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 시리즈의 수록곡, rd1=Let Go(DJMAX))] [include(틀:에이브릴 라빈)] ||<-3><#38546c> [[에이브릴 라빈|{{{#E7E6DB {{{-2 '''에이브릴 라빈'''}}}}}}]]{{{#E7E6DB {{{-2 '''의'''}}}}}} [[에이브릴 라빈/음반 목록|{{{#E7E6DB {{{-2 '''음반'''}}}}}}]] || || {{{#8c8c8c ←}}} ||<|2><#38546c> {{{#E7E6DB {{{-1 '''1집'''}}}[br]{{{+1 ''' ''Let Go'' '''}}}[br]{{{-1 (2002)}}}}}} || {{{#8c8c8c →}}} || || {{{#8c8c8c {{{-2 }}}}}}[br]''' '''[br] || {{{#8c8c8c {{{-2 2집}}}}}}[br][[Under My Skin|{{{#800000 {{{-1 ''' ''Under My[br]Skin'' '''}}}}}}]][br]{{{#8c8c8c {{{-2 (2004)}}}}}} || ---- ||<-2><#38546c>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38546c, #1b405b);" '''{{{+1 Let Go}}}''' [[파일:letgo star.png|width=32]][br]'''{{{-2 The 1st Studio Albu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tGoAlbum.jpg|width=100%]]}}} || ||<-2><#38546c>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20주년 기념반 커버 ▼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letgo 20th cover.jpg|width=96%]][br]}}}}}}}}} || ||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2002년]] [[6월 4일]] || || '''녹음일''' ||[[2001년]] [[5월]] - [[2002년]] [[3월]] || || '''장르''' ||[[팝 락]], [[얼터너티브 락]], [[팝 펑크]] || || '''재생 시간''' ||48:41 || || '''곡 수''' ||13곡 || || '''프로듀서''' ||The Matrix, Clif Magness, Curt Frasca, Peter Zizzo || || '''레이블''' ||Arista|| || '''싱글 발매곡'''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mplicated]] ,,(2002년 5월 14일),,[br][[Sk8er Boi]] ,,(2002년 8월 27일),,[br][[I'm with You]] ,,(2002년 11월 18일),,[br]Losing Grip ,,(2003년 3월 24일),,[br]Mobile ,,(2003년 5월 8일),, }}} || [목차] [clearfix] == 개요 == Let Go는 캐나다 출신 싱어송라이터 [[에이브릴 라빈]]의 데뷔 음반으로, 2002년 6월 4일 발매되었다. 아리스타 레코드와 계악한 후, 프로덕션 팀 The Matrix와 함께 작업했는데, 그 팀은 앨범에 대한 라빈의 시각을 잘 이해 해줬다고 한다. 앨범의 분위기는 팝과 락을 결합한 [[팝 락]]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Losing Grip과 같은 하드한 락 트랙들로도 구성되어 있다. 2002년 발매된 Let Go는 그 해 가장 큰 성공을 거둔 데뷔 앨범이 되었다. 당시 전세계적으로 에이브릴 라빈이라는 신드롬을 불러 일으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북미 뿐만 아니라 아시아, 유럽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고, 앨범 대부분의 비평도 긍정적이었다. [* 다만 라빈이 쓴 곡들에 대한 비판도 함께 있었다.] 이 앨범은 [[팝 펑크]] 음악을 메인스트림으로 끌어들이는 데 도움이 주었고, 여성을 앞세운 [[팝 펑크]] 밴드와 여성이 주도하는 [[펑크]]의 영향을 받은 [[팝 음악]]의 부상에 기여했기 때문에 팝 펑크 음악계를 크게 변화시킨 앨범으로 여겨진다. 2022년 6월 3일, Let Go의 20주년을 기념하여 비사이드 6곡을 추가한 리마스터반이 발매되었다. == 작업 과정 == || [[파일:external/lh4.googleusercontent.com/large.png|width=100%]] || ||<#38546c> {{{#fff '''2002년 신인시절의 라빈과 그녀의 초창기 밴드 [* 특이하게도 그녀가 보컬인 락밴드 형식. 시상식에도 같이 가고, 뮤직비디오에도 다 함께 출연했다. 밴드 멤버들과 함께 작곡/작사한 곡들도 있고, 이 중 금발머리 리드 기타리스트/에번 타우번펠드는 밴드 해체 이후에도 콜라보를 통해 같이 곡을 만들며, 2010년부터는 솔로 아티스트/프로듀서로 활동한다.]''' }}} || 2000년 11월 [[LA 리드|안토니오 L.A. 레이드]]가 CEO로 있던 아리스타와 계약 후, 라빈은 레이드의 도움으로 뉴욕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유명 작곡가, 프로듀서들과 데뷔 앨범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6달 동안 라빈은 이전 아리스타와 함께 작업했었던 공동 작곡가 두 명과 음반 작업을 하게되었다. 이때 레이드는 라빈에게 포크송을 기대했는데, 이는 라빈이 오디션을 볼 때 발라드와 컨트리류의 노래를 불렸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실패로 끝난다. 왜냐하면 “기타 락에 재미를 맛본” 라빈 때문이었다. 1년동안 아무런 작업이 없었기에 라빈과 아리스타와의 계약은 거의 끝날 뻔 했다. 아리스타는 다른 작곡가가 쓴 라빈의 노래들로 앨범을 발매하려 했지만 라빈이 완강히 거부했다. 라빈은 자신이 직접 쓴 노래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라빈은 LA로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였던 클리프 매그니스와 협력하게 되었다. 그는 라빈에게 작곡과정을 가르쳤다. 라빈과 매그니스는 “Losing grip” 과 “Unwanted”를 함께 작곡했다. 이 곡들은 앨범전체에 대한 라빈의 시각을 반영한 곡들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아리스타는 헤비-기타 소리가 잔득 들어간 라빈의 이 노래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그래서 아리스타는 그들의 요구에 맞춰 줄 다른 프로듀서들을 찾게 되었다. 라빈이 아리스타와 계약한 2년째, 무명이였던 라빈은 프로덕션 팀 매트릭스의 관심을 받게된다. 그때까지 아리스타는 라빈에게 맞는 프로듀서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매트릭스의 매니저 샌디 로버튼은 라빈과 같이 작업할 것을 제안한다. “한 며칠 동안 매트릭스 팀과 라빈이 같이 놀게 놔둬보는 건 어때요?” 멤버인 로렌 크리스티에 따르면 라빈의 초기 노래들은 ‘페이스 힐'[* 미국의 [[컨트리 뮤직|컨트리]] 가수. 2000년도 공전의 히트를 친 Breathe로 유명한 가수이다.]같은 느낌 이었다고 한다. 곧 매트릭스 팀은 라빈을 스튜디오에 초대했고, 거기서 매트릭스는 라빈의 음악적 방향성이 그녀의 이미지, 행동과는 맞지 않다는 걸 느꼈다고 한다. 약 한 시간 동안 라빈과의 대화 후 매트릭스는 라빈이 뭘 해야 할지 아직 모르고, 만족도 못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매트릭스 팀은 라빈 앞에서 ‘페이스 힐’ 풍으로 라빈의 노래를 연주했다. 이러한 방향의 노래가 아리스타가 라빈의 노래에 원하는 것 이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하지만 라빈은 이 노래를 거부 했는데, 라빈이 말하길 그녀는 [[펑크 락]] 성향의 음악을 원했기 때문이란다. 라빈은 매트릭스 팀에게 자신이 녹음한 노래 중 정말 아낀다는 노래를 들려줬는데, 이 노래는 락 밴드 System of a down의 노래 같았다고 한다. 운 좋게도 매트릭스 멤버 중에는 팀이 구성되기 전에 [[팝 락]]류의 프로젝트를 해본 멤버가 있었다. 그래서 매트릭스 팀은 이 노래를 들은 후 라빈이 어떤 노래를, 뭘 어떻게 하고 싶은 지를 정확히 이해했다고 한다. 그 후 라빈에게 몇 일 후에 다시 오라 하고, 그날 오후 동안 “Falling down”이라는 노래와 훗날 “[[Complicated]]”라 불릴 곡의 초기 버전을 작곡한다.[* Falling down은 Sweet Home Alabama의 사운드 트랙에 포함] 며칠 후 라빈이 다시 온 날, 이 노래들을 연주 했고, 이 노래들은 라빈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라빈과의 계약의 책임자였던 조쉬 사루빈은 이 노래를 듣고는, 이 곡이 라빈에게 딱 맞는 노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아리스타의 CEO[[LA 리드|레이드]]는 라빈과 매트릭스 팀이 제시한 음악성에 동의하며 “[[Complicated]]”를 앨범의 리드 싱글로 설정했다. 레이드는 라빈을 매트릭스팀에게 돌려보내며, 팀에게 작곡과 제작에 대한 전권을 부여했다. 이 작업은 2개월 정도 소요되었다. 그들은 2달 동안 10곡을 함께 만들었다. 이 앨범의 원래 이름은 앨범 내의 수록곡 제목과 같은 ‘Anything But Ordinary’였다. 하지만 라빈의 요구로 Let Go가 되었다. == 성적 == >'''"21세기 가장 많이 팔린 데뷔 앨범"''' >'''"21세기 발매된 여성 가수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린 앨범 3위"''' >'''''21세기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린 앨범 6위''''' >'''''역대 가장 많이 팔린 단일 앨범 97위''''' >'''''2002년 전세계 앨범 판매량 2위''''' >'''''2003년 전세계 앨범 판매량 9위''''' >'''''2003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해외 앨범'''''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7)] [include(틀:IFPI, 연도=2002, 순위=2)] [include(틀:IFPI, 연도=2003, 순위=9)] ||
<#FFFFFF><:>[[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70]]||<:><#FFFFFF>[[빌보드 200|{{{#000000 '''빌보드 앨범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br]{{{+5 '''{{{#000 58위}}}'''}}}|| ||<-5>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200]]]] || ||<-5><#0029f3> '''{{{+1 [[Official Charts|{{{#fff UK 차트}}}]] 역대 1위 앨범}}}''' || || ''{{{#EF6AD4,#fff Escapology}}}''[br]{{{-2 [[Robbie Williams|{{{#8086a0 Robbie[br]Williams}}}]]}}} || → || ''' ''[[Let Go|{{{#0029F3,#fff Let Go}}}]]'' '''[br]{{{-2 [[Avril Lavigne|{{{#8086a0 Avril Lavigne}}}]]}}}[br]{{{-2 {{{#808080 (3주)}}}}}} || → || ''{{{#EF6AD4,#fff Justified}}}''[br]{{{-2 [[Justin Timberlake|{{{#8086a0 Justin[br]Timberlake}}}]]}}} || || ''' 차트 및 판매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순위''' || '''판매량''' || '''인증''' || || '''[[미국]]''' || 2 || 7,110,000 || 7X 플래티넘 || || '''[[영국]]''' || 1 || 1,820,000 || 7X 플래티넘 || || '''[[캐나다]]''' || 1 || 1,100,000 || 다이아 || || '''[[호주]]''' || 1 || 550,000 || 다이아몬드 || || '''[[일본]]''' || 6 || 1,750,000 || 밀리언 || || '''[[멕시코]]''' || 1 || 75,000 || 3X 골드 || || '''[[독일]]''' || 4 || 450,000 || 골드 || || '''[[뉴질랜드]]''' || 1 || 75,000 || 5X 플래티넘 || || '''[[프랑스]]''' || 13 || 300,000 || 플래티넘 || || '''[[오스트리아]]''' || 5 || 30,000 || 플래티넘 || || '''[[브라질]]''' || - || 250,000 || 2X 플래티넘 || || '''[[폴란드]]''' || 17 || 35,000 || 골드 || || '''[[네덜란드]]''' || - || 25,000 || 골드 || || '''[[스페인]]''' || 4 || 20,000 || 골드 || || '''[[스웨덴]]''' || 17 || 100,000 || 플래티넘 || || '''[[스위스]]''' || 2 || 80,000 || 2X 플래티넘 || || '''[[덴마크]]''' || 6 || 60,000 || 3X 플래티넘 || || '''[[한국]]''' || - || 260,000 || - || ||<-2> '''월드''' ||<-2> '''16,220,000''' || }}} || 라빈이 '''17살'''에 낸 첫 앨범 Let Go는 UK 차트 1위, 빌보드 앨범 차트 2위에 오르며 전세계적으로 '''162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처럼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전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켰다. 빌보드 매거진에 의하면 2000년대에 가장 많이 판매된 앨범 중 21위를 차지했으며, 롤링스톤지에서 독자들을 상대로 실시한 2000년대 최고의 앨범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2000년대의 최고 앨범 4위'''를 차지했다. 싱글 중 데뷔곡 [[Complicated]]는 2000년대 최고 인기곡, 발라드 싱글 [[I'm with You]]는 2000년대 최고 명곡 중 하나로 꼽히며, 펑크 기타 사운드를 섞은 싱글 [[Sk8er Boi]]는 지금까지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2020년에 미국 빌보드 선정 여성 가수 앨범 20위에 랭크되었다. 미국에서는 710만 장이 판매되었다. 고향 캐나다에서도 큰 성공을 거뒀는데, 캐나다 음반산업협회에서는 100만 장의 판매량을 인증을 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2008년 5월에 Let Go는 전 세계 1,700만장이 판매되었다.[* 2021년 기준 디지털 세일즈 포함 2100만 장 판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let-go, artist=avril-lavigne, critic=68, user=8.2)]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62)]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00년대 200대 명반, 순위=21)]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Let Go)] ||<-2><#38546c>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38546c, #38546c);"
<#000000> '''Let Go의 전문가 평점'''}}} || ||<#38546c> '''{{{#fff 매체}}}''' ||<#38546c> '''{{{#fff 평점}}}''' || || AllMusic || '''3.5/5.0''' || || Blender || '''★★★★☆''' || || Chicago Tribune || '''★★★★☆''' || || Stylus Magazine || '''B''' || || Entertainment Weekly || '''B-''' || || [[메타크리틱]] || '''68/100''' || || [[피치포크]] || '''6.6/10''' || || [[롤링 스톤]] || '''★★★☆☆''' || || Q || '''★★★☆☆''' || ||<#38546c>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수상 및 후보'''}}}}}}||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deded,#4a4a4a> '''연도''' ||<#ededed,#4a4a4a> '''시상식''' ||<#ededed,#4a4a4a> '''후보 부문''' ||<#ededed,#4a4a4a> '''결과''' || || 2002년 || Radio Disney Music Awards || Best Album || '''수상''' || ||<|9> 2003년 || Hong Kong Top Sales Awards || Top Ten Best Selling Foreign Albums || '''수상''' || ||<|2> Juno Award || Album of the Year || 수상 || || Pop Album of the Year || 수상 || || Hungarian Music Awards || Foreign Modern Rock Album of the Year || 후보 || || Japan Gold Disc Award || Rock & Pop Album of the Year || 수상 || || MTV Video Music Awards Japan || Album of the Year || 후보 || || Premios Oye! || Main English Female Record || 수상 || || [[그래미 어워드|Grammy Awards]] || '''Best Pop Vocal Album''' || '''후보''' || || Teen Choice Awards || Choice Music: Album || 후보 || }}} || Let Go는 메타크리틱에서 68점의 메타스코어를 얻으며 비평가들로부터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롤링 스톤 매거진은 라빈이 "훌륭한 목소리"를 가졌다고 칭찬하며, "유능한 히트메이커들"로 앨범을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올뮤직은 라빈에 대해 "다양한 스타일을 능숙하게 다루고 있다"며 "Vocal chops를 잘하는 유능한 싱어송라이터"라고 칭찬했다. 블렌더 매거진은 Let Go를 "뛰어난 기타 팝 데뷔"로 요약했다. Q 매거진은 라빈이 "그녀의 나이를 뛰어넘는 음악적 교활함"을 보였다고 칭찬했다. 멜로딕의 카즈 로스는 "라빈의 노래가 사랑스럽고 몇몇 곡들은 [[앨라니스 모리셋]]의 맥을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위클리 매거진은 “라빈의 기타 록의 단색 데뷔는 그녀의 노래의 진정성 덕분에 구해졌다."고 말했다. 일부 평론가들은 가사에 대해 비슷한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사라세노는 라빈이 "아직 가사적으로 성장해야 할 부분이 있다"며, [[Sk8er Boi]]가 그녀의 "가사적인 결점"을 보여준다고 말하며, 수록곡 Too Much to Ask의 가사 표현은 "어색하다"고 말했다. == 싱글 == ||<-5><#38546c> {{{#!wiki style="margin:4px" [[Let Go|[[파일:letgologo.png|height=36]]]]}}} || ||{{{#!wiki style="margin: -5px -10px" [[Complicated|[[파일:Complicated.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Sk8er Boi|[[파일:Sk8erBoi.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I'm with You|[[파일:암윗유.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Let Go(음반)#s-6.1|[[파일:루징그립.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Let Go(음반)#s-6.5|[[파일:MobileCove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0px -10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2px" [[Complicated|{{{-3 {{{#38546c '''Complicated'''}}}}}}]][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38546c; color:#fff;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02. 05. 14.}}}}}} || {{{#!wiki style="margin:0px -10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2px" [[Sk8er Boi|{{{-3 {{{#38546c '''Sk8er Boi'''}}}}}}]][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38546c; color:#fff;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02. 08. 27.}}}}}} || {{{#!wiki style="margin:0px -10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2px" [[I'm with You|{{{-3 {{{#38546c '''I'm with You'''}}}}}}]][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38546c; color:#fff;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02. 11. 18.}}}}}} || {{{#!wiki style="margin:0px -10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2px" [[Let Go#s-6.1|{{{-3 {{{#38546c '''Losing Grip'''}}}}}}]][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38546c; color:#fff;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03. 03. 24.}}}}}} || {{{#!wiki style="margin:0px -10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0.2px" [[Let Go#s-6.5|{{{-3 {{{#38546c '''Mobile'''}}}}}}]][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38546c; color:#fff; font-size:0.65em" '''비공식 싱글'''}}} {{{-5 2003. 05. 08.}}}}}} || == 트랙리스트 == ||<-5><#099AC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99AC7, #38546c);" '''{{{+2 [[Let Go|[[파일:letgologo.png|height=70]]]]}}}[br]{{{#fff 트랙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제목''' || '''재생 시간''' || '''링크''' || ||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Losing Grip|{{{#000,#fff Losing Grip}}}]]''' || 3:53 || [[https://youtu.be/LOcKckBLo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2'''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Complicated|{{{#000,#fff Complicated}}}]]''' || 4:04 || [[https://youtu.be/5NPBIwQyPW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3'''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Sk8er Boi|{{{#000,#fff Sk8er Boi}}}]]''' || 3:24 || [[https://youtu.be/TIy3n2b7V9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4'''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m with You|{{{#000,#fff I'm with You}}}]]''' || 3:43 || [[https://youtu.be/dGR65RWwzg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5'''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Mobile|{{{#000,#fff Mobile}}}]]''' || 3:31 || [[https://youtu.be/KuuhcltChK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6''' || '''[[Unwanted|{{{#000,#fff Unwanted}}}]]''' || 3:41 || [[https://youtu.be/q3SrXC8Gv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7''' || '''[[Tomorrow|{{{#000,#fff Tomorrow}}}]]''' || 3:48 || [[https://youtu.be/q3SrXC8Gv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8''' || '''[[Anything But Ordinary|{{{#000,#fff Anything But Ordinary}}}]]''' || 4:11 || [[https://youtu.be/0pdOTyk5az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9''' || '''[[Things I'll Never Say|{{{#000,#fff Things I'll Never Say}}}]]''' || 3:43 || [[https://youtu.be/FnKg4pfjrr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0''' || '''[[My World|{{{#000,#fff My World}}}]]''' || 3:27 || [[https://youtu.be/ZMwBcwVSNy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1''' || '''[[Nobody's Fool|{{{#000,#fff Nobody's Fool}}}]]''' || 3:57 || [[https://youtu.be/CnPT0hCeSh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2''' || '''[[Too Much to Ask|{{{#000,#fff Too Much to Ask}}}]]''' || 3:45 || [[https://youtu.be/mx2dbYKkFc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3''' || '''[[Naked|{{{#000,#fff Naked}}}]]''' || 3:28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5> {{{#fff '''20th Anniversary Edition'''}}} || || '''14''' || '''[[Why|{{{#000,#fff Why}}}]]''' || 3:54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5''' || '''[[Get Over It|{{{#000,#fff Get Over It}}}]]''' || 3:30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6''' || '''[[Breakaway|{{{#000,#fff Breakaway}}}]]''' || 3:43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7''' || '''[[Falling Down|{{{#000,#fff Falling Down}}}]]''' || 3:58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8''' || '''[[I Don't Give|{{{#000,#fff I Don't Give}}}]]''' || 3:39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19''' || '''[[Make Up|{{{#000,#fff Make Up}}}]]''' || 3:15 || [[https://youtu.be/r3osbQyep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5><#38546c> [[에이브릴 라빈|[[파일:790D24C4-D023-40F3-8E28-29F263F786C1.png|width=70]]]] || }}}}}}}}} || === Losing Gri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OcKckBLouM)]}}} || ||<#ffffff,#000000>{{{#38546c {{{+3 '''Losing Grip'''}}}}}} {{{#7d7d7d {{{-1 '''01'''}}}}}}[br]{{{#7d7d7d 3' 50"}}}[br] [br]{{{#999999 {{{-2 '''Losing Grip은 이 앨범의 네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는데, 라빈은 이 싱글을 통해 그녀의 [[Under My Skin|다음 앨범]]은 데뷔 앨범보다 "더 하드한 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04년 그래미 최우수 여성 록 보컬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다. 그러나 이 싱글은 앨범에서 가장 덜 성공적인 싱글이었다.'''}}}}}}[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Are you aware of what you make me feel? Baby Right now I feel invisible to you, like I'm not real Didn't you feel me lock my arms around you? Why'd you turn away? Here's what I have to say I was left to cry there Waiting outside there Grinning with a lost stare That's when I decided Why should I care 'Cause you weren't there when I was scared I was so alone You, you need to listen I'm starting to trip I'm losing my grip and I'm in this thing alone Am I just some chick you place beside you to take somebody's place? When you turn around can you recognize my face? You used to love me, you used to hug me But that wasn't the case Everything wasn't okay I was left to cry there Waiting outside there Grinning with a lost stare That's when I decided Why should I care 'Cause you weren't there when I was scared I was so alone You, you need to listen I'm starting to trip I'm losing my grip and I'm in this thing alone Crying out loud, I'm crying out loud Crying out loud, I'm crying out loud Open your eyes Open up wide Why should I care? 'Cause you weren't there When I was scared I was so alone Why should I care? 'Cause you weren't there When I was scared I was so alone Why should I care? If you don't care then I don't care We're not going anywhere Why should I care? 'Cause you weren't there When I was scared I was so alone Why should I care? If you don't care then I don't care We're not going anywhere }}}}}} || === [[Complicate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NPBIwQyPWE)]}}} || ||<#ffffff,#000000>{{{#38546c {{{+3 '''Complicated'''}}}}}} {{{#7d7d7d {{{-1 '''02'''}}}}}}[br]{{{#7d7d7d 4' 04"}}}[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The Matrix[br]Produced by The Matrix[br][br][[Complicated]]는 앨범의 리드 싱글로 발매되었고, 전 연령대 대중들에게 라빈을 알리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싱글의 뮤직비디오는 라빈과 그녀의 밴드가 쇼핑몰을 깨부시고 혼란을 일으키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곡은 여러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그래미 올해의 노래와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다.'''}}}}}}[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omplicated)] === [[Sk8er Bo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Iy3n2b7V9k)]}}} || ||<#ffffff,#000000>{{{#38546c {{{+3 '''Sk8er Boi'''}}}}}} {{{#7d7d7d {{{-1 '''03'''}}}}}}[br]{{{#7d7d7d 3' 24"}}}[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The Matrix[br]Produced by The Matrix[br][br]두 번째 싱글 [[Sk8er Boi]]는 팝 펑크 장르로 10대들과 성인 청취자들에게도 라빈의 노래가 인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노래는 미국 메인스트림 라디오에서 1위에 올랐다.'''}}}}}}[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8er Boi)] === [[I'm with You]]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GR65RWwzg8)]}}} || ||<#ffffff,#000000>{{{#38546c {{{+3 '''I'm with You'''}}}}}} {{{#7d7d7d {{{-1 '''04'''}}}}}}[br]{{{#7d7d7d 3' 43"}}}[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The Matrix[br]Produced by The Matrix[br][br]I'm With You는 크리스마스 연휴가 가까워진 2002년 11월 말에 발매되었다. 이 노래는 라빈이 빌보드 핫 100에서 4위, 메인 스트림 라디오에서 1위, 영국과 캐나다에서 탑 10에 오르며 성공을 거두었다. 호주에서는 정식 발매되지 않았지만 라디오와 TV에서 방영되었다. 현재까지 Let Go는 라빈이 미국에서 탑 10 싱글을 다수 발표한 유일한 앨범이다. 이 곡은 또한 [[Complicated]]와 같은 부문으로 두 개의 그래미 어워드에 노미네이트 되었다.'''}}}}}}[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m with You)] === Mobil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uhcltChKc)]}}} || ||<#ffffff,#000000>{{{#38546c {{{+3 '''Mobile'''}}}}}} {{{#7d7d7d {{{-1 '''05'''}}}}}}[br]{{{#7d7d7d 3' 31"}}}[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lif Magness[br]Produced by Clif Magness'''}}}}}}[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Unwante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3SrXC8GvRA)]}}} || ||<#ffffff,#000000>{{{#38546c {{{+3 '''Unwanted'''}}}}}} {{{#7d7d7d {{{-1 '''06'''}}}}}}[br]{{{#7d7d7d 3' 41"}}}[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lif Magness[br]Produced by Clif Magness'''}}}}}}[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Tomorro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HCBOD66TI)]}}} || ||<#ffffff,#000000>{{{#38546c {{{+3 '''Tomorrow'''}}}}}} {{{#7d7d7d {{{-1 '''07'''}}}}}}[br]{{{#7d7d7d 3' 48"}}}[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urt Frasca, Sabelle Breer[br]Produced by Curt Fransca'''}}}}}}[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Anything but Ordinar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pdOTyk5azQ)]}}} || ||<#ffffff,#000000>{{{#38546c {{{+3 '''Anything but Ordinary'''}}}}}} {{{#7d7d7d {{{-1 '''08'''}}}}}}[br]{{{#7d7d7d 4' 11"}}}[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The Matrix[br]Produced by The Matrix'''}}}}}}[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Things I'll Never Sa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nKg4pfjrr0)]}}} || ||<#ffffff,#000000>{{{#38546c {{{+3 '''Things I'll Never Say'''}}}}}} {{{#7d7d7d {{{-1 '''09'''}}}}}}[br]{{{#7d7d7d 3' 43"}}}[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The Matrix[br]Produced by The Matrix'''}}}}}}[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My Worl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MwBcwVSNy0)]}}} || ||<#ffffff,#000000>{{{#38546c {{{+3 '''My World'''}}}}}} {{{#7d7d7d {{{-1 '''10'''}}}}}}[br]{{{#7d7d7d 3' 27"}}}[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lif Magness[br]Produced by Clif Magness'''}}}}}}[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Nobody's Foo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nPT0hCeShE)]}}} || ||<#ffffff,#000000>{{{#38546c {{{+3 '''My World'''}}}}}} {{{#7d7d7d {{{-1 '''11'''}}}}}}[br]{{{#7d7d7d 3' 57"}}}[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Peter Zizzo[br]Produced by Peter Zizzo'''}}}}}}[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Too Much to As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2dbYKkFc4)]}}} || ||<#ffffff,#000000>{{{#38546c {{{+3 '''Too Much to Ask'''}}}}}} {{{#7d7d7d {{{-1 '''12'''}}}}}}[br]{{{#7d7d7d 3' 45"}}}[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lif Magness[br]Produced by Clif Magness'''}}}}}}[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Nake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3osbQyepiM)]}}} || ||<#ffffff,#000000>{{{#38546c {{{+3 '''Naked'''}}}}}} {{{#7d7d7d {{{-1 '''13'''}}}}}}[br]{{{#7d7d7d 3' 28"}}}[br] [br]{{{#999999 {{{-2 '''Written by Avril Lavigne, Curt Frasca, Sabelle Breer[br]Produced by Curt Fransca, Clif Magness'''}}}}}}[br] [br]|| ||<#ffffff,#000000> {{{#38546c,#fff {{{#!folding [ 가사 보기 ] [br] }}}}}} || === Why === === Get Over It === === Breakaway === === Falling Down === === I Don't Give === === Make Up === [각주] [[분류:에이브릴 라빈/정규 앨범]][[분류:빌보드 2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2002년 음반]][[분류:팝 록]][[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