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최근 진행된 시즌, rd1=R6 Korean Open 2022 Autumn)] [include(틀:R6 e스포츠 APAC리그)] ----- [include(틀:R6 Korean Open)] ||<-7> {{{+2 {{{#0ffce8 '''레인보우 식스 시즈 코리안 오픈'''}}}}}} [br] {{{+1 {{{#771933 '''R6 Korean Open'''}}}}}} || ||<-7> [[파일:Korean_Open_r6s.png|width=63%]] || || {{{#0ffce8 '''주최/주관'''}}} ||<-6> [[유비소프트|[[파일:유비소프트 로고.svg|width=100]]]] || || {{{#0ffce8 '''총 상금'''}}} ||<-6> ₩ 60,000,000원[* 2022 Summer 기준] || || {{{#0ffce8 '''공식 홈페이지'''}}} ||<-6> [[http://r6esports.kr/|[[파일:R6_Korean_Open.png|height=20]]]] [[https://www.twitch.tv/rainbow6kr|[[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HmyFI0C7njIVu_G5det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2> {{{#0ffce8 '''하위 대회'''}}} || {{{#0ffce8 '''승강전'''}}} ||<-5> [[R6 Korean Open Relegation]] || || {{{#0ffce8 '''예선'''}}} ||<-5> [[R6 Korean Trial]] || || {{{#0ffce8 '''최근 우승팀'''}}} ||<-6> [[Talon Esports/레인보우 식스 시즈|[[파일:Talon Esports 로고.svg|height=20]] {{{#000 Talon Esports}}}]] ([[R6 Korean Open 2022 Autumn|2022 Autumn]]) || || {{{#0ffce8 '''최다 우승팀'''}}} ||<-6> [[Cloud9/레인보우 식스 시즈|[[파일:Cloud9 아이콘.svg|height=20]] {{{#000 Cloud9}}}]] (3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비소프트]]에서 개최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레인보우 식스 시즈]] 공식 리그. 2020년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운영 시스템 개편안에 따라 신설된 APAC North 산하 대한민국 1부 리그이다. [[유비소프트]]에서 주관하긴 하지만 전 주최였던 [[ESL]]이 물러나고 2023년부터는 새로운 주최 팀이 들어왔고 더이상 코리안 오픈이라는 리그는 사용하지 않고 'BLAST R6 South Korea League' 라고 불린다. 현재는 독립 리그 급으로 올라가서 Six Major 진출권이 걸리는 등의 혜택이 생겼다. == 참가팀 == [include(틀:R6 Korean Open 2022 Autumn/참가팀)] == 방식 == * 2020년 Summer * 기존 한국내 프로팀 4팀과 오픈 디비전을 통해 진출한 4개 팀 등 총 8개 팀이 참가한다. * 대회 맵은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클럽하우스|클럽하우스]],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영사관|영사관]],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해안선|해안선]],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도스토예프스키 카페|도스토예프스키 카페]],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오리건|오리건]],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테마파크|테마파크]],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빌라|빌라]]로 진행한다. * 타이브레이커 세트에서는 위 7개의 맵에서 밴되지 않은 맵 중 양 팀이 픽하지 않은 맵에서 진행된다. * Group Stage * 8개 팀이 4개팀씩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 *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 3세트 2선승제로 진행 * 각 그룹의 상위 2개팀은 플레이오프 진출 * Play Off *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세미파이널은 3판 2선승제로 진행 * 파이널은 5판 3선승제로 진행 * 2020년 Autumn * R6 Korean Open 조별리그 각 조에서 상위 3팀, 총 6팀과 R6 Korean Open Promotion에서 승격 및 잔류된 2개 팀 등 총 8개 팀이 참가한다. * 단, 시드권을 포기하는 팀이 있으면 그 팀 수만큼 R6 Korean Open Promotion에서 추가로 진출한다. * 그 이외는 시즌 1과 동일. * 2020년 Winter * 풀리그 체제로 바뀌었다. * 풀리그 * 8개팀이 각 팀과 한번씩 경기 진행 * 단판(Bo1)으로 진행 * 상위 6개팀은 파이널 진출 * 상위 2개팀 파이널에서 준결승으로 직행 * 하위 2개팀은 승강전 진출 * Final *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풀리그 상위 2개팀 준결승 직행 * 준준결승,준결승은 3판 2선승으로 진행 * 결승은 5판 3선승으로 진행 * APAC 승격 * 각팀은 시즌별로 성적에 따라 포인트를 받는데, 포인트 합산 1위팀은 APAC North 승강전에 진출하여 APAC North로 승격할 기회를 얻는다. * 다만, 1위팀이 이미 APAC North에 진출해있는 팀[* Cloud 9,Talon Esports,DWG KIA,T1]이거나 프로팀이 아니라면, 차순위 팀이 진출한다. * 그리고 APAC에서 한국팀이 강등되지 않는다면 승강전이 열리지 않으며, 2팀 이상 강등될경우 2개의 팀이 승강전으로 간다. *코리아 오픈에서 강등되어 코리아 오픈에서 소속되어있지 않더라도, 포인트 합산 1위를 차지할경우 APAC North 승강전에 진출할수 있다. 단, 당연하게도 해체되지 않았을때가 기준이다. *2022년 Spring *대회 맵에서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테마파크|테마파크]]와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국경|국경]],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마천루|마천루]]가 추가되고 기존 맵풀에 있던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해안선|해안선]]이 제거되었다. 전체 대회 맵풀은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클럽하우스|클럽하우스]],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도스토예프스키 카페|도스토예프스키 카페]],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오리건|오리건]],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테마파크|테마파크]],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빌라|빌라]],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마천루|마천루]],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별장|별장]],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은행|은행]], [[레인보우 식스 시즈/맵/국경|국경]] ||<-4> 시즌별로 얻는 포인트[*출처 https://liquipedia.net/rainbowsix/Korean_Open/2021] || || 순위 || Spring || Summer || Autumn || || 1위 || 60 || 80 || 100 || || 2위 || 40 || 60 || 80 || || 3-4위 || 30 || 40 || 60 || || 5~6위 || 20 || 30 || 40 || == 리그 일람 == [include(틀:R6 Korean Open/역대 시즌)] == [[R6 Korean Open/역대 기록|역대 기록 일람]] == [[R6 Korean Open/역대 기록]] 문서 참조. == 중계진 == === [[2020년]] === * 캐스터 : 최시은 > [[신일(캐스터)|신일]] * 해설 : [[여름장마|김인영]], [[레지나(인터넷 방송인)|레지나]] === [[2021년]] === * 캐스터 : [[신일(캐스터)|신일]] * 해설 : [[여름장마|김인영]], [[레지나(인터넷 방송인)|레지나]] === [[2022년]] === * 캐스터 : [[신일(캐스터)|신일]], [[최정윤(1996)|최정윤]] * 해설 : [[여름장마|김인영]], [[레지나(인터넷 방송인)|레지나]] == 여담 == == 관련 항목 == * [[e스포츠]]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R6 e스포츠]] [[분류:R6 Korean Open]] [[분류:레인보우 식스 시즈/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