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icrosoft)] [목차] == 개요 == [[http://www.microsoft.com/silverlight/|웹사이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했던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주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와 유사한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 음성 등을 위한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이다. == 특징 == 최초 개발 목표는 어도비 플래시의 대항마. 이름부터가 플래시를 의식한 작명이다.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Everywhere이라는 코드명으로 개발되었으며, [[Internet Explorer]] 뿐만 아니라 [[Firefox|파이어폭스]], [[Chrome|크롬]], [[macOS]]도 지원했다. [[Linux]]는 [[http://www.mono-project.com/Moonlight|Moonlight]]라는 서드파티를 통해 실버라이트 기능을 구현한다. 다만 호환성에 문제가 있다. 스마트폰 도입 초기엔 [[Windows Mobile]]과 [[심비안]]도 지원 예정이었다. 국내 사이트 중에서는 [[다나와]]가 제품 프리뷰용으로 애용했다. [[CGV]]도 인터넷 예매 시스템을 이걸로 구현했다. [[리딩게이트]]에서도 e-book 리더에 이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OTT]] 서비스에도 널리 쓰였는데, [[SBS]]의 동영상 서비스에도 쓰였다. [[네이버]] 프로야구 중계에서도 썼지만 교체했다. 그리고 당시 국내 신생 방송사였던 [[OBS경인TV]]도 이것을 사용했다. 해외 OTT 중에서는 [[넷플릭스]]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한정으로 실버라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제품답게 굉장히 개발자 친화적(?)이다. 기존의 웹 개발은 디자인 폼과 스크립트가 한 소스 코드 안에 공존하는, 그야말로 [[어둠에다크에서 죽음의데스를 느끼며|혼돈의 카오스]]여서 그야말로 개발자들 엿먹이기 일쑤였으나 실버라이트는 이 둘을 엄격히 분리[* 디자인은 XAML이라 하는 XML의 확장판격인 언어로, 스크립트는 [[C\#]]으로 따로 작성이 가능하며 C#을 쓰는 만큼 닷넷 프레임워크의 요소를 그대로 가져다 쓸수 있다.]하여 개발이 정말 편하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하지 않다.-- [[Windows 7]] 당시 과거 자동 업데이트를 선호하는 유저라면 이 프로그램과 좋든 싫든 동고동락했었다. '필수 업데이트'로 분류되어 있었기에 높은 확률로 알게모르게 다른 업데이트들 사이에 꼽사리 끼어서 설치되곤 했던 것(…). 하지만 일반인들 사이에서의 인지도는 낮았다. 그마저도 2018년부터는 업데이트조차 되지 않는다(…). == 지원 종료 ==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21년 10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지원을 종료하였다. [[Microsoft Edge]]와 [[Chrome]], 그리고 [[Firefox]] 등의 최신 웹 브라우저에서 [[NPAPI]]의 지원을 종료하고 [[어도비 플래시]]마저 지원이 종료되면서 사실상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도태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 속에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도 있겠다. 기존에 실버라이트로 작성된 웹 페이지들도 완전히 [[HTML5]] 등 다른 플랫폼으로 이전한 상태이고 Silverlight를 이용해 새로 개발되는 프로그램도 없기 때문에 이미 '''플랫폼으로서의 생명력은 끝난 상황'''이다. == 후속작 == 2020년 5월 24일 후속 프레임 워크인 [[Blazor]]를 발표하였다. [[C\#]] 기반이고 [[어도비 플래시]]의 지원 중단에 따라 대체용으로 개발되었다고 한다.[[https://www.zdnet.co.kr/view/?no=20200525161941|#]] [[분류:Microsoft]][[분류:브라우저 확장]][[분류:202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