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b0b, #0f0f0f 40%, #0f0f0f 60%, #820b0b)"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50]]]][br]에미넴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933> '''[[Revival|{{{#fff {{{-2 2017년 12월 15일}}}}}}[br]{{{#fff 9집}}} {{{#fff Revival}}}]]''' || →||<#ded7bd> '''[[Kamikaze(음반)|{{{#000 {{{-2 2018년 8월 31일}}}}}}[br]{{{#000 10집}}} {{{#000 Kamikaze}}}]]''' || → ||<#b11026> '''[[Music To Be Murdered By|{{{#fff {{{-2 2020년 {{{#ffa500 1월 17일}}}}}}}}}[br]{{{#fff 11}}}{{{#ffa500 집}}} {{{#fff Music To Be {{{#ffa500 Murdered By}}}}}}]]''' || ||<-5><#ded7bd> '''{{{#000 Kamikaze 주요 수상 및 성과}}}'''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IFPI,연도=2018,순위=9)]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LOVE YOURSELF 結 'Answer']]'' [[방탄소년단|{{{-2 {{{#8086a0 BTS}}}}}}]] || {{{+1 →}}} || ''[[Kamikaze(음반)|Kamikaze]]'' '''[[Eminem|{{{-2 {{{#8086a0 Eminem}}}}}}]]''' || {{{+1 →}}} || ''[[Egypt Station]]'' [[폴 매카트니|{{{-2 {{{#8086a0 Paul McCartney}}}}}}]] || ---- }}} || |||| '''{{{#000 ''{{{+1 Kamikaze}}}''[br]카미카제}}}'''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MKamikaze.jpg|width=100%]]}}}|| |||| {{{#000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비행기 전체 모습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카미카제가로.png|width=96%]]}}}}}}}}}}}} || || '''아티스트''' || [[에미넴]] || || '''발매''' || [[2018년]] [[8월 31일]] || || '''녹음''' || 2018년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하드코어 힙합 || || '''길이''' || 45:49 || || '''트랙''' || 13 || || '''총괄[br]프로듀서''' || [[에미넴]][* 웬일로 [[닥터 드레]]가 프로듀싱에 참가하지 않았다.] || || '''레이블''' || [[애프터매스|Aftermath]], Shady,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8월 31일 발매된 [[에미넴]]의 10번째 정규 음반이다. == 상세 == 발매 이전 공식적인 사전 정보는 전혀 없었으며,[* 굳이 따지자면 [[Chloraseptic|Chloraseptic 리믹스]]에서 돌아온다고 하기도 하였고, 앨범 발매 몇 시간 전에 [[인스타그램]] 라이브로 떡밥 영상을 보여주긴 했지만 아무도 신작 예고임을 예상하지 못했다. 인터뷰에 의하면 ''[[Revival]]'' 때처럼 트랙리스트를 선공개해서 그걸 보고 팬들이 듣기도 전에 평가하는 게 탐탁지 못했다고 에미넴이 밝혔다.] 이전 [[투 체인즈]]가 추가로 참여한 [[Chloraseptic|Chloraseptic (Remix)]]에서 ''[[Revival]]''을 비판한 평론가들을 디스했으며, 여기서 곡 마지막 즈음에 나오는 >'''"I just add it to the fuel in my rocket pack. 'Till I'm ready to respond, then I'ma launch it at 'em. Idiotic from the fuckin' embryonic sac to the body bag, I'll be back"'''[* 방금 내 로켓 팩에 연료를 채웠어. 응답할 준비가 됐으니 그 때 바로 발사할게. 요람에서 무덤까지 미친 새끼, 난 돌아올 거야.] 이라는 구절이 ''Kamikaze''의 발매를 암시했던 내용이라는 추측이 대부분이다. 2018년 1월 경 [[닥터 드레]]와 [[마이크 윌 메이드 잇]]과 스튜디오에서 찍은 사진 역시 이 음반 작업을 위해 만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작보다 디스 트랙, 공격적인 가사들이 훨씬 많아졌으며, Ronny J, Tay Keith 등 2018년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아티스트들과의 작업으로 트렌디한 비트들도 눈에 띈다.[* 고전 [[록 음악]]들의 샘플을 썼던 [[Revival|전작]]의 트랙들과는 달리, [[트랩(음악)|트랩]]비트의 비중이 높아졌다.] 절친한 래퍼 [[로이스 다 파이브 나인]][* Royce Da 5'9"]과 [[제시 레예스]][* Jessie Reyez], [[조이너 루카스]][* Joyner Lucas]가 피쳐링진에 이름을 올렸으며, 리스트에 올라가진 않았지만 [[본 이베어]]의 보컬 저스틴 버논[* Justin Vernon]이 [[Fall]]에서 보컬로 참여했다. [[카미카제]]라는 제목은 [[군국주의]] 미화와는 상관이 없다.[* 에미넴의 MMLP 트랙인 Remember Me에선 'I drop bombs, like Hiroshima'(난 [[히로시마]]처럼 [[핵폭탄|폭탄]]을 떨어뜨려)라는 가사도 있다. 또한 앨범 표지의 제트기는 일본 제국 당시 자살 특공기였던 [[오카]] 또는 [[제로센]]과는 하등 관련 없는 미국의 제트전투기 [[F-86]] 세이버.] 그러나 당연히 [[일본군]]의 자살 특공과는 간접적인 연관은 있다. 단어가 인명경시적 행위에서 유래하여 [[맨땅에 헤딩|앞 뒤 보지 않고 마구잡이로 달려드는 무모한 자세]]라는 뜻의 관용어로도 사용된다. [[앨범 아트]]는 [[비스티 보이즈]]의 데뷔 앨범 ''[[Licensed to Ill]]''을 [[오마주]]했으며, 전투기의 기종은 [[F-86 세이버]]이다. 또한 비행기의 [[꼬리날개#s-3|수직꼬리날개]] 부분을 보면 TIKCU5라고 적혀 있는데, 거꾸로 읽어보면 5UCKIT 즉 SUCK IT[* [[좆까]]와 비슷한 맥락이다.]이다. 또 FU-2[* 미군이 운용한 F-86의 식별번호는 FU-000 으로 되어있다. 000 부분엔 기체번호가 들어간다.]도 보면 Fuck you too(너도 좆까)가 된다. 거기다 비행기 전체 모습의 앨범 아트를 보면 조종사가 [[Fuck You|가운데 손가락을 들고 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kamikaze,artist=eminem,critic=62,user=8.2)] 에미넴이 본격적인 배틀랩을 기치로 내세우고 탁월한 랩스킬을 선보인 것에 대한 호평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Revival 발매 8개월만에 만든 앨범인 만큼 믹싱 퀄리티나 곡 선정에 대한 혹평도 있다. Greatest, Lucky You, Fall 등의 곡들은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Normal, Nice Guy, Venom의 경우 앨범의 테마인 디스, 배틀랩과는 어울리지 않는 분위기 때문에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크게 혹평받았던 Revival보다는 낫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나, 단일 앨범으로써는 대체로 아쉽다는 것이 중론. 에미넴의 커리어 흐름에서 보자면 Revival에서 MTBMB로 넘어가는 일종의 전환점이자 가교 역할을 하는 앨범이기 때문에, 독립된 작품으로서의 완성도 그 자체보다는 에미넴의 음악적 매니페스토로서의 의미가 더 크게 여겨지는 앨범이다. 에미넴이 다루는 주제의식이 랩과 힙합 그 자체를 향하게 된 것도, 에미넴이 음반 발매 전 프로모션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것도 이 앨범에서부터 시작됐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Kamikaze)] ||||<-3><#ece5b6> '''{{{#0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The Ringer[*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5:37 || || 2 || Greatest[*Gold [include(틀:RIAA 골드)]] || 3:46 || || 3 || [[Lucky You]][*3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2 (feat. [[Joyner Lucas]])}}} || 4:04 || || 4 || Paul (Skit) {{{-2 {{{#gray Paul Rosenberg}}}}}} || 0:35 || || 5 || Normal[*Gold] || 3:42 || || 6 || Em Calls Paul (Skit) || 0:49 || || 7 || Stepping Stone[* 곡 앞부분에 미세하게 '''"안녕하세요"가 들린다.'''] || 5:09 || || 8 || Not Alike[* [[Drake]]와 [[BlocBoy JB]]의 곡 Look Alike의 비트를 살짝 바꾼 비트다. 이 곡이 유독 다른 래퍼들의 스타일을 비꼬면서 쓴다. 예를 들면 [[릴펌]]의 구찌갱.][*Gold] {{{-2 (feat. [[Royce Da 5'9"]])}}} || 4:48 || || 9 || Kamikaze[*Gold] || 3:36 || || 10 || [[Fall]][* [[본 이베어#s-2|Justin Vernon]]이 훅으로 참여.][*Platinum] || 4:22 || || 11 || Nice Guy {{{-2 {{{#gray Eminem & [[제시 레예스|{{{#gray Jessie Reyez}}}]]}}}}}}[* 원래 [[제시 레예스]]의 곡이었기 때문에 피쳐링이 아니고 에미넴과 공동 아티스트로 발매되었다.] || 2:30 || || 12 || [[Good Guy]][*Gold] {{{-2 (feat. [[Jessie Reyez]])}}} || 2:22 || || 13 || [[Venom(음반)|Venom]][* 영화 [[베놈(영화)|베놈]]의 사운드트랙이다.][*2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2)]] {{{-2 (Music From [[베놈(영화)|The Motion Picture]])}}} || 4:29 || ===# 크레딧 #=== ||<-6><#ece5b6> '''{{{#0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The Ringer ||<|2> || {{{-3 Illa da Producer, Ronny J,[br] [[Eminem]]}}} || {{{-3 Young M.A - Ooouuu}}} || 5:37 || || 2 || Greatest || {{{-3 [[Mike Will Made It]], Jeremy Miller}}} || {{{-3 [[Kendrick Lamar]] - [[HUMBLE.]],[br] [[Playboi Carti]] - wokeuplikethis*}}} || 3:46 || || 3 || Lucky You || {{{-3 [[Joyner Lucas]]}}} || {{{-3 Boi-1da, Illa da Producer,[br] [[Eminem]], Jahaan Sweet}}} ||<|2> || 4:04 || || 4 || Paul (Skit) || {{{-3 Paul Rosenberg}}} || {{{-3 [[Eminem]]}}} || 0:35 || || 5 || Normal ||<|2> || {{{-3 Swish Allnet, Illa da Producer,[br] LoneStarrMuzik, S1}}} || {{{-3 Little Dragon - Seconds}}} || 3:42 || || 6 || Em Calls Paul (Skit) || {{{-3 [[Eminem]]}}} ||<|3> || 0:49 || || 7 || Stepping Stone || {{{-3 Mario Resto}}} || {{{-3 [[Eminem]], Luis Resto}}} || 5:09 || || 8 || Not Alike || {{{-3 [[로이스 다 파이브 나인|Royce da 5'9"]]}}} || {{{-3 [[Eminem]], Tay Keith, Ronny J}}} || 4:48 || || 9 || Kamikaze || || {{{-3 [[Eminem]], Suby}}} || {{{-3 [[LL Cool J]] - I'm Bad}}} || 3:36 || || 10 || Fall || {{{-3 [[본 이베어|Justin Vernon]]}}} || {{{-3 [[Mike Will Made It]], [[Eminem]]}}} ||<|2> || 4:22 || || 11 || Nice Guy ||<|2> {{{-3 [[Jessie Reyez]]}}} || {{{-3 Ball, S1, [[Eminem]]}}} || 2:30 || || 12 || Good Guy || {{{-3 [[Eminem]], Lonestarrmuzik}}} || {{{-3 Donna Burke - Glassy Sky}}} || 2:22 || || 13 || Venom || || {{{-3 [[Eminem]], Luis Resto}}} || || 4:29 || === 싱글 === ||<-3><#ece5b6> '''{{{#000 싱글 리스트}}}''' || || '''제목''' || '''발매''' || '''앨범 아트''' || || [[Fall]] || 2018년 9월 4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Kamikaze.jpg|width=100%]]}}}|| || [[Venom(음반)|Venom]] || 2018년 9월 21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V.jpg|width=100%]]}}}|| || [[Lucky You]] || 2018년 11월 30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Kamikaze.jpg|width=100%]]}}}|| == 광역 디스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l4pRABzN72E)]}}}|| ||<#000> '''{{{#fff 모두까기 인형, 슬림 셰이디가 돌아오다.}}}''' || 원래 [[에미넴/디스|디스를 많이 하는]] 에미넴이지만 [[카미카제]]라는 앨범 타이틀에 걸맞게 이번 앨범에서 유독 많은 유명인들을 직접 거론하면서 디스하였다. '''볼드체 처리'''의 경우는 다른 디스보다 화제성이 큰 디스였다. ---- *1. The Ringer *[[빈스 스테이플스]] *[[조 버든]] *[[NF]] : [[Recovery]]의 클론이라고 디스했다. *[[릴 야티]][* "I can see why people like Lil Yatchy but not me though / Not even dissing, it just ain't for me"라는 라인인데, 디스라기보단 그냥 에미넴한텐 안 맞더라는 말이라 디스로 보기엔 애매한 감이 없지 않다.] *[[릴 펌]] & [[릴 잰]] : [[릴 웨인]]을 베낀다고 디스했다.[* 이 중 [[릴 펌]]은 디스 당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언급했으나 했으나 뒤끝이 남아있던건지 2020년 태세를 바꿔서 에미넴을 인스타에서 깠다.] *샬라메인 더 갓 (Charlamagne Tha God) *[[도널드 트럼프]] ---- *2. Greatest *[[자 룰]] : 이 음반이 나오자마자 '''"내 [[헤일리 제이드 매더스|헤일리]] [[에미넴/디스#s-2.2|가사]]가 먹히기 시작했군 ㅎㅎ"'''이라며 어그로를 끌면서 다시 한 번 강도 높은 비난을 받았다. *[[디 안트우드]] (Die Antwoord) : 이 이름을 잘못 읽는 경우가 허다한데, 에미넴도 ''[[Revival]]''의 트랙 Untouchable에서 라임과 동시에 샤라웃으로 언급했다가 이후 디 안트우드 본인들이 직접 유튜브 영상으로 "우리 이름은 그게 아니고 '디-안트-우드'다. 네 이름은 뭐 '이-미넴'이냐."라며 조롱한 게 발단이 되었다. Sway와의 Kamikaze 인터뷰에서 "난 걔네 음악을 진짜 좋게 들었다고"라며 어이없음을 호소(?)하는 에미넴을 볼 수 있다. 해당 곡에서 에미넴은 다시 한번 잘못된 발음을 고의적으로 구사하며 역으로 조롱했고 [[사이프러스 힐]]의 Muggs와 두 멤버가 구멍동서 관계로 얽혀있는 것을 디스했다. *[[Token|토큰]] : 에미넴의 대히트 이후로 백인 래퍼들이 인지도와 상관없이 에미넴을 과도하게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토큰은 이에 "에미넴과 비교되느니 그를 만나지 않겠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에 에미넴은 곡에서 "이런 애까지 상대하기엔 내가 너무 크지 않나? 누가 얘 자살이라도 안 하게 아동보호장치라도 해 줘라"라며 디스했다. ---- *3. [[Lucky You]] (feat. [[조이너 루카스|Joyner Lucas]])[* 발매당시 에미넴의 곡들 중 속사포가 가장 빠른 곡이었다. 현재는 [[Godzilla]]가 가장 빠르다.] *[[멈블 랩]] ---- *8. Not Alike (feat. [[Royce Da 5'9"]]) *[[멈블 랩]] *[[미고스]] *'''[[머신 건 켈리]]''': 이에 켈리는 Rap Devil로 에미넴을 맞디스하였고, 이후 에미넴은 [[Killshot]]에서 종결짓는다. ^^([[에미넴/디스#s-2.10|에미넴/디스 항목의 2.10 문단]] 참조.)^^ ---- *9. Kamikaze *[[Token|토큰]] *[[머신 건 켈리]] *~~[[Drake|드레이크]]~~ : 가사의 일부가 드레이크를 저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당장 위의 Genius 영상만 보아도 섬네일에 드레이크가 있다.] 그러나 Sway와의 카미카제 인터뷰에서 드레이크를 향한 디스는 아니었다고 언급했다. 딸들 중 한 명에게 좋은 일을 해주었기 때문에 그럴 일 없다고. ---- *10. [[Fall]] *샬라메인 다 갓 *[[조 버든]] *DJ 아카데믹스 (DJ Akademiks)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얼 스웻셔츠]]''': 에미넴의 음반을 맹비난했던 오드 퓨처의 둘을 가사[* "'''타일러가 만들긴 뭘, 왜 스스로 [[Faggot|호모새끼]]라고 했는지 이해가 돼.''' 사람들의 관심이 부족해서이기도 하지만 그 이유는 네가 [[D12]]의 불알을 숭배해서잖아, 이 불알교 신자. 네가 날 깔 거면 최소한 나만큼, 아니면 나보다 잘 하든지 '''얼 후드스웨터인가 뭔가'''랑 같이 몇 단어를, '''적어도 두 글자(OF) 이상은 만드는 게 좋을 거다.'''" (원문) Tyler Create Nothing I see Why You Call Youself a '''Faggot''' Bitch It's Not Beacuse Lack Attention It's Becaus you Worship D12's Ball You Sacrilegious If You Gonna Critique Me You Better at Least Be as Good or Better Get Earl, The Hood Sweater Whatever His Name is To Help Put Together Some More Than Just Two Letters.]에서 맞받아쳤다. 다만 이때 타일러에게 사용한 "[[Faggot]]"이 다시 한 번 성별혐오라며 논란을 일으켰고, The Independent에서는 "2018년에서조차 게이 혐오 용어를 쓰고 다닐 거면, 그냥 지금 당장 은퇴해야 한다"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행하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에미넴은 이미 2번 트랙인 Greatest에서 "병신새끼들이 개소리를 하던데, 나보고 이제 은퇴하라네. 내가 씨부리는 거 듣기 싫으면 내 입에 좆이나 박아보든가."라며 저런 비평들을 대차게 깠다.] 이는 에미넴조차 인터뷰에서 가사의 정도가 좀 지나쳤고, 타일러가 아닌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도 상처를 주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후회하는 심정을 밝혔다. 후에 ''[[Music To Be Murdered By]]''가 발매되었고, 곡 No Regrets에서 "내 분노를 얼과 타일러에게 잘못 썼어, 반응하지 말고 가짜들을 노렸어야 했는데"라며 심정을 밝혔다.[* "Misplacin' my anger enough to give Earl and Tyler, The Creator the brunt (Yeah) / Shoulda never made a response, shoulda just aimed for the fake ones"] *[[피치포크]] *[[그래미 어워드]] 그래미는 거장들의 피를 빨아먹고 듣보잡한테 Album of The Year을 준다고 디스했다. *로드 자머 (Lord Jamar) : 유명 그룹 Brand Nubian에 소속되어 있는 힙합계에서 생각보다 보기 드문 [[흑인 우월주의]] 래퍼.[* 더불어 [[호모포비아]] 성향도 있다.] 백인이 [[힙합 음악|힙합]]을 하는 것 자체를 아니꼽게 보며 그 중에 [[에미넴]]도 예외가 아닌 듯 하다. 인터뷰에서 에미넴은 좋은 백인이지만, 그가 랩하는 내용은 흑인들이 하는 것들이 아니라고 했다. 흑인들이 자기 엄마를 죽이는 짓을 하지는 않는다고(...)놀랍게도 2020년 후반기에 접어들며 [[로이스 다 파이브 나인]]의 도움으로 [[머라이어 캐리]]의 전 배우자 [[닉 캐넌]]과 함께 화해했다.[* 물론 그동안의 시간이 있어서 [[MTBMB]] Side B에서 디스당하긴 하지만 곡을 만들 당시 화해하기 이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로드 자머가 현 시대 최고의 라임 장인으로 에미넴을 뽑기도 했다!''' ---- *12. [[Good Guy]] (feat. [[Jessie Reyez]]) *킴벌리 앤 스콧 (Kimberly Ann Scott) : 이 트랙은 예전처럼 곡 전체를 할애하며 킴을 디스하는 곡은 아니나, 딱 한 구절에서 킴이 자신과의 성생활이 불만족스러웠다고 언론과 인터뷰한 것을 비꼬는 구절이 있다. [[분류:2018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에미넴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중서부 힙합]][[분류:하드코어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