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NEW GAME, other1=Nitro Fun의 곡, rd1=New Game)] ||<-2>
'''{{{#!htmln}}}{{{+1 {{{#c2d73e E}}}{{{#b4b194 W}}}}}} {{{+1 {{{#c37bb1 G}}}{{{#96d0b6 A}}}{{{#ed7980 M}}}{{{#81ccdb E}}}{{{#f18f56 !}}}}}}'''[br]{{{#fabf14 + ✶ +}}} '''{{{#986116 ニューゲーム}}}''' {{{#fabf14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ewgame1.png|width=100%]]}}} || || '''{{{#c37bb1,#c37bb1 장르}}}''' ||[[오피스물|오피스]], [[게임물|게임]], [[4컷 만화]] || || '''{{{#c37bb1,#c37bb1 작가}}}''' ||[[토쿠노 쇼타로]] || || '''{{{#c37bb1,#c37bb1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호분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c37bb1,#c37bb1 연재처}}}'''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 || '''{{{#c37bb1,#c37bb1 레이블}}}''' ||망가타임 KR 코믹스 || || '''{{{#c37bb1,#c37bb1 연재 기간}}}''' ||2013년 3월호 ~ 5월호[br]2013년 7월호 ~ 2021년 10월호 || || '''{{{#c37bb1,#c37bb1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3권 ,,(2021. 09. 27.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3권 ,,(2022. 03. 29. 完),, || || '''{{{#c37bb1,#c37bb1 관련 사이트}}}''' ||[[http://newgame-anime.com/|공식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4컷 만화|4컷]] 형식 [[오피스물]] 만화. 작가는 [[토쿠노 쇼타로]]. 주인공 [[스즈카제 아오바]]가 게임회사의 [[게임원화가]]로 취직하여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작가 본인이 직접 약 2년(2006년~2008년)간 게임회사에서 게임원화가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했다고 한다.[* 현재는 프리로 [[http://bonet.info/interview/7272|전향]]했고 어디서 일했는지는 본인도 함구하고 있으며, 해당 작가 명의로 나온 게임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불명.] == 줄거리 == >「스즈카제 아오바, 오늘부터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 >고교 졸업 후 사회인으로 첫발을 뗀 스즈카제 아오바. >그녀의 첫 직장은, 어렸을 적 정말 좋아했던 게임을 만든 선배가 근무하는 게임회사 「이글점프」. >하나같이 귀엽고 매력만점인 선배들에게 둘러씬인 아오바는 하루하루가 두근댐의 연속! > >아직 제 몫을 다하기에는 멀었지만, 선배들과 함께라면, 이 회사라면, 이 일이라면 반드시! > >일본 현지 인기 급상승중―! >일하는 소녀들의 두근콩닥 하이비주얼 4컷 코믹! == 발매 현황 == ||
'''{{{#c37bb1 01권}}}''' || '''{{{#c37bb1 02권}}}''' || '''{{{#c37bb1 03권}}}''' || || [[파일:newgame1.png|width=100%]] || [[파일:newgame2.pn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K962535790_f.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년 02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8월 13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7년 08월 08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5년 03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1월 23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7년 08월 08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1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7월 19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7년 08월 08일}}}''' || ||<-3> || || '''{{{#c37bb1 04권}}}''' || '''{{{#c37bb1 05권}}}'''[* 애니화 기념 특별권으로 잡지에 연재되지 않은 완전 신작. 아오바의 고등학교 시절을 다룬 스핀오프인데 넘버링이 5권인 특이 케이스.] || '''{{{#c37bb1 06권}}}''' || || [[파일:뉴게임 4권.jpg|width=100%]] || [[파일:x9791133432981.jpg|width=100%]] || [[파일:136351503.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7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9월 30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7년 08월 08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7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11월 02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7년 08월 08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6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8월 23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8년 06월 29일}}}''' || ||<-3> || || '''{{{#c37bb1 07권}}}'''[* '''7권 직소퍼즐 한정판'''[br][[파일:뉴게임7권한정판.jpg|width=250]]] || '''{{{#c37bb1 08권}}}''' || '''{{{#c37bb1 09권}}}''' || || [[파일:NEW GAME!!.png|width=100%]] || [[파일:뉴게임 8권 한국판.jpg|width=100%]] || [[파일:뉴게임 9권 한국판.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3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6월 07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8년 09월 12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0월 2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20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9년 08월 06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6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7월 24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19년 11월 05일}}}''' || ||<-3> || || '''{{{#c37bb1 10권}}}''' || '''{{{#c37bb1 11권}}}''' || '''{{{#c37bb1 12권}}}''' || || [[파일:뉴게임 10권 한국판 표지.jpg|width=100%]] || [[파일:뉴게임 11권 한국 표지.jpg|width=100%]] || [[파일:뉴 게임 12권(한).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1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26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20년 08월 13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8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2월 16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21년 02월 02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3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9월 30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21년 10월 28일}}}''' || ||<-3> || || '''{{{#c37bb1 13권 ,,(完),,}}}''' ||<-2><|3>|| || [[파일:뉴게임 13권(한).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9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3월 29일[br][[파일:kakaopagelogo.png|width=20]] 2022년 04월 22일}}}''' || *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에서 2013년 3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연재됐으며 단행본은 망가타임 KR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전 13권 완결. * 한국 정발 코믹스 4권 초판한정 특전은 아오바와 코우가 그려진 미니 클리어파일이다. * 한국 발매된 5권 초판 상당수가 54페이지에 인쇄 불량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6월 7일 New Game! 직소퍼즐 한정판이 발매되었다. 500피스 퍼즐+뉴 게임! 7권+브로마이드+퍼즐 유액으로 구성되어있다. 가격은 15,000원. === 화집 === || '''{{{#c37bb1 Fairies Story}}}''' || '''{{{#c37bb1 NEXT GAME!!}}}''' || || [[파일:뉴 게임! 화집 Fairies Story.jpg|width=100%]] || [[파일:뉴 게임! 화집 NEXT GAME!!.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9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8월 23일}}}'''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9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3월 29일}}}''' || === 애니메이션 공식 가이드 === || '''{{{#c37bb1 1기 가이드}}}''' || '''{{{#c37bb1 2기 가이드}}}''' || || [[파일:뉴게임 애니 공식 가이드.jpg|width=100%]] || [[파일:뉴게임 애니 2기 공식 가이드.jpg|width=100%]] ||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2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c37bb1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12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 특징 == 특징으로 작중 등장인물이 전부 20대 여성으로 키라라 작품 계열치고는 등장인물의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아오바가 입사하는 장면에선 남성들도 있었지만 이후에 남성은 종업원 정도로만 나온다.[* 예외로 사장은 남자다.] 비하인드 스토리에 따르면 회사에 하즈키 시즈쿠팀과 사쿠라바 하나단이라는 남성 직원이 운영하는 팀이 존재하는데, 채용과정에서 여성은 전부 하즈키가, 남성은 하나단이 전부 데려가서 그렇다고 한다.[* 이 점을 감안해도 회사 전체에 남직원이 많은 편이 아니다. 한 예로 페어리즈 스토리 3 발매 후 한 쫑파티에 참가한 인원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더욱 심해져 남자 직원이 아예 나오지 않는다.] 게임회사의 현실인 [[월화수목금금금]]과 상습 철야를 상당히 순화해서 표현했기 때문에[* 작가 후기에 따르면 [[리부팅|너무 리얼하게 그리면]] 자기가 괴로워서 등장인물들간의 사이를 좋게 설정했다고. 비슷한 이유로 코우의 과거를 직접 그리는 건 너무 질척해질까봐 배제하고 있다.] 현업 종사자들은 결코 웃으면서 볼 수 없다는 반응. 오히려 순화돼서 표현하는 것에 대해, '게임업계가 그렇게 순해 보이나?' 하고 분노하는 독자들도 있다. 일단 회사에서 숙직실도 아니고 자기 컴퓨터 책상 밑에서 '침낭'을 깔고 잔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부당대우이며 노동착취인데도 불구하고 캠핑하는 느낌마냥 그려놨으며 심지어 그 침낭조차도 회사에서 지급해주는 게 아닌 개인이 알아서 직접 준비해오는 걸로 그려진다. 화기애애한 분위기의 미소녀들이 그러니까 그냥 모르고 넘어가지만 현실에서 저러는 건 그냥 노동착취의 끝판왕이나 다름없다는 평. [[망가타임 키라라 MAX]] 2016년 10월호에 나온 토쿠노 쇼타로를 인터뷰한 어떤 작가의 레포트 만화에 따르면 일상파트는 창작 비중이 높고, 회사 내 갈등요소와 같이 무거운 내용은 실제로 경험한 내용이 많다고 한다. 그러면서 프로젝트에서 야가미 코우가 아닌 스즈카제 아오바의 아이디어가 채용된 후, 무심결에 야가미 코우가 스즈카제 아오바에게 짜증을 낸 장면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후 어떻게 되었는지가 아닌 이 과정에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생각했는데 작가 본인은 그다지 좋은 결말은 아니었던 걸로 추정된다. == [[NEW GAME!/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EW GAME!/등장인물)] == 인기 == 사실 이 작품은 2014년 기준 연재기간이 1년이 조금 넘은 코믹스 단행본도 1권 밖에 나오지 않은 신생작품이었다. 때문에 각 [[위키위키]]에 항목이 만들어지긴 커녕,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독자들만 겨우 아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망가타임 키라라 내의 작품들로 이루어진 콜라보레이션 기획의 일환[* 캐릭터의 저작권이 만화 출판사에 귀속되어 있는 [[미국 만화]]에서는 한 작가가 신 캐릭터를 만들어내면 그 캐릭터의 저작권이 출판사에게 소속되기에 이런 일이 흔하다. [[망가타임 키라라]] 작품도 저작권이 [[호분샤]]에 소속되어 있어 언제든지 캐릭터를 어떤 만화에든 출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킬미 베이비]]와의 콜라보작품 킬 게임이란 것도 나왔는데, "남의 캐릭터 가져다가 뭐하는 짓이야?"라거나 "콜라보를 해도 뉴 게임은 뉴 게임이구나" 등의 평가를 받을 정도로 그닥 좋지는 않아 보이는 수준.[* 킬 미 시키나 유유시킬 미([[킬미 베이비]]와 [[유유시키]]의 크로스 콜라보 작품)의 경우엔 양 작품 팬들이 상대작품의 깎아내리는 경향은 있어도 전체적으론 호평이었다.] 4컷만화에 있어야 하는 특유의 촌철살인 드립이나 개그가 적고 대사가 많은 편인데다, 아오바 빼면 전부 19세 이상 성인에 캐릭터가 튀는 경우가 별로 없고, 대부분의 내용이 게임 제작과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일상을 그린지라 대체로 내용이 미적지근하다는 것이 이유. 그렇다고 그런 미적지근함을 덜어 줄 만한 톡톡 튀는 센스도 없고, 전체적으로 특징이 없는 평탄한 만화였다고 [[카더라]]. 하지만 이 작품은 [[일본어 위키백과]]에 [[니코니코 대백과]]까지 항목이 있다. 작품 자체가 특출나게 재미있는 것도 아니고,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닌 [[망가타임 키라라]] 계열에서 보이는 평범한 [[일상물]]인데도 말이다. 말 그대로 [[갑툭튀]]한 작품. [[파일:attachment/1200964590.jpg]] 심지어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2014년 12월 호는 애니화된 인기작품 위주로 돌리던 메인 컷을 이 작품이 먹었다. 때문에 이 작품을 보지 않던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독자들까지 어리둥절해 하며 혼란에 빠지는 상황이 펼쳐지기도 했다. === [[간바루조이!]] === 자세한 내용은 [[간바루조이!]] 문서 참고.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EW GAME!/애니메이션)] === 게임 === PS Vita판과 PS4로 게임이 2017년 1월에 출시되었다. 제목은 'NEW GAME! -THE CHALLENGE STAGE!-'. [youtube(3D-uKK3m6zs)] 해당 게임의 Debut Trailer 영상. === 콜라보레이션 === * 애니메이션이 방영 시작한지 2주가 겨우 지난 2016년 7월 15일, [[괴리성 밀리언아서]]와의 콜라보가 발표되었다. 기존 콜라보들과 달리 관련 서브 스토리가 나왔다. 디버그하다가 여차저차해서 다 같이 이쪽으로 넘어왔다는 설정. 캐릭터들의 대사도 원작 내용보다는 이세계 전이라는 상황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1년 뒤인 2017년 7월에는 2기 방영에 맞춰 2차 콜라보가 진행된다. * [[코나미]]의 리듬게임 [[유비트 큐벨]]과 [[리플렉 비트 VOLZZA 2]], [[팝픈뮤직 에클랄]], [[BeatStream 아니무트라이브]]와의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하였다. 애니메이션 오프닝인 SAKURAスキップ, 엔딩 Now Loading!!!! 등의 곡들이 게임 내에 수록되었으며, 유비트의 경우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콜라보와 비슷한 형식으로 [[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s-2.3|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였다. * 뉴 게임 2기 방영과 함께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 오프닝곡인 [[STEP by STEP UP↑↑↑↑]]이 17년 7월 14일에 수록되었고, 엔딩곡인 [[JUMPin' JUMP UP!!!!]]도 금년 7월 20일에 수록되었다. 또한 뉴 게임 등장인물의 프로필과 인게임 배경을 주는 이벤트도 17년 9월 30일까지 진행한다. [[https://p.eagate.573.jp/game/reflec/reflesia/p/information/index.html#info49|자세한 사항]] 17년 7월 26일에 출시할 [[유비트 클랜]]에서 콜라보를 진행한다. == 기타 == * 굿스마일에서 주인공 아오바를 [[넨도로이드]]화하였다. [[파일:external/images.goodsmile.info/8bd909985f12f803940ae8a4a763cdf1.jpg|width=400]] 애니가 방영되기 이전에 캐릭터를 넨도로이드화 한것은 꽤 이례적인 일. 애니메이션 덕분인지 아미아미에서는 벌써 매진이다. [[도마 우마루]] 정도의 프리미엄이 붙은 건 덤. 다행히도 2018년 2월에 히후미 넨도로이드 발매와 더불어 재판이 예정됐다. (2018년 4월로 연기) * 애니메이션이 시작한지 단 1화만에 Z회랑 합성한 매드무비가 대박을 터트리기도 했다. [[http://www.nicovideo.jp/watch/sm29188224|#]]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요리타 요시노]]에게 배정된 성우가 주인공 아오바와 [[타카다 유우키|동일 성우]]라 관련 성우장난이 흥하게 되었다. * 겉보기에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이지만, 곳곳에 이글점프의 [[블랙기업]]적인 측면이 나타난다. 회사에서 시켜서 하는 잔업, 휴일출근이 아니면 따로 급여가 없는 휴일출근과 야근이며, 입사첫날 아오바의 퇴근시간은 밤 9시였다.(입사 첫날이다!! 웬만한 블랙기업도 처음에는 신입 들어왔다가 도망갈까봐 적어도 첫주 길면 한달 까지는 야근에서 제외시켜주며 슬슬 늘려가는데 여긴 첫날부터 이랬다는 거다!) 또한 회사에서 명령하지 않은 잔업과 휴일출근은 급여가 없기 때문에 시급으로 받는 사쿠라 네네와의 급여비교장면에서 아오바가 "정직원은 급여를 줄이기 위한 법의 구멍?!"이라는 대사에 대해 코우가 흑막의(...) 표정으로 나중에 얘기하자고 하는 일종의 압력을 주는 묘사도 나왔다.[* 다만 이게 설정이 세세한게 아니라 왔다갔다 할때도 있다 아오바의 첫 월급 대사에는 잔업수당도 받았다는 묘사가 있기 때문] 사실 작가가 그림파트여서 그런지 프로그래머팀은 얄짤없다(...). 원작이나 TVA 10화때 페어리즈 스토리 마스터 단계에 들어간 프로그래머팀 부스의 곳곳에 드링크병이 굴러다니는 마치 전장과도 같은 몰골은 짤없이 그대로 묘사된다. [[아하곤 우미코|우미코]]만 비정상적으로 쌩쌩해 보일 정도. 추가로 평소에 귀여운 여자애만 골라가는 하즈키의 팀만 나오기 때문에, 작중에서 남자 직원은 전혀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등장하지 않고 있다.[* 이글점프에는 하나라는 남자의 팀이 따로 있으며 남자들은 그리로 가는 듯하다.] * 일본 웹에서 출처불명의 연봉정보가 올라온 적이 있었다. 아오바가 130만엔, 나머지가 2백만엔 에서 3백만엔 사이의 연봉이라는 정보였는데 물론 공식적인 정보가 아니다. 작품내, 외적으로 단 한번도 공식적으로 연봉이 언급된 적은 없으니 루머로 보면 될 듯하다.[* 다만 위의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된 근거는 현재 일본의 업계평균 연봉을 고려해서 작성되었다고 한다. [[시궁창]]인 일본 IT업계의 상황을 비꼰 것일 수도 있다. ~~물론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이 업계의 루머는 분명히 법을 위반한 수준의 봉급으로 계산된 루머인 만큼 굳이 시리어스 창작물이 아닌 작품에서 현실의 어두운 면을 강조했을 리는 없을 테니 상당히 신빙성이 떨어지는 루머라고 봐야 할 것이다.] * TVA에서 회사 2~3층에 [[호분샤]]가 있다. * [[내 여자친구가 너무 성실한 처녀 빗치인 건]] 애니메이션 8화에 뉴 게임! 등장인물들이 잠깐 등장했다. [[파일:Screenshot_2017-12-03-15-50-28.png|width=600]] * 트위터로 뜬금없이 작가가 백합 커밍아웃을 하였다.[* [[https://twitter.com/tokutaro/status/1175569150774661120|남자는 그릴 수 없어요! 나의 사명은, 백합을 그리는 것이니까...!]]] 코우와 린을 제외하면 우정이라고 했었는데 연재하면서 생각이 바뀐듯. == 외부 링크 == *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newgame|[[New Game! 마이너 갤러리]]]] [[분류:NEW GAME!]][[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