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4.jpg|width=100%]]}}} || || '''M-84'''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qK39cvSyaw)]}}} || || '''M-84 관련 영상''' || M-84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개발된 3세대 MBT로 소련의 [[T-72]]를 개량시킨 버전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도 세르비아, 쿠웨이트,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주력전차로서 운용되고 있다. == 제원 == ||<-3>
'''{{{#000,#fff M-84}}}''' || ||<-3> '''{{{#white 개발 및 생산}}}''' || ||<-2> '''{{{#white 개발 설계국}}}''' ||베오그라드 군사기술 연구소 || ||<-2> '''{{{#white 생산기관}}}''' ||Đuro Đaković || ||<-2> '''{{{#white 생산기간}}}''' ||[[유고슬라비아]] [br] 1984년 ~ 1991년 [br]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br] 1991년 ~ 1999년 [br] [[크로아티아]] [br] 1992년 ~ 2003년 [br] [[세르비아]] [br] 2004년 ~ 2020년 || ||<-2> '''{{{#white 생산량}}}''' ||약 650대 || ||<-2> '''{{{#white 운용연도}}}''' ||1984년 ~ 현재 || ||<-2> '''{{{#white 운용국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세르비아]]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5]] [[크로아티아]] [br]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5]] [[슬로베니아]] [br]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25]] [[쿠웨이트]] [br]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장.svg|width=25]] [[보스니아]] [b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width=25]] [[유고슬라비아]] || ||<-3> '''{{{#white 제원}}}''' || ||<-2> '''{{{#white 전장}}}''' ||9.53 m || ||<-2> '''{{{#white 전폭}}}''' ||3.57 m || ||<-2> '''{{{#white 전고}}}''' ||2.19 m || ||<-2> '''{{{#white 중량}}}''' ||41.5 t || ||<-2> '''{{{#white 승무원}}}''' ||3명 || ||<-3> '''{{{#white 공격력}}}''' || ||<-2> '''{{{#white 활강포}}}''' ||48구경 [[125mm 활강포]] 2A46 [br] '''(42발 적재)''' || ||<-2> '''{{{#white 조준 및 사격장치}}}''' ||- || ||<-2> '''{{{#white 좌우 회전각}}}''' ||360° || ||<-2> '''{{{#white 부무장}}}''' ||[[칼라시니코프 기관총|7.62 mm 동축 기관총]] [br] [[NSV|12.7mm 대공 기관총]] [br] 연막탄 발사기×5 || ||<-3> '''{{{#white 기동력}}}''' || ||<-2> '''{{{#white 엔진}}}''' ||V-46TK 디젤엔진 || ||<-2> '''{{{#white 최대출력}}}''' ||1000 HP (750 kW) || ||<-2> '''{{{#white 최대토크 / 회전 수}}}''' ||- // - || ||<-2> '''{{{#white 출력비}}}''' ||24.10 hp/t || ||<-2> '''{{{#white 변속기}}}''' ||- [[수동변속기]] || ||<-2> '''{{{#white 현가장치}}}''' ||[[토션바 서스펜션]] || ||<-2> '''{{{#white 연료용적}}}''' ||1,200L+400L || ||<-2> '''{{{#white 최고속도}}}''' ||68 km/h (31 mph) || ||<-2> '''{{{#white 항속거리}}}''' ||700km || ||<-2> '''{{{#white 최저 지상고}}}''' ||- || ||<-2> '''{{{#white 등판능력}}}''' ||- || ||<-3> '''{{{#white 방호력}}}''' || ||<-2> '''{{{#white 장갑형식}}}''' ||[[복합장갑|고경도 강철/유리/플라스틱/균일 압연 장갑/모래,화강암 복합장갑]], 증가장갑 || == 설계 == === 무장 === M-84A의 경우 2A46 [[125mm 활강포]]를 장비했다. 승무원 배치는 원본 T-72와 동일하게 좌측에 포수 우측에 전차장이 앉는 형태다. 차체 내부에는 케로젤식 자동장전장치에 40발의 포탄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T-72]]의 약점을 그대로 담습하였다. 포탑 아래에 있는 차체 하부에 탄약이 적재되어있는데, 이는 지뢰의 공격에 취약하며 측면 하부를 공격당할 시 전차가 유폭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훗날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때 유고 연방군이 이를 인지하고 대파편 설계를 적용하고 하부, 측면 장갑을 강화함으로서 어느정도 효과를 보았다. 한편 원형 T-72에는 없던 측풍감지기를 포탑 전방에 설치하였으며, 오리지널 T-72와 구별할때 가장 쉬운 식별점이다. === 장갑 === [[화생방]] 방호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고, 최대 410 mm의 복합장갑을 지니고 있었다. M-84A 이후 버전으로 양산된 전차는 금속, 화강암, 석영 등으로 복합되어 제작된 차체 장갑과, 포탑장갑의 경우 16 mm 강판을 탑재(플라스틱 수지, 유리 활용)하여 방어력을 향상시켰다. 차체의 경우 550 ~ 650 mm 장갑을, 포탑의 경우 560 ~ 700 mm의 장갑을 보유하고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되었다. 유고 내전때 이러한 장갑 설계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게 되었다. === 기동성 === 초창기 모델의 경우, 수랭식 V46-6 12기통 엔진을 탑재했으며 780마력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개량을 한 이후로는 V46-TK엔진을 탑재해 (1000마력) 항속거리를 450 km에서 650 km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 파생형 및 개량형 == === [[유고슬라비아]] === ==== M-84A ==== ||
[[파일:M-84A.jpg|width=100%]] || || '''M-84A''' || 기존보다 강력한 엔진을 장착했고 장갑판을 추가적으로 부착했다. SUV-M-84라는 신형 사통장치를 장착했고 밤/낮 적응형 포수 조준경을 장착했다. 레이저 거리측정기 또한 장착되었고 신형 TNP-160잠만경이 장착되었다. 이 외에도 여러 관측창이 밤/낮 적응형으로 개선되었고 수출형인 M-84AB를 포함해 450대 가량이 생산되었다. ==== M-90 ==== ||
[[파일:M-90_vihor.jpg|width=100%]] || || '''Vihor M-90''' || M-84와 T-72는 서로 꽤 차이가 나지만 어디까지나 부품은 소련의 라이센스를 받아 생산하고 있었기 때문에 생산 댓수에 제한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 또한 성능강화형을 만드는 겸사겸사 신형 전차를 계획하는 데 이것이 비호르(선풍)계획이다.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1200마력 신형 엔진과 현가장치는 M-95까지 이어졌고 당시 XM1, 레오파르트2A0 정도만 비등할 정도로 뛰어난 추중비를 자랑해 경쾌한 기동이 가능했다. 수중도하를 위한 [[스노클]]도 개발되어 있었고 소련의 2A46에서 파생된 유고슬라비아 자체생산 125mm주포를 장착했다. 더 높은 장전효율과 긴 포신 수명을 가지고 있었고 케로젤 장전장치가 아닌 고유의 자동 장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었다. 열 화상 관측기, 레이저 거리측정기, 탄도연산컴퓨터가 장착되었고 장갑재의 조합은 M-84A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장갑의 비율이 늘어 3.5톤정도 더 할당되었다. 이는 T-72M1과 비슷했다. 이 밖에도 별도의 KAO M-99 [[반응장갑]] 부착이 계획되어있었고 [[콘탁트-1]]과 [[콘탁트-5]]의 중간정도의 화학탄 방호력이 보장되었다. 물리탄 또한 제한적으로 방호가 가능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간단한 [[능동 방호 체계|APS]]가 있었는데, 레이저 경보 장치가 감지하면 그 방향으로 연막을 살포하는 방식이었다고 한다. 동구권 기갑장비 치고는 특이한 통신체계를 구축했는데 미군의 SINCGARS처럼 암호화된 독립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 시스템이 존재했다고 한다. ==== M-91 / 92 ==== ||
[[파일:M-91.jpg|width=100%]] || || '''Vihor M-91''' || M-91은 M-90의 설계안중 하나였는데 포탑형상과 연막탄 발사기의 위치 이외에는 큰 차이는 없었다. M-91외에도 M-92라는 설계안 또한 있었다고 한다. ==== M-84AI ARV ==== ||
[[파일:M-84AI_VS.jpg|width=100%]] || || '''M-84AI ARV''' || 90년대 중반 쿠웨이트는 대량의 M-84A를 구매하는 조건중 하나로 M-84A의 차체를 이용한 구난전차를 만들어주기를 원했다. 개발시간이 빠듯했기 때문에 기존 차량의 설계를 답습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폴란드의 WZT-3의 라이센스를 구매해 폴란드제 부품과 M-84A의 차체를 짬뽕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M-84ABI라는 쿠웨이트 자체 생산형을 계획하기도 했지만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 === [[세르비아]] === ==== M-84AS ==== ||
[[파일:M-84AS_mbt_1.jpg|width=100%]] || || '''M-84AS''' || M-84A의 개수형이며 새로운 장갑, 신형 사통장치와 관측창, [[콘탁트-5]]반응장갑, [[슈토라-1]]능동방호체계 등을 장착했다. [[T-90|T-90S]]와 상당히 유사한데 둘의 차이점은 M-84AS의 장갑이 조금 열세지만 기동성은 더 우월했다. 1200마력 신형 엔진을 장착해 최고속도가 72km/h까지 늘었다. ==== M-84AB1 ==== ||
[[파일:M-84AB1.jpg|width=100%]] || || '''M-84AB1''' || M-84AS의 과도기적 개량형이다. 포수 조준경에 독립적으로 안정기가 적용되었고 전차장 전용 파노라마 광학장비인 TOMS[* The commander’s Panoramic Surveillance and Observation Station]가 전차 상부에 장착되었다. 또한 능동형 패시브 레이더가 달렸고 레이저 경보기와 전장관리 정보체계(BMS)가 장착되었다. 대전차지뢰에 대응하기 위해서 대지뢰 전자파 방호장치와 대파편설계가 적용되어있다. ==== M-84AS1,AS2 ==== ||
[[파일:M-84AS1_Takovo_2020_-_01.jpg|width=100%]] || || '''M-84AS1''' || || [[파일:M-84AS2.jpg|width=100%]] || || '''M-84AS2''' || || [[파일:M-84AS1_ERA.jpg|width=100%]] || || '''신형 반응장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uasUKSC-lc)]}}} || || 세르비아군의 시연 영상 || 2017년 즈음에 대대적인 개량을 거친 환골탈태한 모델이다. V46TK-1신형 엔진을 장착해 1200마력으로 기동성이 개선됐고 최고속도가 80km/h까지 올랐지만 적절한 설계로 항속거리는 여전히 700km으로 유지되었다. 주포 또한 24A6M형으로 개선되었고 모듈화된 신형 반응장갑, [[슬랫아머]]를 포탑과 차체 전반에 증설하여 방호력을 대폭 개선했다.[* 반응장갑 이외에도 증설된 복합장갑 내지는 압연장갑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지만 확실하다고 말할 수 없기에 따로 기재한다.] 신형 [[사격통제장치]]와 [[RCWS]] 그리고 [[능동 방호 체계|APS]]가 적용되었고 레이저 경보기가 설치되어 상대 전차의 [[레이저 거리 측정기]]나 [[대전차미사일]]을 역으로 감지할 수 있다. 사실상 세르비아의 [[T-90M]] 혹은 [[T-72M4CZ]]에 가까운 물건이다. M-84AS2는 [[큐폴라]]가 조금 더 상부로 돌출된 형상이 되어 관측이 수월해졌다. 전차장 조준경이 개선되어 탐지거리가 대폭 늘어났다. 또한 전면 차체 상단의 견인용 마운트를 반응장갑으로 보호하였다. 이외에도 RCWS와 내부 부속장치가 개선되었다. 신형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을 도입하였는데. 관통자와 이탈피의 형태가 기존의 러시아가 운용하던3BM시리즈와 다른 형태의 서방제 m388과 비슷한 형상이다. 관통력과 유효 사거리가 개선된것으로 추정된다. 복합장갑의 배합이 조금 더 강화되었는데 원통형 패드/고경도 강철/티타늄/알루미늄/텅스텐이 사용되었다. 물리적 관통자에 대해 대응력이 올랐다고 추정된다. AS1부터 장착된 신형 [[반응장갑]]은 지그재그형상의 비행판 뿐만 아니라 일자형 비행판이 하나 더 붙어있는 구조이며 러시아의 [[렐릭트 반응장갑]]과 성능이 비등할것으로 추정된다. 중량이 늘면서 주퇴복좌기 또한 강화했는지 다른 M-84파생, 그리고 T-72파생형들보다 효과적으로 반동을 흡수한다. 함께 포격할때 독보적으로 반동이 적은것을 볼 수 있다. === [[크로아티아]] === ==== M-84A4 ==== ||
[[파일:M-84_DanOSRH2011.jpg|width=100%]] || || '''M-84A4''' || 신형 관측창을 장착했고 DBR-84 조준 연산장치를 장착했다. 더 민감한 포 센서를 통해서 정밀한 조준이 가능했고 신형 통신장치가 장착되었다. ==== M-84D(A5) ==== ||
[[파일:M-84D.jpg|width=100%]] || || '''M-84D''' || 2000년대 중반부터 개량된 M-84D혹은 M-84A5로 알려진 이 전차는 M-84A4의 직계 개량형이지만 둘은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기존의 M-84A4에 .50mm CIWS, 신형 사통장치, 모듈 반응장갑등을 적용하였다. 기존의 자동장전장치를 개선해 장전 효율이 15%상승했다. 또한 전차 후방의 버슬형 탄약고 구역에 슬랫아머를 장착했고 포탑바구니를 증설해 적재량을 늘리는 동시에 추가적인 방호력을 얻으려 하였다. 포탑회전이 유압식에서 전기모터식으로 변경되어 더 기민하게 포탑이 돌아간다. 엔진은 1000마력 그대로지만 자동변속기로 변경해 더 강력한 엔진으로 강화도 가능하다. 이후 개량으로 레이저 경보기와 대전차 미사일 발사 기능이 예정되어있었지만 M-84D업그레이드 키트 자체가 쿠웨이트와 크로아티아군 모두 적용에 적극적이지 않아서 흐지부지 되었다. ==== M-95 ==== ||
[[파일:M-95.jpg|width=100%]] || || '''M-95''' || || [[파일:M-95Model.jpg|width=100%]] || || '''용접포탑 설계 모형''' || M-95는 M-84의 개량형 중에서도 독특한 계보를 잇는 물건인데 사실 M-95는 M-84의 직계 개량형이 아닌 M-91의 개량형이다. 내전으로 혼란한 사이에 크로아티아 정부는 M-91의 시제품 2기를 입수했고 전후 이를 연구해 현대화된 신형 전차를 제작하기로 했다. 개발이 진행되는 사이 M-91은 1200마력 엔진과 신형 [[열화상카메라]], 넓은 신형 용접 포탑, 이스라엘과 공동개발한 신형 반응장갑, 개선된 사통장치 등 대대적인 개수가 되었고 이후에도 신형 120mm포, [[ECM]],대전차미사일 등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예정이 있었다. 하지만 M-95는 시제품으로 개발이 중지되었고 M-95를 제작하는 동안 얻은 기술은 크로아티아의 M-84D에 고스란히 적용되었다. ==== M-95 코브라 ==== ||
[[파일:M-95_COBRA.png|width=100%]] || || '''M-95 Cobra''' || M-95의 설계가 구체화 되는 과정에서 파생된 미사일 구축전차다.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미사일 발사관을 코브라가 목을 들어올리듯이 높이 올려 지형제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전차는 M-84A4의 차체를 사용했으며 [[9K111 파곳|AT-4 파곳]]과 [[9M113 콘쿠르스|AT-5 스팬드렐]]의 운용이 고려되었다. 미사일 발사대 역할을 하는 로봇 팔을 최대한 들어올리면 12미터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컨셉부터 안전한곳에서 발사대만 내미는 역할이었기에 포탑은 개방형에 최대 20mm의 허접한 방호력을 자랑했다. 하지만 운용 교리상 문제는 없을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렇게 이론상으로는 꽤나 괜찮은 전차였지만 휴대용 [[대전차미사일]]이 발전하면서 퇴물이 되어버려 이 형태는 폐기됐다. === [[쿠웨이트]] === ==== M-84AB,ABN,AK/ABK ==== ||
[[파일:Kuwaiti_M-84AB.jpg|width=100%]] || || '''M-84AB''' || M-84A형의 수출형이다. 내부 표기가 아랍어로 되어있고 신형 통신장치를 구비했다. 이외에는 성능적인 차이는 딱히 없다. 총 200대를 받기로 계약했지만 도중에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해체되면서 유고슬라비아에게는 150대만 받을 수 있었다. ABN형은 항법장치가 강화되었다. ABK 혹은 AK형은 지휘관 탑승용으로 항법장치와 통신장비가 강화되었다. 그리고 발전기가 달렸다. == 실전 == === [[걸프 전쟁]] === [[파일:external/eb2fc4129cbc4928f4c04a6546c6d34fb3d6e3cd666600cbeffcf815838d3117.jpg]]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전에 쿠웨이트에서는 170대의 M-84AB, 각각 15대의 M-84AI ARV, M-84ABK를 도입하였다.[* 다만 전량이 한꺼번에 도입된 것은 아니고, 유고내전으로 인하여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 이 중 일부가 이라크군에 의해 [[빅커스 MBT|알자흐라 전차]]와 함께 노획되는 굴욕을 겪었으나, 이라크군의 다운그레이드형 T-62S, T-55S를 상대하는데 있어서 현대화된 동구권제 전차답게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하였고 오직 2대만 손상되었으며 빠르게 복구되었다. 이후 쿠웨이트가 다국적군 참여국이 되면서 이 쿠웨이트군 전차전력의 주력인 M-84AB, ABK들도 일선에 투입되는 것이 고려되었으나, 당시 미국,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자국의 항공전력의 오폭 우려로 인해[* 그도 그럴것이 쿠웨이트군의 M-84 계열 전차들은 이라크군의 T-72 아사드 바빌과 외형이 거의 똑같이 생겼으며 멀리서 보면 T-55, T-62와도 구별하기 힘들다.] [[쿠웨이트군]]을 예비 전력으로 두기로 합의하면서 다국적군의 2선급 전력 위치에 있게 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전쟁]] === 유고슬라비아 내전 사이의 기록은 매우 혼란스럽고 부정확한 기록이 많기에 정확한 기록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또한 유고슬라비아 내전 이전까지 최대 주요 전력은 T-55와 T-34들이었기에 상대적으로 M-84는 희귀했다. ==== [[슬로베니아 독립전쟁]]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전략적 요충지를 다시 탈환하고자 시도했고, 슬로베니아 방위대는 어떠한 기갑부대도 존재하지 않았으나 20대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M-84S를 파괴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슬로베니아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 ||
[[파일:Yugoslav_M-84_during_Independence_War_of_Croatia.jpg|width=100%]] || ||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당시의 크라이나 세르비아 육군 소속 M-84''' || 1991년 부코바르 전투에서 투입되었는데, 이 때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보병의 지원 없이 시가전을 펼치는 바람에 쉽게 노출되었고 많은 전차가 RPG 등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당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보병들은 경험이 부족하고 훈련이 충분하지 않았기에 전차 이전에 투입되는것을 자주 거부하였다. 훈련부족은 보병뿐만이 아니었기에 일부 M-84는 박격포와 지정사수의 화망만으로도 무력화 되기도 하였다. 이런 총체적 난국이 된 이유는 크로아티아의 지형이 장갑차량에게 비교적 불리한 넓고 탁 트인 평원이 많았기 때문도 있고 공격을 받았을때 전차 승무원들은 위치를 옮기거나 회피기동을 하지 않고 [[공축기관총]]이나 총기로 응사하기를 선호했기 때문도 있다.[* 심지어 이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전차 운용 교리와도 동떨어져있었다.] ==== [[보스니아 내전]] ==== 보스니아 내전에는 M-84S가 소량으로 파병되었는데, 교전세력들이 대부분 T-55를 주력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더불어 [[스릅스카 공화국]]의 육군에게 공여하고자 파병된 것과 보스니아에 JNA 본부가 있었다. 사라예보 포위 작전, 그 외의 소규모 전쟁에 투입되었다. 다만, 파괴된 차량 수는 알 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릅스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크로아티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크라이나 세르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슬로베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세르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쿠웨이트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3세대 전차]] * [[주력전차]] * [[지상 병기/현대전]] * [[125mm 활강포]] * [[T-72]] * [[PT-91 트바르디]] * [[T-84]] [[분류:3세대 전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T-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