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핑크 플로이드)] ||
<#000><-5> '''[[파일:pink-floyd-logo-white.png|height=25]][br]핑크 플로이드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aec6e2> [[Atom Heart Mother|{{{#577f26 {{{-2 1970년 10월 2일}}}[br]5집 '''Atom Heart Mother'''}}}]] || → ||<#662811> [[Meddle|{{{#6DD0E7 {{{-2 1971년 10월 31일}}}[br]6집 '''Meddle'''}}}]] || → || [[Obscured by Clouds|{{{#d4c397 {{{-2 1972년 6월 2일}}}[br]7집 '''{{{#bb5b21 Obscured by Clouds}}}'''}}}]] || ||<#662811>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6DD0E7 '''Meddle의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67)]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26)]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차트,순위=15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351)]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60, 연도=1998, 순위2=255, 연도2=2000)]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242, 연도=2022)] ---- }}} || ||<-2><#662811> '''{{{#6dd0e7 {{{+1 Medd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ddle.jpg|width=100%]]}}} || || '''발매일''' ||[[1971년]] [[10월 31일]]|| || '''녹음일''' ||[[1971년]] [[1월 4일]] - [[9월 11일]]|| ||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 '''러닝 타임''' ||46:45|| || '''곡 수''' ||6곡|| || '''스튜디오''' ||AIR 스튜디오 [br]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스튜디오]] [br] 모건 스튜디오|| || '''프로듀서''' ||[[핑크 플로이드]]|| || '''발매사''' ||[[하베스트 레코드|[[파일:harvest records logo.png|width=100&bgcolor=#fff]]]]|| || '''참여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로저 워터스]] - 베이스 기타, 보컬, 어쿠스틱 기타 * [[데이비드 길모어]] - 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스틸 기타, 베이스 기타 *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 [[하몬드 오르간]], 파피사 [[콤보 오르간]], [[피아노]], 보컬 * [[닉 메이슨]] - 드럼, 타악기, 목소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Side A''' || || '''트랙''' ||<-2> '''곡명''' || || '''1''' ||[[One of These Days]] || [[https://youtu.be/48PJGVf4xqk?si=a6VzN5snaGDatTK5|♫]] || || '''2''' ||[[A Pillow of Winds]] || [[https://youtu.be/uThZ1uuLLWM?si=BZJ5caTSS5PDtaX2|♫]] || || '''3''' ||[[Fearless(핑크 플로이드)|Fearless]] || [[https://youtu.be/t3J_2R9rAp8?si=RG9Ko4lhBnMDy7yd|♫]] || || '''4''' ||[[San Tropez]] || [[https://youtu.be/k3u5E8XKPjg?si=MSgRqKed0J95Hxed|♫]] || || '''5''' ||[[Seamus]] || [[https://youtu.be/k3u5E8XKPjg?si=6ViVhB6FGra4E0JG|♫]] || ||<-3> '''Side B''' || || '''트랙''' ||<-2> '''곡명''' || || '''1''' ||[[Echoes]] || [[https://youtu.be/53N99Nim6WE?si=tCLlZ6TAzbWfvX-V|♫]]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floyd71.jpg|width=100%]]}}}|| || '''Meddle 속지의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 사진'''[* 이 음반 이후부터 1987년 [[A Momentary Lapse of Reason]]을 발매하기 전까지 음반에 멤버들의 사진을 삽입하지 않았다.] || > "Meddle은 제 최고의 음반입니다. 그러니까, 저에게는, 핑크 플로이드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준 작품이죠." >---- >- [[데이비드 길모어]], 1988년 2월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와의 인터뷰 > "Meddle은 진정한 첫 번째 핑크 플로이드 앨범이었습니다. 템포나, 느낌과 스타일 같은 것도 우리 입맛에 딱 맞는 것이고,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시켜 줬지요. 사운드는 어설프긴 하지만, 컨셉은 맘에 듭니다." >---- >- [[닉 메이슨]], 1994년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그룹인 핑크 플로이드의 6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을 시작으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적 특징이 확립되었다. 그동안 핑크 플로이드가 시도해오던 이런저런 시도(''[[Atom Heart Mother]]''의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등등)들이 하나의 정형을 이뤄낸 음반이다. 녹음은 처음에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시작 되었다가, 당시 [[조지 마틴]]이 설립했던 에어 스튜디오에서 16트랙 레코더가 설치되었다는 정보를 듣고(당시 애비로드는 8트랙 레코더 시스템만 갖추고 있었다) 이곳으로 옮겨서 녹음했다. 이곳에서 멤버들은 당시로서 나름 최신기술이었던 이 16트랙 레코더로 Return Of The Son of Nothing라는 모음곡을 만들었고 이곡들은 훗날 [[Echoes]]로 탄생하게 된다. == 커버 == [[파일:2F2060BF-F971-43D4-906F-3EBBAD0FF4CB.jpg|align=center&width=9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ddleus.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f7c53513ce21d6df24ea4d2d565f26651863041d5794ebe7d3c34992386f8ca.jpg|width=100%]]}}}|| ||
{{{#6dd0e7 '''미국 초판 커버'''}}} || {{{#6dd0e7 '''2011년 리마스터 커버'''}}} || [[힙노시스]]가 커버를 맡았다. 커버 디자인이 추상적이고 독특한데 여러가지 추측이 나왔었지만 결론은 물에 잠긴 귀를 찍은 것이라고 한다.[* Meddle은 간섭하다, '''말참견을 하다''' 라는 뜻이있다.] 원래 계획은 개코 원숭이의 항문 사진을 앨범 표지로 쓰려 하였으나 일본에서 투어중이던 밴드가 힙노시스의 스톰 쏘거슨에게 국제전화를 걸어 물에 잠긴 귀가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고, 최종적으로 밴드 뜻대로 되었다. 쏘거슨은 그래서 이 앨범 커버를 싫어한다고 한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Meddle)] === Side A === ==== [[One of These Days]] ==== ||<#662811>[anchor(Shadow)]'''{{{#6dd0e7 '''One of These Days'''}}}'''[br]{{{#6dd0e7 ^^05m 57s^^ }}} ---- ''One of these days, I’m going to cut you into little pieces'' ''언젠가는, 너를 조각조각 잘라버릴 거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8PJGVf4xqk,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 ==== [[A Pillow of Winds]] ==== ||<#662811>[anchor(Shadow)]'''{{{#6dd0e7 '''A Pillow of Winds'''}}}'''[br]{{{#6dd0e7 ^^05m 13s^^ }}} ---- ''A cloud of eiderdown'' ''구름 같은 솜털 이불이'' ''Draws around me'' ''나를 감싸고 있어'' ''Softening the sound'' ''소리를 죽이면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ThZ1uuLLWM,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로저 워터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 [[Fearless(핑크 플로이드)|Fearless]] ==== ||<#662811>[anchor(Shadow)]'''{{{#6dd0e7 '''Fearless'''}}}'''[br]{{{#6dd0e7 ^^06m 08s^^ }}} ---- ''And I will climb that hill in my own way'' ''그리고 나는 그 언덕을 내 방식으로 오를 거야'' ''Just wait a while for the right day'' ''알맞은 날이 올 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3J_2R9rAp8,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로저 워터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 [[San Tropez]] ==== ||<#662811>[anchor(Shadow)]'''{{{#6dd0e7 '''San Tropez'''}}}'''[br]{{{#6dd0e7 ^^03m 44s^^ }}} ---- ''Speeding away on the wind to a new day'' ''바람을 타고 새로운 하루로 전진하면서'' ''If you’re alone, I’ll come ho-ho-home'' ''만약 당신이 혼자라면, 집에 가겠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v5uuhkS4j8,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 [[Seamus]] ==== ||<#662811>[anchor(Shadow)]'''{{{#6dd0e7 '''Seamus'''}}}'''[br]{{{#6dd0e7 ^^02m 15s^^ }}} ---- ''I was in the kitchen'' ''나는 부엌에 있었어'' ''Seamus, that’s the dog, was outside'' ''개 셰이머스는 밖에 있었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3u5E8XKPjg,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로저 워터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 === Side B === ==== [[Echoes]] ==== ||<#662811>[anchor(Shadow)]'''{{{#6dd0e7 '''Echoes'''}}}'''[br]{{{#6dd0e7 ^^23m 31s^^ }}} ---- ''Strangers passing in the street'' ''거리에서 스쳐가는 낯선 사람들'' ''By chance two separate glances meet'' ''우연히 두 시선이 교차하네'' ''And I am you and what I see is me'' ''그리고 나는 그대이며 내가 보는 것은 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3N99Nim6WE,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로저 워터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 == 참여진 == * [[로저 워터스]] - 베이스 기타, 보컬(4), 어쿠스틱 기타(4) * [[데이비드 길모어]] - 보컬(1,4 제외),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3-5), 스틸 기타, 베이스 기타(1) *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 [[하몬드 오르간]], 파피사 [[콤보 오르간]], [[피아노]], 보컬(6) * [[닉 메이슨]] - 드럼, 타악기, 목소리(1) == 여담 == * [[제네시스(밴드)|제네시스]]의 [[Foxtrot]] 앨범과 공통점이 꽤 많다. - 우선 두 앨범은 A면에 짧은 곡 4~5곡이 수록되어 있고, 마지막 트랙으로 B면 전체,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는 하나의 23분짜리 대곡[* Foxtrot의 경우 Supper's Ready, Meddle의 경우 [[Echoes]].]이 수록되어 있다. - 둘은 1년의 텀을 두고 발매되었다. Meddle: 1971. 10. 31 / Foxtrot: 1972. 8. 6 - 앨범 자체는 수작이지만 얼마 뒤에 그 이상의 걸작 [[명반]]이 발매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는다는 점이 있는데, 제네시스의 경우 [[Selling England by the Pound]]이며 핑크 플로이드는 [[The Dark Side of the Moon]]. 다만 제네시스의 경우, 평가가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 더불어 이후 행보를 살펴보면 1974년의 The Lamb Lies Down on Broadway 앨범을 [[피터 가브리엘]]이 거의 혼자서 제작하다가 멤버들과의 불화로 1975년 탈퇴했고, 1979년 The Wall 앨범 또한 [[로저 워터스]]가 거의 혼자서 제작하다 멤버들과의 불화로 1983년 탈퇴했다는 공통점도 있다. 다만 가브리엘은 워터스 급의 [[독재]]를 하진 않았다. * --앨범 아트의 정체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공룡으로 보이는 모양이다[[https://www.deviantart.com/duskyvel/art/Meddle-815812680|#]]-- [[분류:Med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