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싱글))] ||<-2> '''{{{+1 {{{#!html 쿨 & 더 갱}}}}}}'''[br]'''{{{#!html Kool & the G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fa9d1e3034f35adcfbd22cc118b4383.webp|width=100%]]}}} || ||<|2> '''결성''' ||1964년|| ||[[미국]] [[뉴저지 주]] [[저지시티]]|| || '''멤버''' ||로버트 벨[br]조지 브라운[br]마이클 레이[br]케빈 벨[br]커티스 윌리엄스[br]지르마드 고든[br]월트 앤더슨[br]저매인 브라이슨[br]라비 베스트[br]셸리 폴[br]라벨 에반스[br]숀 맥퀼러[br]티머시 호튼|| || '''전 멤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데니스 토마스[br]로널드 벨[br]리키 웨스트[br]로버트 미킨스[br]클레이즈 스미스[br]레리 기튼스[br]도널드 보이스[br]얼 툰[br]케빈 라시터[br]칼드웰 맥밀란[br]오든 메이스[br]게리 브라운[br]오타 내쉬[br]로드니 엘리스[br]루이스 테일러[br]제임스 테일러[br]로열 바얀[br]세니 마틴[br]우디 스페로우[br]클리포드 애덤스[br]제이크 울퍼트}}}|| || '''장르''' ||[[R&B]], [[소울 음악|소울]], [[펑크(음악)|펑크]], [[디스코]]|| || '''활동''' ||1964년 ~ 현재|| || '''링크''' ||[[https://www.koolandthegang.com/|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3GwjfUFyY6M)] Kool & The Gang은 미국의 흑인 [[펑크(음악)|Funk]] 밴드이다. 제일 큰 히트곡으로 "[[Celebration]]"이 있으며, 이 곡은 [[1981년 핫 100 연말 차트]] 6위와 [[빌보드 핫 100]]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 상세 == 이들은 원래 같은 흑인 Funk 밴드지만 더 잘 알려진 [[Earth, Wind & Fire]] 보다 먼저 인기를 끌었다. 1974년부터 1975년 중반까지는 쿨 앤 더 갱의 첫번째 전성기로 이들의 대표곡이라고 할 수 있는 "[[Jungle Boogie]]",[* [[빌보드 R&B 차트]] 2위, 빌보드 핫 100 4위, [[197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12위] "[[Hollywood Swinging]]",[* 빌보드 R&B 차트 1위, 빌보드 핫 100 6위, 197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59위] "[[Higher Plane]]",[* 빌보드 R&B 차트 1위, 빌보드 핫 100 37위], [[Spirit of the Boogie]] / Summer Madness[* 빌보드 R&B 차트 1위, 빌보드 핫 100 35위] 등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했으나 1975년 말부터 [[디스코]] 음악의 인기가 하늘을 치솟으면서 정통 Funk 음악을 하던 이들은 침체기에 빠졌었다. 이들의 침체기였던 1976~1978년 사이에 Earth, Wind & Fire은 최전성기를 구가하고 이들은 설 자리를 잃었다가, 1979년 브라질의 한 유명 작곡가/프로듀서인 에위미르 데르다토를 만나게 되는데, 그가 프로듀싱한 곡들인 "[[Ladies' Night]]", "[[Too Hot(Kool & the Gang)|Too Hot]]", "[[Celebration]]"이 모두 빌보드 핫 100 탑 10에 들어갔으며 [[Celebration]]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1981년에 어마어마한 히트를 거두었고 동시에 마성의 BGM으로 여러 CF에서 활발히 사용되어 현대인들에게도 인지도가 상당히 높다. 이들의 인기는 당연히 여기서 그치지 않았는데, Earth, Wind & Fire가 1970년대의 화려한 디스코 시대를 뒤로 하고 슬슬 인기가 떨어지고 있었는데 [* 1982년 Let's Groove로 빌보드 핫 100 3위를 기록하며 [[포스트 디스코]] 장르에서 성공을 거두나 1983년의 Fall In Love With Me 이후 별다른 히트곡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불리고 있는 "[[September]]", "[[Boogie Wonderland]]", "[[Let's Groove]]" 등, 이들은 많은 디스코 명곡을 남겼다. 전성기가 지난 지는 40년이 다 되어 가지만 이들의 음악은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많이 플레이되고 있다.] Kool & The Gang은 전통 흑인 Funk/Disco에서 벗어나 80년대식 흑인 음악을 구사하며 1980년대에 최전성기를 누렸다. 특히 메인 보컬을 맡았던 제이티 테일러(James "J.T." Taylor)는 뛰어난 가창력과 호감형 외모로 팀의 인기에 크게 일조했다. Celebration 이후 이들의 히트곡으로는, 1982년 "[[Get Down on It]]"이 빌보드 핫 100 10위, "[[Take My Heart (You Can Have It If You Want It)]]"가 빌보드 핫 100 17위를 기록하며 대히트를 거뒀고, 1984년 "[[Joanna]]"라는 [[컨템퍼러리 R&B|R&B]] 사랑노래로 빌보드 핫 100 2위를 기록했고 [[Tonight(Kool & the Gang)|Tonight]]도 빌보드 핫 100에서 13위를 기록하며 히트했다. 이듬해인 1985년 "[[Cherish(Kool & the Gang)|Cherish]]", "[[Misled]]", "[[Fresh]]"가 모두 빌보드 핫 100 탑 텐에 들어가는 등 대히트를 거두었다. 1987년 "[[Victory]]"와 "[[Stone Love]]"가 빌보드 핫 100 탑 텐에 들어가며 다시 한 번 성공하지만, 이후 발표된 후속곡들이 인기를 얻지 못하고 팀의 기둥격이었던 리드보컬 제이티 테일러가 솔로 전향을 위해 탈퇴를 선언하면서 이들의 전성기도 끝나게 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Kool and the Gang (1969) * Music Is the Message (1972) * Good Times (1972) * Wild and Peaceful (1973)[* [[빌보드 200]] 33위][* [[RIAA]] 골드 레코드 (1974년 5월 10일에 기록)] * Light of Worlds (1974)[* 빌보드 200 63위][* RIAA 골드 레코드 (1975년 8월 18일에 기록)] * Spirit of the Boogie (1975)[* 빌보드 200 48위] * Love & Understanding (1976) * Open Sesame (1976) * The Force (1977) * Everybody's Dancin' (1978) * Ladies' Night (1979)[* 빌보드 200 13위, 1980년 빌보드 200 연말 차트 11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80년 1월 21일에 기록)] * Celebrate (1980)[* 빌보드 200 10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81년 2월 25일에 기록)] * Something Special (1981)[* 빌보드 200 12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81년 12월 28일에 기록)] * As One (1982)[* 빌보드 200 29위][* RIAA 골드 레코드 (1982년 11월 10일에 기록)] * In the Heart (1983)[* 빌보드 200 29위][* RIAA 골드 레코드 (1984년 2월 24일에 기록)] * Emergency (1984)[* 빌보드 200 13위][* RIAA 2x 플래티넘 레코드 (1986년 3월 21일에 기록)] * Forever (1986)[* 빌보드 200 25위][* RIAA 골드 레코드 (1987년 1월 12일에 기록)] * Sweat (1989) * Unite (1992) * State of Affairs (1996) * Gangland (2001) * The Hits: Reloaded (2004) * Still Kool (2007) * Kool for the Holidays (2013) * Perfect Union (2021)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Celebration]] (1980)[*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81년 3월 19일에 기록)] ==== 빌보드 핫 100 2위 ==== * [[Joanna]] (1983)[* RIAA 골드 레코드 (1989년 5월 9일에 기록)] * [[Cherish(Kool & the Gang)|Cherish]] (1985)[* RIAA 골드 레코드 (1989년 5월 9일에 기록)] ==== 빌보드 핫 100 3 ~ 10위 ==== * [[Jungle Boogie]] (1973) - 4위[* RIAA 골드 레코드 (1974년 2월 21일에 기록)] * [[Hollywood Swinging]] (1974) - 6위[* RIAA 골드 레코드 (1974년 6월 21일에 기록)] * [[Ladies' Night]] (1979) - 8위[* RIAA 골드 레코드 (1979년 12월 10일에 기록)] * [[Too Hot(Kool & the Gang)|Too Hot]] (1980) - 5위[* RIAA 골드 레코드 (1989년 5월 9일에 기록)] * [[Get Down on It]] (1981) - 10위[* RIAA 골드 레코드 (1989년 5월 9일에 기록)] * [[Fresh]] (1984) - 9위 * [[Misled]] (1984) - 10위 * [[Victory]] (1986) - 10위 * [[Stone Love]] (1987) - 10위 ==== 빌보드 핫 100 11 ~ 20위 ==== * [[Tonight(Kool & the Gang)|Tonight]] (1984) - 13위 * [[Take My Heart (You Can Have It If You Want It)]] (1981) - 17위 * Emergency (1985) - 18위 ==== 빌보드 핫 100 21 ~ 40위 ==== * Funky Stuff (1973) - 29위 * [[Higher Plane]] (1974) - 37위 * [[Spirit of the Boogie]] (1975) - 35위 * Jones vs. Jones (1981) - 39위 * Big Fun (1982) - 21위 * Let's Go Dancin' (Ooh La, La, La) (1982) - 30위 ====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 * Kool and the Gang (1969) - 59위 * The Gangs Back Again (1969) - 85위 * Let the Music Take Your Mind (1970) - 78위 * Funky Man (1970) - 87위 * Rhyme Tyme People (1974) - 63위 * Caribbean Festival (1975) - 55위 * Love and Understanding (Come Together) (1976) - 77위 * Open Sesame - Part 1 (1976) - 55위 * Steppin' Out (1981) - 89위 * Holiday (1987) - 66위 * Special Way (1987) - 72위 == 여담 == [youtube(Uxc9KSPLMxY)] [[Hollywood Swinging]]은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에서 Life's a Beach 미션 및 여자친구 클럽 데이트 댄스곡으로 사용되어 게임을 플레이 해본 사람들에겐 친숙한 곡이다. 댓글을 달 수 있는 [[https://www.youtube.com/watch?v=YK-cvcw3ngM|유튜브 영상]]에도 산 안드레아스 관련 드립이 줄줄이 달려있다. [[분류:Kool & the 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