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G 트윈스)] ---- [include(틀:LG 트윈스/역대 시즌)] ---- ||<:><-5> '''[[LG 트윈스|{{{#white LG 트윈스 시즌별 성적}}}]]''' || ||<:> '''[[LG 트윈스/1993년|1993 시즌]]''' ||<:> {{{+1 ←}}} ||<:> '''{{{#ffffff 1994 시즌}}}''' ||<:> {{{+1 →}}} ||<:> '''[[LG 트윈스/1995년|1995 시즌]]''' || ---- [include(틀:LG 트윈스/시즌별 경기(1994년))] ---- ||<-6>
{{{#ffffff LG 트윈스 1994 시즌 성적}}} || || {{{#ffffff 순위}}}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승차}}} || {{{#ffffff 승률}}} || || {{{+1 '''1''' / 8}}} || '''{{{+1 81}}}''' || '''{{{+1 0}}}''' || '''{{{+1 45}}}''' || '''{{{+1 0}}}''' || '''{{{+1 {{{#blue 0.643}}}}}}''' || ---- [목차] == 스토브리그 == === 코칭스태프 이동 === [[이종도]] 수석코치와 [[최정기(야구)|최정기]] 배터리코치, [[하기룡]] 2군 투수코치와 재계약을 포기했다. 1군에 [[유종겸]] 투수코치와 [[천보성]] 수비코치는 유임되었다. 그리고 2군 타격코치였던 [[김용달]]은 1군 타격코치, 2군 작전코치 [[최정우(야구)|최정우]]는 1군 작전코치, [[오영일]] 수석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대신, 2군에는 타격코치로 [[이광은]], 작전코치로 [[김인식(1953)|김인식]], 수비코치에는 [[신언호]]가 임명되었다. 추가 코치영입으로 2군 타격코치로 [[박종훈(1959)|박종훈]], 2군 투수코치에 [[임호균]]을 영입했다. [[심재원(야구선수)|심재원]]이 신임 1군 배터리코치가 되었다. 삼성의 전 2군감독이었던 [[박용진(야구인)|박용진]]을 2군 감독으로, 빙그레의 투수코치였던 [[김명성(1946)|김명성]]을 1군 투수코치로 영입했다. === 선수 이동 === 1993년 12월 1일 해태와의 초유의 4:2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김상훈(1960)|김상훈]]과 [[이병훈(야구)|이병훈]]을 내주는 조건으로 [[한대화]], [[신동수(1966)|신동수]], [[허문회]], 김봉재를 영입한 것이다. 노쇠화가 시작된 것같은 한대화를 받는 대신 '미스터 청룡'이라는 별명의 프랜차이즈 1루수 김상훈을 내주는 이 결정에 [[최종준(1951)|최종준]] 단장은 어마어마한 욕을 먹었다. === 신인 선수 === * 포지션은 지명 당시 기준. |||| ||<:> 이름 ||<:> 포지션 ||<:> 경력 ||<:> 계약금 || ||||<:> 1차 || '''[[류지현(야구)|유지현]]''' || 내야수 || 충암고 - 한양대 || 7,500만원 || ||<|7><:> 2차 || 1라운드 || [[인현배]] || 투수 || 선린상고 - 단국대 || || || 2라운드 || 박은우 || 내야수 || 광주상고 - 원광대 || ? || || 3라운드 || [[박철홍]] || 투수 || 신일고-고려대-포철 || ? || || 4라운드 || '''[[최동수]]''' || 포수 || 광영고 - 중앙대 || 2,800만원 || || 5라운드 || 박창현 || 투수 || 동산고 - 경남대 || || || 6라운드 || '''[[서용빈]]''' || 내야수 || 선린상고 - 단국대 || 1,800만원 || || 7라운드 ||<-4> 패스 || ||||<|2><:> 고졸 연고 || '''[[김재현(1975)|김재현]]''' || 외야수 || 신일고 || 9,100만원 || || '''[[신윤호(1975)|신윤호]]''' || 투수 || 충암고 || 8,800만원 || 대졸신인 1차지명으로 OB가 동국대 좌완투수 [[류택현]]을 지명한 반면 LG는 한양대의 거물 유격수 [[류지현(야구)|유지현]]을 지명했다. 계약금은 7,500만원에 연봉은 1,200만원이었다. 2차지명에서 단국대 투수 [[인현배]]를 1라운드로 뽑았다. 3라운드에는 고려대 투수 [[박철홍]]을 지명했다. 4라운드로는 중앙대 포수 [[최동수]]를, 마지막 픽인 6라운드에서는 단국대 내야수 [[서용빈]]을 지명했다. 고졸신인으로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의 [[김재현(1975)|김재현]]을 고졸 최고대우인 계약금 9,100만원, 연봉 1,200만원에 계약했다. 또한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의 [[신윤호(1975)|신윤호]]를 계약금 8,800만원, 연봉 1,200만원에 계약했다. 이로써 프로야구의 억대 고졸신인 시대를 열었다. === 기타 === [[송구홍]]과 [[김동수(야구)|김동수]]가 군입대를 했다. 송구홍은 현역 판정, 김동수는 방위병 판정을 받아 김동수는 위수지역인 홈경기와 OB 원정경기는 출장할 수 있게 되었다. == 페넌트레이스 == === 시즌 전 전망 === === [[LG 트윈스/1994년/4월|4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4월)] 3연전 스윕승은 없지만 루징시리즈와 연패 없이 12승6패로 선두에 오르며 쾌조의 한 달을 보냈다. 시즌 전 부정적인 예상과는 정반대로 흘러갔다. 마운드는 기존의 선발의 두 축 [[정삼흠]]과 김태원에 이어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까지 에이스로 성장하며 더 강화되었다. 여기에 신인 [[인현배]]까지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였다. 김상훈을 내주고 영입한 3루수 [[한대화]]는 해결사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결정적으로 유지현과 김재현에 이어 기대하지 않았던 서용빈까지 신인 3인방이 등장하며 팬들을 열광하게 했다.[* 서용빈은 4월에 신인 최초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 [[LG 트윈스/1994년/5월|5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5월)] 월초 마운드 왕국이 되어 돌풍을 일으키던 [[태평양 돌핀스]]와의 3연전에서 싹쓸이 승리를 거두며 독주체제를 갖추기 시작했다. 잠시 롯데와 삼성을 상대로 첫 연패에 이어 3연패를 기록하며 주춤하나 했지만 약체 [[쌍방울 레이더스]]에 3연전 스윕승을 거두며 위기에서 벗어났다. 그리고 한화와 태평양에 위닝시리즈를 기록하며 월간전적 17승7패로 호성적을 기록했고, 2위 해태에 4.5경기차로 앞섰다. === [[LG 트윈스/1994년/6월|6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6월)] 이상훈과 함께 타선이 다소 기복을 보이면서 월간 전적 13승 12패로 1994 시즌 중 가장 좋지 않았던 달이다. 하지만 고비 때마다 [[인현배]]가 승리요정으로 활약했고 이 달에만 4승을 거뒀다. 선동열과의 맞대결에서 완봉승을 거두기도 했다. 5월 1일 이후 1달이 넘게 승리가 없었던 김태원은 이 달에만 4승을 기록했다. 3연패 1차례, 2연패 3차례를 기록했으나 그래도 탄탄한 선발진 덕에 긴 연패는 허용하지 않고 쌍방울전 3연전 스윕승과 한화-해태전 4연승으로 만회하면서 월간 승패마진은 +를 유지했다. 살짝 주춤한 달임에도 아래팀들이 혼전을 벌이면서 반사이익을 봤다. 2위와의 승차는 5월과 동일하게 4.5경기였으며 2위의 주인은 태평양으로 바뀌었다. === [[LG 트윈스/1994년/7월|7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7월)] 우천취소 1경기 때문에 동률시리즈를 기록한 쌍방울과의 마지막 시리즈 빼고 루징시리즈 없이 모조리 위닝시리즈를 기록하며 월간 14승 6패로 2위와의 승차를 9경기로 벌리며 사실상 우승을 거의 예약했다. 김태원과 이상훈은 나란히 10승째를 기록했고, 서용빈은 신인 최단기 100안타에 성공했으며, 김재현은 월간 6홈런에 15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 [[LG 트윈스/1994년/8월|8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8월)] 월초 OB와 한화, 롯데에 3연속 루징을 기록하며 잠시 주춤했으나 삼성과 한화에 3연전 스윕, 태평양에 2연전 전승을 가져가며 월간승률은 15승9패로 6할을 넘겼다. 60승에 이어 70승 고지까지 밟으며 2위 태평양과의 승차를 9로 유지해 우승을 99% 확정지었다. 인현배가 주춤하기 시작했지만 정삼흠과 함께 10승을 넘겨 LG는 10승투수 4명을 보유하게 됐다. 이중 김태원과 이상훈은 15승에 성공했다. === [[LG 트윈스/1994년/9월|9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트윈스/1994년/9월)] 삼성과의 4연전 3승1패, 해태와의 3연전 2승1패에 이어 9월 9일 태평양과의 맞대결에서 승리하며 정규시즌 우승 및 한국시리즈 직행을 확정지었다.[* 개막전도 태평양전이었다.] 김재현의 20-20에 이상훈의 다승왕이라는 좋은 소식이 있었다. == 상대팀 별 전적 == ||<-5>
{{{#ffffff LG 트윈스 1994년 팀별 상대 전적}}} || || {{{#white 상대 팀}}} || {{{#white 승 - 무 - 패}}} || {{{#white 승률}}} || {{{#white 승패마진}}} || {{{#white 우열}}}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blue 11}}} - {{{#green 0}}} - {{{#red 7}}}''' || 0.611 || +4 || '''{{{#Skyblue 우세}}}''' ||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 '''{{{#blue 11}}} - {{{#green 0}}} - {{{#red 7}}}''' || 0.611 || +4 || '''{{{#Skyblue 우세}}}''' || ||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 '''{{{#blue 11}}} - {{{#green 0}}} - {{{#red 7}}}''' || 0.611 || +4 || '''{{{#Skyblue 우세}}}''' ||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 '''{{{#blue 12}}} - {{{#green 0}}} - {{{#red 6}}}''' || 0.667 || +6 || '''{{{#blue 절대우세}}}''' || ||<:>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 '''{{{#blue 10}}} - {{{#green 0}}} - {{{#red 8}}}''' || 0.556 || +2 || '''{{{#Skyblue 우세}}}''' || ||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 '''{{{#blue 13}}} - {{{#green 0}}} - {{{#red 5}}}''' || 0.722 || +8 || '''{{{#blue 절대우세}}}''' || || [[태평양 돌핀스|{{{#131b66 '''태평양 돌핀스'''}}}]] || '''{{{#blue 13}}} - {{{#green 0}}} - {{{#red 5}}}''' || 0.722 || +8 || '''{{{#blue 절대우세}}}''' || || {{{#ffffff 총합}}} || '''{{{#blue 81}}} - {{{#green 0}}} - {{{#red 45}}}''' || '''{{{#blue 0.643}}}''' || +36 || '''순위''': '''1''' / 8 || * 분류 기준 * '''{{{#darkblue 남색}}}'''은 압도(승률 ≥ .800)를 뜻한다. * '''{{{#blue 청색}}}'''은 절대우세(.650 ≤ 승률<.800)를 뜻한다. * {{{#skyblue 하늘색}}}은 우세(.550 ≤ 승률<.650)를 뜻한다. * {{{#green 녹색}}}은 백중세(.450 ≤ 승률<.550)를 뜻한다. * {{{#orange 오렌지색}}}은 열세(.350≤승률<.450)를 뜻한다. * '''{{{#red 적색}}}'''은 절대열세(.200≤ 승률<.350)를 뜻한다. * '''{{{#darkred 갈색}}}'''은 압살(승률<.200)을 뜻한다. 전구단 상대 우세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3연전 스윕패는 단 한 번도 없었다. 그나마 팽팽하게 맞선 상대는 의외로 6위였던 [[롯데 자이언츠]]였으나 8승8패에서 마지막 2경기를 승리하며 우세가 되었다. 2위 태평양을 상대로 5월 초 잠실 3연전에서 스윕승을 한 것이 LG가 독주체제를 갖추게 한 결정적인 시리즈가 됐으며 시즌 전적 13승5패로 압도적인 우위를 기록했다. 여담으로 해태전은 11승7패로 우세했으나 LG의 천적 [[조계현]]이 선발등판한 경기 6경기는 모두 졌다. 조계현이 나오지 않은 날 해태전 전적은 11승1패로 압도적이었다.[* 이 중에서 [[선동열]]이 유일하게 끝내기홈런을 허용하였다.] == 정규시즌 팀 기록 == ||<-6>
<#c30452> {{{#ffffff 1994년 정규시즌 LG 트윈스 타격 기록}}} || || {{{#ffffff 기록}}} || {{{#ffffff 수치}}} || {{{#ffffff 순위}}} || || 타율 || 0.282 || 1위 || || 출루율 || 0.358 || 1위 || || 장타율 || 0.409 || 1위 || || 홈런 || 88 || 4위 || || 타점 || 612 || 1위 || || 도루 || 143 || 4위 || || 팀 OPS || 0.767 || 1위 || ||<-6>
<#c30452> {{{#ffffff 1994년 정규시즌 LG 트윈스 투수 기록}}} || || {{{#ffffff 기록}}} || {{{#ffffff 수치}}} || {{{#ffffff 순위}}} || || ERA || 3.62 || 1위 || || FIP || 3.56 || 1위 || || WHIP || 1.24 || 1위 || || 세이브 || 46 || 2위 || || 실점 || 391 || 1위 || == 수상 및 기록 == * '''[[김동수(야구)|김동수]]''' - [[KBO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2년 연속, 개인 3번째] * '''[[서용빈]]''' - [[KBO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사이클링 히트]](4월 16일, 사직 롯데전), 최단경기 100안타(69경기, 7월 2일, 잠실 롯데전), 팀 역사상 한시즌 최다안타 경신(139개, 8월 24일 전주 쌍방울전) * '''[[박종호(1973)|박종호]]''' -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 '''[[한대화]]''' - [[KBO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개인 통산 1,000안타 달성(통산 6번째, 6월 7일 전주 쌍방울전) * '''[[김재현(1975)|김재현]]''' -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신인 최초 [[20-20]] 클럽[* 21홈런 21도루][* 팀 2번째] * '''[[류지현(야구)|유지현]]''' - [[KBO 신인상]] * '''[[김용수]]''' - 150세이브 달성(프로통산 최초, 7월 28일 수원 태평양전) * '''[[LG 트윈스]]''' - 팀통산 700승 달성(통산 3번째, 8월 16일, 잠실 OB전), 팀도루 1,500개 달성(통산 2번째, 5월 22일 잠실 쌍방울전), 한 경기 최다도루 타이(10개, 5월 22일 잠실 쌍방울전), 팀통산 6,000득점 달성(통산 3번째, 9월 3일 잠실 삼성전), 2년 연속 홈 100만 관중 돌파(9월 11일, 잠실 쌍방울전), 시즌 최다승 타이기록(81승)[* 1992 빙그레, 1993 해태와 동률], === 선수별 개인기록 === [[http://www.statiz.co.kr/stat.php?mid=stat&re=1&ys=1994&ye=1994&se=0&te=LG&tm=&ty=0&qu=auto&po=0&as=&ae=&hi=&un=&pl=&da=1&o1=OutCount&o2=OutCount&de=1&lr=0&tr=&cv=&ml=1&sn=30&si=&cn=|투수]] [[http://www.statiz.co.kr/stat.php?mid=stat&re=0&ys=1994&ye=1994&se=0&te=LG&tm=&ty=0&qu=auto&po=0&as=&ae=&hi=&un=&pl=&da=1&o1=WAR_ALL_ADJ&o2=TPA&de=1&lr=0&tr=&cv=&ml=1&sn=30&si=&cn=|타자]] == 포스트시즌 == === [[199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LG1994V.jpg|width=100%]]}}} || ||<-2><:> [[파일:Twins_champion_v2.png|width=150]] || ||<-2><:> '''{{{#ffffff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팀}}}'''|| ||<-2><:>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 정규시즌 2위팀인 [[태평양 돌핀스]] 상대로 4연승 [[스윕]]으로 가볍게 우승. 다만, 1점차 승부가 세 번이나 있었던 만큼 경기 자체는 접전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 페넌트레이스 총평 == 이 팀이 앞으로 [[LG 트윈스/2023년|29년]] 동안 우승을 못 할 것이라고 말하면 대놓고 헛소리 취급을 들을 정도로, [[LG 트윈스]] 구단 역사상 최고의 시즌임은 물론이고 '''KBO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였다.''' 4월 26일 청주 한화전에서 1위로 올라선 이후 시즌 종료까지 한 번도 1위에서 내려오지 않고 멀찌감치 독주했다. 655득점으로 이해 득점 2위였던 해태보다 102득점이 많았으며, 452점의 실점으로 최소실점 2위였던 태평양보다 19점이 적었다. 팀타율 .282,팀 평균자책점 3.12를 기록하며 완벽한 투타 밸런스를 기록했다. LG는 당시 프로야구 역대 최다승인 81승 45패(승률 .643)를 거두고 한국시리즈에 직행, [[태평양 돌핀스]]를 4전 전승으로 완파하며 1990년 이후 창단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팀의 투, 타지표를 보면 이 해 LG가 압도적으로 강한 팀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다. 우선적으로 '''팀 WRC+는 120을 넘겼고, KBO리그 역사상 4위에 해당한다.'''[* 팀 WRC+ 110만 돼도 타격 최강팀이라고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그리고 투수진 역시 빈틈이 없었다. 승률 자체도 .643인데, '''[[피타고리안 승률]]은 무려 .690으로 KBO 역사상 최강 팀인 00현대급이다.''' 이 정도로 타 팀을 압살하면서 우승했으니 다음 우승할 때 마실 술을 만들어둔 것이다. '신인 3인방' 돌풍을 일으켰던 [[류지현(야구)|유지현]], [[김재현(1975)|김재현]], [[서용빈]]과 '해결사' [[한대화]], [[노찬엽]], [[박준태(1967)|박준태]], [[박종호(1973)|박종호]],[[김영직]], [[최훈재]] 등이 있었던 위력적인 타선,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 [[정삼흠]], [[인현배]], [[김기범(야구)|김기범]]이 버티고 있었던 탄탄한 선발진과 [[차동철]], [[박철홍]], [[민원기(야구)|민원기]], [[차명석]], [[강봉수]], [[김용수]]가 버텼던 마운드는 LG를 94년 최고의 팀으로 만들었다. LG 트윈스의 야구를 '''신바람 야구'''라고 부르기 시작했던 시기가 바로 이때부터다. 선발투수 중 3명이 15승 이상을 거둔 첫 번째 구단이 되었고, 5명의 선수가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위업을 이루었다. 1994년 LG 마운드의 가장 큰 특징은 투수들의 역할 분배였다. 현재는 이것이 매우 상식적이지만 당시에는 파격적인 운영이었다. [* [[선동열]], [[송진우(야구)|송진우]], [[조규제]]와 같이 강력한 투수는 이길만한 경기다 싶으면 7회 혹은 6회부터 나와서 끝까지 책임지는 야구가 당시 일반적이었다.] 이기는 상황에서 등판하는 투수, 동점이나 근소한 점수 차이로 지고 있을 때 등판하는 투수, 크게 이기고 있거나 이길 가능성이 낮을 때 등판하는 투수로 불펜의 역할을 분배했다. 부임 3년차가 된 [[이광환]] 감독은 선수들의 능력과 경기 상황에 따라 투수들의 역할을 분배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해태 타이거즈]]가 투타에서 강력한 맹위를 떨치고 있었던 프로야구판에 서울 연고 구단이 투타에서 압도적인 포스를 발휘하며 인구 1,000만의 서울 연고팬들을 신바람과 광란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트윈스의 1994 시즌은 현재까지도 트윈스 팬들의 뇌리 속에서 깊게 박혀있다. [[6668587667|긴 암흑기]]를 겪었음에도 강력한 LG 트윈스의 팬덤은 바로 이 시기에 야구에 입문한 사람들로부터 많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LG팬이 된 사람들의 자녀들이 2023년 현재 엘린이 등 20대 이하 팬덤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엘린이들과 부모들이 드디어 우승을 맛보게 되었다.] [[분류:LG 트윈스/199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