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2>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1989년]] [[12월 15일]] || || '''유형''' ||화산재 유입으로 인한 엔진 정지 || || '''발생 위치''' ||앵커리지 인근 || || '''기종''' ||[[보잉 747-400|B747-406M]] || || '''운영사''' ||[[KLM 네덜란드 항공]] || || '''기체 등록번호''' ||PH-BFC || || '''출발지'''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 '''경유지'''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 || || '''도착지''' ||[[나리타 국제공항]] || ||<|2> '''{{{#black 탑승인원}}}''' ||승객: 231명 || ||승무원: 14명 || || {{{#000 '''생존자'''}}} ||'''탑승객 245명 전원 생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n879.png|width=100%]]}}}|| || 사고 9개월 후,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고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암스테르담을 이륙해 앵커리지를 거쳐 나리타로 가던 KLM 소속 747기가 알래스카주 리다우트 화산의 분화로 인한 화산재로 엔진이 모두 멈췄던 사고. == 사고 진행 == || [youtube(cdZ1foe7-Us?si=eJra9-is988NFJJr)] || || ATC 기록 || 사고 전날 1989년 12월 14일, 알래스카주의 리다우트 화산이 분화하였다. 분화 다음날 25000피트(7620m) 상공을 비행하던 867편은 앵커리지로 가던중 화산재 속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15초 만에 모든 엔진이 화산재를 뒤집어 썼고 엔진 온도 센서는 모든 엔진을 자동적으로 꺼버렸다. 조종사들은 비상전력에 의존하며 엔진을 시작하려고 하였고 15000피트(4572m)까지 하강하고 나서야 1, 2번 엔진의 시동을 거는데 성공한다. 나머지 엔진들도 11000피트(3352.8m)에서 시동을 거는데 성공한 867편은 앵커리지에 무사히 착륙한다. [[파일:kl867.png]] == 사고 이후 == * 사고기의 엔진 4개, 각종 기기, 화물칸에 실려있던 폐사한 동물들을 포함해 800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 사고기는 수리된 후 계속 운항하다가 867편 사고가 일어난지 '''30년'''이 지난 2020년 3월에 퇴역했다. == 유사 사고 == * [[영국항공 9편 사건]] [[분류:미국의 항공사고]][[분류:1989년 항공사고]][[분류:악천후로 인한 항공사고]][[분류:KLM/사건 사고]][[분류:보잉 747/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