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scoutsout.com/OH-58F-BLOCKII_850x-29.jpg|width=100%]] Bell OH-58F 카이오와 워리어[* 개발중인 신형 모델로 로터 마스트에 정찰장비를 탑재한 D형과 달리 기수하단에 정찰장비를 탑재한다.] [목차] == 개요 == '''Bell OH-58 Kiowa''' '''벨 OH-58 카이오와''' [[미국]] '[[벨#s-5]](Bell)'사에서 개발한 정찰용 단발 [[터보샤프트]] [[헬리콥터]]. 60년대에 [[미국 육군]]은 '정찰용 경 헬리콥터(LOH : Light Observation Helicopter)' 계획을 진행하였다. 12개의 업체가 여기에 제안서를 냈는데, 이때 벨(Bell)은 회사내 프로젝트명으로 D-250이라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후에 YHO-4로 미 국방부에 등록된다. 미 육군은 최종후보로 벨을 비롯한 몇몇 항공사를 뽑았는데 벨의 YHO-4는 이 경쟁에서 탈락하고 말았으며, 대신 휴즈의 [[OH-6]]가 최종선정되었다. 벨은 미 육군 헬리콥터 사업의 탈락에 낙심하지않고 이 헬리콥터를 화물 수송칸을 늘리는 등, 동체전반을 재개조하여 [[Bell 206|벨206 레인저]]란 이름으로 민간시장에 내놓았다.[* 사실 [[OH-6]]도 민수용 모델이 등장했는데 이것이 우리가 잘 알고있는 휴즈500, 혹은 [[MD 500]]이다(휴즈의 헬리콥터 사업부가 나중에 [[맥도넬 더글라스]]에 팔림). [[MD 500]]은 다시 해외에 군용으로 팔려나갔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도 운용하고 있는 [[MD 500 디펜더]]이다.] 하지만 1967년에 육군은 당시 운용중인 [[OH-6]] 정찰 헬리콥터를 추가 구매하기 위해, OH-6의 제작사인 휴즈(Hughes)사와 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휴즈사는 미 육군이 이미 자사의 헬리콥터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교적 높은 가격을 불렀다. 이에 반발한 미 육군은 공개 입찰 방식으로 사업을 전환했다. 이 때 벨은 이미 민간용으로 재개조된 벨206을 다시 미 육군의 요구사양에 맞게 개조한 것을 미 육군에게 제안하였다. 이것이 바로 OH-58 카이오와(Kiowa)다.[* 카이오와는 미국 원주민 부족의 이름중 하나다. 참고로 미 육군은 핼리콥터 명칭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명을 붙이는 것이 전통인데 [[UH-1]] 이로쿼이, [[OH-6]] 카이유스, [[CH-47]] 치누크, [[AH-64]] 아파치, [[RAH-66]] 코만치 모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명이다. [[CH-53]], [[SH-2]], [[SH-3]], [[V-22]], [[CH-46]]등은 애초에 육군기가 아니라 타군채용기종들이었다. 그리고 [[UH-60]]의 별명 '블랙 호크'는 서부시대 미 원주민 추장 이름이었다고 하니 오해하면 안 된다...] == 형식 == === OH-58A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523682.jpg|width=100%]] 최초 모델으로 정찰장비도 없었으며 무장도 없었다. === OH-58B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931594.jpg|width=100%]] OH-58A에서 M134 미니건 2정이 장착된 수출형 모델이다. === OH-58C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305163.jpg|width=100%]] 엔진 성능을 개량, 야시경(NVG) 사용에 적합한 신형 계기판 사용, 적 레이더의 위치를 사전에 탐지하기위한 AN/APR-39 레이더 탐지기 탑재. 1994년 12월 17일, 인제군 [[비무장지대|DMZ]]에서 [[주한미군]] 소속 OH 58C형 1대가 북한 지역으로 월경하였다가 북한군의 [[휴대용 대공 미사일]]에 맞아 격추 당하기도 했다. 월경한 이유는 마침 눈이 많이 와서 경계선이 불분명 했고, 조종사인 보비 홀(Bobby Hall) 준위가 부대에 배치 받은지 얼마 되지 않아서 지리에 익숙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부조종사 데이비드 하일먼(David Hilemon) 준위는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고, 홀 준위는 생포 되어 2주동안 억류 당한 끝에 자백서까지 쓰고 판문점을 통해 귀환했다. 부서진 잔해 위에 하일먼의 시신이 널부러져 있는 가운데 홀 준위가 겁을 먹고 [[항복]]하는 모습이 담긴 [[https://m.news.nate.com/view/20050515n00956|사진]]은 꽤나 굴욕적인 이미지였던 터라 북한에서 반미 교육의 [[필수요소]]로 마르고 닳도록 사용되고 있다. 본래 OH 58는 열추적 미사일에 대비해 엔진 열 배출구가 후방상부로 올려져 있어서 피격율이 낮았으나 이 사건에서는 어째서인지 격추 당했다. 한미연합사 측은 월경 직후 정면에서 피격 당했다고 주장하였으나 당시 북한군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스트렐라|SA-7]]은 90년대 기준으로도 견제용으로나 쓰면 딱일 수준으로 구형이었다. 오히려 북한 측에서는 기수를 돌려 도망가려는 것을 격추 했다는 주장하였는데, 이런 정황으로 미뤄 볼 때 북한군이 성능이 개량 된 SA-7을 사용했거나 아니면 그냥 여러가지 상황이 겹쳐서 운 좋게 맞춘 것으로 추정된다.[* 미사일이 몸통이 아니라 꼬리날개를 맞췄다는 설도 존재한다.] ==== OH-58C/S ==== 일부 OH-58C에 시험적으로 [[FIM-92 스팅어|스팅어]] 미사일의 공대공 버전인 AIM-92 스팅어 미사일 탑재. === OH-58D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220302.jpg|width=100%]]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개량하였으며 메인로터 허브를 Semi-Riged 타입에서 Fully-Articulated 타입으로 변경하여[* Semi-Rigid 타입은 [[UH-1]]과 [[AH-1]]이 쓰면서 대중화된 것인데, 일종의 시소라고 보면 된다. 장점은 구조가 간단하다는 거지만 단점으로는 마스트 범핑이 쉽게 일어나서 NOE를 하기가 심각하게 어렵다. 급선회나 급강하 좀 할라 치면 [[끔살|'''마스트 범핑으로 메인로터의 마스트가 부러져 메인로터가 허브째 뽑혀 날아가는 끔찍한 사태''']]가 벌어지기 때문. 그래서 베트남전 이후의 군용 헬기들은 Fully-Articulated 타입이 기본 소양이 되었다.] 초저고도로 지면을 따라 비행하는 포복비행 (nap-of-the-earth flight)이 가능하도록 설계. 엔진과 로터허브 변경에 맞춰 로터 블레이드 수도 2개에서 4개로 바뀜. 로터 마스트 위에 장착하는 정찰장비인 MMS(Mast-Mounted Sight)를 장착, 언덕 뒤에서 헬리콥터 몸체는 드러내지않은채 MMS만 내놓고 적진을 정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니콜라스 케이지, 션 영이 주연한 영화 '''아파치'''(원제 Fire Birds)에서 이 모습이 잘 나온다.]. 벨의 회사내 명칭은 모델406이며, 사우디 아라비아는 카이오와를 OH-58D대신 406CS(Combat-Scout)이란 모델명으로 도입하였다. ==== OH-58D 워리어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011549.jpg|width=100%]] 통칭 카이오와 워리어(Kiowa Warrior), 혹은 KW. 기본적인 기총만 장착가능하던 OH-58에 무장탑재능력을 부여한 것으로 로켓, 추가적인 기관총 이외에 AIM-92 공대공 스팅어나 AGM-114 [[헬파이어]]도 탑재가능하도록 바뀌었으며 각종 전자장비도 업그레이드되었다. == 기타 == * OH-58 시리즈를 운용하는 국가는 [[미국]] 이외에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캐나다]] , [[호주]][* 전량 유로콥터 타이거로 교체됐다.], [[오스트리아]] 등이 있다. * [[대한민국 해군]]도 1974년 [[전라남도]] 지역 학생들의 방위성금으로 OH-58B 2대를 도입하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709384|2004년까지 운영한 기록]]이 있다. 이후 현재는 모두 퇴역한 상태로 [[영암군]]에 있는 3함대 사령부 영내에 그 중 1대가 전시되어있다가, 2013년에 포항 해군6전단 앞 몰개월 비행기공원으로 옮겨서 전시되고 있다.[[https://blog.naver.com/gbdc04/221348138592|#]] --미군도 2023년 지금까지 쓰는데 다시 재생시켜 쓸순 없나-- * RTS인 [[액트 오브 워]]의 확장팩 하이트리즌에서 미군 진영에 추가되기도 했는데, 약한 공격력을 가진 정찰 헬리콥터로 등장한다. 이동이 불가능해지지만 고고도로 상승해 시야를 대폭 늘려주는 특수기능이 있다. * [[강철비]]에서 북한 1호를 공격하는 [[M270 MLRS]]를 헬파이어로 격파한다. * [[WARNO]]에서 미군 정찰헬기로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한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대만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헬리콥터]] * [[벨 206]] [각주] [[분류:벨 헬리콥터]][[분류:헬리콥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항공기]][[분류:대만군/항공기]][[분류:튀르키예군/항공기]][[분류:오스트리아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