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인크래프트/관련 문서)] ||<-2> '''{{{#ffffff,#dddddd {{{+1 Minecraft}}}}}}''' '''{{{#3f0014 {{{+1 Dungeons}}}}}}'''[br]{{{#ffffff,#dddddd '''마인크래프트'''}}} {{{#3f0014 '''던전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ecraft-dungeons-switch-hero.jpg|width=100%]]}}} || || '''{{{#fff 개발}}}''' ||[[Mojang Studios|[[파일:Mojang Studios 로고.svg|width=100]]]] | Double Eleven || || '''{{{#fff 유통}}}''' ||[[Xbox Game Studios|[[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 '''{{{#fff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플레이스테이션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 [[Xbox Game Pass]] 포함.][br][[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 [[Xbox Game Pass]] 구독 필요. xCloud 스트리밍으로 플레이 가능. ]}}} || || '''{{{#fff ES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bgcolor=#ffffff]]]]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fff 장르}}}''' ||[[액션 게임|액션]] [[어드벤처 게임|어드벤처]] || || '''{{{#fff 출시}}}''' ||전체 플랫폼: [[2020년]] [[5월 26일]][br][[Steam]]: [[2021년]] [[9월 23일]] || || '''{{{#fff 가격}}}''' ||일반: ₩24,900원[br]히어로 에디션: ₩37,900원[* 기프트 카드로는 ₩29,900원 이다. --마인크래프트보다 싸다!--][br]얼티밋 에디션: ₩50,400원|| || '''{{{#fff 엔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언리얼 엔진 4|[[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svg|height=25]]]][* [[https://www.unrealengine.com/ko/events/e32019/minecraft-dungeons-by-mojang-microsoft---e3-2019-developer-interview|참고]]. 그동안 자체적으로 사용한 마인크래프트 엔진 기반이 아닌 언리얼 엔진 4로 제작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 '''{{{#fff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fff 전체이용가}}}''']][*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08a416c9c8a25ee5083fcb0e5bf2dfa5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PC]],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ddc6024d3a23061a67d5609a427e39c9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Xbox One]]] || || '''{{{#fff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000,#dddddd ESRB E10+}}}]]'''[br]'''[[범유럽 게임 정보|{{{#000,#dddddd PEGI 7}}}]]''' || || '''{{{#fff 플레이 인원}}}''' ||1~4명 || || '''{{{#fff 유저 수}}}''' ||2,500만 명 ,,23년 9월,, || || '''{{{#fff 관련 사이트}}}''' ||[[https://minecraft.net/ko-kr/about-dungeon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672970/Minecraft_Dungeons/|[[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CbE47v1qVk)]}}} || || '''{{{#191d26 공식 런치 트레일러}}}''' || [[Minecraft Live|마인콘 어스]] [[2018년|2018]]에서 발표한 [[마인크래프트]]를 배경으로 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마인크래프트]]와는 다른 게임이며, 던전 탐사류(dungeon crawler) 게임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2020년]] [[4월 1일]], 5월 26일에 출시한다는 공지와 함께 예약 구매가 시작되었다. 가격은 [[엑스박스 원]]과 [[Windows 10]] 모두 스탠다드 에디션 24,900 원, 영웅 에디션 37,900 원이다. [[엑스박스 게임패스]]를 지원하며 구독시 무료 플레이가 가능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U_bFIxXZkU)]}}} || || '''{{{#191d26 크로스 플랫폼 트레일러}}}''' || 출시 이후, 기술적으로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지 않아 멀티플레이를 즐기려면 동참하는 인원들끼리 PC 또는 엑스박스 중 하나로 플레이어블 기기를 통일해야 했으나 2020년 11월 18일에 공식 트레일러와 함께 플랫폼 간 크로스플레이가 가능해졌다. 참고로 내레이터의 성우는 Jo Rideout이 맡았다. == 시스템 요구 사양 == ||<-3>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2>Windows 10, 8, 7 (최신 업데이트가 설치된 64비트, 일부 기능은 Windows 7 및 8에서 지원되지 않음) || || '''프로세서''' ||Intel® Core™ i5 2.8GHz 또는 동급 ||''(자료 없음)''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660 [br]AMD Radeon HD 7870 [br]동급 DX11 GPU ||''(자료 없음)'' || || '''램''' ||8GB RAM, 2GB VRAM ||''(자료 없음)''|| || '''용량''' ||<-2>6GB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여유 공간 || || '''DirectX®''' ||<-2>DirectX 11 || || '''해상도''' ||<-2>최소 800 x 600 디스플레이 해상도||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 [[흑화|악에 타락하고,]] 복수심에 휩싸인 우민왕은 모두 그에게 머리를 조아리게 만들었다. > 그리고 그에게 반발하는 자들은... '''모두 쓰러지리라.''' >----- >오프닝 시네마틱 키가 작고 이상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차별받아, 우민들에게 버림받고, 비록 추방당했지만 우민은 우민이라는 이유로 주민들에게마저 외면받은 작은 꼬마 우민이 우연히 '''지배의 오브'''라는 정체불명의 물건을 얻게 되고,[* 지배의 오브에겐 '''자아'''가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우민왕이 오브를 발견했을 땐 우민을 홀려서 오브를 가지도록 만드는 연출이 있고, 이후 우민왕이 패배하고 지배의 오브가 산산조각났음에도 자발적으로 그 힘을 복구하여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결정적으로 정글 DLC의 보스인 정글 어보미네이션의 경우 조각난 오브의 조각 중 하나가 정글의 나무나 돌과 같은 자원들로 '''스스로 몸체를 만든''' 결과물이고 겨울 DLC의 사악한 망령은 그 힘에 홀린 마령이 그곳에 정착한 것이다.] 오브를 얻게 된 우민은 한때 자신을 차별하고 버렸던 우민들을 자신의 아래로 두어 우민 제국을 세우고 우민 왕이 되었다.[* 사실 우민 제국은 제국이니 왕이 아니라 황제가 되어야 하지만. 다만 이건 번역의 문제로 우민왕의 영문명은 '''arch illager'''로, 이때 arch는 대충 우두머리, 제일, 으뜸이란 뜻이다.] 우민 제국은 그 세력을 퍼트리며 우민왕에게 항복하지 않은 주민들과 마을을 무참히 짓밟았다. 작중 시점은 이 이후 주인공인 '영웅'들이 우민왕과 맞선다는 내용으로, 우민 제국과의 전투를 담고 있다. 먼저 우민들에게 사로잡힌 주민들을 풀어주고, 우민들의 포션 공급을 막기 위해 마녀들의 늪지에서 전투를 벌여 포션 보급선을 끊어버린다. 우민왕은 고대의 사막 유적의 이름 없는 왕국[* 작중 시점보다 이미 오래 전에 있었던 고대의 왕국으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우민 제국과는 별개의 세력. 왕국의 왕인 이름 없는 자의 힘으로 왕국의 백성들은 언데드 상태로 아직까지 살고 있었다. 다만 이름 없는 자 본인도 왕국 최심부에 잠들어 있었고, 왕국의 백성들도 비록 살아있다곤 하나 상태가 정상이 아닌지라 세력 자체는 그 규모가 우민 제국보다 약한듯 하다. 나레이터도 이를 알고 있는지 우민왕이 마법봉을 '''손에 넣기 전에 먼저''' 가로채야 한다며 이름 없는 왕국이 우민 제국에게 상대가 안 될 것이란 걸 간접적으로 언급한다.]에서 강령술을 다루는 이름 없는 자의 마법봉을 확보하려 하나 이 시도도 주인공에게 저지된다. 이후 우민 제국의 광산 겸 무기와 골렘을 만드는 군수공장인 불의 용광로도 부숴버리고, 이 과정에서 우민이 운용하는 전쟁병기인 레드스톤 골렘들과 레드스톤 괴물들을 파괴한다. 주인공은 우민 왕이 사는 제국의 성인 하이블록 캐슬로 쳐들어가 우민왕과의 결전을 치르고 결국 승리하며, 전투 중 오브에게 과부하가 걸린 것인지 오브도 산산조각 나버린다. 힘의 원천이었던 오브도 부서지고 이긴 주인공들을 보고 다시 예전처럼 돌아와 겁을 먹은 우민왕에게 화해의 손을 내미는 주인공이라는 마인크래프트 다운 평화로운 스토리로 끝을 맺지만, 지배의 오브의 파편들이 다시 뭉쳐지는 컷신을 통해 후속 스토리를 암시하면서 이야기는 끝이 난다.[* 다만 이후 묘사를 보아 뭉쳐진 파편은 '''극히 일부'''로 보이며, 나머지 파편은 DLC에 묘사된 것처럼 흩어지게 되었다.] === 그 후 스토리[* DLC 이야기.] === 지배의 오브가 파편 조각(샤드)으로 갈라지며 어느 다양한 섬에 도착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섬이 오염되어 결국 다양한 섬에서 몬스터가 생겨나게 되는데 --어째 떨어진 조각 하나하나마다 세계멸망이 임박해있다(...)-- 오브의 조각이 떨어진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정글 섬 (Jungle awakens):샤드가 첫번째로 떨어진 곳이며 오브의 파편으로 인해 정글 어보미네이션이라는 괴물이 생겨나며 지오맨서와 비슷한 공격패턴이 있는 덩굴 종류 몬스터 위스퍼러, 고릴라와 비슷한 모습의 나뭇잎 괴물인 리프리프등 의 몬스터가 생겨났으며 이 몬스터들이 세상을 오염시키기 전에 이들을 막는 내용이다. * 얼음 섬 (Creeping Winters): 샤드가 두번째로 떨어진곳이며 샤드를 우연히 주워 타락한 사악한 망령에 의해 몬스터가 냉기에 휩싸여 강해져서 눈덩이를 던지는 서리 좀비, 맞으면 동결이 되는 스트레이, 맞으면 동결이 되는 눈 크리퍼 등등이 출현, 설상가상으로 특정 지역에 불을 소환하는 망령과 우민 마법사인 얼음술사, 환영을 써서 플레이어를 교란시키면서 본체가 폭죽을 쏘면서 공격하는 환술사 등이 사악한 망령 편으로 붙어버렸다. 온 세상이 눈과 얼음으로 둘러싸이기 전에 망령을 막는게 목표다. * 바람, 봉우리 섬 (Howling Peaks): 세번째로 샤드가 떨어진 곳이며 자신에 하반신 쪽에 샤드가 박힌 폭풍우 골렘이 이곳을 몬스터 천지로 만들었으며 이번에도 또 지역의 우민들인 산악민들과 강력한 데미지를 주는 파괴수, 바람을 사용해 플레이어를 밀어내는 바람을 부르는 자 등등이 가세해 주인공들은 이들이 거대한 폭풍을 일으켜 모든 걸 날려버리려는 계획을 막으러 간다. * 깊은 바다 (Hidden Depths): 네번째로 샤드가 떨어진 곳이며 몸속에 샤드가 들어있는 고대 가디언이 자신들의 여러 수하들과 함께 온 세상을 바다로 뒤덮으려는 계획을 막는 내용이다. * 엔드 (Echoing Void): 지배의 오브 스토리를 끝내는 최종장으로, 엔더맨들이 남은 오브의 조각들을 엔더로 회수하여 오브가 파괴되며 소멸했었던 엔더의 심장을 다시 깨워내고, 엔더포탈의 눈들도 떼어내어 세상 곳곳에 흩어놔 포탈을 비활성화 시킨 뒤 엔더의 추종자들로 하여금 눈들을 지키게 하였다. 주인공은 눈을 전부 모아 포탈을 다시 활성화시킨 뒤 엔더링들과 우민들[* 어째선지 등장한다. 컷신에서 엔더에서 소환(?)되는 걸로 보아 정황상 엔더의 심장이 데려온 듯.]을 헤치고 지나가 최초로 완전한 육신을 얻은 엔더의 심장과[* 본편 최종전에서의 엔더의 심장은 전투에서 져가던 우민왕을 껍데기 삼아 임시로 발현한 것에 가까우며, 보스전 이전 시점까지만 해도 조각에서 현현한 상태라 매우 불안정한 모습이다.]마지막으로 결전을 치루게 된다. * 엔드 그 후..: 진 최종 보스인 '''복수심에 불타는 엔더의 심장''' 를 잡게 되면, 결국 엔더의 심장의 지배의 오브가 재가 되며 사방으로 퍼지게 된다.[* 물론 그렇다고 뭐 보스가 부활하거나 지배의 오브가 다시 뭉쳐지진 않는다.] 이렇게 스토리가 끝이 나며, 주민들이 파티를 하는 장면을 보여주는데, 화면이 뒤로 빠지면서, 레드스톤 골렘이나 거미들이 보이는 장면이 연출된다. 더이상의 dlc는 없을것이라고 하니 dlc는 기대하지 말자. == [[Minecraft Dungeons/아이템|아이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necraft Dungeons/아이템)] == [[Minecraft Dungeons/지역|지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necraft Dungeons/지역)] == 등장 오브젝트 == === 상인 === ||<-6>
'''{{{#ffffff 마인크래프트 던전스의 상인}}}''' || || {{{#ffffff 종류}}} || {{{#ffffff 업그레이드}}} || {{{#ffffff 무기, 유물, 방어구 상인}}} || {{{#ffffff 아이템 선물}}} || {{{#ffffff 효과부여}}} || {{{#ffffff 고대의 사냥}}} || || {{{#ffffff 상인}}} || {{{#ffffff 대장장이}}} || {{{#ffffff 마을주민[br]럭셔리 상인[br]미스터리 상인}}} || {{{#ffffff 선물포장꾼}}} || {{{#ffffff 효과부여자}}} || {{{#ffffff 피글린 상인}}} || 업데이트 이후 종류가 더욱 많아졌으며 슬롯이있는데 슬롯은 특정미션을 하면 올릴수 있다. 슬롯을 올리면 상점의 모양도 바뀐다. ==== 슬롯 해제법 ==== * 마을상인-임무에서 주민 구하기 * 대장장이-난이도 해제 * 럭셔리 상인-중간보스 격파 * 미스터리 상인-효과부여된 몹 격파 * 피글린 상인-고대의 사냥 성공적으로 완수 === 상자, 항아리 === * 일반 상자[* 보통 에메랄드밖에 주지 않기 때문에 --개쓰레기, 똥--쓰레기 상자라고도 불린다] 에메랄드가 들어 있고, 가끔씩 아이템도 드랍된다. * 황금 상자 에메랄드가 많이 나오며, 아이템이 최소 1개는 확정 드랍된다. * 옵시디언 상자[* 전설상자라고도 불린다] 가장 좋은 상자이다. 에메랄드와 각종 아이템을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다. 유일 등급의 아이템을 얻을 확률이 높다. * 소모품 상자 빵과 화살이 들어있다. * 에메랄드 항아리 [* 파란색 항아리와 갈색 항아리, 회색 항아리로 구분할수 있다.] [* 오역인지 공식 가이드북에는 에메랄드 화분이라 써져있다.] 파괴시 에메랄드를 드랍한다. * 로비 상자 캠프 어딘가에 있으며 에메랄드 50을 준다. === 함정 === * 쇠벽 철창 벽, 주로 습격에서 살아남을때나 보스를 상대할때 나오며, dlc에서는 대나무 등으로 바뀌어 나오기도 한다. * 슬라이서 사막 사원에 있는 발판을 밟으면 작동되는 함정. * 파괴기 슬라이서와 같이 발판을 밟으면 작동되는 함정. * 발판 돌 발판, 사막 사원 발판, 정글 발판이 있다. * 손잡이 교회에 있으며 당기면 문이 열린다. * 신호기 [[마인크래프트|원작]]의 신호기와 거의 똑같지만 모양과 작동방식과 용도가 조금 다르다. 사막 사원 에서 낮은 사원을 찾을때와 선인장 협곡에서 다리를 올릴때 사용한다. * 용광로 코어 불의 용광로에 있으며 작동시키면 동서남북방향으로 불길이 나간다. 조심해야 할 오브젝트. 레드스톤 괴물과 싸울때도 나온다. * 룬 카우방을 해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브젝트. *조개 바다 dlc에서 등장하며 위에 일정시간 동안 올라가 있으면 조개가 열리며 플레이어가 높게 뛰어오른다.협곡이나 낭떠러지를 지날때 주로 사용한다. == [[/몬스터|몬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necraft Dungeons/몬스터)] === 계절 한정 모험(seasonal advanture) === 2021 마인크래프트 라이브에서 해당 내용이 공개되었다. == 이벤트 == 한정된 기간동안 한정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Spooky Fall * CHILLS AND THRILLS * Anniversary == 조작법 == === PC 기준 === PC는 기본적으로 마우스, 키보드 를 사용하여 조작한다. 물론 조이패드를 연결해서 콘솔과 비슷하게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 이동하려는 위치에 좌클릭하면 움직인다. 드래그도 가능하다. * 적에게 좌클릭시 근접공격을 할 수 있으며, 우클릭시 화살이 발사된다[* 무기가 없다면 활은 발사할수 없지만 검은 없어도 주먹으로 때릴수 있다.]. 활의 경우 길게 우클릭시 차지 샷(피해량 증가)이 가능하며 석궁은 불가능하다. 대신 석궁은 연사가 가능하다. * i 키는 인벤토리이며, 인벤토리에서는 현재 소지중인 아이템을 확인 및 장착할 수 있다. * 1~3 키로 유물을 사용할 수 있다. * 화살에는 제한이 있어 화살이 전부 떨어지면 원거리무기를 사용할 수 없다. 화살은 소모품 상자를 열거나 적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다. * 크게 3가지의 단계로 기본, 모험, 아포칼립스가 있다. 기본적으로 기본 난이도에서 시작되며 이전 난이도의 흑요석 첨탑을 클리어 시 해당 난이도의 다음 난이도가 해금된다. * 구르기 스킬이 있다. 스페이스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는 마우스 버튼4로도 발동이 가능하였으나 추후 변경되었다.] 사용시 5블럭정도를 이동한다. 또한 이걸 이용해 공중이나 물을 건너 이동하거나 떨어질 수 있다. 사용 후 쿨타임 동안 이동속도가 약간 느려진다. * 멀티플레이 시 F1키로 원하는 팀원에게 순간이동 할 수 있다. * 멀티플레이 시 F2~5키로 각 키에 해당하는 팀원에게 순간이동 할 수 있다. * 멀티플레이 시 T키를 누르면 보낼 수 있는 메시지가 나온다. 각 메시지는 단축키가 있다. 그러나 메시지 단축키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만약 본인이 조작키를 변경하였는데 메시지 단축키와 중복된다면 멀티플레이 시 계속해서 다른 팀원들에게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주의해야한다. * 좌shift를 누르고 좌클릭시 땅을 클릭하면 이동하지 않고 바라보는 방향으로 공격한다. * M키를 누르면 완전한 맵을 볼 수 있다. 간 곳은 색으로 표시된다. 그 외에도 발견한 비밀[* 비밀 스테이지 해금가능 여부를 이걸로 확인한다.]과 연 상자 수와 남은 상자 수를 알 수 있으나 남은 상자 수는 맵 전체에 있는 모든 상자의 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맵에도 나와있지 않은 상자를 찾을 경우 남은 상자 수가 증가한다. * tab 키를 누르면 하얀색 줄 지도를 볼 수 있다. 이걸 길 찾는데 많이 쓴다.[* 지도를 보며 움직일 수 있다.]하지만 발견 비밀, 연 상자를 표시하지 않는다. === XBOX 기준 === * 이동 - LS * 근접 공격 - A * 원거리 공격 - RT * 유물 사용 - B, X, Y * 구르기 - RB * 지도 보기 - 십자키 아래, 계속 누를 시 전용 지도 화면 * 인벤토리 - 십자키 위 === PS4/5 기준 === * 이동 - LS * 근접 공격 - X * 원거리 공격 - R2 * 유물 사용 - O, ▢, △ * 구르기 - R1 * 지도 보기 - 십자키 아래, 계속 누를 시 전용 지도 화면 * 인벤토리 - 십자키 위 === 닌텐도 스위치 기준 === [[파일:2021081001063100-7031CCD4553F03F65910A5C7CAEC6066.jpg]]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dddddd 플랫폼}}}''' || '''{{{#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minecraft-dungeons,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minecraft-dungeons/user-reviews, y=, score=6.5)]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minecraft-dungeons, y=, score=7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minecraft-dungeons/user-reviews, g=, score=7.8)]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minecraft-dungeons, y=, score=7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minecraft-dungeons/user-reviews, y=, score=7.2)]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4|{{{#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minecraft-dungeons, g=, score=7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minecraft-dungeons/user-reviews, y=, score=6.3)]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9258, title=minecraft-dungeons, rating=fair, average=74, recommend=49)] 전에 나온 외전작인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마냥 흑역사급 망작은 아니지만 [[마인크래프트 어스]]와 함께 평가는 대체로 그냥저냥한 평작에 머물러 있다. 디자인적 특징은 마인크래프트에서 따왔지만 기존 [[마인크래프트]]처럼 아이템 조합이나 스킨 변경[* 정해진 캐릭터 스킨 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나머지는 DLC 등을 구입해서 잠금해제 해야 한다. 로컬게임이라 커스텀 스킨을 원래 스킨대신 넣어서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자신에게만 해당스킨으로 보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오리지널 스킨으로 보인다.]이 되는 것도 아니고, 컨텐츠도 매우 적다. 또한 기존 마인크래프트에서는 볼 수 없는 몹들을 볼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그냥 우민 변종들만 주구장창 나올뿐 특색있거나 흥미로울만한 몬스터들이 딱히 없다. 그냥 [[디아블로 3]]에 마크 스킨만 입힌 게임이라는 반응이 많다. 즉, 마인크래프트 소재를 사용했지만 특별할 거 없는 양산형 핵 & 슬래시 게임이라는 이야기. 다만, 디아블로 3 등의 전통적인 핵 & 슬래시 게임들보다 게임의 깊이가 얕고 진입장벽이 많이 낮은 편이라, 저연령층 게이머나 캐쥬얼 게이머의 취향을 타게팅한게 특징이므로 비슷한 장르의 게임들을 해본 유저라면 실망하기 쉽지만, 관련 장르의 게임을 해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재밌게 플레이 할 수 있다. 한마디로 핵앤 슬레시 입문용 게임이자 라이트 유저용 캐쥬얼 게임. 초창기 핵 & 슬래시 게임[* 에당초 개발사에선 액션/어드벤쳐라는 장르로 소개하긴 하였으나 핵 & 슬래시 게임과 게임성이 너무나도 유사하다.]으로서의 게임성은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다. 핵 & 슬래시만의 전투의 속도감이 잘 느껴지지않고 광역으로 몹들을 한번에 쓸어버리는 쾌감을 느낄수 있는 상황이 상당히 적다는 평가가 많았었다. 하지만 확장팩추가로 인해 늘어난 아이템 레벨(이하 힘)이 늘어난데다가 난이도별 권장 전투력은 그대로라 템 레벨을 올린 후반에서는 초반에 비해 꽤 나아진 느낌을 준다. 키보드/마우스로 플레이할 경우 손과 손목이 굉장히 아프다는 평이 있다. 마우스 버튼으로 이동, 공격, 이벤트 등을 전부 담당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예상된다. [[엑스박스 컨트롤러]] 등 별도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해결되지만 이 게임만을 위해 사기엔 컨트롤러의 가격이 본편의 가격보다 비싸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격이다. 유니코드 폰트를 사용하는 자바 에디션과는 달리 매끄러운 폰트를 사용하기에 보기에는 좋으나 ~~베드락 에디션에서 그랬듯이~~ 쓸데없는 오역이 꽤 있는 편이다. 단적인 예는 활의 효과 부여 Rapid Fire(속사)를 빠른 불(...)로 번역한 것. 번역이 실제 내용과 전혀 일치하지 않으며 기존 마인크래프트의 명칭과 맞지 않는 부분도 많다.[* 원거리 무기 효과 부여 중 제압의 경우 실제로는 제압이 아닌 도탄(Ricochet)이다.] 서술식과 개조식 번역이 섞인 부분도 많으며 음역을 하는 기준이 들쭉날쭉한 편. 가마솥이라 의역해도 적절할 텐데, '브류'라는 외국어를 차용하고 근접무기의 인챈트인 Radiance는 광휘라고 번역한 반면 동일한 효과인 원거리 인챈트인 Radiance shot은 또 영어 그대로 라디언스 샷이라고 번역하는 등 여러모로 미비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최근 로컬게임의 허점을 이용한, 세이브파일을 조작하는 에디터가 배포되기도 했다. 원하는 장비를 원하는 힘과 효과로 뽑을 수 있으며 시점을 바꿀수도 있고 나오지도 않은 dlc의 장비와 맵을 이용할 수 있다. 여타 다른게임도 그렇듯이 dlc를 사지 않은 사람도 dlc 파일을 가지고 있으나, 로컬게임이라 구매를 하지 않은 사람도 파일을 조금 건드려 플레이할 수 있다는 허점이 있는 것이다. 덕분에 평가는 지속적으로 내려가는중이다. [[Microsoft Store]]에서는 평점 1점의 리뷰가 굉장히 많은 편인데, 이는 계정의 성인인증이 완료되어야만 플레이가 가능한 게임 특성 때문이다. 실제로 1점을 준 리뷰어들은 초등학생을 비롯한 미성년자가 대부분이다. 성인 기준으로 설치하고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도 없었다. 다만 미성년자도 게임을 구매할 수는 있고 플레이는 막아놓은, 충분히 논란이 될 법한 상황이기 때문에 개발사 측의 사전안내가 필요해 보인다.[* 사실 이것은 대한민국에선 Xbox Live가 미성년자가 이용할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전에 윈도우 10 에디션이나 배드락 에디션의 로그인을 할때 미성년자는 Xbox Live를 이용할 수 없어서 우회 방법이 돌기도 했다.] 여담으로 마인크래프트의 창시자로 알려진 [[마르쿠스 페르손|노치]]도 이 게임을 처음에 흥미롭게 플레이했지만, 금방 접고 혹평했다.[[https://youtu.be/p_tCAcfF_ks|#]] == DLC == === 깨어난 정글 (Jungle Awakens) === [[파일:MCD_Jungle Awakens.jpg|width=100%]] >2020년 7월 1일 출시 >가격 : 7500₩ 정글을 테마로 출시된 확장팩이자, 이 게임의 첫 확장팩이기도 하다. 정글테마의 아이템들과 스테이지 2개, 히든스테이지 1개가 추가된다. 평가는 좋지 않다. === 오싹한 겨울 (Creeping Winter) === [[파일:MCD_Creeping Winter.jpg|width=100%]] >2020년 9월 8일 출시 >가격 : 7500₩ 극지방을 테마로 한 확장팩. 극지방 테마의 아이템들과 스테이지 2개, 히든스테이지 1개가 추가된다. 평가는 전 DLC와 다르게 후한 편이나 눈이 내리는 입자 효과 때문에 렉이 다소 걸리는것은 감점 요소. === 울부짖는 봉우리 (Howling Peaks) === [[파일:MCD_Howling Peaks.jpg|width=100%]] >2020년 12월 10일 출시 >가격 : 7500₩ 이번 DLC가 나오면서 새로운 시즌 패스가 같이 출시 되었다. 시즌 패스는 울부짖는 봉우리를 포함하여 출시예정인 총 4개의 DLC [* 울부짖는 봉우리, 바다 테마, 네더의 불꽃, 엔드 테마] 를 선구매하는 것이며, DLC 출시할 경우 자동으로 다운 받을 수 있다. DLC 단품이 개당 7500원이므로 4개의 합계 가격은 30000원인데, 시즌패스 가격는 24900원으로 약간 저렴하다. 산이 테마인 만큼 절벽이 많으며, 붉은색 돌과 곳곳의 디테일들이 몰입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곳곳에 경치가 좋은 곳이 있는데, 꽤나 장엄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하지만 바람 함정은 알고도 당하는 꽤 위험한 함정이고 곳곳에 낭떠러지가 있어 넋놓고 다니다간 떨어져 죽는것이 다반사. === 네더의 불꽃 (Flames of the Nether) === [[파일:MCD_Flames of the Nether.jpg|width=100%]] >2021년 2월 24일 출시 >가격 : 7500₩ 등장 몹은 피글린, 피글린 야수, 호글린, 블레이즈, 가스트, 위더 스켈레톤, 마그마 큐브이다. 여담으로 네더DLC 구매 전 한국어 번역이 불장난으로 되어있다... --번역 장난-- 맵들에 공통적으로 용암이 깔려있어 좀 전체적으로 붉은 분위기라 눈이아플수 있지만 각 맵들마다 배경색과 지형, 몹들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채로운 풍경을 감상하며 플레이할수 있다. 하지만 은근 빡세기 때문에 경치에 한눈팔면 바로 죽어버린다... 원래 와일드 파이어[* 2017 몹 투표에 Mob D로 나왔던 몹이다.]가 추가될 예정이었으나 4월 20일에 나오는 빛나는 밤 DLC에 추가된다. === 숨겨진 심해(Hidden Depths) === [[파일:MCD_Hidden Depths.jpg|width=100%]] >2021년 5월 26일 출시 >가격 : 7500₩ 등장하는 몹은 익사자, 익사자 네크로맨서, 트로피컬 슬라임, 가디언, 엘더 가디언, 산호를 달고있는 스켈레톤, 바다 위스퍼,바다에 있는 독 깃털 덩굴, 바다 퀵 그로잉 덩굴, 복어, 거북, 돌고래가 있다. 보스는 엘더 가디언, 고대 가디언이 있다. 스테이지는 산호 상승지, 광휘의 협곡, 심해의 기념물이 있다. 파란색 거품 나오는 곳에서 숨을 채워야 하는 매커니즘이 있어, 익사를 피하며 플레이 해야하므로 난이도가 꽤 높다. === 메아리치는 공허(Echoing Void) === [[파일:MCD_Echoing Void.jpg|width=100%]] >2021년 7월 28일 출시 >가격 : 7500₩ 지배의 오브 스토리를 끝내는 최종장이다.[*26 끝나는 때를 보면 우민왕의 부하들이 캠프를 보는 것을 보아 시리즈가 더있을 수 있다.] 보스는 복수심에 불타는 엔더의 심장. 엔더드래곤은 등장하지 못했다. == 업데이트 내역 == || 버전 || 날짜 || 주요 내용 || || 1.0.0.0 (?) || 2020년 5월 26일 || 최초 출시 || || 1.1.2.0 || 2020년 6월 9일 || 안정성 향상 || || 1.2.0.0 || 2020년 6월 17일[* PS4, 스위치] [br] 2020년 6월 22일[* XBOX, Windows] || 다수의 버그 수정 || || 1.3.2.0 || 2020년 7월 1일 || 첫번째 DLC '깨어난 정글' 출시[br] 밸런스 패치 [* 광휘 너프 등][br] 다수의 버그 수정 || || 1.4.3.0 || 2020년 9월 8일 || 두번째 DLC '오싹한 겨울' 출시[br] 일일 도전 추가[br]캠프 상인 변경[br] 다수의 버그 수정 || || 1.5.0.0 || 2020년 10월 26일 || Spooky Fall Event[br] 아포칼립스 플러스 레벨 추가[br]대장장이 업그레이드 변경 || || 1.7.2.0 || 2020년 12월 9일 || 세번째 DLC '울부짖는 봉우리' 출시 || ||<-3> ... || || 1.17.0.0 || 2022년 11월 30일 ||'''마지막 업데이트''' || 자세한 수정 사항은 [[https://help.minecraft.net/hc/en-us/articles/360044268272-Minecraft-Dungeons-Patch-Notes|링크]] 참조 == 히어로 에디션 & 히어로 패스 == 본편만 있는 스탠다드 에디션 외에 히어로 에디션이 존재한다. 히어로 에디션은 기존 스탠다드 에디션에 비해 1만3천원 더 비싸고, DLC 2개[* 깨어난 정글, 오싹한 겨울]와 영웅망토[* 원래는 아무 무늬가 없는 붉은색 망토였으나 첫 업데이트때 일러스트와 같이 레드스톤 골렘 문양이 추가되었다], 펫[* 아기 닭, 앵무새, 북극여우, 돼지][* 탐험가 방어구의 박쥐처럼 전투에 도움을 주진 않는다 ], 4가지 추가 스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스탠다드 에디션을 구매했어도 히어로 에디션 상품을 추후에 구매할 수 있도록 1만3천원에 히어로 패스를 팔고있다. 원래는 스탠다드 에디션에 히어로 패스를 구입하는 것이 더 저렴하였지만 이를 파악한 모장에서는 히어로 에디션과 스탠다드 에디션과 히어로 패스와 함께 구입한 가격을 동일하게 맞추었다. 여담으로 스위치의 한국e숍에선 직역하여 영웅 패스라고 적혀있다. == 시즌 패스 == 2020 마인콘에서의 발표로 히어로패스와는 별개인 산, 바다, 네더, 엔드를 배경으로 한 4개의 dlc와 이 dlc들이 포함된 시즌패스를 내놓는다고 발표했다. dlc 자체에 펫들이 하나씩 들어있어 시즌 패스를 사면 dlc 4개[* 봉우리,바다,네더,엔드]+펫 4종[* 봉우리에는 아기염소가 ,네더에는 아기가스트가, 바다에는 아기거북이, 엔더에는 엔더마이트가 추가됐다.]을 얻게된다. 2021년 12월 27일 첫번째 시즌 모험인 "흐린 등반"이 공개되었다. == 버그 == 버그가 굉장히 많다. 취소선은 수정된 버그이다. * 던전에 입장하면 인트로 영상이 보여야하는데 멀티 플레이에서 참여한 플레이어는 이 인트로 영상이 안 보이는 버그가 존재한다. 나갔다가 다시 접속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 멀티플레이에서 친구가 온라인으로 표시되는데 서로의 방에 입장할 수도, 초대할 수도 없는 현상이 존재한다. 버그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두 사람의 게임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그 어느 곳에서도 둘의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같이 할 수 없다는 안내를 해주지 않는다. 둘 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게임을 업데이트하면 해결된다. * 동굴이나 건물 입구를 '구르기'로 들어 갈 경우 큰 데미지를 입는다. 체력이 낮은 채로 들어갈 경우 죽을 수도 있다. 이는 캠프에 있는 집에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캠프에서 죽을 수도 있다. 캠프의 집에서는 더 큰 데미지가 들어가며 타이밍에 따라 풀피인 상태에서 사망할 수도 있다. * 가끔 몹이 땅속에 들어가 있거나, 공격이 닿지 않고 갈 수도 없는 곳에 끼어있다.[* 보이지 않는 투명벽 사이에 끼어있다고 보면 된다.] * 캠프의 네더포탈 뒤, 다이아상자가 있는 산 위에 올라간 후 떨어진 다음 부활 후에 땅에서 구르면 데미지를 입는다. * --피스톤 발판을 밟고 날아가다 공중에서 멈추는 버그가 있다. 꽤나 빈번하게 발생하며, 공중에서 멈춰있는 경우도 있고 중간에 떨어져서 리스폰 되는 경우도 있다.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리면 낙하 판정을 받을 수 있다. 공중에서 유령망토의 효과(유령상태)가 풀리면 발생한다.-- * --게임이 자주 튕긴다.--[* 닌텐도 스위치 버전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 펫이 텔레포트 시 가끔 땅속으로 텔레포트되며 밑으로 떨어진다. 다시 텔레포트로 돌아올 때도 있지만 낙사하는 경우도 있다. * 오랫동안 게임을 하다보면 소리가 치지직거리며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버그도 존재한다. * 가끔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버그가 있다. 이는 인벤토리도 열어주고 마우스를 돌리다보면 괜찮아지긴 한다. * 인벤토리를 열고 닫은 후 몇초간 타격음이 안들리는 버그도 존재한다. * --아주 낮은 확률로 레벨이 몇 시간 전으로 리셋이 되며 지금까지 가지고있던 장비가 전부 사라지고 1렙 검과 1렙 활만 가진 상태가 된다.--[* 여담으로 이 버그를 고치는 업데이트로 인해서 초기화되는 경우도 있었다(...)] * --한국어 한정으로, 글자 깨짐 현상이 있다. 효과부여 시 효과 설명 부분의 글자가 깨져 있다. 초기엔 무기 및 장비 효과마저 다 깨져 보였으나 패치로 인해 대부분 고쳐져서 이제는 게임을 플레이 하는데 문제는 없다. 그러나 제일 처음 화면 밝기를 설정하는 화면의 글자나 도전 과제를 깼을 때 나오는 알람에 적힌 글자는 여전히 깨져서 나온다.--[* 런처버전의 경우 게임이 엑스박스용으로 나왔기 때문에 업적시스템이 없는 런처버전에선 업적달성시 내용이 ???로 보인다] * 여러 플레이어가 한번에 레드스톤 퍼즐을 건드릴 시 연결이 안 되어있는데 전류가 흐르는 버그가 있다. * --패드로 게임을 플레이 시 '질척한 동굴' 스테이지에서 퍼즐을 풀지 않고 다이아몬드 상자가 있는 방으로 바로 갈 수 있는 버그가 있다. 다만, 마우스와 패드, 둘 다 있어야 한다. [[https://youtu.be/Qre6UUl-fzw]]-- * 스위치로 플레이할 시 가끔 효과부여 포인트가 마이너스가 되면서 없어진 효과부여 포인트 개수에 맞게 효과부여된 아이템이 복사된다. * 호스트 상태일 때 분산 석궁을 들고 마우스 오른쪽 왼쪽을 번갈아면서 쏘면 화살이 닳지 않고 폭죽 유물을 쓰면 쿨타임 없이 무한으로 폭죽을 쓸수 있다. * 레드스톤 골렘이 지뢰 패턴을 하고 있을 때 공속이 빠른 무기로 때리고 있었다면 가끔 다시 일어나도 가만히 서있다. * 캠프에 교회로 가는 다리를 분명히 내렸어도 지나가면 낙사하는 버그가 있으나 낮은 확률이다. 즉 가운데 보이지 않는 구멍이 생기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 --레드스톤 광산에서 레드스톤 골렘이 중간보스로 나오는 버그가 있다.-- * 죽고나서 타이머가 다 끝나기 전에 라이프 부스트가 붙은 갑옷으로 갈아입으면 체력이 무한이 되는 버그가 있다. * 2021년 12월 중반에 타워 컨텐츠가 업데이트된 이후 '''타워 보상으로 선택하여 받을 장비의 힘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버그'''가 발견되었다. 스테이지 클리어 후 쌓이는 보스 처치 카운트[* 타워에서 받을 수 있는 장비의 레벨과 등급, "화려한" 수식어의 유무를 결정한다. 반대로 해당 버그로 쌓을 수 없는 "현재 클리어한 최고층 기록"은 "화려한" 수식어로 붙는 추가 마법 부여의 레벨을 결정한다.]와 인첸트 포인트는 누적됨을 이용한 버그로, 10층 클리어 후 세이브 포인트에서 한번 나간 후 11층 도입 전의 아이템 선택 창을 게임 프로그렘째로 강제 종료시키고 다시 타워로 재접속하여 진입하면 10층에서 재개되는데 인첸트 포인트와 보스 처치 카운트는 기존에서 1씩 증가한다. 시간은 많이 걸리지만 보상 수령 전까지는 이 방법으로 영구히 쌓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만 갈아넣는다면 힘 '''300~400''' 수준의 장비도 꿈이 아니다. * 멀티플레이를 할 시에 어떤 조건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재생의 토템을 설치하고 나서 토템이 없어져도 피가 계속 차고,[* 대미지를 먹어도 마치 토템을 설치한 것 처럼 피가 찬다.] 한 플레이어가 TNT를 들고 있을때 재생의 토템을 설치하면 토템이 다 될때까지 들고 다닐 수 있다. === 무한 로딩 버그[anchor(무한 로딩 버그)]([[https://bugs.mojang.com/browse/MCD-5306|MCD-5306]]) === [[파일:마인크래프트 던전스 MCD-5306.png]] '''가장 심각한 버그로,'''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중 극소수에게만 발생한 버그다. 말 그대로 게임에 접속할 시 새하얀 정체불명의 창이 뜨더니 창을 닫은 후 로딩이 멈추지 않아 게임 플레이 자체가 불가능한 심각한 오류이지만, 발생 확률이 극악이라 관심을 가지는 유저가 거의 없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마크 런처에서 로그아웃 로그인 하면 해결된다. == 초보자 가이드 == 입문자에게 필요한 기초적인 팁. * 효과가 부여된 적은 근거리보다는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처리하는것이 좋다. * 네크로맨서는 잡몹을 상당수 지속적으로 소환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는것이 좋다. * 망령은 불을 깔기 때문에 일점사 한 후 다른 잡몹을 잡는게 좋다.[* 특히 거미와 같이있을때는 거미가 플레이어를 묶고 불장판을 까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 거미에 묶였을땐 활이나 유물로 원거리 몹을 먼저 잡아야 한다.[* 왜냐하면 근거리몹은 근접 무기로 처리할 수 있지만 원거리 몹은 사정거리가 넓은 근접무기 외에는 잡기 힘들기 때문이다.] * 사냥전용무기는 양날도끼처럼 범위가 넓거나 클레이모어, 대형망치처럼 맞기전에 처치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편리하다. * 엔더의 심장이 발사하는 보라광선은 방패의 토템으로 방어가 가능해 유용하고[* 방어의 토템은 은근히 짜증나는 이름없는 자의 공격을 막는데도 쓸 수 있다. 근데 이외에는 쓸모가 없는듯하다.]보스전용무기는 공격속도가 높은 건틀릿또는 단검류를 추천한다.그리고또 맵 끝에있는 기둥 뒤의 한 공간에서 활을 쏘고 뒤로 숨는것이 가장좋은 방법이다. * 유물쿨타임 25%가달린 방어구와 유령 망토2개, 신속의부츠를 세팅하면 몹과의 전투를 최소화하면서 맵을 탐색할 수 있다. == 흑요석 첨탑 가이드 == 흑요석 첨탑에서 막힌 뉴비 또는 고수를 위한 팁 [* 솔직히 고수들은 대부분 막히지 않고 깨긴 하지만 꽤나 센 효과부여가 3개 붙은 적이 굉장히 많이 나오기 때문에 녹아버릴 수 있다..] 제일 쉬운 방법은 '''그림자 변환기''' 유물을 반복하여 쓰는 것이다. 다만,이 유물은 현질을 통해 메아리치는 공허에서만 얻을 수 있다.그렇다고 막 DLC를 사면 뭔 엔더 눈같은걸 모으라고 할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지도에서 엔더의 눈 표식이 있는 맵에 들어가, 지도 버튼을 누르고, 걍 모든 블럭을 꼼꼼히 탐사하다보면, 맵 어딘가에 포탈이 있고, 그 포탈을 타고 탐험하다 보면, 엔더와 관련된 보스가 나온다. 이 녀석을 잡으면 엔더의 눈을 주는데, 이걸 거의 모든 맵에서 노가다해야하므로 귀찮긴 하다. 엔더의 눈을 다 모았으면, '''유적''' 맵에서 엔더 포탈로 간다. 그렇게 하면 엔더에 갈 수 있다. 암튼 이거 하려고 사는건 매우매우 비추. 이 그림자 변환기의 능력은, 영혼을 소모하고 잠시 동안 그림자 상태로 변하여, 플레이어가 적에게 보이지 않게 하는 유물이다. 이게 은근 지속시간이 긴 데다가, 들어가는 영혼도 별로 들지 않아 강추하는 전법이다. 하지만, 이 유물 하나로는 깨기 '''매우''' 어렵다.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를 늘려주는 '''유령 망토''', '''스피드 부츠''' 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유물 칸에는 유령 망토, 스피드 부츠, 그림자 변환기를 필수로 넣어야 한다.[* 만약 유령 망토가 없다면 스피드 부츠 2개를, 스피드 부츠가 없으면 유령 망토 2개를, 둘 다 없다면 갑옷에 '''멀티 롤''' 효과부여와, '''빠른 발''' 효과부여를 붙이자.] 그리고, 흑요석 첨탑의 모든 공략의 공통점인데, 데미지가 엄청 센 활이 있어야 하며, 화살도 많이 모아놔야 한다.(난 일반활을 인첸트 하여 만들었다.) 무기로는, '''회오리''' 나 '''클레이모어''' 같은 여러 적을 강한 데미지로 한번에 때릴 수 있는 무기가 정말 좋다. 아무튼, 모든 준비가 되었다면, 이렇게 하면 된다: 일단 첫번째 목표는, 지하실에 들어가기 전까지 부활을 최대한 하지 않고 가는 것이다.[* 여기서 지하실이 어디냐면, 안내 화살표를 따라 계속 가다 보면, 땅이 끊어져 있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계단 앞에 박힌 노란색 포탈이다. 이 포탈을 타면 어디 지하 도서관 같은데에 진입하게 된다.] 여기까지 갈 때, 영혼을 절대 사용하면 안된다. 이건 매우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절때 쓰지 말자.[* 영혼이 넘쳐난다면 뭐 써돈 된다] 이렇게 영혼을 모으고, 지하실까지 안전하게 간다. '''참고, 그림자 상태에서 무기로 공격을 하게 되면 그림자 상태가 풀린다. 이러면 영혼 손해니 하지 말자.''' 지하실에 진입 한 순간, 그림자 변환기를 사용하고, 유령 망토와 스피드 부츠를 쿨타임 도는 순간마다 계속 써주며 목표 쪽으로 계속 달려가고, 그림자 상태가 풀려도 다시 그림자 변환기를 사용하며, 지하실을 탈출해야 한다. + 탈출 전 상자에서 화살이랑 빵을 무조건 먹어야 한다. 암튼 탈출한 상황에서도 계속 그림자 변환기를 사용해대며 보스전까지 최대한 달려간다. 거기까지 갔는데 영혼이 부족하다면, 독버섯과 약화의 종 등을 이용해 잡몹을 빠르게 처리하고 영혼을 또 얻어 다시 그림자 변환기를 사용하자. 보스전에 도착한 순간, 아껴둔 화살을 쓸 때가 되었다. 유물 창에 방어의 토템을 두고, 우민왕을 뚜드려 패자. 만약 우민왕을 뚜드려 패는데에 성공했다면, 엔더의 심장으로 2페이즈가 등장한다. 이 경우에는, 보스전을 할 수 있는 공간의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에 숨어서 가만히 있자. 절대 움직이기 키를 누르지 말자. 2페이즈 보스의 패턴 중, 4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사하며 회전하는 경우에는, 방어의 토템을 쓰자. 암튼 이렇게 가만히 있다 보면, 보스가 버그걸려서 가만히 있게 된다.[* 솔직히 버그는 아니고, 엔더의 심장이 자신의 공격 사거리 바깥쪽 플레이어를 인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일이다.] 이때, 보스 쪽으로 다가가면 보스가 다시 공격을 시도하므로, 활로 보스를 조준하여 마구 패자. 단, 화살이 많든 적든, 무조건 차지샷[* 화살 발사 버튼을 길게 누르고 발사하면 추가 데미지가 들어감] 을 날려야 한다. 이렇게 하면 걍 끝난다. 하지만, 맵을 플레이할때마다 맵은 자주 변경되므로, 살짝의 운 요소가 있긴 하지만 괜찮다. 버그가 있으니까...[* https://www.youtube.com/watch?v=CyoV3vk_VKE 참고. 이 유튜버는 버그 사실을 모르다 걍 얻어걸렸다.] 2번째로 무과금으로 깨는 방법은 단 두가지다. 이미 깬 맵들을 반복하여 클리어해 고렙의 유일 무기를 얻고, 그걸 조합하여 실력으로 깨는 것이다...[* 현질하는게 더 나을지ㄷ..] 우민왕 보스전 때 변명자나 약탈자같은 잡몹을 빨리 처리해 주는 것이 좋다.화살이 폭딜이 아닌이상 우민왕만 신경쓰면 나중에 잠몹들한테 죽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기타 == * 게임 자체의 평가는 썩 좋지 않지만 엑스박스 관련 광고에서 얼굴을 상당히 많이 비춘다. * 게임 단품에다가 히어로패스, 시즌패스까지 구매하면 총 62800원으로 기존 마인크래프트 자바에디션의 2배가 넘는다.[* 모바일버전과 비교시 8배 가량 비싸며 윈10 be, 스위치 be와 비교해도 2배 가량 비싸다.(현재 가격상승으로6배가량)] * 영화 [[외계+인 1부]] 도중에 이 게임의 광고지가 잠깐 지나간다. * [[모장 스튜디오]]의 발표에 따르면 게임은 출시하고 9개월이 지나기 전에 1000만장의 판매량을 올렸다고 한다. * 한국의 패키지판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유통하는것이 아닌, 마이크로소프트재팬에서 유통하는것이므로, 닌텐도 스위치 기준, 한국 칩이 아닌 일본 칩으로 나온다. 이때문에, 골드 포인트를 받을려면 일본에서 받아야한다. * Xbox의 도전 과제는 [[베드락 에디션]]와는 다르게 모든 플랫폼이 도전 과제를 공유한다.[* 베드락 에디션은 플랫폼별로 분리되어있다.] [[분류:마인크래프트]][[분류:2020년 게임]][[분류:액션 어드벤처 게임]][[분류:Xbox Game Pass]][[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