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2 SLAM }}}'''[br]''Selectable Lightweight Attack Munition''}}} || ||<-2> [[파일:m2-slam_profile 0.jpg|width=300]] || || '''종류''' ||[[지뢰|다목적지뢰]][br]대차량지뢰|| || '''제조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2> {{{#white '''제식 이력'''}}} || || '''역사''' ||1994년~현재|| || '''개발''' ||허니웰|| || '''생산'''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파생형''' ||M3[br]M4[br]M4A1[br]M320|| ||<-2> {{{#white '''제원'''}}} || || '''전장''' ||127mm|| || '''전고''' ||55mm|| || '''중량''' ||1.0kg|| || '''작약''' ||LX-14|| || '''탄두''' ||폭발성형관통자|| [[파일:external/13e2688a76eca45c155cbdaab80ff1c4fafb77dc9483db7da53836a3d30611d4.jpg|width=500]] 2016년 [[독일]] 그라펜뷔어(Grafenwoehr) 훈련장에서 M320A1을 설치 중인 [[미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부대원의 모습 [목차] == 개요 == M2 SLAM(경량형 선택기폭식 지뢰, Selectable Lightweight Attack Munition)은 [[미 육군]]의 제식 다목적 [[지뢰]]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2CR%2C_RES_trains_with_Selectable_Lightweight_Attack_Munition%2C_SLAM_160824-A-HE359-013.jpg|width=580]] 1990년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와 [[미 육군]] 공병학교의 요청에 따라 허니웰(현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 프리시젼 퓨즈) 사에서 제시된 XM94 개발안이 [[미군]]에 각각 M2, M3, M4 경량형 선택기폭식지뢰(SLAM)의 제식명으로 채택되어 2002년까지 생산이 이루어졌다. 2011년에는 4,570만 [[미국 달러|달러]] 가량의 새로운 계약을 통해 보다 개선된 M4A1과 그 훈련형인 M320A1이 2015년 내로 조달이 완료된 상태이다.[[http://www.army-technology.com/news/news122172.html|참조]] === 특징 === ||
[[파일:external/www.pica.army.mil/slam2.jpg|width=250]] || || M320A1 || [[파일:external/0bd99a7351a37c451fc794e4ee1bac68bdb61036d2c68c41bed82937bf3b3b75.jpg|width=580]] 중량이 1kg 밖에 나가지 않는 소형 폭약이지만, [[EFP|자가단조(EFP)]] [[탄두]] 덕분에 8m 거리에서 40mm 가량의 관통력을 보이며,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기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의 해체 시도를 막기 위해 자폭 기능도 갖춘 해체방지형(Anti-tampering) 무기이기도 하다. ==== 작동방식 ==== [[파일:external/ecc9822142519aa4e50d158104d1412d7d7b991597b4e937ce385489fa8e7c27.jpg]] 하단 공격 - 자체적으로 탑재된 [[자기장]] 센서를 통해 지면 상에 있는 차량 밑에서 폭발하는 방식이다. [[접시]] 모양을 한 [[EFP|폭발성형]][[탄두]]를 1,500~2,000m/s의 [[속도]]의 발사체로 변형시키는 미즈니 살딘(Misznay-Schardin) 효과를 감쇄시키지 않는 마른 나뭇잎, 잔디 등의 선에서 [[위장]]도 가능하다. [[파일:external/29446d3165c9973a131a0223041b110427bf04edfade9eece60d6b6d45915c47.jpg]] 측면 공격 - 외장형 [[적외선]] 센서가 내보내는 [[레이저]] 사이로 지나가는 차량을 향해 폭발하는 방식이다. [[파일:external/f5342f25f00ee60bb41e4685d5e8f1501a442c2441a1d2dc8890a87181c4b5f4.jpg]] 시한 기폭 - 모든 센서 기능을 끄고 내부의 시한 신관에 미리 설정된 15, 30, 45, 60분 중에서 선택된 시간이 지나면 폭발하는 방식이다. [[파일:external/9f1320529a85179350c1f6efc2aaa410d395dfb526a55fd37b08f5ed29d56fdc.jpg]] 원격 기폭 - 모든 센서기능과 시한신관을 끄고 사용자가 유선 상으로 연결된 격발기로 원하는 상황에 직접 폭발시키는 방식이다. == 종류 == === M2, M3, M4 === [[파일:external/fa1633329b4b51e25f48d976b621f687e0631f4d9451830ea740a7ff896ca46d.jpg|width=580]] 외형은 동일하지만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을 고려하여 특정 기능들이 추가된 파생형들이 동시에 개발되었다. * M2 : 설치 후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기본형이다. * M3 : 유선으로 연결된 격발기의 신호에 따라서만 작동하는 파생형이다. * M4 : 설치 후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자폭하는 파생형이다. * M4A1 : 각 센서의 성능이 강화된 M4의 개량형으로, 다른 구형들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검은색 도색이 가해져 있다. === M320A1 === [[파일:external/9e69f13083854587271840602aac0e056c0bacb2fa8bd50bbcdcc5bbab6a85e7.jpg|width=580]] 2011년 [[미 육군]]에 M4A1과 함께 도입된 훈련형으로, 전반적인 기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폭발하지 않는 비활성 탄두로 구성되어 있다. == 출처 == * DVIDS에 개제된 사진 전반(영문) - [[https://www.dvidshub.net/search?q=Selectable+Lightweight+Attack+Munition]] * 글로벌 시큐리티(영문) -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munitions/slam.htm]] * [[위키백과]] SLAM 문서(영문) - [[https://en.wikipedia.org/wiki/Selectable_Lightweight_Attack_Munition]] * [[미 육군]] [[야전교범|FM]] 3-34.214 [[PDF]] 문서 중 1-13(영문) - [[https://info.publicintelligence.net/USArmy-Explosives.pdf]] * 미 육군 탄약사업부문 [[포트폴리오]] [[PDF]] 문서 중 57(영문) - [[http://www.dtic.mil/dtic/tr/fulltext/u2/a567897.pdf]] * 1996년 미 국방수권법 예산안 보고서(영문) - [[https://www.congress.gov/congressional-report/104th-congress/senate-report/112/1]] == 등장매체 == === 게임 === [[데이어스 엑스]] 1편에서 [[https://deusex.fandom.com/wiki/LAM|등장한다]]. 좀 더 미래적으로 생겼고 이름은 원명에서 S(Selectable)를 뗀 "LAM"(Lightweight Attack Munition)이나 약어는 동일하므로 '경량형 지뢰'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실제로 작중에서는 시한 기폭 기능만 존재하기에 기폭 방식 선택 기능은 없으니 적절한 개명이다. [[하프라이프 2]]에서 [[하프라이프|전작]]의 [[하프라이프/무기#s-5.2|원격 조종 폭탄]]과 [[하프라이프/무기#s-5.3|트립 마인]]을 계승하여 등장할 예정이었이지만, 촉박했던 개발 일정 때문에 스토리라인이 갈아엎어지며 [[하프라이프 2/삭제된 무기 및 장비#s-8|본편에서는 삭제되고]] 멀티플레이어 모드 게임인 [[하프라이프 2: 데스매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름은 그대로 SLAM이며, 지형지물에 설치하면 전작의 트립 마인처럼 '레이저 감지식 설치형 폭탄'이 되고 이때도 원격 기폭은 가능하다. 그대로 투척할 경우 '원격 기폭 폭탄'이 되며 이때는 왼손에 차량 [[스마트키]]를 연상케 하는 원격 기폭 장치를 드는데, 실물과는 달리 '''무선''' 기폭이다. 전술한 데이어스 엑스의 사례나 후술한 배틀필드 4와 달리 실물의 다양한 기폭 기능을 제대로 구현한 유일한 작품이다. [[스플린터 셀 시리즈]]에도 개근하는 물건으로, 벽지뢰의 모델로 등장한다. 무선방식으로 등장하며 깜박이는 LED와 삑삑거리는 소리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천천히 접근해서 녹색 LED가 점등 된 순간 버튼을 누르는 식으로 해제가능. 해제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잠입게임의 특성상 그럴일이 별로 없긴 하지만 수거해 뒀다가 역으로 적을 조질때도 쓸 수 있다. [[배틀필드 4]]에 등장한다. 가벼운 무게 덕에 던져서 설치가 되며, 차량의 기동력무력화가 가능하다. 파괴도 가능하지만 많이 설치해야한다. 차량에 붙이거나 맵상에 설치가 가능하다. 지뢰 목적으로만 사용가능. [youtube(S0v8DvrA0U8)] 이거 덕분에 보급병/정찰병의 C4[[트롤링]]에 이어, 공병의 M2 트롤링도 가능해졌다. [youtube(ImQRZekyjqM)] 심지어 M2와 C4를 조합해 통나무 미사일을 만들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지뢰]][[분류:지상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