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OICW''' }}} }}}[br]{{{#white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br]{{{#white 목적군 보병 전투용 화기}}} || ||<-2> [[파일:oicw-sabr_logo 0.jpg|width=300]] || ||<-2>{{{#white '''이력'''}}} || ||'''역사'''||1993년~2005년 || ||'''분류'''||복합소총 도입[br][[돌격소총]] 도입[br][[유탄발사기]] 도입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합중국]] || ||'''운용'''||[[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 [[미합중국 육군]] || ||'''담당'''||[[파일:external/armytechnology.armylive.dodlive.mil/ARDEC-medium2.png|width=23]]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Army_CCDC_Armaments_Center|미합중국 육군병기개발공학연구소]][br][[파일:pm-soldier-weapons_logo.jpg|width=23]] [[https://www.bidlink.net/news/2019/06/selling-to-dod-project-manager-soldier-weapons/|미합중국 육군군인무기기획관리부]]|| ||'''계약'''||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 || [목차] [clearfix] == 개요 == OICW([[미래보병체계#미국|목적군 보병]] 전투용 화기,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는 [[ACR(군사사업)|발전형 전투용 소총(ACR)]] 사업의 뒤를 이어 [[JSSAP|합동 제식 소화기 종합계획(JSSAMP)]]에 따라 노후화된 [[M16 소총|M16 계열]]을 대체하고 [[Future Combat Systems|미래형 전투 체계(FCS)]]의 [[https://apps.dtic.mil/sti/pdfs/ADA578581.pdf|목적군]] 운용을 위해 1993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된 차기 제식소총 도입 사업이다. == 상세 == === 심사 진행 === ||<-4>
[[파일:atd-oicw-fig27.gif|width=100%]] || ||<-4>'''[[https://www.academia.edu/2027612/Infantry_Small_Arms_of_the_Future_Practical_and_Tactical_Considerations| ]]Small Arms Strategy 2000, 1986년~1989년[br][[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jssap.htm| ]]Service Small Arms Master Plan, 1989년~1993년[br][[https://books.google.co.kr/books?id=M31HAQAAIAAJ&pg=RA1-PA76&dq=jssamp+1994&hl=ko&sa=X&ved=2ahUKEwiqrYGtu8v6AhVDmFYBHTShBmAQ6AF6BAgDEAI#v=onepage&q=jssamp%201994&f=false| ]][[JSSAP|Joint Service Small Arms Master Plan]], 1993년~1994년[br][[https://books.google.co.kr/books?id=BfhTAAAAMAAJ&pg=PP245&dq=oicw+atd+1999&hl=ko&sa=X&ved=2ahUKEwjyw4Djv8v6AhU0tlYBHa33BWMQ6AF6BAgKEAI#v=onepage&q=oicw%20atd%201999&f=false|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Advanced Technology Demonstration, 1994년~1999년[br][[https://man.fas.org/dod-101/sys/land/oicw.htm| ]]OICW Phase 1 Design Study, 1994년~1994년[br][[https://man.fas.org/dod-101/sys/land/oicw.htm| ]]OICW Phase 2 System design and Critical subsystem Technology Demonstration stage, 1994년~1996년[br][[https://man.fas.org/dod-101/sys/land/oicw.htm| ]]OICW Phase 3 Prototype system Demonstration, 1996년~1998년[br][[https://man.fas.org/dod-101/sys/land/oicw.htm| ]]OICW Phase 4/5 Hardware Build/Live-fire Simulation, 1998년~1999년[br][[https://books.google.co.kr/books?id=4NoQ8vFJgy0C&pg=PA167&dq=OICW+Program+Definition+and+Risk+Reduction&hl=ko&sa=X&ved=2ahUKEwiCiI2Z0eD6AhXjSmwGHViBCXgQ6AF6BAgLEAI#v=onepage&q=OICW%20Program%20Definition%20and%20Risk%20Reduction&f=false| ]]OICW Program Definition and Risk Reduction, 1999년~2003년'''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 [[파일:external/www.thefirearmblog.com/DSC_0825mod-660x304.jpg|width=100]] ||[[XM29 IAWS|OICW]]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guns.fandom.com/wiki/XM29_OICW| ]] || || [[파일:aai-oicw_sheet 0.jpg|width=100]] ||OICW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FN 에르스탈]] || [[https://guns.fandom.com/wiki/AAI_OICW| ]] || ||<-4>{{{#!folding 타임라인 펼치기 · 접기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6/|1986년]] * 불명 -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미 육군보병학교의 SAS 2000([[소화기(동음이의어)#小火器: 소형 화기 혹은 개인 화기|소화기]] 전략 2000, Small Arms Strategy 2000) 보고서에는 이미 기술적인 한계에 도달한 종래의 소화기 기술 대신 목표물 주변에서 폭발하는 [[탄자]]를 사용해 명중률을 높여야 한다는 [[XM29 IAWS|AICW(발전형 전투용 개인화기, Advanced Individual Combat Weapon)]], [[XM307 ACSW|ACSW(발전형 공용화기, Advanced Crew-Served Weapon)]], APDW(발전형 [[PDW|호신화기]], Advanced Personal Defense Weapon)로 이루어진 대체 방안이 제시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9/|1989년]] * 9월 - 미 육군보병학교에서 최대 중량이 4.5kg를 넘지 않으면서도 500m 이상의 거리에서 [[방탄복]]을 장비한 [[보병]] 뿐만 아니라 [[차량]] 및 저공 비행 중인 [[항공기]]도 상대 가능한 보병 전투용 화기(ICW), 방탄복 관통 능력을 가진 0.6kg 이하의 호신화기(PDW), 공용화기(CSW)로 이루어진 새로운 보병 무기 체계와 달성 목표가 서술된 SAMP(소화기 종합계획, Small Arms Master Plan) 초판이 작성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3/|1993년]] * 불명 - 미 육군보병학교에서 목적군 보병 전투용 화기(OICW), 100m의 유효사거리와 50m에서 0.6kg 이하의 방탄복 관통 능력을 가진 목적군 호신화기(OPDW), 목적군 공용화기(OCSW)로 이루어진 [[https://www.billstclair.com/weaponsman.com/wp-content/uploads/2012/11/objective-family-of-weapons-NDIA-98.pdf|OFSA(목적군 소화기 계열, Objective Family of Small Arms)]]와 AMMG(발전형 다목적기관총, Advanced Medium Machine Gun) 관련 토론이 서술된 SAMP 제4차 개정판이 작성되었다. * 8월 - [[JSSAP|미군 합동 제식 소화기 사업(JSSAP)]] 관리부에서 OICW ATD(기술 실증, Advanced Technology Demonstration) 사업을 진행하는 데에는 6개월 간의 개념 설계 여부, 12개월 간의 실험 모형(Breadboard) 및 하위 시스템의 테스트와 전반적인 설계 개선 여부, 12개월 간의 시연이 가능한 시제품(Brassboard) 성능을 차례차례 따지는 개별 예산의 3개 심사로 계획된 제안요청서를 발표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4/|1994년]] * 6월 - 제1차 심사에는 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Aircraft Armament Incorporated) 사 주축의 [[알프레드 노벨|다이너마이트 노벨]]+[[하워드 휴즈|휴즈 에어크래프트]]+다이너 이스트+메이슨 & 행어 사 연합팀, ATK(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 Alliant Techsystems) 사 주축의 [[헤클러 운트 코흐]]+컨트레이브스+다이너마이트 노벨 사 연합팀, 올린(Olin) 사 주축의 [[FN 에르스탈]] 연합팀 총 세곳이 참가했다. * 12월 - AAI 사와 ATK 사가 제1차 심사를 통과하면서 실제 설계 및 주요 하부시스템의 평가 중심의 제2차 심사로 이행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5/|1995년]] * 10월 - 기존의 다이너마이트 노벨 및 메이슨 & 행어 사가 빠지고 올린, FN 에르스탈, 오메가 시스템즈 사가 새로 합류한 AAI 사와 동일 구성의 ATK 사 시제품이 제출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6/|1996년]] * 2월 - 제2차 심사가 종료되었다. * 3월 - [[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 개별전장전투연구소(DBBL)의 비사격 실험을 위한 시제품 가공과 관련된 제3차 심사 자금이 지급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7/|1997년]] * 4월 - [[미합중국 육군물자사령부#예하 부대|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TACOM-ARDEC)에서 AAI, ATK 사의 OICW 개발 입찰 참여와 최종 시제품의 시스템 설계 개발, 통합, 검증, 제작으로 구성된 제4차 심사 및 선정 이후의 설계 개선, [[레이저]] 영점 기능 통합 등의 유효성 검사를 거친 OICW 완성품 10정과 전용 설명서, 예비부품, 탄약의 납품 계획을 공고했다. * 12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루돌프 브란들(Rudolf Brandl), 하인즈 매트(Heinz Matt)는 OICW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8/|1998년]] * 2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루돌프 브란들(Rudolf Brandl), 하인즈 매트(Heinz Matt)는 OICW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2월 - 제3차 심사가 종료되었다. * 3월 - ATK 사의 제출품이 선정되면서 제4차 심사로 이행되었다. * 4월 - 미 육군병기개발연구소에서 ATK 사의 OICW 개발과 관련된 8,423,586달러의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 루돌프 브란들(Rudolf Brandl), 빌헬름 피쉬바흐(Wilhelm Fischbach)는 OICW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9/|1999년]] * 4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TACOM-ARDEC)에서 OICW의 유효성과 살상력에 관한 모델링 개선을 포함하는 군인 무기 모델링 및 모의시험 회의가 진행되었다. * 6월 - OICW 전용 가상 시뮬레이터가 [[미국]] [[메릴랜드]] 주의 [[애버딘 성능 시험장]]에 조달되었다. * 7월 - 미 육군소화기사업부에서 OICW PD&RR(사업 정의 및 손해 경감, Program Definition and Risk Reduction) 실행을 위한 단독 입찰 공고를 발표했다. * 9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TACOM-ARDEC) 및 미 육군소화기사업부에서 OICW PD&RR 계약이 ATK 사와 체결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0/|2000년]] * 1월 - 미 육군보병학교에서 OICW 대체 방안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2월 - 미 육군보병학교 전투능력개발 참모부에서 OICW 운용요구서(ORD)가 작성되었다. * 2월 -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에서 OICW 운용요구서 인가가 내려졌다. * 2월 - 미 육군시험평가사령부에서 OICW의 최신 결과에 관한 브리핑이 작성되었다. * 3월 - [[https://en.wikipedia.org/wiki/Paul_J._Hoeper|폴 J. 호퍼(Paul J. Hoeper)]]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가 새로 갱신된 OICW 도입 사업에 승인했다. * 4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에서 독립형 공중폭발탄 발사기 사양이 제외된 OICW 성능명세서가 작성되었다. * 8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의 지원을 받는 미 육군소화기사업부에서 [[사격통제장치]]를 독립형 돌격소총(Kinetic Energy Subsystem) 모듈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재구성하기 위한 7,480,000 달러의 OICW PD&RR 4년 계약이 ATK 사와 체결되었다. * 10월 - 미 육군시험평가사령부에서 OICW 시스템 평가 보고서와 OICW 제1추진일정(Milestone)를 위한 전략 검토 브리핑이 작성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1/|2001년]] * 1월 - 미 육군소화기사업부에서 OICW PD&RR 도입 전략 보고서가 작성되었다. * 4월 - [[https://en.wikipedia.org/wiki/Kenneth_J._Oscar|케네스 J. 오스카(Kenneth J. Oscar)]]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가 OICW 사업의 단계 결정 권한을 맡게될 것을 발표했다. * 7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토마스 슈바이카트(Thomas Schweikart),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 빌헬름 피쉬바흐(Wilhelm Fischbach), 헬무트 벨들(Helmut Weldle)은 OICW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9월 - OICW 시제품의 중량이 핵심 성능 수치(KPP)의 미달 판정을 받았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2/|2002년]] * 불명 - ATK 사의 OICW 시제품에 XM29 시험 제식명이 부여되었다. * 1월 - OCSW 사업부에서 OICW의 공중폭발탄 발사기 모듈 또한 [[XM307 ACSW|목적군용 공용화기(OCSW)]]의 [[25 mm|25×59mm]] [[탄약]]을 사용해야 한다는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 및 미 육군체계관리수평기술통합 부서장의 표명에 따라 [[https://en.wikipedia.org/wiki/Altarum_Institute|얼태럼 기관(구 벡터 연구소)]]과의 대조 연구 계약이 체결되었다. * 2월 - 얼태럼 기관에서 OICW와 OCSW 모두 동일 탄약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개시되었다. * 3월 - OICW 사업부에서 시스템 개발 및 실증(SDD) 단계로 이행할 것을 발표했다. * 3월 - 얼태럼 기관에서 OICW와 OCSW에는 동일 규격으로 맞추는 건 불가능하지만 화기의 매커니즘과 설정 등을 똑같게 만든다면 내부의 [[신관(동음이의어)|신관]]과 [[탄두]]는 가능하다는 보고서를 JSSAP 사업부에 제출했다. 또한 여기에는 OICW 전용 탄약에는 OCSW 대비 5.48달러 더 비싼 신관이 쓰임에도 결과적으로는 단가 절감과 자체 화력 증대를 꾀할 수 있는 반면, OICW의 중량이 보다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도 포함되어 있었다. * 9월 -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PM Soldier Weapons)에서 기존의 OICW 사업에 새로 포함되는 [[H&K XM8|XM8 경량형 카빈(Lightweight Carbine)]] 개발 요구서가 작성되었다. * 11월 - OICW 사업부에서 ATK 및 H&K 사가 맡게될 XM8 요구 사양에 관한 검토와 협의가 진행되었다. * 12월 - ATK 및 H&K 사는 XM8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59603&cid=50307&categoryId=50307|예비 설계(Preliminary Design)]]가 진행되는 동안 15개의 요구 사양 확인 요청과 그에 관련된 절충안을 일부 제시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3/|2003년]] * 불명 - 동년에 벌어진 [[이라크 전쟁]]의 [[시가전]] 영향을 받은 [[H&K M320|강화형 유탄발사기(EGLM)]], [[도어브리칭|돌파용]] [[M26 MASS|경량형 산탄총(LSS)]], 다목적 가변배율조준경(MPO) 등이 미 육군의 [[https://www.peosoldier.army.mil/sep/|SEP(군인 강화 사업, Soldier Enhancement Program)]]에 새로 추가되었다. * 불명 -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PEO Soldier)에서 XM29의 도입에 앞서 1단계(OICW Increment I)의 XM8과 2단계(OICW Increment II) XM25로 먼저 나뉘어서 진행될 것이라는 보고가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_Bolton_Jr.|클로드 M. 볼튼 주니어(Claude M. Bolton Jr.)]]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에게 전달되었다. * 3월 -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에서 XM8 200정 조달 목적의 긴급 주문서가 작성되었다. * 3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25mm 전환을 위해 ATK 사에게 XM29의 20mm 공중폭발탄 개발을 중지시켰다. * 4월 -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에서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 [[https://www.socom.mil/SOF-ATL/Pages/programs.aspx|무기사업부(PM-SOF Weapons)]]가 추진 중인 [[SCAR(군사사업)|SCAR(특수작전부대용 돌격소총, Special Operations Forces Combat Assault Rifle)]] 사업을 [[https://en.dict.naver.com/#/entry/enko/8339f04e68764de191498eb770b51b74|나선형 개발]] 방식으로 기존의 1단계에 조합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 4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기존의 XM8에 같은 계열의 4개 파생형이 추가됨에 따라 계약이 조정되었다. * 4월 -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에서 XM8 사업이 획득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추진일정 결정 권한(Milestone Decision Authority) 상태로 잘못 표기되었다. * 4월 - 미군 합동소화기종합계획(JSSAMP) 제4차 개정판에 XM8, XM25, XM29 개발을 비롯한 기존 소화기 체계의 개선과 경량 탄약 또는 열영상 조준경 및 다기능 [[레이저]] 통합 전자시스템 등의 각종 소화기 관련 신기술 도입이 주가 되는 8년 간의 단기 목표, [[탄도]] 보정이 가능한 대구경 및 신소재의 소구경 탄약과 경량 소화기 계열 도입이 주가 되는 8~15년 간의 중기 목표, 살상 및 비살상 용도의 직접 [[광학 병기|에너지 무기]] 도입이 주가되는 15년 이상의 장기 목표가 추가되었다. * 6월 -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에서 XM8와 4개 파생형의 SDD 단계 진입과 동시에 생산 및 조달 기준이 명시된 FCR(미래형 전투용 소총, Future Combat Rifle) 운용요구서 기반의 도입 결정 제안서가 작성되었다. * 6월 - [[https://www.dvidshub.net/image/6995284/prolific-army-inventor-tackles-problem-overheating-gun-barrels-and-their-perils|프랭크 J. 딘들(Frank J. Dindl)]]은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를 대신하여 XM29의 공중폭발탄 발사기에도 쓰일 비살상 탄약의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7월 - ATK 사는 XM8의 핵심 설계 검토가 진행되는 동안 OICW 사업부가 H&K 사의 계획에 따라 XM8 계열 4개 파생형의 사양을 변경시킬 것을 권고했다. * 7월 - H&K 사의 빌헬름 피쉬바흐(Wilhelm Fischbach), 로베르트 뇌플(Robert Knöpfle)은 OICW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 * 8월 - [[https://www.idga.org/events-militaryhealthcareevent/speakers/ltc-matthew-clark|매튜 클라크(Matthew Clarke)]] 중령은 [[미합중국 육군#직속 보고 부대|미 육군시험평가사령부(ATEC)]]로 XM8 200정이 성능 평가 목적으로 주문되었음을 발표했다. * 10월 - XM8 30정이 [[미국]] [[메릴랜드|메릴랜드 주]]의 [[애버딘 성능 시험장]]에 조달되었다. * 10월 - XM8의 [[총기 액세서리|보조장비]] 부착을 위한 적용된 [[https://www.google.com/search?q=xm8+Multiple+Attachment+Point+System+MAPS&newwindow=1&sxsrf=ALiCzsaWNhCrg1l8lTkQ5ehpkX3ID1xKOw:1666929627157&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z7arihIL7AhUWgVYBHb3HD68Q_AUoAXoECCAQAw&biw=2560&bih=1297&dpr=1#imgrc=UhSIKpjQCsFJLM|MAPS(다중 부착점 시스템, Multiple Attachment Point System)]]이 [[https://twitter.com/jpg2t785/status/1294114195777236992|PCAP(피카티니 전투용 부착점, Picatinny Combat Attachment Points)]] 명칭으로 바뀌었다. * 12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8의 [[기계식 조준기|보조 조준기]], [[손전등|가시광 조명장치]], 접이식 [[개머리판]]이 추가 또는 개량되었으며, [[공포탄]] 어댑터의 개발 및 시험이 공지되었다. * 12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8 및 4개 파생형 500정 계약에 관한 협의 계획이 세워졌다. }}}|| ||
[[파일:atk-oicw_1995.png|width=100%]] || || '''ATK OICW (1995년형)''' || || [[파일:aai-oicw_unknown.png|width=100%]] || || '''AAI OICW (불명)''' || [[https://media.defense.gov/2006/Sep/29/2001712573/-1/-1/1/06-123.pdf|1993년]] [[JSSAP|미군 합동제식소화기사업부]]는 네번째 개정된 소화기 종합계획(SAMP)을 바탕으로 [[미래보병체계#미국|목적군 보병(Objective Force Warrior)]] 전용의 OFSA(목적군 소화기 계열, Objective Family of Small Arms)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일반적인 [[돌격소총]]에 [[사격통제장치]] 및 공중폭발탄발사기가 합쳐진 복합소총인 OICW(목적군 보병 전투용 화기,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개발도 포함되어 [[미국 국방부|미 국방부]]의 정식 [[https://acqnotes.com/acqnote/acquisitions/acquisition-process-overview|획득 절차]]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성된 [[https://books.google.co.kr/books?id=Af0R_PtezzIC&pg=RA1-PA7&dq=oicw-atd&hl=ko&sa=X&ved=2ahUKEwjhpZGOj7n7AhUSr1YBHU22Bt4Q6AF6BAgNEAI#v=onepage&q=oicw-atd&f=false|OICW 기술 검증(OICW ATD)]] 과정으로 이어졌다. ||
[[파일:oicw_small_arms_simulator-1999.jpg|width=100%]] || || '''전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모의전''' || 여기에는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현 [[노스롭 그루먼|노스롭 그루먼 이노베이션 시스템즈]]) 사 주체의 컨소시엄이 경합을 거쳐 1998년에 주계약자로 최종 선정되면서 [[https://books.google.co.kr/books?id=4NoQ8vFJgy0C&pg=PA166&lpg=PA166&dq=oicw+pd%26rr&source=bl&ots=LjMka0941A&sig=ACfU3U06QmZtsEZJaBMVDo4Ws4c1a_tYTg&hl=ko&sa=X&ved=2ahUKEwiX0NHcjrn7AhVerVYBHY95AdwQ6AF6BAgEEAM#v=onepage&q=oicw%20pd%26rr&f=false|OICW 사업 정의 및 손해 경감(OICW PD&RR)]] 과정으로 이행되었으며, 2000년에는 본격적인 시제품을 통한 모의전에서 받은 높은 평가 덕분에 초기 핵심 목표 중 하나였던 약 8.1kg 이하의 최대 중량과 정당 30,000달러 이하의 단가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최첨단 기술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 하에 6,946,000달러가 더 추가된 계약이 체결되었다. ||
[[파일:xm29block3(year-unknown).jpg|width=100%]] || || '''XM29 후기형''' || 그러나 2001년의 [[9.11 테러]]를 기점으로 시작된 [[테러와의 전쟁]]에 국가적 역량과 천문학적인 예산이 집중되면서 이러한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자금적, 시간적 여유가 없어진 [[미국 의회|미 의회]]와 [[미국 국방부|미 국방부]]의 압력을 받아 미완의 상태임에도 2002년에 XM29 IAWS(공중폭발탄발사기 통합형 돌격소총, Integrated Airburst Weapon System)라는 시험 제식명이 부여되었을 뿐만 아니라 목적군 일부의 [[BCT|여단전투단(BCT)]] 지급으로 변경되었으며, 보다 빠른 실전 배치를 노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54606&cid=50307&categoryId=50307|나선형 개발]] 개념의 도입으로 [[H&K XM8|XM8 LWMS(경량형 모듈식 돌격소총, Lightweight Modular Weapon System)]]과 [[XM25 CDTE|XM25 ISAAS(개인용 반자동 공중폭발탄발사기, Individual Semi-Automatic Airburst System)]]으로 분리되어 거창했던 시작과는 달리 그 규모가 점점 줄어들었다. === 심사 이후 === ||<-4>
[[파일:ndia-pmiw-brieifing_2004nov.jpg|width=100%]] || ||<-4>'''[[http://www.smallarmsreview.com/display.article.cfm?idarticles=2027| ]][[Future Combat Systems#s-2.2.3|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Increment I]], 2001년~2002년[br][[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8-oicw-program.htm| ]]Lightweight Carbine, 2002년~2002년[br][[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2/| ]]Lightweight Assault Rifle System, 2002년~2003년[br][[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3/| ]]Lightweight Modular Weapon Systems, 2003년~2005년'''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M8_-_Final_Version.jpg|width=100]] ||[[H&K XM8|XM8]]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www.inetres.com/gp/military/infantry/rifle/XM8.html| ]] || || [[파일:colt-m5(le1020)_sheet 0.jpg|width=100]] ||OICW Mark II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콜트(총기회사)|콜트 디펜스]] || [[https://smallarmsreview.com/the-colt-oicw-increment-i-light-machine-gun/| ]] || ||<-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3/| ]][[XM29 IAWS|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Increment II]], 2003년~2008년[br][[https://en.wikipedia.org/wiki/XM25_CDTE#History| ]]Individual Semi-Automatic Airburst System, 2005년~2008년[br][[https://www.armyrecognition.com/united_states_us_army_light_and_heavy_weapons_uk/xm-25_xm25_grenade_launcher_data_sheet_specifications_information_description_intelligence.html| ]]Counter Defilade Target Engagement, 2008년~2018년'''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 [[파일:xm25_profile.jpg|width=100]] ||[[XM25 CDTE|XM25]]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web.archive.org/web/20090219142705/http://peosoldier.army.mil/factsheets/SW_IW_XM25.pdf| ]] || ||<-4>'''[[https://modernfirearms.net/en/assault-rifles/u-s-a-assault-rifles/xm29-oicw-eng/|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Increment III, 2003년~2005년[br][[https://books.google.co.kr/books?id=ND0VeiVHfGYC&pg=RA4-PA37&dq=xm29+Integrated+Airburst++Weapon+System&hl=ko&sa=X&ved=2ahUKEwjz3dyVtc_6AhVPe94KHWZ2CcQQ6AF6BAgDEAI#v=onepage&q=xm29%20Integrated%20Airburst%20%20Weapon%20System&f=false| ]]Integrated Airburst Weapon System, 2003년~불명'''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파일:external/www.thefirearmblog.com/DSC_0825mod-660x304.jpg|width=100]] ||XM29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guns.fandom.com/wiki/XM29_OICW| ]] || ||<-4>{{{#!folding 타임라인 펼치기 · 접기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4/|2004년]] * 1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TACOM-ARDEC)에서 ATK 사에게 OICW 및 OCSW의 공용 신관 개발을 중지하고 이전대로 개별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 * 1월 - H&K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는 XM25의 조준경 부착대에 관한 미국 [[https://patents.justia.com/patent/20040139644|특허권]]을 출원했다. * 2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8의 연구개발 및 설계 변경된 기본형 250~300정 생산 계약이 H&K사와 체결되었다. * 2월 - [[https://en.wikipedia.org/wiki/PEO_Soldier|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PEO Soldier)]]에서 2005년 이사분기에 XM8의 설계 개선과 [[BCT|여단전투단(BCT)]] 배치 관련 요구사항들이 정리된 긴급 제안서의 인가가 내려졌다. * 2월 -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에서 XM8의 생산을 독자적으로 제의했다. * 2월 - 미 육군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8의 피카티니 전투용 부착점(PCAP)과 호환되는 [[http://pewpewpew.work/usa/r/xm8/po1cc_l.jpg|가시광 전술조명]] 170개 계약이 [[https://en.wikipedia.org/wiki/Insight_Technology|인사이트 테크놀로지(Insight Technology)]] 사와 체결되었다. * 3월 - 미 육군에서 XM8의 자료 저작권이 H&K 사에게 있다는 이유를 들어 콜트 사의 생산 및 복제 행위에 제재가 가해졌다. * 3월 -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G._Webster|윌리엄 G. 웹스터 주니어(William G. Webster)]] 미 육군 제3보병사단장은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A._Cody|리처드 A. 코디(Richard A. Cody)]] 미 육군 부참모장(Deputy Chief of Staff for Operations)에게 XM8 기반의 유탄발사기 통합형 운용요구서를 제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3월 - XM8 연구 개발 예산이 3,750,000달러로 증액되었다. * 4월 - XM8 연구 개발 예산이 5,625,000달러로 증액된 이후, 미 육군은 2005년까지 두 여단전투단의 XM8 배치를 위해 미 의회에게 7,000정 도입에 26,000,000달러를 추가 요청했다. * 4월 - XM8의 완전가동생산의 전단계인 [[https://acqnotes.com/acqnote/acquisitions/milestone-c|C 추진일정(Milestone C)]]이 2004년 9월과 2005년 2월 사이로 추진되었다. * 6월 - XM8 연구 개발 예산이 7,400,000달러로 증액되었다. * 6월 - H&K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 빌헬름 피쉬바흐(Wilhelm Fischbach), 알렉산더 슈툼프(Alexander Stumpp)는 XM8의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이 적용된 [[돌격소총]], [[지정사수소총]], [[기관총#경기관총|경기관총]] 파생형과 [[https://www.google.com/search?q=xm8+compact+carbine&tbm=isch&ved=2ahUKEwjQv6Lp-In7AhUMUN4KHfmSCbAQ2-cCegQIABAA&oq=xm8+compact+carbine&gs_lcp=CgNpbWcQAzIECCMQJzoHCAAQgAQQEzoICAAQCBAeEBM6BggAEB4QE1C6A1j4GmC8G2gBcAB4AIABpQKIAd4MkgEGMTIuMi4xmAEAoAEBqgELZ3dzLXdpei1pbWfAAQE&sclient=img&ei=EnlfY9DuFoyg-Qb5paaACw&bih=1297&biw=2560#imgrc=uHQD_wlRgjwx5M|신축식]] 개머리판이 적용된 [[단축형 총기|단축돌격소총]] 파생형의 설계 및 외형에 관한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D631931|미국 특허권]]을 출원했다. * 7월 - 미국 [[코네티컷]] 주의회 대표단은 [[https://en.wikipedia.org/wiki/Les_Brownlee|레스 브라운리(Les Brownlee)]] [[육군부|미 육군장관]]에게 콜트 사를 XM8 사업에 배제시킨 이유를 묻는 서신을 보냈다. * 7월 - [[미국 국방부|미 국방부]]에서 2005년 회계연도에 포함된 XM8 생산 예산안 중 25,900,000달러가 삭감되었다. * 7월 - H&K 사의 폴리머제 탄약 생산에 1,000,000달러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 7월 - 미 육군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Morris_(financier)|로버트 모리스]] 획득센터(Robert Morris Acquisition Center)에서 [[M4 카빈|M4]], [[M16 소총|M16]], XM8 계열에 맞춘 최대 16,000개의 [[https://www.tacomaworld.com/threads/insight-technologies-ism-intergrated-red-dot-laser-sight-750.585263/|ISM(통합조준모듈, Integrated Sighting Modules)]] [[도트 사이트|무배율조준경]] 및 [[https://www.hkpro.com/threads/xm8-designated-marksmen-4x-sight-advanced-magnified-optic-maker.136094/|AMO(발전형 확대 광학기기, Advanced Magnified Optics)]] [[망원조준경]] 도입 계약이 인사이트 테크놀로지 사와 체결되었다. * 8월 - OICW 제1단계 사업 관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54825&cid=50307&categoryId=50307|능력 개발 요구서]]가 공개되었다. * 9월 - 미 육군 부참모장은 OICW 제1단계의 [[https://acqnotes.com/acqnote/acquisitions/milestone-b|B 추진일정(Milestone B)]] 분석 지원 제안서를 [[LSAT 경기관총|대안 사업]]을 조사 중인 미 육군 훈련교리사령부에게 제출했다. * 10월 - 미군 합동 소화기 종합계획이 개정되었다. * 10월 - [[미국 하원|미 하원]]에서 미 육군이 늦어도 동년 11월 15일까지 국방위원회에 XM8 계열의 배치 계획을 알릴 것을 [[https://www.congress.gov/congressional-report/108th-congress/house-report/773|108-773번 회의보고서]]를 통해 촉구했다. * 10월 - 미 육군 요구사항감독위원회(Army Requirements Oversight Council)에서 OICW 제1단계의 능력 개발 요구서 인가가 내려졌다. * 11월 - 미 육군 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25 전용 25mm 공중폭발탄 내부의 [[https://ko.wikipedia.org/wiki/MEMS|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안전장치를 설계 중인 ATK 사와의 계약을 맺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 11월 - OICW 사업부에서 단계적 획득 절차를 다루기 위한 XM25 도입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5/|2005년]] * 1월 -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는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에게 OICW 제1단계 비개발품(NDI) 경합 실시를 지시했다. * 1월 - [[제너럴 다이내믹스]] 랜드 시스템즈 유럽지사와 H&K 사가 XM8의 생산 및 조달을 위한 미국 국적의 합자 회사 설립을 발표했다. * 2월 - 대체사업 조사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는 동안 [[https://www.itea.org/walter-walt-w-hollis-1926-2018-2/|월터 W. 홀리스(Walter W. Hollis)]] 미 육군작전연구 차관보가 이끄는 연구자문단에서 미 육군 훈련교리사령부는 핵심성능수치 분석을,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Army_Training_and_Doctrine_Command_Analysis_Center|분석센터(TRAC)]]와 미 육군 비용경제담당차관보는 비용 분석 및 후속 가용성 평가의 수정을,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는 M4 전용의 다목적 조준 보조장비(Multi-Purpose Sighting System) 부착 방식의 결정을,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는 현용 무기의 비용 및 가용성 평가의 갱신을 요청했다. * 2월 - 미 육군 요구사항감독위원회에서 검토 목적의 제1단계 능력개발요구서를 수령했다. * 3월 - 미 육군 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XM8 전용의 2개의 목표물 획득 및 발사 제어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별도의 배터리 부착대를 설계, 제작 및 제공하고 추후 XM25 개발을 위한 수정 계약이 ATK 사와 체결되었다. * 3월 - 미 육군 기갑차량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를 대신해 M4, M16, [[M249]], [[베레타 M9|M9]] 대체 목적의 OICW 제1단계 사업 참여를 원하는 업체들에게 관련 요청제안서를 발행했다. * 3월 - H&K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는 XM25 및 XM29 전용의 또다른 [[노리쇠]] 잠금장치 관련 미국 특허권을 출원했다. * 4월 - ATK 사에서 XM25 6정을 현장 시험 용도로 미 육군에 납품하였다. * 5월 -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에서 감독 목록 중의 총 376개 사업에 대한 추진일정 결정 권한을 가진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는 OICW 제1,2 결정 권한을 양도하고 OICW 제3단계에만 관여하도록 요청했다. * 5월 - 미 육군 보병연구소 및 보병학교에서 대안 무기 계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에게 제출했다. * 5월 - OICW 제1단계 사업의 최종 자료 요청서가 공개되었으며, 제출 마감일이 동년 11월까지 연기되었다. * 5월 - 미 국방부 감찰관실(Department of Defense Office of Inspector General)에서 기존 OICW 운용요구서(ORD)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획득분류기준을 정하기 전까지 OICW 제1단계 사업을 중단시킬 것을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에게 촉구했다. * 5월 - H&K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 빌헬름 피쉬바흐(Wilhelm Fischbach), 알렉산더 슈툼프(Alexander Stumpp)는 XM8 축소형의 설계 관련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D542877S1/en?oq=D542877|미국 특허권]]을 출원했다. * 6월 - 미 육군연구개발공학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RDECOM-ARDEC)에서 OICW 제1,2,3단계 사업의 공학 기술 지원과 독립된 주체로서의 검토 및 수정 의견을 제공하고 추후 진행될 추진 일정 및 완전가동생산을 준비 중인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를 대표해 다른 정부기관들과의 연락책을 맡을 업체 모집을 발표했다. * 6월 - 미 육군 군인무기기획관리부는 XM25의 시스템 개발 및 실증과 저비율생산 단계 실행을 위한 OICW 제2단계 사업의 완전 공개 경합을 실시했다. * 6월 - 미 육군보병연구소에서 OICW 제2단계 능력 개발서 초안을 마련했지만, 완성되거나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로 제출되지는 못했다. * 6월 - OICW 사업부에서 XM25 도입 계획 초안을 갱신했다. * 7월 -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는 연구자문단이 OICW 제1단계 사업의 시스템 개발 실증(SDD) 결정을 지지하며, 2005년 9월에 있을 대안 사업의 정식 분석 결과와 그 이후의 미 국방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에서 작성될 지침에 기대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미 국방부 기술물류차관실과의 면담 결과를 토대로 OICW 제1단계 사업은 그 규모가 충분하고 다른 군사집단의 운용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https://man.fas.org/dod-101/sys/land/acatdef.htm|제1획득분류기준(ACAT I)]]으로 지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7월 - 미 육군연구개발공학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의 지시에 따라 동년 9월 초에 있을 합동 요구사양 감독위원회(Joint Requirements Oversight Committee)가 소집에 맞추어 OICW 제1단계 사업이 중단되었다. * 8월 - 합동 요구사양 감독위원회는 대안 사업 분석 결과 없이는 OICW 제1단계 사업 검토를 진행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9월 - 클로드 M. 볼튼 주니어 미 육군획득물류기술 차관보는 OICW 사업은 세개로 분할된 제2획득분류기준(ACAT II)에 속하기 때문에 추진 일정 권한은 여전히 자신에게 있으며, 미 국방부의 주요 획득사업에 속하는 제1C획득분류기준(ACAT IC) 재지정을 고려하겠다고 동년 5월에 발표된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의 요청에 답변했다. * 9월 - OICW 사업부에서 XM25 계약이 이달 말에 만료될 예정이며, 회계연도 2006년 내로 미 육군전투연구소의 [[https://en.dict.naver.com/#/entry/enko/1b6dd642381f48e3b105a151810abdbb|능력개발요구서]] 인가를 받지 못하면 시스템 개발 및 실증 단계로 접어들지 못해 2020년이 되어서도 배치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 9월 - H&K 사의 요하네스 무렐로(Johannes Murello)는 [[H&K G36|G36]] 및 XM8 계열 전용 수직손잡이 관련 미국 특허권을 출원했다. * 10월 - 미 국방부 감찰관실에서 미 육군이 OICW 제1단계 사업의 시스템 개발 및 실증 단계 진입 전에 제안요청서를 발행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핵심 문서를 완성시키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운용요구서에서의 문제도 해결하지 못했다는 점들을 지적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 10월 - 미 육군연구개발공학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기존 제식 [[소화기(동음이의어)#小火器: 소형 화기 혹은 개인 화기|소화기]]의 우선순위를 재평가하고 최근의 [[테러와의 전쟁|전투 작전]] 중에 확인된 성능 격차를 따지려는 미 육군의 의향에 따라 OICW 제1단계 사업의 제안요청서를 철회했다. * 10월 -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가 XM29을 모방한 [[K11 복합소총|K11]]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9&pn=0&num=9692|초기형]]을 [[지상군 페스티벌]] 중에 공개했다. * 11월 - OICW 사업부에서 XM25 획득 계획을 재갱신했다. * 12월 - 미 하원에서 미 육군이 2006년 1월 29일까지 OICW 제1단계 사업 계획과 획득 전략 등이 포함된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https://www.congress.gov/congressional-report/109th-congress/house-report/359|109-357번]] 회의보고서를 통해 촉구했다. * 12월 - 미 육군연구개발공학사령부 병기개발연구소에서 미 육군 군인사업총책임부를 대표해 XM25 공중폭발탄발사기의 사업 정의 및 손해 경감(PDRR)과 시스템 개발 및 실증(SDD) 단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ATK 사와의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
[[파일:xm8_testing.jpg|width=100%]] || || '''XM8 단축형''' || 그렇게 따로 나뉘어진 제1증가단계(OICW Increment I)의 XM8은 이미 완성된 [[H&K G36|G36]]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그동안의 지지부진했던 과거와는 다르게 고작 1년이 지난 2003년에 초기형의 성능 실험이 진행될 수 있었으며, 여러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통해 접이식 [[기계식 조준기|가늠쇠]]가 새로 달리거나 고내열성 [[총열덮개]]와 목표지시기 통합형 [[https://www.opticsplanet.com/insight-technology-ism-ir-red-dot-sight-w-ir-laser-ir-illuminator-and-visible-laser.html|ISM]] [[도트 사이트|무배율조준경]] 등으로 바뀌는 개량이 재빠르게 이루어지기도 했다. 모듈성을 고려한 설계 덕분에 간단한 내외장부품 교체만으로 다양한 임무별 파생형 전환 능력도 갖추고 있어 차기 [[제식 소총]]으로서 부족함이 없어 보였으나, 2004년에 [[헤클러 운트 코흐]] 사가 다른 제조업체와의 경쟁 입찰 없이 분리 이전의 계약을 연장받았다는 사실이 지적당하면서 본격적인 양산을 목전에 두고 점점 차질이 빚어졌다. 2005년에 이르러서는 [[https://en.wikipedia.org/wiki/Department_of_Defense_Office_of_Inspector_General|미 국방부 감찰관실(DoDIG)]]까지 관여하여 [[콜트(총기회사)|콜트 디펜스]] 사 등의 참가 조건을 내건 [[https://www.defenseindustrydaily.com/oicw1-canceled-door-closes-on-xm8-for-now-01430/|제안요청서]]가 반려되어 잠시 표류하는 것으로 끝나는듯 보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업 자체가 무기한 지연됨에 따라 가장 나중에 진행될 제3증가단계(OICW Increment III)의 XM29 통합은 결국 없었던 일이 되고 말았다. ||
[[파일:m4mws(peq15+m150) 0.jpg|width=100%]] || || '''M4 MWS 양산형''' || || [[파일:lsat_lmg 0.jpg|width=100%]] || || '''LSAT 경기관총 초기형''' || 이러한 실패는 [[M4 카빈|M4]]의 미 육군 전체 제식화 결정으로 이어져 한동안 [[SOPMOD|특수부대용]]으로 여겨지던 [[https://www.defenseindustrydaily.com/aim-illuminate-fire-mfals-deliveries-to-us-troops-continue-01188/|다용도 레이저 지시기(MFAL)]]와 [[ACOG|소총용 조준경(RCO)]] 등의 각종 [[총기 액세서리|보조장비]] 부착 목적의 [[https://books.google.co.kr/books?id=sU5BxNcE6a4C&pg=RA9-PA312&dq=us+army+m4/m16+mws&hl=ko&sa=X&ved=2ahUKEwi56ejxxcf7AhVRd94KHc_dDEEQ6AF6BAgDEAI#v=onepage&q=us%20army%20m4%2Fm16%20mws&f=false|MWS]]([[M16 소총|M16]] 및 [[M4 카빈]] 모듈화, M16/M4 Modular Weapon System) 개수는 물론, 나중에는 [[5.56×45mm NATO#M855A1|M855A1]] 성능향상탄(EPR)까지 보급되어 예상 수명이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NGSW|차세대 분대화기(NGSW)]]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대안사업인 [[https://en.wikipedia.org/wiki/Lightweight_Small_Arms_Technologies|LSAT(경량 소화기 기술, Lightweight Small Arms Technologies)]]가 새로 탄력을 받는 결과를 낳았다. ||
[[파일:xm25(early)-mockup.jpg|width=100%]] || || '''XM25 초기형''' || 그에 반해 제2증가단계(OICW Increment II)의 XM25는 분리 이전부터 살상력을 늘리는 동시에 [[XM307 ACSW|XM307 ACSW(발전형 공용화기, Advanced Crew Served Weapon)]]와의 [[탄두]] 및 [[신관(동음이의어)#폭발물을 기폭시키는 장치|신관(Fuze)]] 공유를 위해 구경이 25mm로 바뀌는 우여곡절을 겪었음에도 목표물 위를 노려 타격을 입힌다는 미래무기로서의 가치가 있었기에 대체 필요성에 대해 논란을 자주 겪은 XM8과는 달리 별개의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2010년의 미 육군 [[제101공수사단]] 시범 배치까지 무난한 개발 과정을 밟아나갔다. ||
[[파일:xm25-iasaas(operational).jpg|width=100%]] || || '''XM25 중기형''' || 하지만 이마저도 2013년의 [[https://www.militarytimes.com/off-duty/gearscout/2013/03/05/army-removes-xm25-from-service-after-incident/|오발]] 사고의 여파로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Senate_Committee_on_Armed_Services|미 상원 국방위원회(United States Senate Committee on Armed Services)]]에게 1,400정 양산 요청이 거절당하면서 정식 운용 직전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게다가 2017년에는 오비털 ATK(구 얼라이언트 테크시템즈) 사가 초기형 20정 조달을 지연시킨 헤클러 운트 코흐 사를 상대로 한 [[https://casetext.com/case/orbital-atk-inc-v-gmbh|손해배상 소송]]까지 벌어지는 악재까지 더해지면서 아예 미 육군과의 계약마저 취소되었으며, 바로 다음해인 2018년에 사업 종료 [[https://www.stripes.com/branches/army-s-xm25-program-officially-goes-kaput-1.541971#.W22yKxFpNuU.twitter|발표]]를 통해 그동안의 긴 시간과 막대한 예산 투입을 뒤로 한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man.fas.org/dod-101/sys/land/oicw.htm]]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oicw.htm]]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29-oicw.htm]] * [[https://en.wikipedia.org/wiki/Objective_Individual_Combat_Weapon]] * [[https://guns.fandom.com/wiki/XM29_OICW]] * [[https://guns.fandom.com/wiki/AAI_OICW]] * [[http://pewpewpew.work/usa/oicw/oicw.htm]] *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58291]] * [[https://books.google.co.kr/books?id=G_Svi3no_HYC&pg=RA6-PA5&dq=samp+ofsa&hl=ko&sa=X&ved=2ahUKEwimzJGCuc_6AhXZVN4KHb39DrAQ6AF6BAgDEAI#v=onepage&q=samp%20ofsa&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_bMZb0Ev8doC&pg=PA157&dq=xm29+Integrated+Airburst++Weapon+System&hl=ko&sa=X&ved=2ahUKEwjz3dyVtc_6AhVPe94KHWZ2CcQQ6AF6BAgHEAI#v=onepage&q=xm29%20Integrated%20Airburst%20%20Weapon%20System&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ND0VeiVHfGYC&pg=RA4-PA37&dq=xm29+Integrated+Airburst++Weapon+System&hl=ko&sa=X&ved=2ahUKEwjz3dyVtc_6AhVPe94KHWZ2CcQQ6AF6BAgDEAI#v=onepage&q=xm29%20Integrated%20Airburst%20%20Weapon%20System&f=false]] === PDF === * [[https://apps.dtic.mil/sti/pdfs/ADA394760.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394748.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393751.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471954.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403708.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394805.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A502339.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4/armaments/06_Audette_Fire_Power.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5/smallarms/wednesday/clarke.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1/smallarms/Thursday12439Stucki.pdf]] * [[https://www.dote.osd.mil/Portals/97/pub/reports/FY2002/other/2002DOTEAnnualRpt.pdf?ver=2019-11-07-180204-860]] * [[https://asc.army.mil/docs/pubs/alt/archives/2003/Nov-Dec_2003.pdf]] * [[http://hk-manuals.s3.amazonaws.com/files/Catalogs/Product_Flyers/OICW_Flyer.pdf]] === PPT === * [[https://view.officeapps.live.com/op/view.aspx?src=https%3A%2F%2F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2Fndia%2F2003%2Fsmallarms%2Fspieg.ppt&wdOrigin=BROWSELINK]] * [[https://view.officeapps.live.com/op/view.aspx?src=https%3A%2F%2Fwww.globalsecurity.org%2Fmilitary%2Flibrary%2Freport%2F2002%2FJSSAP_APBI_5-02.ppt&wdOrigin=BROWSELINK]] == 관련 문서 == * [[미군/장비/보병 무기/관련 사업]] [[분류:미군]][[분류:군사사업]][[분류:복합소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