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RPG-30.jpg|width=500]] [* 출처 : media.photobucket.com/image/RPG-30/andriantop/Rpg-30.jpg] [[파일:RPG 30.jpg|width=500]] 가장 왼쪽이 RPG-30이다. [목차] == 개요 == РПГ-30 «Крюк» RPG-30 "Kryuk" [[GRAU 코드명]] 7П53(7P53) [[러시아]]에서 개발된 [[반응장갑]]에 대응하여 탠덤탄두를 사용하면서, 또한 '''[[능동방어체계]](APS)를 무시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대전차 로켓이다. 현 러시아군의 주력 대전차 로켓 중 하나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병들이 휴대하는 대전차로켓으로써 높은 빈도로 등장하고 있다. == 제원 == || 발사관 구경 ||105mm|| || 무게 ||10.3kg|| || 유효사거리 ||200m|| || 총구초속 ||120m/s|| || 관통력 ||650mm (RHA), 1500mm (강화콘크리트), 2000mm (벽돌)|| == 작동 방식 == [[파일:attachment/disabled.jpg]] [[능동 방호 체계]]를 무력화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작은 페이크 탄두를 0.2~0.4초 먼저 발사한 뒤, 그 다음에 진짜 탄두가 날아가서 전차를 격파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이것을 이용해서 능동 방어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다. 또한 무유도 로켓이기 때문에, 재밍을 이용한 교란도 무시할 수 있다! 선행 탄두는 작긴 하지만 전차의 반응 장갑을 무력화시킬 수준의 화력은 보장한다고 한다. RPG-30이 무력화할 수 있는 APS는 다음과 같다. > * 미국의 [[http://blog.daum.net/skcoskc/17029582|퀵킬(Quick Kill)]][* 자세한 내용은 [[https://en.wikipedia.org/wiki/Quick_Kill|(영문) 위키백과]]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미군에서는 2006년 2월 8일에 퀵킬 APS를 시험 운용한 적이 있었지만 취소되었으며 사실상 2010년대 이후로는 M1 에이브람스 전차에 트로피 APS를 장착하고 있다.] > * 구 소련 시절때 개발한 [[https://blog.naver.com/parkhyun8727/221244358088|드로즈드(Drozd)]] > * 현재 러시아군이 [[T-80]], [[T-90]], [[BMP-3|BMP-3M]] 등[* 정확히는 1990년대 중후반 이후에 등장하거나 개량되기 시작한 T-80UM1 Bars나, 블랙이글, T-90MS, BMP-3M 등에 장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국군이 T-80U, BMP-3 계열에는 ARENA-E 방호체계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당장 국군이 불곰사업으로 도입한 기갑장비들이 구 소련(1980년대 생산분) 시기에 생산된 것이 많다고 추정되고 있다.]에 장착하여 운용하고 있는 [[https://blog.naver.com/as3030/140019740320|아레나-E(Arena-E)]] > * 서방제 전차들 대부분이 탑재중인 [[https://blog.naver.com/as3030/140019936761|트로피(Trophy)]] > * 대한민국 국군의 3.5세대 [[K-2 흑표]]에 장착하려고 했던 KAPS(한국형 APS)[* 사실 원래 K-2 흑표의 경우 K1과 K1A1에는 없는 하드킬과 소프트킬을 둘 다 사용하기로 했었지만 2020년 현재는 소프트킬 APS만 운용하고 있다. 흑표에 하드킬 APS가 장착이 안된 원인으로 아직은 폭발형 반응장갑처럼 전차를 수반하는 보병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고 급박한 전장에서 미사일의 피아 식별 문제가 있으며 여기에 가장 주요한 이유로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예산을 절감하고자 하드킬 APS는 PIP로 미루어졌다. 참고로 하드킬 APS의 구성품 중에 하나인 APS 레이더는 [[https://aw.my.games/en/news/general/black-panther|아머드 워페어 K-2 흑표]]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 * 그 외에 능동방호체계들 - [[https://blog.naver.com/as3030/140019883346|#1]], [[https://blog.naver.com/as3030/140019937624|#2]] 이러한 점으로 볼 때 RPG-30은 사실상 현재 인간이 도입한 대부분의 능동방어시스템을 무시하는 대전차 화기로 러시아군은 RPG-30을 2012~2013년동안 배치를 완료했다. 그래서 미국의 펜타곤에서 러시아군의 실전배치 몇 개월 뒤에 RPG-30을 ''''미국 기갑 전력의 비대칭적인 위협'''' 리스트에 올리게 되었다. == 단점 == 그런데 이것을 다 잡아먹는 단점이 있으니 사거리가 200m밖에 안된다. 즉, RPG-30을 쏘는 사람의 목숨부터 걱정해야 하는 상황. 사실상 교전거리가 짧은 시가전에서만 쓸수있다고 보면 된다. 물론 곡사 사격으로 하면 사정거리가 대폭 올라가겠지만 무게가 다른 두 로켓의 낙차도 다를 테고 그러면 APS 무시도 기대하기 힘들 뿐더러 무엇보다 곡사 사격하면 명중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 상대 전차의 APS 동시요격 성능이 좋아서 둘 다 탐지-요격에 성공한다거나, 주 장갑에 막혀서 관통에 실패한다거나, 로켓이 빗나간다거나 하면 다음 순서는 '''후폭풍으로 위치가 노출된 사수가 동축기관총과 대공기관총, 다목적 고폭탄에 오체분시되는 것이다.''' 실제로 KE 공격, 즉 날탄을 제한적으로 요격하는 것까지 목표에 넣은 APS 시스템이라면 RPG-30을 요격하는게 가능할 수도 있다. 당장 날탄의 평균적인 탄속이 250m 날아가는 데 0.2초 정도로 상당히 짧은 시간이지만 만약 그걸 제한적으로나마 요격할 수 있는 반응속도의 시스템이라면 200m 거리에서 0.2~0.4초의 시간이 주어지는 RPG-30은 충분히 요격가능성이 생긴다. 하지만 [[반응장갑]]과 [[능동방어체계]]까지 갖춘 현대 [[MBT]]를 상대로 하는 무기이고, 몇 백만원짜리 로켓탄으로 최신형 보호장비를 둘둘 감은 수십억짜리 전차에 치명타를 먹일 수 있는 가능성이라도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드넓은 들판이나 사막이 아닌 [[시가전]]의 양상을 띌 확률이 높은 현대 전장에서 일반 보병들이 전차를 공격할 때에는 약한 상면이나 측후면을 타격하게 될 것임을 감안할 때 이는 분명히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차를 격파하는 것 이전에, 적국이 이 로켓으로 무장한 병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전차를 밀어넣는 것에 큰 리스크를 느끼게 한다는 점 만으로도 이미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는 셈이며, 처음 발사되는 소형 탄두도 반응장갑이나 광학장비 정도는 손상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어, 그냥 무시하기엔 힘든 점에서 3세대 ~ 3.5세대 MBT에서도 꽤 위협적인 대전차 화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전차 로켓]][[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