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 애플리케이션)] [[파일:MBC 미니.png|align=right&width=300]] [목차] [clearfix] == 개요 == >"'''스마트 라디오 mini'''"[* mini에서 자체적으로 내보내는 로고송이다.] [[https://miniwebapp.imbc.com/index?channel=mfm|홈페이지]] MBC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MBC [[라디오]] 전용 프로그램. 미니 자체 광고에 따르면 1996년 2월 12일에 MBC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mini 프로그램 개시는 2006년, 인터넷 라디오 'www.mbc.co.kr'로 시작한 건 1996년 2월 12일.[[http://web.archive.org/web/19970406210549/http://www.mbc.co.kr:80/real.htm|웹 아카이브]] == 특징 == 타 방송사의 비슷한 프로그램으로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콩(KBS)|콩]], [[SBS]]의 [[고릴라(SBS)|고릴라]]가 있다. 하지만 인지도나 뭘 보나 미니가 압도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SBS 라디오(정확히는 파워FM)의 성장세에 힘입은 [[고릴라(SBS)|고릴라]]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듯.] 서비스 하고 있는 채널로 [[MBC 표준FM]]과 [[MBC FM4U]],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대한민국/지상파|DMB]] 라디오 채널인 [[올댓뮤직]]을 제공하며, 보이는 라디오 채널도 지원한다. 미니 플레이어를 만들어서 서비스하는 곳이 본사이기 때문에 본사 방송이 나온다. 이 프로그램으로 인해 라디오 청취율이 높아지고 방송 참여도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쌍방향 라디오의 효시가 되었다. 또한 [[보이는 라디오]]로 라디오 방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참고로 초창기 음질은 FM 라디오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32kbps로, [[중파방송|AM 방송]]보다 약간 나은 수준의 음질을 제공하고 있었다. [[한국방송공사|KBS]]의 [[콩(KBS)|콩]], [[SBS]]의 [[고릴라(SBS)|고릴라]]와는 다르게 청취자의 아이디 대신 실명으로 표기되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 때문에 방송 내용, 사연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청취자들끼리의 채팅 친목질이 한때 문제가 되기도 했는데, 심지어 '''청취자들간의 욕설 등을 비롯한 싸움'''으로 번지기까지 하였다. 이 때문에 여러 방송의 미니게시판에서 사적인 채팅을 금지시키는 공지가 뜨기도 하였으며, 일부 방송에서는 미니게시판에 보낸 청취자들의 사연 내용이 아예 보이지 않게 비공개로 해놓고 있다. 현재는 게시판 내 청취자들 간의 친목질이 많이 바로잡힌 상황.[* 그나마 청취자들 간의 간단한 인사와 안부 정도는 제재하지 않는 편이다.] 미니게시판은 그 방송에 관한 청취자들의 사연 및 신청곡을 올리라고 마련한 게시판이지, '''청취자들과 채팅하라고 마련한 게시판이 아니다.''' 또한 일부 코너에서 사연 등을 적을 때 글 길이의 관계없이 무료다. 2012년부터 고음질 버전의 베타 프로그램을 배포했고, 2012년 6월 30일 부로 기존의 미니는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4년 2월에는 모바일 앱이 새로 개선되었는데 인터페이스 면에서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나, 광고가 지나치게 많다는 게 단점이다. [[PC]]버전은 라디오 옆에 팝업광고가 뜨고 종료할 때도 광고창을 한번 보고 꺼야 한다. 안드로이드는 앱을 켤 때 유튜브마냥 5초 광고를 봐야 한다. [[iOS]]버전은 그나마 광고가 적지만 대신 최적화가 나쁘다. 광고가 짜증난다면 프로그램이 아니라 웹버전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플래시라 폰에서는 쓸 수 없지만 광고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후 [[HTML5]]로 재작성하면서 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앱이건 PC의 웹 브라우저에서 듣던 mini는 실제 주파수를 통해 듣는 방송보다 10초 정도의 딜레이가 생기는데, [[HTTP]](HLS) 프로토콜을 사용하다 보니 불가피한 면이 있다.[* 이는 HLS가 HTTP 특유의 호환성을 얻은 대신 지연성을 희생했기 때문. 다만 최근에는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http_live_streaming/enabling_low-latency_http_live_streaming_hls|실시간 방송용으로 지연을 줄인 HLS 플러그인이 공개되었기 때문에]] 적용을 기대해 볼 만하며 그럴 경우 딜레이는 기존보다 2~5초 내외 줄어들 수도 있다.] PC버전의 경우 공식 지원은 [[Windows 7]] 이상이지만, 실제로는 [[Windows XP]]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Microsoft .NET#Framework|.NET Framework]] 3.5 버전이 설치되어있어야 실행된다. 2020년 9월 14일, 칙칙했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UI가 더욱 세련된 디자인으로 개편되었다. [[MBC 무브먼트]]와 [[MBC 무브먼트#s-7|새로움체]]를 적용했다. == 자체 광고 == 평일, 토요일 06:57, 일요일 07:57 - 22:00까지 [[57분 교통정보]], Station Break 광고(FM4U 한정), 시보가 나갈 시간에는 이들을 보내지 않고, MBC 미니 로고송과 자체 광고가 나간다. 그래서 [[SBS]]의 [[고릴라(SBS)|고릴라]]와 마찬가지로 시보음을 들을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SBS [[고릴라(SBS)|고릴라]]의 경우 밤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시보가 나간다. 오전 7시부터(정확히는 6시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 밤 10시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까진 자체 광고가 나온다. 물론 고릴라는 가끔 시보음이 들릴 때도 있으며, 정기점파 점검 후 라디오 광고가 그대로 나가는 경우도 있다.] 다만, [[잠깐만(라디오)|잠깐만]]은 그대로 나간다. 물론 [[올댓뮤직]]은 제외. 광고야 자주 바뀌지만, 앱을 실행할 때마다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가 선전하는 고려기프트가 2018년 경 자주 나왔으나, --지겨워서인가-- 2018년 가을부터는 메리츠 보험으로 바뀐 듯 하다. 2020년부터는 [[조보아]]가 광고하는 패스트캠프가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도 고려기프트 광고가 나온다. 2019년 3월 경부터 [[POOQ]](현 [[wavve]])에서 나오는 표준FM과 FM4U 채널도 mini에서 나오는 내용을 동일하게 내보내는 중이었다. 그래서 pooq에서 해당 채널을 틀어도 mini 자체 광고가 나왔다. 그러다가 [[wavve]] 쪽에서는 8월 31일부터 mini 자체광고가 나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 서울MBC 본사에서 송출하는 방송을 그대로 스트리밍하는 중이다. 심지어 시보도 원송출본으로 스트리밍한다!] == 여담 == * 전국 어디에서나 서울 본사의 방송을 들을 수 있어서 수도권 외 지역 청취자들(특히 --전 지역에서 자체 방송을 하는--[* 2023년 현재 제주(평일), 대전, 충북, 울산, 경남, 광주(주말) 지역에서는 서울 지역 방송을 들을 수 있다.] [[정오의 희망곡]] 같은 경우)에게는 단비와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대신 지역 자체 방송을 듣기 위해서는 각 지역 MBC 홈페이지의 온에어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 보이는 라디오인 경우 매일 평일마다 생방송이기 때문에 표준FM과 FM4U에서 만약 동시간대 같은 요일날 진행되면 표준FM이나 FM4U에서 먼저 한 프로그램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다음 시간에 다른 프로그램이 이루어진다. 자세한 것은 [[http://www.imbc.com/broad/radio/special_vod/viewradio/index.html|MBC라디오 보라 편성표]]를 참고하면 된다. * MBC 라디오 [[정파(방송)|정파]] 시에는 mini에서도 아예 방송이 나오지 않는데[* 이 때문인지 [[정파(방송)|정파]]라는 개념을 모르는 일부 청취자들은 mini 게시판에 왜 방송이 안나오냐는 둥 방송 사고가 아니냐는 둥 의문을 제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점은 SBS 라디오에도 해당된다. 라디오 주파수는 정파해도 [[KBS+]] 등 인터넷으로는 방송을 이어가는 [[KBS 제1라디오]]와는 대조적. == 관련 문서 == * [[MBC 표준FM]] * [[MBC FM4U]] * [[올댓뮤직]] [[분류:문화방송]][[분류:MBC 라디오]][[분류:애플리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