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M67'''[br]''Model 67''}}} || ||<-2> [[파일:external/www.gd-otscanada.com/DPC_hand_grenades_C13_M67.jpg|width=100%]] || || '''종류''' ||[[수류탄|세열수류탄]]||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white '''이력'''}}} || || '''개발''' ||피카티니 조병창|| || '''생산''' ||데이 & 짐머만[br]L3 테크놀로지스[br]제네럴 다이나믹스|| || '''연도''' ||[[미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미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미 해안경비대|[[파일:uscg__emblem.png|width=23]]]][[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height=23]]]][br]1968년~현재|| || '''운용'''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캐나다]][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3]] [[호주]][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3]] [[아르헨티나]][br][[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튀르키예]][br][[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3]] [[사우디아라비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일본]][br][[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3]] [[필리핀]][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2> {{{#white '''기종'''}}} || || '''원형''' ||M33|| || '''파생형''' ||M68[br]M69|| ||<-2> {{{#white '''제원'''}}} || || '''전장''' ||90mm|| || '''지름''' ||64mm|| || '''중량''' ||0.4kg|| || '''작약''' ||[[컴포지션|B형 복합]][[고폭탄|고폭약]]|| || '''신관''' ||M67 - 지연식 M213[br]M68 - 충격식 M217[br]M69 - 지연식 M228|| || '''투척거리''' ||40m|| || '''유효반경''' ||5~15m||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JFqn96dn-9I, width=580)] M67 grenade M67은 [[미군]]의 제식 [[수류탄/종류#s-2|세열수류탄]]이다. 한국군이 사용하는 [[K413 세열수류탄|제식 수류탄]]과 비슷하다. == 상세 == === 역사 === [[파일:m67_usaf 0.jpg|width=580]] 1950대 후반 [[미 육군]]에서는 살상 유효반경이 일정하지 않은 [[타원]] 형태의 [[F1 수류탄|Mk.2]]와 [[M26 수류탄|M26]]을 동시에 대체하기 위한 후속 기종의 개발에 착수하여 [[베트남 전쟁]] 말기인 1968년에 M67의 제식명으로 채택하였다. 1990년대 말에는 비축분 전환을 위해 생산이 중단된 다음 PRB 사의 M72 등으로 대체가 이루어지려던 차에 2001년부터 시작된 [[테러와의 전쟁]]에서의 막대한 수요로 인해 제식 수명이 연장되어 오늘날까지 [[미군]] 전체를 아우르는 주력 살상용 수류탄으로 계속 운용되고 있다. === 특징 === ||
[[파일:external/www.operationalmedicine.org/M67%20Fragmentation%20Grenade.gif|width=250]] || || 구조도 || || [[파일:external/www.militaryfactory.com/m67-grenade_3.jpg|width=250]] || || M67의 파편 ||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70319-A-TD846-6905A.jpg|width=580]] 철제 코일이 [[달걀]] 형태로 휘감아져 있는 [[M26 수류탄]]과는 달리 내부에는 [[컴포지션|B형 복합]][[고폭탄|고폭약]]만이 채워져 있으며, 기폭시 본체의 외피가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사과]] 내지는 [[야구공]] 모양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었다. == 종류 == ||
명칭 || '''M67''' || '''M68''' || '''M69''' || || 사진 || [[파일:m33_sheet 0.jpg|width=150]] || [[파일:m33_sheet 0.jpg|width=150]] || [[파일:m69_sheet 0a.jpg|width=150]] || || 연도 || 1968년~현재 || 1968년~현재 || 1968년~현재 || || 재고번호 || 1330-00-133-8244 || 1330-00-133-8243 || 1330-00-178-8515 || || 도색 || [[올리브색|국방색]] || 국방색 || [[청색]] || || 작약 || [[컴포지션|B형 복합]][[고폭탄|고폭약]] || B형 복합고폭약 || 없음 || || 신관 || 지연식 M213 || 충격식 M217 || 지연식 M228 || === M33, M33A1(M59) ===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물자사령부(AMC)의 주도 하에 개발된 [[M26 수류탄]]의 직후계형으로, 평범한 M213 발화지연신관이 내장된 M33과 M217 충격신관이 내장된 M33A1, M59로 나뉜다. 안전 레버를 고정시키는 장치인 안전 클립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M67 및 M68과 동일하다. === M67, M68 === [[파일:m67_usa 0a.jpg|width=580]] [[M26 수류탄|M26]]의 성능개선형(PIP)인 M61처럼 안전 클립이 추가된 M33 계열의 보완형으로, 단순하면서도 낮은 단가의[* 2005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27.64[[미국 달러|달러]]이다.] 지연신관식 M67과 충격지연식 M68은 [[미군]]에 제식 채택된 1968년 이래로 [[캐나다군]]의 C13처럼 [[북대서양 조약 기구|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실질적인 표준 세열수류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M69 === [[파일:m67_usmc 0.jpg|width=580]] 훈련 중의 조작 실수 등에 의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컴포지션|B형 복합]][[고폭탄|고폭약]] 대신 하얀색 분말로 충전된 M67의 훈련형으로, 혼동 방지 목적으로 외피 전면에 시인성이 높은 파란색 도색이 되어 있다. 폭발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본체는 M228 훈련용 지연신관을 제거한 후 재활용이 가능하다. === K75, K400 === [[파일:K400_grenade.jpg|width=50%]] [[대한민국 국군]] 용으로 개발된 M67 베이스의 수류탄. 처음에는 K75라는 형식번호를 부여받았다가 이후에 K400으로 형번이 바뀌었다.[* 1975년에 개발 완료하여 실전배치된 시기에는 K75 수류탄이라는 제식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1980년대에 K400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war/1755860|#]]] 현재는 이의 개량판인 [[K413 세열수류탄]]으로 교체된 상태이다. == 출처 == * [[웹사이트]] * [[http://www.gd-otscanada.com/product/hand-grenades/]] * [[https://en.wikipedia.org/wiki/M67_grenade]] * [[http://weaponsystems.net/weaponsystem/BB01%20-%20M67.html]] * [[https://www.lexpev.nl/grenades/americas/unitedstates/m33m59m67m68.html]] * [[https://bulletpicker.com/grenade_-hand_-fragmentation_7.html]] * [[https://books.google.co.kr/books?id=3D-VCwAAQBAJ&pg=PA28&lpg=PA28&dq=m33+grenade+development&source=bl&ots=L0Kv54WSLL&sig=EzCt4r_-hM7SS-BPLlQNYWjolpQ&hl=ko&sa=X&ved=0ahUKEwiTtpSSze_UAhUCoZQKHRrDD5QQ6AEIRzAG#v=onepage&q=m33%20grenade%20development&f=false]] * [[PDF]] * [[https://www.dau.mil/cop/ammo/DAU%20Sponsored%20Documents/PEO%20Ammo%20Portfolio%20Book%202017.pdf]] * [[http://www.dtic.mil/dtic/tr/fulltext/u2/a567897.pdf]] == 등장매체 == 현대전 배경에서 자주 등장한다.[[http://www.imfdb.org/wiki/M67_Grenades|참조]] === 영화 === * [[블랙 호크 다운]] * [[월드워Z]] * [[태양의 눈물]] * [[코만도(영화)|코만도]] * [[풀 메탈 재킷(영화)|풀 메탈 재킷]] === 게임 === 생김새는 M67이 확실하지만 그냥 '수류탄'으로 등장하는 작품도 많다. * [[고스트 리콘]] -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메달 오브 아너]] * [[메달 오브 아너(2010)]]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 [[메탈기어 솔리드 2]]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2]] * [[배틀필드 플레이4프리]] * [[배틀필드 3]] * [[배틀필드 4]] - 기본수류탄인 동시에 게임 내의 유일한 한방에 적을 죽일 수 있는 수류탄이다. * [[PUBG: BATTLEGROUNDS/무기#s-11.1|PUBG: BATTLEGROUNDS]] -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게임내의 광역 범위 대미지를 가진 거의 유일한 폭발무기이기에 게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무기다. * [[엑스오퍼레이션]] * [[오퍼레이션7]] * [[콜 오브 듀티]] -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홈프론트]] -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America's Army|America's Army 시리즈]] - 투척류 장비로 등장한다. 시리즈 대대로 M4A1, M249와 함께 단 한번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였다. 이 게임은 매우 현실적이므로 폭발물의 유효범위가 다른 게임들보다 높고 데미지도 그와 같이 높다. 2 버전에서는 적성군의 수류탄은 RGD-5 수류탄으로 등장하며 3 버전에서는 적성군의 수류탄이 U-23A1 수류탄이라는 가상의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AVA]] - [[감자]](...)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Terrorist Takedown 2: US Navy Seals * [[Squad]] - 미군의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소총수 2개, 타 보직들은 0~1개를 소지하며, 수류탄이 떨어진 부분에서 10미터 정도 떨어져 있어도 출혈이 발생할 정도로 강력하다. * [[폴아웃 택틱스]] - 소이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컴뱃 암즈]]에 등장한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 파편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일반적인 모드에선 사용할 수 없고 '수류탄전'(...)에서 사용가능하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고폭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원본은 파쇄수류탄인게 흠. * [[배틀 코만도스]]에 등장한다. * [[인서전시]] - 안보유지군의 수류탄으로 등장한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공격팀의 공용 투척무기로 등장한다. * [[Phantom Forces]] - 유일한 투척무기로 등장한다. * [[Blackhawk Rescue Mission 5]] - 살상용 투척무기로 등장한다. * [[SCP rBreach]] - 게임 내 가장 좋은 투척무기이다. --스폰킬에 많이 쓰인다-- * [[Escape from Tarkov]] - 살상용 투척무기로 등장한다. Peacekeeper에게서 구매 가능하다. * [[아오오니 블러드 온라인]], [[아오오니 블러드 온라인 (모바일)|그 모바일 버전]] - 상점에서 확인 가능한 설명에는 미국 수류탄인데 홍콩에서 만들었다고 나온다. === 애니메이션 ===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 [[이노센스(애니메이션)|이노센스]] * [[전투요정 유키카제]] * 지오브리더스 * [[카우보이 비밥]] * [[CANAAN]] * [[명탐정 코난]] 극장판 [[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이차원의 저격수]] : 초반부 추격전때 [[케빈 요시노|진범]]이 '''자신을 추격하던 [[경찰차]]들을 이 수류탄 하나로 날려버린다(!!!)'''[* 절묘하게 연료탱크가 직격당해 유폭된듯 하다.] 사상자는 5명을 넘을듯 하다. 경찰차 뒤를 따라오던 [[에도가와 코난|코난]]과 [[세라 마스미|세라]]가 이걸 보고 재빨리 오토바이를 세워서 폭발에 휘말리는 것을 면했다. === 기타 === * [[SCP 재단]] : [[SCP-914]]에 [[갤럭시 노트 7]]을 넣고 1:1 세팅[* 이 장치에는 5개의 세팅이 있으며 그 중 중간인 1:1은 비슷한 성능의 같은 물건을 배출하거나, 체스 같은 건 규칙에 따라 말판을 옮기기만 하는 등등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아무튼 배출된 물건의 주요 특성은 크게 변하는 것이 없다.]으로 돌렸더니 [[갤럭시 노트 7 폭발 사고|수류탄으로 바꿔 배출해]] 유머 감각을 갖췄다는 실험 결과를 보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그레나다 침공/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캄보디아 내전/크메르 공화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말레이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수류탄]][[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캐나다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