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G 시리즈)] ||<-3> [br]{{{+5 {{{#a50034,#fb5093 '''LG G6'''}}}}}}{{{-1 {{{#a50034,#fb5093 '''^^ThinQ^^''' }}}}}}[br]{{{-3 {{{#a50034,#fb5093 '''LGM-G600S/K/L''' }}}}}}[br]{{{-1 {{{#333333,#E5E5E5 '''Big screen. Small phone[br]손 안에 폭 넓은 세상'''}}}}}}[br][br] || ||<-3>[[파일:LGMG600.png|width=100%]] || || {{{#ffa07a '''미스틱 화이트'''}}} || {{{#b2bbc5,#39424d '''아이스 플래티넘'''}}} || {{{#c0c0c0 '''아스트로 블랙'''}}} || ||<-3><^|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추가 색상 렌더링 이미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파일:LGG6R.png|width=100%]] || || {{{#d8b8af,#503027 '''테라 골드'''}}} || {{{#d7d7d7 '''마린 블루'''}}} || {{{#e6e6fa '''라벤더 바이올렛'''}}} || {{{#d8b8af '''라즈베리 로즈'''}}} || }}}}}}}}} || ||<-3> [[https://web.archive.org/web/20180203041422/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6&prdId=EPRD.317826|{{{#ffffff 한국 LG전자 G6 ThinQ 공식 사이트 - 32 GB 모델}}}]] {{{#ffffff &}}} [[https://web.archive.org/web/20170301165754/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0&prdId=EPRD.314304|{{{#ffffff 64 GB 모델 - 아카이브}}}]] || ||<-3> [br]{{{+5 {{{#a50034,#fb5093 '''LG G6+'''}}}}}}{{{-1 {{{#a50034,#fb5093 '''^^ThinQ^^''' }}}}}}[br]{{{-3 {{{#a50034,#fb5093 '''LGM-G600S/K/LP''' }}}}}}[br][br] || ||<-3> [[파일:LGMG601.png|width=100%]] || || {{{#d8b8af,#503027 '''옵티컬 테라 골드'''}}} || {{{#d7d7d7 '''옵티컬 마린 블루'''}}} || {{{#c0c0c0 '''옵티컬 아스트로 블랙'''}}} || ||<-3> [[https://web.archive.org/web/20180203043451/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0&prdId=EPRD.317553|{{{#ffffff 한국 LG전자 G6+ ThinQ 공식 사이트 - 아카이브}}}]] ||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7년]] [[2월 26일]], [[MWC]] 2017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며 [[LG G 시리즈|G 시리즈]]의 6번째 모델이다. 개발 코드네임은 '''Lucy'''. == 사양 == * 한국 내수용 사양이 두 가지 이상으로 다원화되는 경우, * __기본형 모델__에 해당하는 부분에 '''{{{#ffe08c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 {{{#ff7f00 플러스 모델}}}에 해당하는 부분에 '''{{{#ffdbff 분홍색 바탕}}}'''으로 표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3>[[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s-3.6.1|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Dual-Core 2.34 GHz + Dual-Core 1.6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53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2>[[메모리]]||<|2>4 GB LPDDR4 SDRAM||32 / 64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2>[[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3>5.7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880 x 1440]] FullVision Display (564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LG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https://www.notebookcheck.net/fileadmin/Notebooks/LG/G6/subpixel45.jpg| ]]]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3, '''[[돌비#s-1.4|Dolby Vision]]''' 및 [[HDR]]10 지원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AIT(Advanced In-cell Touch)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3>{{{#!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4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3>[[Wi-Fi]] 1/2/3/4/5, [[블루투스]] 4.2+BLE / [[aptX]] HD Codec, [[NFC]], [[LG 페이|WMC]]|| ||위성항법||<-3>[[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3>전면 500만 [[화소]] 카메라 (F/2.2 & 100°){{{#!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1,300만 화소||F/1.8 ||30mm ||71° ||1/3.06 || [[위상차 검출 AF]]||<|2>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광각 || || 1,300만 화소||F/2.4 ||12mm ||125° || || ||}}}|| ||[[배터리]]||<-3>내장형 Li-Ion 33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6.2 W) || ||<|2> 무선[br]충전 || 고속 ||미지원 || || 일반 ||Qi(WPC 1.2.3) (5 W) ||}}}}}}|| ||[[운영체제]]||<-3>[[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0 (Nougat) → 8.0 (Oreo) → 9 (Pie)[br][[LG UX]] 6.0 → 6.0+ → 8.0|| ||규격||<-3>71.9 x 148.9 x 7.9 mm, 163 g|| ||<|2>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3>'''아스트로 블랙''', '''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Black Edition(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테라 골드, 마린 블루, 라벤더 바이올렛, 라즈베리 로즈|| ||<-3>'''옵티컬 아스트로 블랙''', '''옵티컬 테라 골드''', '''옵티컬 마린 블루'''|| ||단자정보||<-3>[[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3>[[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2>기타||<-2><|2> 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및 MIL-STD-810G 인증 취득[br]지상파 HD [[DMB]]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 - || ||[[뱅 앤 올룹슨|B&O]] 튜닝 및 기술 탑재|| ||<-4>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oC|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s-3.6.1|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Dual-Core 2.34 GHz + Dual-Core 1.6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53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 ||[[메모리]] ||4 GB LPDDR4 SDRAM, 32 / 64 /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5.7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880 x 1440]] FullVision Display (564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2> 공급사 ||<-2>[[LG디스플레이]] || ||<-2> 픽셀배열 ||<-2>RGB 서브픽셀 방식 || ||<-2> 패널정보 ||<-2>IPS TFT-LCD || ||<|2> 부가[br]정보 || '''기본''' ||<-2>최대 주사율 60 Hz, '''[[돌비#s-1.4|Dolby Vision]]''' 및 [[HDR]]10 지원 || || '''{{{#ffff00 선택}}}''' || 고릴라 글래스 3 || 고릴라 글래스 5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AIT(Advanced In-cell Touch)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4>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LTE]] Cat.12·13 FDD[br][[VoLTE]] 지원 || [[LTE]] Cat.12·13 [[TD-LTE|TDD]] || [[LTE]] Cat.11 FDD[br][[VoLTE]] 지원 || [[LTE]] Cat.11 [[TD-LTE|TDD]]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근접통신 ||[[Wi-Fi]] 1/2/3/4/5, [[블루투스]] 4.2+BLE / [[aptX]] HD Codec, [[NFC]]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 ||[[카메라]] ||전면 500만 [[화소]]{{{#!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1,3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2>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광각 || || 1,300만 화소|| ||}}} || ||[[배터리]] ||내장형 Li-Ion 33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3> 유선고속충전 ||<-2>퀄컴 퀵 차지 3.0 (16.2 W) || ||<|2> 무선[br]충전 ||<-2> 고속 ||<-2>미지원 || || 일[br]반 || '''{{{#ffff00 선[br]택}}}''' ||Qi(WPC 1.2.2) (5 W) ||Qi(WPC 1.2.3) (5 W) ||}}}}}} || ||[[운영체제]]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누가|7.0 (Nougat)]] → 8.0 (Oreo) → 9 (Pie)[br][[LG UX]] 6.0 → 6.0+ → 8.0 || ||규격 ||<-3>71.9 x 148.9 x 7.9 mm, 163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아스트로 블랙''', '''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Black Edition(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테라 골드, 마린 블루, 모로칸 블루[br]옵티컬 아스트로 블랙, 옵티컬 테라 골드, 옵티컬 마린 블루 || ||단자정보 ||[[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br]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 ||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 ||기타 ||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및 MIL-STD-810G 인증 취득 || }}}}}}}}} || }}} == 상세 == 2012년 [[옵티머스 G]]를 시작으로, 매해 공개된 [[LG전자]]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LG G 시리즈|G 시리즈]]의 2017년도형 [[모델]]이자 여섯 번째 모델이다. 2017년 2월에 __기본형 모델__인 G6 ThinQ가 공개되었고, 2017년 6월에 {{{#ff7f00 플러스 모델}}}인 G6+ ThinQ가 공개되었다. 또한, AI 기능 이식 펌웨어 업데이트와 동시에 [[LG전자]]의 인공지능 기술 브랜드인 [[LG ThinQ 시리즈|ThinQ 시리즈]]에도 포함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LG G5|G5]]의 틀을 이어 가면서도 [[LG V20|V20]]와도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최초로 18:9 비율의 베젤리스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전체적으로 베젤 부분을 줄이면서 전면 면적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그래도 기기 면적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고 18:9 비율의 특성 상, 가로폭은 그리 넓지 않기에 기기 파지 시 그립감은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ff7f00 플러스 모델}}}의 후면 패널에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의 원리를 활용한 렌티큘러 필름을 삽입했다고 한다. 기본 색상은 __기본형 모델__이 아스트로 블랙, 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으로 총 3종이며 {{{#ff7f00 플러스 모델}}}은 옵티컬 아스트로 블랙, 옵티컬 테라 골드, 옵티컬 마린 블루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21 [[퀄컴 스냅드래곤 8#s-3.6|MSM8996 Pro]]를 사용한다.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5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동일한 구성이며 [[CPU]] 및 [[GPU]] 클럭이 일부 상향된 리비전 AP이다. 특히, 다운클럭하는 경우가 많은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의 [[GPU]] 클럭을 온전히 사용하고 있다. 단, [[CPU]] 클럭의 경우에는 빅 클러스터의 클럭은 온전히 사용하지만, 리틀 클러스터의 클럭은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다운클럭 되었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4 GB이다. 내장 메모리는 [[UFS]] 2.0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__기본형 모델__은 32 GB와 64 GB로 이원화되었고 {{{#ff7f00 플러스 모델}}}은 128 GB 단일 모델이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7인치 18:9 비율의 288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 방식의 FullVision Display이다. 패널 공급사는 [[LG디스플레이]]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LG전자]]는 이를 Q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기존에 [[LG전자]]가 사용하던 IPS TFT-LCD 방식의 IPS Quantum Display와 동일한 기술이 들어갔다고 한다.[* 즉, 디스플레이 비율이 변경되면서 명칭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돌비#s-1.4|Dolby Vision]]을 세계 최초로 지원하는 [[스마트폰]]이며 이외에도 [[HDR]]10을 지원한다. 3K 이내의 해상도를 사용한 [[스마트폰]] 중에서 실질적인 해상도가 가장 높은 기기이다.[* [[갤럭시 S8]] 및 [[갤럭시 S8+|S8+]] 그리고 [[갤럭시 노트8]]은 296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수치상으로는 더 높지만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을 사용해서 실질적인 해상도가 떨어진다. [[LG V30|V30]]은 2880 x 1440 해상도로 아예 같지만 [[AMOLED]] [[디스플레이]] 탑재로 인해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을 사용해서 역시 동일한 이유로 떨어진다. 이때문에 [[갤럭시 S8]] 및 [[갤럭시 S8+|S8+]], [[갤럭시 노트8]] 그리고 [[LG V30|V30]] 등이 3K에 근접한 해상도를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동일한 이유로 2K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12·13와 [[LTE]] Cat.11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Cat.13이 150 Mbps 그리고 Cat.11가 50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있고,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600 Mbps로 통일되어 있다.[* 참고로, [[LTE]] Category는 FDD 주파수와 [[TD-LTE|TDD]] 주파수 모두 통용된다.]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TD-LTE]]의 경우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며, [[VoLTE]]를 지원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300 mAh이다. 이는 전작인 [[LG G5|G5]]에 비해 약 500 mAh 가량 증가한 용량이며 [[LG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내장형 배터리를 탑재한 것은 [[LG G2|G2]] 이후로 처음[* [[LG G2|G2]]의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320S/K/L의 경우, 착탈식 배터리 구조를 탑재해서 한국 시장 기준으로는 [[옵티머스 G]]의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180S/K/L이후로 처음이 되었다.]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그리고 Qi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을 {{{#ff7f00 플러스 모델}}}과 일부 __기본형 모델__에서 추가적으로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소니 엑스모어 IMX258 센서의 1,300만 화소 [[카메라]]를 71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1,300만 화소 [[카메라]]를 125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광각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기본 [[카메라]]가 1/3.06인치이며 조리개값은 기본 카메라가 F/1.8이고 광각 카메라가 F/2.4이다. [[LG전자]]의 [[스마트폰]] 중 기본 카메라의 화소수와 광각 카메라의 화소수를 동일하게 만들어서 듀얼 렌즈를 구성해 후면 카메라로 탑재한 것은 최초의 사례이다. 또한, 일명 '[[카툭튀]]' 디자인을 적용하지 않았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10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F/2.2이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0|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전원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LG G 시리즈|G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방수 방진을 지원[* 다만, [[LG G 시리즈|G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이라 하더라도 일본 내수용 모델의 경우에는 방수 방진을 지원한 경우가 있다. 특히, [[옵티머스 G]]의 [[옵티머스 G/통신사 커스텀 모델#s-3|일본 및 대만 내수용 모델]]의 경우, 착탈식 배터리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당시에는 보기 드문 캡리스 방수 방진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LG G 시리즈|G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과 하드웨어 사양이 유사한 [[LG KDDI isai 시리즈|KDDI 계열로 출시한 스마트폰]]도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여기에 미국 육군의 MIL-STD-810G 인증을 받았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누가|안드로이드 7.0 누가]]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7.0이다. === 기능 === * [[LG 페이]]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 기준, 2017년 6월 1일 실시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 지원한다. WMC 모듈이 기기 후면에 [[NFC]]와 같이 중앙부에 내장되어 있다. 다만, WMC 모듈의 면적이 [[NFC]] 센서보다 조금 더 넓어서 [[LG전자]]의 홍보 영상 등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기기 상단부를 접촉해도 이용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사용법으로는 중앙부 접촉을 권장하고 있다.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낮은 밝기로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으며 시계와 알림을 보여준다. 시계 외에 특정 텍스트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 상단에 위치한 조도 센서로 기기 주변의 밝기를 인지하여 [[Always On Display]]의 밝기를 변경하며 이를 아예 가려버리면 기능 활성화 유무와는 상관없이 디스플레이가 꺼진다. 주로 [[AM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기기들이 [[AMOLED]]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기능이나, S뷰 커버와 동일한 이유로 TFT-LCD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다. 일단, [[LG전자]]는 이 기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터리 소모량은 계속 켜져 있을 때를 기준으로 1시간당 약 0.8%라 한다.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서 [[Always On Display]]의 밝기를 많이 낮추면서 야외 시인성은 좋지 않은 편이라고 한다. * [[무선충전]] 기술 Qi 규격의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단, 일부 국가 및 지역에 출시된 __기본형 모델__과 {{{#ff7f00 플러스 모델}}}만 지원한다. *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 구글 홈에도 탑재된 구글의 인공지능 비서 기술로, [[구글]]이 직접 관여한 [[스마트폰]]을 제외하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에서는 최초로 탑재되었다. [[구글 나우]]보다 훨씬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며 [[Apple|애플]]의 [[Siri]]나 [[아마존닷컴]]의 [[알렉사(인공지능)#s-1|Alexa]]보다 훌륭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 AI 기능 강화 - [[LG ThinQ 시리즈#s-2.1.2|공감형 AI]]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 기반으로 구성[* [[LG G7 ThinQ|G7 ThinQ]]와는 달리 [[Q보이스]]가 탑재되지 않았다.--다행이다--]되었다.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 기준, 2018년 7월에 실시된 AI 기능 이식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되었고 2019년 1월 2일에 실시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AI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었다. * 사운드 강화 [[LG V20|V20]]부터 탑재된 Hi-Fi 쿼드 DAC를 일부 국가 및 지역 출시 기기에 탑재했다고 한다. 다만, [[LG V20|V20]]와 동일한 ESS의 Sabre ES9218을 그대로 탑재하지 않고 개선판인 Sabre ES9218P를 탑재[* 제원상 신호 대 잡음비는 최대 130 dB이며 이는 2018년 상반기 기준으로도 [[LG전자]]가 [[LG G 시리즈|G 시리즈]]와 [[LG V 시리즈|V 시리즈]]에 탑재하고 있을 정도로 상당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했다. * 고음질 녹음 동영상 촬영 시 '''무압축 24-bit/48 kHz'''로 녹음이 가능하다. 최대 132 dB까지 녹음이 가능하며 기기의 듀얼 마이크를 이용해 녹음 시 전체 최적화, 음악(공연) 최적화, 대화 최적화와 같은 모드를 지원하여 각각의 환경에서 최상급의 음질로 녹음이 가능하다. 또한, 녹음 [[애플리케이션]]에서는 [[FLAC]] 무손실 압축에 24-bit/'''192''' kHz까지 지원하며, 녹음 시 전문가 모드에서는 게인, 로 패스 필터, 리미터 설정이 가능하다. * 고 임피던스 음향기기 지원 강화 50 Ω 이상의 임피던스를 가진 음향기기를 3.5 mm 단자에 연결할 때, '전문가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내장된 앰프에서 출력을 높여준다고 한다. 이 때문에 3.5 mm 단자에 저항을 추가로 연결해서 전문가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다만, 출력이 상승하는 것이지 음질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출력이 개선되면서 음에 힘이 실리고 힘이 강화되면서 다소 뭉쳤던 음이 탄탄해지는 등 음색에는 변화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전문가 모드가 만병통치약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점도 있는데, 사용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의 음색 특성에 따라 출력 강화로 얻는 이득보다 먹먹해지는 소리 등 임피던스 상승으로 얻는 단점이 더 큰 경우도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배터리 소모 역시 전문가 모드 활성화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LG V10|V10]]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한다. 그나마 배터리 소모량이 적어진 편이라고 한다. * 브라이트 카메라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중 AI 기능 이식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저조도 촬영 시 기존 대비보다 약 4배 가량 더 밝게 촬영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특히, [[LG ThinQ 시리즈#s-2.1.2|AI 기능]]을 이용해 기기가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해준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LG V20, version=1157, paragraph=3.1.1)]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번들 이어폰 - EAB63728261 __기본형 모델__의 번들 이어폰으로, 기본 색상은 블랙 단일 색상이다. 기존 [[LG 쿼드비트 시리즈|Quad Beat 3]] 기반으로 추정[*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이에 대해 결과물이 [[https://www.0db.co.kr/xe/REVIEW_0DB/30870|기반 모델과 동일하다]]는 의견과 [[http://underkg.co.kr/opinion/1805126|원가 절감이 심하게 되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내부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 자체는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되며 크레신과 부전전자에서 생산한다. 서비스 센터 기준으로 15,000 원에 판매되고 있어서 [[가격 대비 성능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일부 국가 및 지역에는 전작인 [[LG G5|G5]]의 번들 이어폰이 그대로 공급된다. * [[쿼드비트#s-3.8|B&O 번들 이어폰]] {{{#ff7f00 플러스 모델}}}의 번들 이어폰[* [[LG전자]]의 기본 애플리케이션인 기프트 팩을 통해서 사은품으로 제공된다고 한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ff7f00 플러스 모델}}} 뿐만이 아니라 __기본형 모델__로도 신청이 가능하고 수령도 가능했었지만 동년 10월 기준, 이벤트가 종료된 상태이다.]이다. == 출시 == 전작인 [[LG G5|G5]]와 동일하게 이동통신사 추노마크 삽입이 축소되어 출시되며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사 추노마크는 삽입되지 않고, 일부 이동통신사 한정으로만 종전과 동일한 삽입정책이 적용되었다. 2017년 6월 19일, {{{#ff7f00 플러스 모델}}}이 [[http://www.lgnewsroom.com/2017/06/lg-expands-capabilities-of-g6-with-enhanced-features-and-new-plus-version-2/|정식으로 공개]]되었다. === 한국 시장 === 2017년 3월 2일, __기본형 모델__의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g6_sale_0302/|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동년 3월 9일까지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며 그 다음날인 동년 3월 10일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64 GB 모델 단일 모델로 [[SK텔레콤]], [[KT]], [[LG U+]]를 통해 출시되며 출고가는 899,800 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는 전작인 [[LG G5|G5]]보다 약 6~7만원 가량 오른 수치이며 [[LG V20|V20]]과 동일한 출고가다. 또한, 전작인 [[LG G5|G5]]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사 추노마크 삭제 정책을 적용받았다. 사전 예약 판매 기간 동안 약 82,000 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출시 당일인 2017년 3월 10일, 약 2만여 대, 그 다음날인 동년 3월 11일까지 약 3만 대 이상의 개통량을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31208534166688&type=1|기록했다]]고 한다. 이는 전작인 [[LG G5|G5]]의 출시 직후 기록을 약간 웃도는 것이라고 한다. 다만, 출시 둘 째주부터 판매량이 약 50% 가량 감소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더니 [[http://www.arg.co.kr/atlas/client/html/article/article_info.html?type_seq=23&content_seq=72278|2017년 4월 한국 시장 스마트폰 판매 순위]]를 보면 알 수 있듯, 신제품 특수 열기가 빠르게 사그라들면서 2017년 4월 이후 하루 개통량이 [[http://www.dailian.co.kr/news/view/625161/?sc=naver|약 2,000여 대 수준까지 하락]]하였다. 이 때문에 종료 예정이었던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43014255762361|사은품 증정 이벤트를 2017년 6월 말까지 연장]]하는 등 판매량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이미 신제품 특수가 끝난 상황인지라 별다른 효과를 [[http://www.arg.co.kr/atlas/client/html/article/article_info.html?type_seq=23&content_seq=72462|얻지 못하고]] 있다. 이후, [[LG전자]]는 고육지책으로 자사 직원 대상으로 기기 구매 시 약 40만 원 상당의 임직원몰 복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811|사내에서도 이례적으로 평가]]된 파격적인 사내 프로모션을 제공했는데 결국 출시 이후 불과 두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G6 ThinQ 19만 원’, ‘G6 ThinQ 대란’이 화두가 될 정도로 실제 구매가가 [[http://www.segye.com/newsView/20170416001342|반토막이 나버렸다]]고 한다. 더군다나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852798|불법으로 판매장려금까지 지원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프로모션의 영향인지 2017년 5월 5주 차 판매 순위에서 [[LG U+]] 모델이 2위, [[KT]] 모델이 6위, [[SK텔레콤]] 모델이 8위에 오르는 등 판매량이 어느정도 회복되고 있다. 2017년 7월 중, 한국 시장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60114571663892|32 GB 모델과 128 GB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중 128 GB 모델은 [[무선충전]] 기술을 내장할 것이라고 한다. 이후 2017년 6월 18일, [[http://social.lge.co.kr/lg_g6_0618/|__기본형 모델__ 32 GB 모델과 {{{#ff7f00 플러스 모델}}}의 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2017년 7월 초 출시 예정으로 {{{#ff7f00 플러스 모델}}}은 공개 당시 하드웨어 사양으로 그대로 출시되지만, __기본형 모델__은 32 GB 모델에 한정해 테라 골드 색상과 마린 블루 색상이 추가로 출시되며 대신 기본 색상인 아스트로 블랙 색상과 아이스 플래티넘 색상은 출시되지 않는다고 한다. 2017년 6월 30일, [[http://social.lge.co.kr/lg_g6_family_0630/|__기본형 모델__ 32 GB 모델과 {{{#ff7f00 플러스 모델}}}이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동년 6월 18일에 발표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그대로 출시되었으며 출고가는 __기본형 모델__ 32 GB 모델이 819,500 원, {{{#ff7f00 플러스 모델}}}이 957,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32GB 모델은 64GB 기본형 모델의 모델명 뒤에 R이 붙는다. LGM-G600SR(SKT), LGM-G600KR(KT), LGM-G600LR(LG U+) . 2017년 7월 7일 기준, 한국 시장에 우선적으로 출시되었던 __기본형 모델__ 64 GB 모델 판매량이 [[http://news1.kr/articles/?3042293|약 40만 대 수준으로 집계]]된다고 한다. 이에 따라 MC 사업부의 적자역시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72702109931037006|1,324 억원까지 대폭 증가]]함에 따라 9분기 연속 적자로 누적 적자가 무려 1조 4천 억원에 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전반적인 판매량은 어느정도 올렸지만 초기 출시 당시 기대에 미치지 못한 __기본형 모델__ 64 GB 모델 판매량과 마케팅 비용이 적자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LG전자]]는 다시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802_0000057555&cID=13001&pID=13000|V30에 사활을 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8년 1월 7일, 한 사용자의 문의에 대해 [[LG전자]]가 [[http://bbs.ruliweb.com/news/board/1004/read/2133405|{{{#ff7f00 플러스 모델}}}이 단종되었다]]고 밝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구체적인 단종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2018년 1월 30일, 추가 색상으로 [[LG V30 ThinQ|V30 ThinQ]]의 기기 색상인 모로칸 블루, 라벤더 바이올렛, 라즈베리 로즈 색상의 [[http://social.lge.co.kr/newsroom/lg_color_0130/|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2018년 2월 12일, 추가 색상인 라벤더 바이올렛, 라즈베리 로즈 색상이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g6_0212/|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다만, 기존에 발표가 되었던 모로칸 블루 색상은 출시되지 않자 관련 문의가 있었고 이에 대해 [[LG전자]]는 [[https://blog.naver.com/eudialyte1101/221208106562|모로칸 블루 색상은 출시 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2018년 7월 중순, 한국 내수용 모델의 AI 기능 이식 펌웨어 업데이트가 실시 됨과 동시에 정식 발매명이 기존의 'G6'에서 'G6 ThinQ'로 변경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미국에는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AT&T]],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T-모바일]] US, [[US 셀룰러]] 등 대형 이동통신사를 통해 출시되었다. 이후, __기본형 모델__이 [[LG전자]]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다만, 내장 메모리 용량 옵션, Hi-Fi 쿼드 DAC 그리고 [[무선충전]] 기술 등 일부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서 차별화를 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또한, 국가 및 지역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싱글심 모델과 듀얼심 모델[* 이 중 LG-H870DS는 내장 메모리 64 GB 모델이 존재하고 Hi-Fi 쿼드 DAC를 탑재했다고 한다.]을 취사선택해 출시하고 있다. {{{#ff7f00 플러스 모델}}} 역시 공개 이후 [[LG전자]]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누가|7.0 /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 ==== 2017년 3월 2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0l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3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촬영 시 결과물의 품질과 음성 통화 품질 그리고 터치 동작의 성능이 향상되었었다. 2017년 4월 2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0p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었다. 2017년 5월 3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G600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0r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이후 동년 5월 8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GM-G600S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고 동년 5월 16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G600K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7년 5월 18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G600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0s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2017년 6월 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0t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5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LG 페이]]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 2017년 6월 2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h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얼굴인식 잠금해제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Hi-Fi 쿼드 DAC 모드를 실행한 이후 볼륨을 1 단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7월 4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G600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수신 오류 현상이 개선되었다. 2017년 7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k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6월 1일이다. 2017년 7월 2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l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7월 1일이다. 2017년 8월 2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p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8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촬영 시 결과물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2017년 9월 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1q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8월 1일이다. 2017년 10월 2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전면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지문인식 시 유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7년 10월 30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G600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d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기기 사용성이 향상되었다. 2017년 11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e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1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음성 통화 품질이 향상되었다. 2018년 1월 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g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월 1일이다. 2018년 2월 22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LG U+]] 모델인 LGM-G600S/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 색상인 라즈베리 로즈 색상과 라벤더 바이올렛 색상 배경 화면이 추가되었다. 이후 동년 2월 27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G600K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2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v12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2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오레오]] ==== 2018년 3월 20일, [[LG전자]]는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osupgrade_0320/|동년 4월 중에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LG V30 ThinQ|V30 ThinQ]]과 동일하게 [[LG V30S ThinQ|V30S ThinQ]]의 [[https://social.lge.co.kr/product/v30_interview_180326/|AI 기능들을 이식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LG V30|V30]]이 [[LG V30 ThinQ|V30 ThinQ]]로 정식 발매명이 변경된 것처럼 정식 발매명이 'G6 ThinQ'로 변경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2018년 4월 27일, [[LG전자]]는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g6_oreo_0427/|동년 4월 30일에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AI 기능들의 이식은 추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할 것이라 밝혔다. 2018년 4월 3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c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6.0+로 업데이트 되었다. OTA를 통한 무선 업그레이드와 LG Bridge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 모두 지원한다. 2018년 5월 1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d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블루투스]]로 음악 재생 중 [[블루투스]] 기기 검색 시 음악 재생이 단절되는 문제와 배터리 절약 모드 중 카카오톡 수신이 지연되는 현상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2018년 6월 7일, 글로벌 범용 모델인 LG-H870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OTA를 통한 무선 업그레이드와 LG Bridge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 모두 지원한다. 다만,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2216683|SIM 카드 인식이 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동년 6월 23일 기준으로 펌웨어가 서버에서 내려가서 OS 업그레이드가 중단된 상황이다. 2018년 6월 27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일부 사용자의 AI 기능들의 이식 관련 펌웨어 업데이트 실시 여부에 대한 문의에 대해 동년 7월 중 실시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2018년 7월 2일,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US 모델인 LG-H872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펌웨어가 [[https://www.reddit.com/r/lgg6/comments/8v3fzj/tmobile_h872_has_been_rebranded_to_lg_g6_thinq/|유출]]되었다. 해당 펌웨어는 AI 기능들의 이식 관련 펌웨어 업데이트에 사용되는 것으로 [[LG V30 ThinQ|V30 ThinQ]]와 마찬가지로 정식 발매명에 [[LG ThinQ 시리즈|ThinQ]]가 접미되었다. 또한, Q렌즈와 슈퍼 브라이트 카메라가 추가되었다. 다만, AI 카메라 모드는 추가되지 않았다. 2018년 7월 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펌웨어 기반 사용 설명서가 [[http://www.lge.co.kr/lgekor/download-center/downloadCenterList.do|공식 사이트]]에 업로드 되었다. 사용 설명서의 기준이 되는 펌웨어는 AI 기능들의 이식 관련 펌웨어 업데이트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AI 기능들의 이식 관련 펌웨어 업데이트 실시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7월 5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LG U+]] 모델인 LGM-G600S/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g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Q렌즈, 브라이트 카메라 등 AI 기능들이 대거 추가되었으며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에 [[LG전자]] 특화 명령어가 적용되었다. 또한, 정식 발매명이 변경 됨에 따라 기기 부트로고까지 변경되었다. 다만, [[Q보이스]]는 추가되지 않았다. 이후 2018년 7월 12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G600K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빌드 번호는 v20h이다. 추가적으로 [[Wi-Fi]] 접속 기능이 개선되었다. 2018년 7월 17일, 글로벌 범용 모델인 LG-H870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b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Q렌즈, 브라이트 카메라 등 AI 기능들이 대거 추가되었으며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에 [[LG전자]] 특화 명령어가 적용되었다. 다만,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과는 달리 정식 발매명이 변경되지는 않았다. 2018년 8월 30일, [[LG전자]]가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181|2018년 8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공지를 게시]]하면서 AI 카메라 모드를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할 것을 예고했다. 2018년 10월 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9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블루투스]] 호환성 문제가 개선되었으며 Q렌즈에 쇼핑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8년 12월 28일, [[LG전자]]가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621|2019년 1분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계획]]을 공지하면서 음성 통화 품질 향상과 [[접근성]] 기능 개선 그리고 [[LG페이]] 결제 시 지문인식 안내창이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현상을 개선하겠다고 예고했다. 다만, 기존에 예고했던 AI 카메라 모드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2019년 1월 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 __기본형 모델__ 뿐만이 아니라 {{{#ff7f00 플러스 모델}}}도 포함한다. [[삼성전자]] 등 다른 제조사와는 달리 [[LG전자]]는 해당 기기에서의 __기본형 모델__과 {{{#ff7f00 플러스 모델}}}의 구분을 단순히 내장 메모리 용량으로 구분하는데 이 경우 기술적으로나 행정적으로나 완전히 동일한 기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알파벳을 하나 더 접미시켜서 구분하고 있다. 다만, 모종의 이유로 [[LG U+]]로 출시된 __기본형 모델__ 중에서 32 GB 모델과 {{{#ff7f00 플러스 모델}}}은 다음날인 동년 1월 3일에 실시되었다.]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p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AI 카메라 모드가 추가되었으며 음성 통화 품질 향상, [[접근성]] 기능 개선, [[LG 페이]] 결제 시 지문인식이 되지 않던 현상, 저온에서 기기 전원이 꺼지는 현상, 기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서 한번에 대량의 메시지를 삭제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멈추는 현상 그리고 화면 공유 기능 사용 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이 개선되었다. 2019년 1월 31일,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모델인 LG-H872T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2019년 2월 25일, 미국 내수용 중 [[US 셀룰러]] 모델인 LG-US997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US99721e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2월 1일이다. 2019년 7월 9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LG U+]] 모델인 LGM-G600S/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20q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LG 페이]]에 NFC 결제 시스템이 추가되었고 SmartThinQ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가전 제품이 등록되지 않는 현상, 기본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서 월간 달력을 넘길 때 발생하던 오류 현상, 특정 [[애플리케이션]] [[ESD]]로 인해 진동이 울리지 않던 현상이 개선되었다. 이후 동년 7월 12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G600K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 [[안드로이드 파이|9 파이]] ==== 2019년 1월 17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3분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9년 6월 15일, [[LG전자]] MC사업부 산하 SW업그레이드센터가 한국 시장에서 주최한 LG모바일 고객초청 행사에서 이석무 센터장이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LG UX]] 8.0로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6월 30일 기준, 글로벌 범용 모델인 LG-H870의 안드로이드 9 파이 테스트 펌웨어의 빌드 정보가 유출되었다. 빌드 번호는 v29a로 동년 6월 28일에 빌드된 것이 확인되었다. 2019년 7월 7일, 구글의 [[https://androidenterprisepartners.withgoogle.com/devices/?_ga=2.213062486.355719056.1557395700-893572886.1557298283|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2019년 6월 29일, 글로벌 범용 모델인 LG-H870의 안드로이드 9 파이 테스트 펌웨어가 유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9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1일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버전은 [[LG UX]] 8.0이다. 2019년 7월 1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테스트 펌웨어가 유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6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7월 1일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LG UX]] 8.0이다. 2019년 9월 24일, 글로벌 범용 모델인 LG-H870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3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8월 1일이다. 2019년 9월 24일, 미국 내수용 중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모델인 LG-VS988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3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8월 1일이다. 2019년 9월 30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기존 일정보다 약 1개월 씩 지연되어 동년 10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9년 10월 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G60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30b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1일이다.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1179|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8.0으로 업데이트 되었고 화면 색상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 특히, 디지털 웰빙 기능이 [[LG전자]]의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추가되었다. 2019년 10월 31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LG U+]] 모델인 LGM-G600S/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3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고음질 녹음 [[애플리케이션]]에서 파일 목록이 늦게 보여지는 현상, 기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 URL을 전송할 때 특정 문자가 포함될 경우 정상적으로 하이퍼링크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 [[Always On Display]] 기능이 비활성화되지 않거나 표시되는 정보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현상이 개선되었다. 이후 동년 11월 1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G600K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여담으로, OTA를 통한 무선 업데이트가 지연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 경우, LG Bridge를 통한 유선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된다고 한다. === [[커스텀 펌웨어|커스터마이징]] === 2018년 8월 기준, 부트로더 언락이 가능한 유럽 지역 모델인 LG-H870과 미국 내수용 중 [[US 셀룰러]] 모델인 LG-US997에 대해 [[LineageOS]]가 정식으로 지원되고 있다. == [[/논란 및 문제점|논란 및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G6 ThinQ/논란 및 문제점)] == 기타 == * [[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7031118325252349_1.jpg]] 한국 시장 출시일인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탄핵 선고가 있는 날이기 때문에 출시 직후부터 관심을 가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불행 중 다행으로, 본의 아니게 탄핵이 인용되며 진짜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31118325252349|'''탄핵폰'''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면서]] 나름대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LG V 시리즈|V 시리즈]]와 동일하게 [[러기드폰|러기드 특화 스마트폰]]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미국 육군의 MIL-STD-810G 인증[* 고온, 저온, 고습도, 폭발 환경, 염수 분무, 충격, 진동, 아이싱 등의 테스트를 받고 통과 유무를 결정한다고 한다.]을 받았다. 하지만, 이를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지 않았는데, [[LG전자]]는 [[http://www.huffingtonpost.kr/2017/03/23/story_n_15555696.html|사용자들이 지나치게 거칠게 다룰 것을 우려해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는 기기가 출시된 지 약 3년이 지난 시점에 갑자기 증명이 되었는데, [[채널A]]의 로컬 크리에이터 특급주무관에 출연한 [[신봉선]]이 촬영 도중 좌구산휴양랜드 구름다리 위에서 달리다가 실수로 해당 기기를 다리 밑 50m 아래로 떨어뜨렸는데 [[https://www.asiatim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7994362582|매우 멀쩡하게 다시 주웠다]]고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파손되지도 않았고[* 기사의 사진을 보면 좀 깨져있긴 하지만, 그건 원래 깨져있었다고.--아니 절벽에서 떨어뜨려도 안 박살났는데 어떻게 디스플레이에 금이 간 거지?--이후 SNS 댓글에서 답하기를 '액정이 깨진 게 아니라 많이 떨어뜨려서 액정 보호필름이 깨져 있던 것'이라고 했다.] 아주 멀쩡하게 작동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LG전자]]는 [[신봉선]]에게 [[LG V50S ThinQ|V50S ThinQ]]를 무상으로 제공했다고 한다.] * 한국 내수용 __기본형 모델__ 64 GB 모델인 LGM-G600S/K/L 기준, [[LG X500|X500]]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번들 충전기가 동일하다. 그런데 [[LG X500|X500]]은 [[미디어텍]] MT6750을 모바일 AP로 탑재해서 지원하는 고속충전 기술이 다르다. 그럼에도 해당 번들 충전기로 기기 충전을 하면 두 기기 모두 고속충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LG전자]]가 퀄컴의 고속충전 기술인 퀵 차지 3.0과 [[미디어텍]]의 고속충전 기술인 Pump Express+을 전부 지원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 기기의 색상마다 구성이 상이하다. 기본 색상인 아스트로 블랙, 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색상은 전면 베젤이 후면 색상과 동일하지만 이후 출시된 테라 골드, 마린 블루, 라벤더 바이올렛, 라즈베리 로즈 색상은 전면 베젤이 후면 색상과 관계없이 모두 검정색으로 되어 있다. 이와 함께 미스틱 화이트, 아이스 플래티넘 색상의 경우 전면 베젤만 검정색으로 바뀐 Black Edition이 출시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서 전면 면적 대부분을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데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상이 있을 경우 몰입도를 떨어뜨린다는 의견을 수용한 것이 아니냐는 추정이 나오기도 했다. * __기본형 모델__ 32 GB 모델의 테라 골드 색상 및 {{{#ff7f00 플러스 모델}}}의 옵티컬 테라 골드 색상의 측면 테두리와 __기본형 모델__ 32 GB 모델의 마린 블루 색상 및 {{{#ff7f00 플러스 모델}}}의 옵티컬 마린 블루 색상의 후면 패널 조합을 일부에서는 '코랄 블루'로 칭하기도 한다.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노트 FE]]의 코랄 블루 색상의 측면 및 후면 색상 조합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 2018년 들어서 사운드 성능으로 인해 기기가 재평가 아닌 재평가를 받고 있다. DAC로 ESS의 Sabre ES9218P를 탑재해서 [[오디오필]]들의 관심을 꽤나 받았는데 이게 [[LG전자]] 특유의 가격 방어선 붕괴와 맞물려서 사실상 최고의 가격 대비 성능비를 가진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DAP]]가 되었다는 것이다. ESS의 Sabre ES9218P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 DAC를 탑재한 DAP들이 약 40만 원에서 50만 원 선에서 거래가가 형성되는 것에 비해서 이쪽은 중고 거래가가 워낙 내려가서 [[주객전도]]가 되어 '전화 기능을 내장한 [[MP3 플레이어]]'로 지칭되고 있다. 여기에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인지라 다양한 음원 사이트를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운드 재생에 관련된 음장이나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micro SD 카드 확장도 가능하고 [[Wi-Fi]] 및 셀룰러 통신을 통해 스트리밍 재생까지 쉽게 가능하는 등 이것저것 편의 기능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DAP와 비교를 거부하고 있다. 특히 {{{#ff7f00 플러스 모델}}}에는 [[뱅 앤 올룹슨]]의 튜닝 기술이 적용되어 있기도 해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관련 커뮤니티에서의 평가는 [[스마트폰]]이 아닌 MP3 플레이어로 취급되긴 하지만 기기 자체로 봐도 나쁘지 않은 편이고 도리어 '오디오 명가 LG'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쿼드비트때부터 알아봤다-- *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이후 설정 애플리케이션에는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이 2019년 5월 1일로 표기되었으나 이를 체크할 수 있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는 2019년 8월 1일까지의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미 지속적인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실시를 요청하는 사용자들의 문의에 대해서 [[LG전자]]는 표기만 2019년 5월 1일로 되어있지 실제로는 그 이후의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를 적용했다고 밝혔기 때문에 최소한 2019년 8월 1일까지의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는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LG전자]]가 굳이 과거 표기를 유지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LG의 G시리즈 중 그나마(...) 이상한 기능을 탑재하지 않아 무난하게 쓸 수 있는 몇 안 되는 모델이다. 특히 괴작을 넘어 망작이라는 평가를 받은 G5나 노치에 붐박스 스피커(...)를 달아 놓은 G7, G8보다는 그냥 평범하고 무난해서 쓸만하다는 평가가 많다.--벨벳도 무난하고 디자인이 예뻤으나 가격이...-- === 홍보 영상 === [youtube(ozYuOwzxU5c)]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디자인 편 [youtube(pluWtmqa0rM)]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욕조 & 여행 & 반딧불 편 * 욕조 & 여행 편에서 사용된 배경 음악은 [[제이슨 므라즈|Jason Mraz]]의 [[https://youtu.be/LSGstdzAbKc|Everywhere]]이다. [youtube(YD68vUSaB-Y)]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Ok Google 이메일 편 [youtube(RNc_PJy8ruU)]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Ok Google 문자 편 [youtube(cssNeNb0jrg)]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LG 페이]] 편 [youtube(PsbYSpixHHY)]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볼빨간사춘기]] 편 [youtube(teuL-vx49qE)] 한국 [[LG전자]] 공식 TV CF. - AI 카메라 업데이트 편 === 관련 영상 === [youtube(GFKrqVJhm80)] [[LG UX]] 6.0 소개 영상. [youtube(McRJKGPVJxs)] [[LG전자]] 공식 소개 영상. - [[골드버그 장치]]를 이용한 영상 [[분류:LG G 시리즈]][[분류:인공지능 디바이스(LG ThinQ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