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 {{{+2 {{{#ffd500 '''Р-360 Нептун'''}}}}}}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Neptune_cruise_missile_05.jpg|width=100%]]}}} || ||<#005bbb> {{{#ffd500 '''시험 발사중인 R-360 넵툰'''}}} || [목차] [clearfix] == 개요 == 넵툰 대함 미사일은 [[우크라이나]]에서 개발된 아음속 [[대함 미사일]]이다. 기초가 된 모델인 [[Kh-35]] 우란과 비교해보면, 발사중량이 870kg으로 늘었고, 그에 따라 사거리 역시 280km까지 늘어났다. [[http://www.military-today.com/missiles/neptun.htm|출처]] [[우크라이나]]의 [[우크로보론프롬]] 사가 개발하여 2021년부터 배치가 시작된 최신 미사일로, 미사일 발사대와 탐지 레이더, 지휘차량이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우크라이나 해군]]은 원래 5세트 구매를 원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3세트만 구매 계약을 맺을 수 있었고, 그나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회사 직원들 70%가 주 1일 근무하여 2022년 시점에는 오직 1세트만 인도 받을 수 있었다. 지대함 버전(RK-360MTs)이 가장 먼저 실전배치되었으며, 함대함 버전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모든 고속정 또는 경비정이 현역으로 배치된 상태라 배치가 늦어질 것으로 보였다. 2023년 8월 기준으로 크림반도에 GUR이 침투한 후 공습을 유도한 점을 통해 지대지 미사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개발 역사 == [[2015년]] [[키이우]]에서 열린 "Weapons and Security 2015"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2016년]] 봄에 시험비행용 샘플이 처음 생산되었다. 최초의 비행테스트는 2016년 3월 22일 실시되었고, [[2018년]] 실사격 테스트에 성공하며 전력화되었다. 지대함 버전은 [[2019년]] 12월부터, 함대함 버전은 [[2021년]] 3월부터 우크라이나군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 지대함 버전: RK-360MTs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Neptune_cruise_missile_03.jpg|width=100%]]}}} || ||<#005bbb> {{{#ffd500 '''USPU-360 발사대 차량과 [[페트로 포로셴코|{{{#ffd500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 || 가장 먼저 실전배치된 모델로, [[카탈로그]] 상 1개 포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x RKP-360''': 이동지휘소. 초기에는 [[KrAZ-6322]] 트럭 차대를 사용했다가, 이후 [[타트라]] 815-7 트럭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6x USPU-360''':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발사대 차량]]. 각 차량마다 4연장 발사관 1조를 탑재한다. 초기에는 KrAZ-7634NE 트럭 차대를 사용했다가,[* 바로 위 사진 속의 차량으로 발사관 도색과 차량 차체 도색이 다른 것이 특징. [[페트로 포로셴코]]가 시찰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후 타트라 815-7 트럭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6x TZM-360''': 탄약운반 및 장전차량. 각 차량마다 4연장 발사관 1조를 운반하며, 유압 너클붐 [[크레인]]이 달려있어 발사관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초기에는 [[KrAZ-6322]] 트럭 차대를 사용했다가, 이후 타트라 815-7 트럭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6x TM-360''': 탄약운반차량. TZM-360과 달리, 크레인 없이 순수하게 탄약만 운반하는 [[카고트럭]] 차량이다. 각 차량마다 4연장 발사관 1조를 운반한다. 여기에 추가로 탐색거리 500~600km의 이동식 대수상 레이더 시스템인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6/Mineral-U%2C_Kyiv_2021%2C_25.jpg|미네랄-U]]'''와 연계가 가능하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РК-360МЦ_new.jpg|width=100%]]}}} || ||<#005bbb> {{{#ffd500 '''타트라 815-7 차대 기반 신형 포대[br]좌측부터 USPU-360, RKP-360, TZM-360.'''}}} || == 실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우크라이나 넵튠발사.jpg|width=100%]]}}} || ||<#005bbb> {{{#ffd500 '''모스크바함을 향해 발사되는 R-360 넵툰'''}}} || 도입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극소수 생산된 병기임에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큰 전과를 달성하면서 엄청나게 성공적인 데뷔를 했다. [[2022년]] [[4월 14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흑해 함대의 기함인 [[슬라바급 순양함]] 모스크바함에 명중시켜 격침시켰다고 보도되었다. [[https://www.ukrinform.net/rubric-ato/3456892-ukrainian-military-hits-russian-cruiser-by-neptune-missiles.html|출처]] 악천후가 심한 날에 수평선 너머 거리에서 평상시 레이더 탐지거리 바깥인 해안가 120km 거리에 큰 레이더 표적이 잡히자[* 평소보다 매우 낮은 1-2km 고도에 먹구름이 끼면서 [[대기권#s-5.4|전리층]]의 역할을 하여 레이더파를 반사시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모스크바함이라고 운용 요원들이 판단하고 [[오데사]] 방면에서 넵툰을 발사해 2발을 명중시켰다. [[https://www.pravda.com.ua/eng/articles/2022/12/13/7380452/index.amp|#]] 기관부에 정확히 명중하여 동력이 상실된 후 [[AK-630]] 탄약으로 추정되는 내부 탄약 일부가 [[유폭]]하여 큰 화재가 발생하였고, 승조원들은 기관부 손실로 인해 취할 수 있는 대응책이 없어지자 [[대미지 컨트롤|손상통제]]를 포기하고 퇴함하였다. 함정은 심한 손상을 입었으나 일단은 계속 떠있는 상태였는데, 화재를 진압하지도 못한 채로 어떻게든 살려보겠다고 [[세바스토폴]] 항구로 귀환하다가 결국 침몰하였다([[https://ria.ru/20220414/kreyser-1783626130.html|#]]) ([[https://twitter.com/CNN/status/1514702470391468038|CNN 기사]]). 40년 전인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군]]이 프랑스제 [[엑조세]] 대함미사일로 [[영국 해군]]의 구축함 [[셰필드(동음이의어)|셰필드]]를 격침시킨 이후, 대함미사일을 이용한 최대 전과로 기록될 전망이다. 슬라바급 모스크바함은 흑해 함대의 기함이자 러시아의 수도를 함명으로 하고 있어서 함 자체의 가치와 별개로 상징성도 큰데 그런 함선을 용궁행을 시킨데다, 러시아 측에서는 [[인지부조화|우크라이나가 잘 싸운다고 죽어도 인정을 못하겠으니 운용병의 실수로 화재가 발생해 침몰한 것이라 변명]]하게 만들어 큰 망신을 주었기에[* 러시아군은 공식적으로는 절대로 우크라이나군이 자신들에게 유효한 공격을 가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나, 친러 오신트와 러시아인들조차 이런 설명을 안 믿는다.] 그 가치와 상징성은 셰필드 격침보다 더욱 크게 평가된다. == 수출? == 2021년 8월, 인도네시아 해군이 넵툰 미사일의 구매를 고려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militaryleak.com/2021/08/02/indonesia-to-sign-contract-with-ukraines-luch-design-bureau-to-purchase-neptune-anti-ship-missile/|#]] 하지만 직후 러시아와의 전쟁 발발로 인해 우크라이나는 한동안 자국 방어에 소모할 물량 생산에 여력을 쏟아야 할 것이므로, 수출은 연기되거나 아예 불발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게다가 러시아가 모스크바함의 복수라며[* 우습게도 모스크바함 격침에 대한 러시아 국방부의 공식 입장은 여전히 '''우발적인 화재'''로 인한 탄약고 유폭 후 침몰이다.] [[칼리브르 미사일]]로 넵튠 미사일 생산공장을 폭격하여 근 시일 내로는 추가 생산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다만, 이번 [[모스크바함 침몰 사건]]으로 인해 성능을 입증한 터라 전후 하푼의 대량 구매가 부담스러운 국가들을 상대로 수출 실적을 기대할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순항 미사일]][[분류:대함 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우크라이나군/미사일]][[분류:2016년 공개]][[분류:201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