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Low, other1=다른 뜻, rd1=Low(BEMANI 시리즈))] [Include(틀:데이비드 보위/앨범)] ||<-5><#000>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jpg|width=110]][br]'''{{{#fff 데이비드 보위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fff> {{{#CA2529 {{{-2 1976년 1월 23일}}}[br]{{{-2 10집}}} [[Station to Station|{{{#CA2529 '''Station to Station'''}}}]]}}} || → ||<#e65a2b> {{{#ffe114 {{{-2 1977년 1월 14일}}}[br]{{{-2 11집}}} [[Low(음반)|{{{#ffe114 '''Low'''}}}]]}}} || → ||<#000> {{{#d6d6c9 {{{-2 1977년 10월 14일}}}[br]{{{-2 12집}}} [["Heroes"|{{{#d6d6c9 '''"Heroes"'''}}}]]}}} || ||<-5><#e65a2b> '''{{{#ffe114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251,연도2=2020,순위2=206)]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22)]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1)]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Rate Your Music, 항목=전체 앨범 차트, 순위=43)]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20, 연도=1998, 순위2=47,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42)]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14)]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 ||<-2><#e65a2b> '''{{{#ffe114 {{{+1 Low}}}}}}'''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7_low.jpg|width=100%]]}}} || || '''발매일''' ||[[1977년]] [[1월 14일]] || || '''녹음일''' ||[[1976년]] 9월 - 11월 || || '''장르''' ||[[아트 록]], [[앰비언트 뮤직|앰비언트]] || || '''재생 시간''' ||38:26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데이비드 보위[br]토니 비스콘티 || || '''스튜디오''' ||샤토 드 에후빌[br]한자 톤스튜디오 || || '''레이블''' ||[[RCA 레코드|[[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65]]]]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뮤지션 [[데이비드 보위]]의 11번째 스튜디오 앨범. 1977년 1월 14일 RCA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 상세 == '베를린 3부작'이라 불리는 보위의 연작 중 첫 번째 앨범. 보위의 두번째 음악적 변화임과 동시에 그의 최고의 음악성을 지닌 명반이다. 베를린 3부작이지만, 본작은 베를린이 아닌 파리에서 [[브라이언 이노]]와 함께 작업한 뒤 발매했다. 이전의 앨범들과는 달리 상당히 음악이 성숙해졌는데, 그가 서독에 머물며 받은 코카인 중독 치료의 고통이 큰 영향을 미쳤다.[* 앨범 제목인 'Low'도 마약에 취했음을 의미하는 'high'의 반대말로 정했다는 해석이 있다.] 우선 보위는 독일(정확히 말하면 서독)의 크라프트베르크, 노이! 같은 크라우트락에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절반 이상의 곡들은 연주곡들로 배치되었고, 특히 LP의 B면 전체를 채우고 있는 Warszawa - Art Decade - Weeping Wall - Subterraneans 네 곡의 접속곡은 실험적이고 장엄한 분위기 덕분에 앨범의 백미로 꼽힌다. 또한 [[포스트 록]]의 효시로 꼽히기도 한다. [[더 큐어]]의 로버트 스미스와 [[블러(밴드)|블러]]의 [[데이먼 알반]]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중 하나이기도 하며,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 [[나인 인치 네일스]]의 [[트렌트 레즈너]] 역시 [[The Downward Spiral]]을 제작할 때 Low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전의 보위 앨범들은 그가 선보였던 페르소나의 영향이 강했던 반면[* 페르소나의 성격이나 특징에 따라 곡을 맞춰서 만들었고, 예전에 발매한 곡들 역시 그 페르소나의 성격에 맞춰서 편곡을 해서 불렀었다.] 베를린 3부작은 그야말로 보위 자신의 음악적 역량을 마음껏 선보였던 작품으로 평가된다. == 트랙 리스트 == === Side 1 === * 1. Speed of Life "2:46" * Be My Wife의 B사이드로 싱글 발매되었다. * 2. Breaking Glass "1:52" * 3. What in the World "2:23" * 4. [[Sound and Vision]] "3:05"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ound and Vision)] * 5. Always Crashing in the Same Car "3:33" * 6. Be My Wife "2:58" * 실험적인 곡 위주인 이 앨범에서 록 사운드를 들려주는 얼마 안되는 곡. Sound and Vision에 이어 앨범의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스탠리 도프먼(Stanley Dorfman)이 뮤직 비디오를 감독했다. * 7. A New Career in a New Town "2:53" === Side 2 === * 8. Warszawa "6:23" * [[조이 디비전]]이 이 노래의 영향을 받아 초기엔 밴드명을 Warszawa로 했다. * 9. Art Decade "3:46" * 10. Weeping Wall "3:28" * 11. Subterraneans "5:39" == 참여자 == * [[데이비드 보위]] - 보컬, 기타, 펌프 베이스, 하모니카, 비브라폰, 실로폰, 타악기, 신서사이저, 챔벌린, 피아노 * [[브라이언 이노]] - 키보드, 미니무그, 보컬, 신서사이저 등 * 카를로스 알로마 - 리듬 기타, 리드 기타 * 데니스 데이비스 - 타악기 * 조지 머레이 - 베이스 * 리키 가디너 - 리듬 기타, 리드 기타 * 로이 영 - 피아노, 오르간 * [[이기 팝]] - 백 보컬 * 마리 비스콘티 - 백 보컬 * 에두아르트 마이어 - 첼로 * 피터 앤 폴 - 피아노, 신디사이저 [[분류:1977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데이비드 보위 음반]][[분류:아트 록]][[분류:앰비언트 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