즈|'''{{{#white 삼성 라이온즈}}}''']] || 144 || 65 || 1 || 78 || 28.0 || 0.455 || || 10 || [[kt wiz|'''{{{#white kt wiz}}}''']] || 144 || 53 || 2 || 89 || 39.5 || 0.373 || ※페넌트레이스 기준 순위 (최종 순위와 동일). 1~3위는 6월쯤 일찌감치 앞서나가고 와일드카드 두 자리를 놓고 중~하위권 팀의 순위다툼이 치열했던 시즌이었다. * [[두산 베어스/2016년|두산 베어스]] : --포스트시즌을 빼면--언제나 타선을 하드캐리하던 [[김현수(1988)|김현수]]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며 큰 전력 유출이 생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물음표가 많아 잘하면 3~4위나 중위권으로 예상하였고, 그에 상응하듯 4월 초에는 삐그덕거렸다. 하지만, 팀 승리 93승 중 70승을 [[판타스틱 포(동음이의어)#s-3.2.1|판타스틱 4]]가 쓸어담고, 모든 가정이 [[마이클 보우덴|좋은]] [[닉 에반스|쪽으로]] [[박건우(1990)|터지]][[오재일|며]], [[정재훈(1980)|생각지도]] [[김재환(야구선수)|못했던 선수들]]까지 잘해주면서 4월 중순의 7연승을 시작으로 일찌감치 치고 올라가기 시작했다.[* 아래의 개인성적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타자부문 1위는 병살타 1위(...)인 양의지 1명 밖에 없는 반면, 투수 부분에서는 좋은 쪽에서 대부분의 1위가 두산 소속이다.] 그 뒤로 7월의 부진을 제외하면 꾸준히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하며 1위를 유지하였고 그 결과 21년만에 정규 시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NC 다이노스/2016년|NC 다이노스]] : 전년도 가을야구를 했던 1~4위 팀들 중 유일하게 전력이 유출되지 않고 [[박석민|보강]]된 팀이었기 때문에 시즌 전 1강으로 예상되었지만, 우승 후보라는 소리를 들은 것이 무색하게도 봄에는 상당히 부진했다. 하지만 6월에 15연승을 하는 등 [[올라갈 팀은 올라간다|여름의 상승세]]를 보이며 1위 자리도 노렸었고 두산의 7월 부진을 틈타 8월 초 잠시 1위를 찍기도 했었으나, 그 뒤로 두산이 시즌 초반의 포스로 부활해서 승차를 벌려나갔고 이후 팀에 악재까지 잇달아 겹치면서 2년 연속 2위에 만족해야 했다. * [[넥센 히어로즈/2016년|넥센 히어로즈]] : 시즌 전 스토브리그에서 [[박병호|역대급]] [[손승락|전력]] [[유한준|유출]]을 겪었고, [[한현희|부상]] [[조상우|이탈자]]마저 발생하면서 모두에게 꼴찌 후보라는 예상을 들었던 것과는 달리 시즌 초반부터 5할 승률을 유지하였고, 7월부터 치고 나가면서 3위를 유지하며 2위 등극까지 노렸으나 2위 NC가 온갖 악재에도 정신 차리고 승수를 쌓을 동안 승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국 3위로 시즌을 끝냈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이 시즌에서 가장 기적과도 같은 성적을 냈다. * [[LG 트윈스/2016년|LG 트윈스]] : 전년도 부진에 리빌딩 시즌이라 큰 기대가 없었으나 시즌 초반의 선전 후 시즌 중반 부진으로 위기를 겪었지만 8월 이후 상승세를 타면서 딱 5할 승률을 기록하며 4위로 마무리했다. [[스캇 코프랜드]]를 퇴출하고 영입한 [[데이비드 허프]]가 대박을 터뜨린 것이 반등의 터닝포인트였다. * [[KIA 타이거즈/2016년|KIA 타이거즈]] : 전시즌 최악의 시즌을 보낸 [[나지완]]이 부활했고 유리몸의 대명사였던 [[김주찬]]이 건강하게 시즌을 보냈으며 전년도부터 시행한 리빌딩이 성공하면서 6월 말부터 치고 올라가며 결국 가을야구 막차를 타는 데 성공했다. 5할 -1 상황을 수차례 맞이했음에도 끝내 5할을 찍지 못했고 시즌 막판 상승세를 탄 LG와의 맞대결에서 밀리며 4위가 아닌 5위로 마쳤다. * [[SK 와이번스/2016년|SK 와이번스]] : 시즌 초반에는 선발야구가 제대로 돌아가면서 두산의 뒤를 이어 2위에 올랐고 승차를 한 게임 차까지 좁히며 1위 자리마저 위협하는 등 상당히 선전하였다. 그 뒤로도 여름부터 무섭게 치고 나온 NC와 꾸준히 승률을 유지했던 넥센의 뒤를 이어 7월까지는 4위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지만 ~~홈런밖에 못 치는 문제점 탓에~~ 후반기 들어 연패에 빠지며 와일드카드 자리를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놓치고 말았다.]] * [[한화 이글스/2016년|한화 이글스]] : 시즌 초반 선발투수의 집단 붕괴로 인한 대부진 후 5월 말부터 상승세를 탔지만 희망고문만 계속되며 7위 이상으로 치고 올라가지 못했고 결국 무너졌으나 시즌 최후반에 뒷심을 발휘하며 7위로 마감했다. * [[롯데 자이언츠/2016년|롯데 자이언츠]] : 시즌 내내 5할에 약간 못미치는 승률을 거뒀는데 7월에는 잠깐 5위를 기록하며 선전했으나 8월부터 무너지며 가을야구가 좌절되었다. * [[삼성 라이온즈/2016년|삼성 라이온즈]] : 5월까지는 중위권에서 그럭저럭 버텼으나, 여름성 이름값을 못하고 6월에 추락한 뒤 끝내 반등하지 못하며 전년도 페넌트레이스 우승팀이 맞나 싶을 정도의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았다. * [[kt wiz/2016년|kt wiz]] : 전년도 1군 진입을 성공적으로 치루면서 꽤나 기대를 받았다. 시즌 초반에는 그 기대에 부응하듯 중위권을 유지했으나 신생팀의 전력의 한계와 여러 악재로 인해 결국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며 아쉽게 시즌을 마감했다. 전년도와는 다르게 이번 시즌 와일드카드전의 4위의 중요성은 더더욱 커졌다. 전년도에는 1~4위와 5~8위의 팀의 격차가 워낙 컸기 때문에 가을야구의 하한선인 5위라도 잡기 위한 노력을 했으나 이번 시즌은 4~9위 팀간의 격차가 그리 크지 않아 조금 더 와일드카드전에서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려는 경쟁이 더 치열했다. 작년 처음으로 열린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볼 수 있듯 5위팀은 2경기를 이겨야 준 플레이오프로 갈 수 있는데다가 5위팀 입장에서는 연장에서 1경기 만에 허무하게 질 수도 있기 때문에 4위에 대한 경쟁이 더더욱 치열할 수 밖에 없었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성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376 || || || '''최다 안타'''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95안타 || || || '''홈런''' || [[최정]][br][[에릭 테임즈]] || [[SK 와이번스]][br][[NC 다이노스]] || 40개 || 1985년 [[이만수]], [[김성한]] 이후 31년만에 등장한 '''공동 홈런왕''' || || '''타점'''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44타점 || || || '''도루''' || [[박해민]] || [[삼성 라이온즈]] || 52개 || || || '''득점''' || [[정근우]] || [[한화 이글스]] || 121득점 || || || '''출루율'''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476 || || || '''장타율'''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679 || || || 사사구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127개 || 볼넷 108개, 몸에 맞는 공 9개, 고의사구 10개 || || 몸에 맞는 공 || [[최정]] || [[SK 와이번스]] || 23개 || || || 피삼진 || [[나성범]] || [[NC 다이노스]] || 136개 || || || 병살타 || [[양의지]] || [[두산 베어스]] || 20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성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다승'''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 22승 || '''외국인 최다승 타이''' || || '''탈삼진''' || [[마이클 보우덴]] || [[두산 베어스]] || 160K || || || '''세이브''' || [[김세현(야구선수)|김세현]] || [[넥센 히어로즈]] || 36세이브 || || || '''홀드''' || [[이보근]] || [[넥센 히어로즈]] || 25홀드 || || || '''평균 자책점'''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 2.95 || || || '''승률'''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 .880 || 시즌 22승 3패 || || 이닝 || [[헥터 노에시]] || [[KIA 타이거즈]] || 206⅔이닝 || || || 경기등판 || [[박정진]] || [[한화 이글스]] || 77경기 || || || 피홈런 || [[조쉬 린드블럼]] || [[롯데 자이언츠]] || 28개 || || || 피안타 || [[헨리 소사]] || [[LG 트윈스]] || 258개 || || || 사사구 허용 || [[박종훈]] || [[SK 와이번스]] || 114개 || 볼넷 91개, 몸에 맞는 공 23개 || || 패전 || [[라이언 피어밴드]][br][[조쉬 린드블럼]][br][[지크 스프루일]][br][[박종훈]][br][[트래비스 밴와트]] || [[kt wiz]][br][[롯데 자이언츠]][br][[KIA 타이거즈]][br][[SK 와이번스]][br][[kt wiz]] || 13패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박종훈]] || [[SK 와이번스]] || 23개 || || || 실책(야수) || [[헥터 고메즈]] || [[SK 와이번스]] || 25개 || || || 실책(팀) || || [[kt wiz]] || 130개 || || || 폭투(투수) || [[류제국]][br][[장현식]][br][[스캇 코프랜드]] || [[LG 트윈스]][br][[NC 다이노스]][br][[LG 트윈스]] || 13개 || || || 블론세이브 || [[김세현(야구선수)|김세현]][br][[윤길현]] || [[넥센 히어로즈]][br][[롯데 자이언츠]] || 8개 || || == [[KBO 리그/2016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 [[KBO 리그/2016년 포스트시즌]] * [[2016년 한국시리즈]] [[분류:KBO 리그/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