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MD Radeon RX 시리즈]][[분류:2016년 출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Radeon)] [include(틀:AMD Radeon)] [include(틀:AMD GPU)] ## AMD 공식 웹사이트 기조색 목록 ## RADEON RX (2020년~현재) ## #ed1c24 : 색상 358°, 채도 88%, 명도 93% ## #9d0014 : 색상 352°, 채도 100%, 명도 62% ## RADEON RX (2016~2020년) ## #dd0031 : 색상 347°, 채도 100%, 명도 87% ## #6e0018 : 색상 347°, 채도 100%, 명도 43% (#dd0031 기준 검은색 불투명도 50% 오버레이) ## RADEON R9, R7, R5 (2013~2016년) ## #d01a21 : 색상 358°, 채도 88%, 명도 82% ## #440608 : 색상 358°, 채도 91%, 명도 27% ## RADEON HD (2010~2013년) ## #e5141e : 색상 357°, 채도 91%, 명도 90% ## #510101 : 색상 0°, 채도 99%, 명도 32% ## RADEON HD (2007~2010년) ## red : 색상 0°, 채도 100%, 명도 100% ## #8d0405 : 색상 0°, 채도 97%, 명도 55% ## [목차] [clearfix] == 개요 == [[Radeon]] RX 관련 문서. == gfx100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ti-r100-microarchitecture.gif]] 라데온 DDR에 사용된 R10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200-microarchitecture.gif]] 라데온 8500에 사용된 R200의 블록 다이어그램 * [[https://cgg.mff.cuni.cz/~semancik/research/resources/papers/ati/whitepaperradeon.pdf|Radeon Whitepaper]] 초대 라데온에 사용된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백서 === R100 / 초대 시리즈 === [[파일:attachment/R100ddr.jpg]] (사진은 R100 코어를 쓴 Radeon SDR 32 MB 초기 모델이다.)~~사진 속 쿨러가 [[펜티엄]] MMX 쿨러로 보이는 건 기분탓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VP:PP:TFU:ROP[br](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VIVO''' ||<|4> R100[br]^^(Rage 6C)^^[br],,(180㎚),,[br]^^(97㎟)^^ || 1:2:6:2[br](1, 4, 1, 8) || 183 || 128 || DDR || 183[br](366) || 64 || ? || ? || ||'''Radeon VIVO SE''' || 1:2:6:2[br](1, 4, 1, 8) || 187 || 128 || DDR || 180[br](360) || 64 || ? || ? || ||'''Radeon''' || 1:2:6:2[br](1, 4, 1, 8) || 166 || 128 || DDR || 166[br](332) || 32[br]64 || ? || ? || ||'''Radeon LE''' || 1:2:6:2[br](1, 4, 1, 8) || 143 || 128 || SDR || 143 || 32 || ? || ? || ||'''Radeon VE''' || RV100[br]^^(Rage 6)^^[br],,(180㎚),,[br]^^(97㎟)^^ || 1:1:3:1[br](1, 4, 1, 4) || 183 || 64 || DDR || 183[br](366) || 32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Vertex Pipeline = VP[br]Pixel Pipeline = P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536|ANANDTECH ATI Radeon 256 Preview]] * [[https://www.anandtech.com/show/585|ANANDTECH ATI Radeon 64MB DDR]] * [[https://www.anandtech.com/show/635|ANANDTECH ATI Radeon 32MB SDR]] * [[https://www.anandtech.com/show/721|ANANDTECH ATI Radeon VE 32MB]] * [[https://www.anandtech.com/show/770|ANANDTECH ATI Radeon LE 32MB DDR]] * [[http://ixbtlabs.com/articles/radeon/index.html|iXBT LABS ATI Radeon 64Mb DDR VIVO videocard 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radeonve/index.html|iXBT LABS ATI RADEON VE Part I]], [[http://ixbtlabs.com/articles/radeonve/index2.html|Part II]] 2000년 8월부터 출시된 1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R(V)100. 칩셋 공정은 180nm. DirectX 7.0을 지원하는 첫 ATi 그래픽 카드이기도 하며, 브랜드 네이밍이 2000년 4월 초를 기점으로 레이지(Rage)에서 라데온(Radeon)으로 변경되었다. 레이디언으로 읽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라데온으로 표기한다. 자세한 내용은 [[라데온#s-2]] 참조. 2000년 4월 하순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당시에는 6번째 RAGE라고 해서 GPU 이름을 Rage 6, 그래픽 카드 모델명은 지포스 256의 256을 따와서 라데온 256으로 명명하려고 했으나, GPU 이름은 R100으로 확정되고, 그래픽 카드 모델명도 네이밍 선점 효과 때문인지 출시 직전에 라데온 DDR로 바꿔서 내놓게 되었다. 이 때부터 지포스에는 없는 것은 물론이고, 일부 기능은 DirectX 8.0에 대응될 정도로 라데온만의 독자적인 기술들이 탑재되기 시작했다. Direct3D 7.0의 주요 기능인 하드웨어 좌표 변환(Transform), 하드웨어 조명 처리(Lighting)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클리핑(Clipping)까지 확장된 기능이라서 '하드웨어 TCL' 기능이 탑재된 '카리스마 엔진(Charisma Engine)'이라는 이름으로 홍보했었지만, Direct3D 7.0에는 없는 비표준인데다 대다수 게임 개발사들이 지포스 기준으로 개발하는 바람에 하드웨어 클리핑까지는 잘 활용되지 못 했다. 또한, 라데온에 사용된 R100의 '픽셀 태피스트리(Pixel Tapestry)'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처 유닛은 지포스 2 GTS, Pro, Ultra의 8개보다는 2개 적지만 지포스 256, 지포스 2 MX의 4개보다 2개 많은 6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성 비율이 지포스와는 다른 비율이라 역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바람에 사실상 지포스 2 MX급 스펙으로 저평가되곤 했었다. 그리고 HyperZ의 도입으로 메모리 대역폭 효율이 향상되어 이론상 지포스 2 GTS까지 넘볼 수 있는 스펙이었지만 아쉽게도 당시 벤치마크에서는 뚜렷한 성능 우위를 보여주지 못했다. 기능적으로도 3D 텍스처, 버텍스 스키닝, 키 프레임 보간 등 지포스 2조차 소개되지 않았던 앞선 기능들까지 탑재되었으나, 너무 앞서가는 바람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 했다. 결과적으로 지포스 2 시리즈의 실 성능에 밀려 시장에서 별 재미는 보지 못했지만, 지포스 2 시리즈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었던 유일한 시리즈이기도 했고 OEM으로는 그럭저럭 나가는 덕분에 한때 홈쇼핑 컴퓨터에 라데온 VE로 은근히 많이 들어갔다. * R100 Radeon 32/64MB - 이 모델부터 DirectX 7.0과 OpenGL 1.3을 지원하기 시작. * Radeon LE - 다운그레이드 버전(다운클럭, 하이퍼Z 기능 제거) ~~그러나 상위 Radeon 바이오스 입히기가 출동하면 어떨까?~~ * R100 Radeon 64MB * RV100 Radeon VE - 듀얼모니터 지원 * R100 Radeon AIW * RV200 Radeon AIW VE * RV200 Radeon LE - Radeon 칩셋에 레이지 씨어터 칩셋을 내장하고 클록을 높인 버전. * R200으로의 변경을 위한 과도기적 모델인 RV200 기반의 Radeon LE는 예외적으로 R100 계열로 분류한다. === R100 / 7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R100SDR.jpg]] (사진은 R100 코어를 쓴 Radeon SDR 32 MB의 리네이밍 보급형 Radeon 7200 SDR 모델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VP:PP:TFU:ROP[br](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7200 VIVO''' ||<|4> R100[br],,(180㎚),,[br]^^(97㎟)^^ || 1:2:6:2[br](1, 4, 1, 8) || 183 || 128 || DDR || 183[br](366) || 64 || ? || ? || ||'''Radeon 7200 VIVO SE''' || 1:2:6:2[br](1, 4, 1, 8) || 187 || 128 || DDR || 180[br](360) || 64 || ? || ? || ||<|2>'''Radeon 7200''' || 1:2:6:2[br](1, 4, 1, 8) || 166 || 128 || DDR || 166[br](332) || 32[br]64 || ? || ? || || 1:2:6:2[br](1, 4, 1, 8) || 143 || 128 || SDR || 143 || 32 || ? || ? || ||'''Radeon 7000''' || RV100[br],,(180㎚),,[br]^^(97㎟)^^ || 1:1:3:1[br](1, 4, 1, 4) || 183 || 64 || DDR || 183[br](366) || 32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Vertex Pipeline = VP[br]Pixel Pipeline = P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2001년 상반기에 출시된 2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지만 사실상 리네이밍 제품군. === R200 / 8500 & 75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R200ddr.jpg]] (사진은 R200이 사용된 라데온 8500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PVSP:PPSP:TFU:ROP[br](TF, 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8500''' || R200[br],,(150㎚),,[br]^^(68㎟)^^ || 2:4:8:4[br](1, 1, 8, 1, 16) || 275 || 128 || DDR || 275[br](550) || 64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Programmable Vertex Shading Pipeline = PVSP[br]Programmable Pixel Shading Pipeline = PPS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UFORM = TF[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Vertex Unit = VU[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VP:PP:TFU:ROP[br](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7500''' ||<|2> RV200[br],,(150㎚),,[br]^^(68㎟)^^ || 1:2:6:2[br](1, 4, 1, 8) || 290 || 128 || DDR || 230[br](460) || 64 || ? || ? || ||'''Radeon 7500 LE''' || 1:2:6:2[br](1, 4, 1, 8) || 250 || 128 || DDR || 175[br](350) || 64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Vertex Pipeline = VP[br]Pixel Pipeline = P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811|ANANDTECH ATI's Radeon 8500 & 7500: A Preview]] * [[https://www.anandtech.com/show/836|ANANDTECH ATI's Radeon 8500: She's got potential]] * [[http://ixbtlabs.com/articles/r8500.new/index.html|iXBT LABS ATI RADEON 8500: Part I]], [[http://ixbtlabs.com/articles/r8500.new/index2.html|Part II]], [[http://ixbtlabs.com/articles/r8500.new/index3.html|Part III]], [[http://ixbtlabs.com/articles/r8500.new/index4.html|Part IV]] * [[http://ixbtlabs.com/articles/atitruform/index.html|iXBT LABS ATI TRUFORM Technology: curve as the most beautiful distance between two points]] * [[http://ixbtlabs.com/articles/radeon7500/index.html|iXBT LABS ATI RADEON 7500]] 2001년 8월부터 출시된 3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Chaplin. 칩셋 공정은 150nm. 6개월 먼저 나온 지포스 3와 본격적으로 경쟁한 칩셋으로 시기적으로는 늦었지만 늦은 만큼 당시 최신 API인 DirectX 8.1과 OpenGL 1.4를 지포스 시리즈보다 먼저 지원했다. 초대 라데온은 지포스에는 없는 독자 기술들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지만 ATi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았다. 이전에 선보인 하드웨어 TCL 구조를 계승하여 '카리스마 엔진 II'라는 이름으로 발전되었고, DirectX 8.1를 완벽 지원하는 '픽셀 태피스트리 II'를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셰이더로 발전되었으며, Hyper-Z II의 도입으로 오클루전 컬링을 지원하면서 z-버퍼 클리어 속도와 압축 속도가 향상되었다. 이번에도 역시 최초의 하드웨어 테셀레이션 기능인 TruForm이라는 독자 기술이 발표되었는데 발표 당시 화제가 되었지만 아쉽게도 DirectX 8.1이 지원하지 않는 비표준이라서 몇몇 게임들만 지원하고 사장되었다. 그리고 히드라비전이라는 이름의 듀얼 디스플레이 출력도 지원했으나 지금과는 달리 듀얼 모니터 환경이 흔한 편이 아니어서 널리 이용되지 못했다. 그래도 지포스 3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적절한 성능을 무기로 시장에서 점유율을 어느 정도 얻는데 성공하지만, 드라이버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사실 드라이버 문제는 레이지 시절이 훨씬 악명높다. * R200 Radeon 8500 - 지포스 3와 상위 모델인 지포스 3 Ti 500, 후속 메인스트림 모델인 지포스 4 Ti 4200에 대응되는 제품. 대체로 지포스 3을 살짝 앞서는 성능이다. (최초 출시가 30만원 이상의 괴물 가격을 자랑했으나 이후 16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어 호평을 받았다. 사실 어쩔 수 없었던 게, 8500 출시 당시만 해도 당대 최강이었던 지포스 3를 이기는 [[플래그십]] 성격의 제품이었으나, 지포스 3보다 너무 늦게 나오는 바람에 곧바로 신공정을 앞세운 지포스 3 Ti 500에 발리며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9D%BC%EC%B2%9C%ED%95%98|3일천하]] 비슷한 꼴이 되었다. 그 후로 지포스 3 Ti 200의 팩토리 오버클럭된 비레퍼 제품에도 치이고, 지포스 4 Ti 4x00 시리즈는 물론 Ti 4200 팩토리 오버변종들의 참한 가성비에 아무런 대응 제품도 못 내놨으니 떨이라도 할 수 밖에. 사실 이 때문에 훗날에 출시될 9700의 충격이 더 컸다. 8500이 한창 떨이할 때까지만 해도 지포스 천하가 영원할 것 같았는데... 어떻게 되었는지는 바로 아래 항목의 9700 이야기 참조. 하지만 나중에 같은 가격으로 8500LE를 9100으로 리네이밍하여 판매했다가 번호장난 소리를 들으며 혹평을...) * R200 Radeon 8500 LE - 8500에서 2차 램댁이 빠짐. * RV200 Radeon 7500 * RV200 Radeon 7500 LE == gfx200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ti-r300-microarchitecture.gif]] 라데온 9700 PRO에 사용된 R30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300-microarchitecture-vertexpipelines.gif]] [[파일:ati-r300-microarchitecture-vertexengine.gif]] 라데온 9700 PRO에 사용된 R300의 버텍스 셰이더 파이프라인 블록 다이어그램과 그 내부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300-microarchitecture-pixelpipelines.gif]] [[파일:ati-r300-microarchitecture-pixelengine.gif]] 라데온 9700 PRO에 사용된 R300의 픽셀 셰이더 파이프라인 블록 다이어그램과 그 내부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420-microarchitecture.jpg]] 라데온 X800 XT에 사용된 R42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520-microarchitecture.jpg]] 라데온 X1800 XT에 사용된 R52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ti-r580-microarchitecture.png]] 라데온 X1900 XT에 사용된 R580의 블록 다이어그램 === R300 / 9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9550.jpg]] (사진은 RV350이 사용된 Radeon 9550 모델이다.) [[파일:attachment/RV250.jpg]] (사진은 RV250이 사용된 Radeon 9000 모델이다. ~~그런데 저가형에 쓰이는 64-bit 메모리 버스 스펙~~)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PVSP:PPSP:TFU:ROP[br](TF, 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9700''' ||<|2> R300[br],,(150㎚),,[br]^^(218㎟)^^ || 4:8:8:8[br](1, 1, 16, 1, 32) || 275 || 256 || DDR || 270[br](540) || 128 || ? || ? || ||'''Radeon 9700 PRO''' || 4:8:8:8[br](1, 1, 16, 1, 32) || 325 || 256 || DDR || 310[br](620) || 128 || ? || ? || ||'''Radeon 9800''' ||<|2> R350[br],,(150㎚),,[br]^^(218㎟)^^ || 4:8:8:8[br](1, 1, 16, 1, 32) || 325 || 256 || DDR || 290[br](580) || 128 || ? || ? || ||<|2>'''Radeon 9800 PRO''' || 4:8:8:8[br](1, 1, 16, 1, 32) || 380 || 256 || DDR || 340[br](680) || 128 || ? || ? || ||<|3> R360[br],,(150㎚),,[br]^^(218㎟)^^ || 4:8:8:8[br](1, 1, 16, 1, 32) || 380 || 256 || DDR || 340[br](680) || 256 || ? || ? || ||'''Radeon 9800 XT''' || 4:8:8:8[br](1, 1, 16, 1, 32) || 412 || 256 || DDR || 365[br](730) || 256 || ? || ? || ||'''Radeon 9800 XXL''' || 4:8:8:8[br](1, 1, 16, 1, 32) || 390 || 256 || DDR || 338[br](676) || 128 || ? || ? || ||<|2>'''Radeon 9800 SE''' ||<|2> R350[br],,(150㎚),,[br]^^(218㎟)^^ || 4:4:4:4[br](1, 1, 16, 1, 16) || 378 || 256 || DDR || 297[br](554) || 128 || ? || ? || || 4:4:4:4[br](1, 1, 16, 1, 16) || 331 || 128 || DDR || 290[br](540) || 128 || ? || ? || ||'''Radeon 9500''' ||<|2> R300[br],,(150㎚),,[br]^^(218㎟)^^ || 4:4:4:4[br](1, 1, 16, 1, 16) || 275 || 256 || DDR || 270[br](540) || 64[br]128 || ? || ? || ||'''Radeon 9500 PRO''' || 4:8:8:8[br](1, 1, 16, 1, 32) || 275 || 128 || DDR || 270[br](540) || 128 || ? || ? || ||'''Radeon 9550''' ||<|4> RV350[br],,(130㎚),,[br]^^(92㎟)^^ || 2:4:4:4[br](1, 1, 8,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550 SE''' || 2:4:4:4[br](1, 1, 8, 1, 16) || 250 || 64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600''' || 2:4:4:4[br](1, 1, 8, 1, 16) || 324 || 128 || DDR || 189[br](378) || 64 || ? || ? || ||'''Radeon 9600 PRO''' || 2:4:4:4[br](1, 1, 8, 1, 16) || 400 || 128 || DDR || 300[br](600) || 128 || ? || ? || ||'''Radeon 9600 XT''' || RV360[br],,(130㎚),,[br]^^(92㎟)^^ || 2:4:4:4[br](1, 1, 8, 1, 16) || 500 || 128 || DDR || 300[br](600) || 128 || ? || ? || ||'''Radeon 9600 SE''' || RV350[br],,(130㎚),,[br]^^(92㎟)^^ || 2:4:4:4[br](1, 1, 8, 1, 16) || 325 || 64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600 TX''' || R300[br],,(150㎚),,[br]^^(218㎟)^^ || 4:8:8:8[br](1, 1, 16, 1, 32) || 297 || 128 || DDR || 270[br](540) || 128 || ? || ? || ||'''Radeon 9250''' ||<|8> RV280[br],,(150㎚),,[br]^^(81㎟)^^ || 1:4:4:4[br](1, 1, 4, 1, 16) || 240 || 64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250 PCI''' || 1:4:4:4[br](1, 1, 4, 1, 16) || 240 || 64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200''' || 1:4:4:4[br](1, 1, 4,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128 || ? || ? || ||'''Radeon 9200 PRO''' || 1:4:4:4[br](1, 1, 4, 1, 16) || 239 || 128 || DDR || 164[br](328) || 128 || ? || ? || ||'''Radeon 9200 PCI''' || 1:4:4:4[br](1, 1, 4,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128 || ? || ? || ||'''Radeon 9200 LE''' || 1:4:4:4[br](1, 1, 4,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200 SE''' || 1:4:4:4[br](1, 4, 1, 16) || 250 || 64 || DDR || 166[br](332) || 64 || ? || ? || ||'''Radeon 9200 SE PCI''' || 1:4:4:4[br](1, 4, 1, 16) || 250 || 64 || DDR || 166[br](332) || 64 || ? || ? || ||'''Radeon 9100''' ||<|2> R200[br],,(150㎚),,[br]^^(68㎟)^^ || 2:4:8:4[br](1, 1, 8, 1, 16) || 250 || 128 || DDR || 250[br](500) || 64 || ? || ? || ||'''Radeon 9100 PCI''' || 2:4:8:4[br](1, 1, 8, 1, 16) || 250 || 128 || DDR || 250[br](500) || 64 || ? || ? || ||'''Radeon 9000''' ||<|3> RV250[br],,(150㎚),,[br]^^(81㎟)^^ || 1:4:4:4[br](1, 1, 4,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9000 PRO''' || 1:4:4:4[br](1, 1, 4, 1, 16) || 275 || 128 || DDR || 275[br](550) || 64 || ? || ? || ||'''Radeon 9000 LE''' || 1:4:4:4[br](1, 1, 4,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Programmable Vertex Shading Pipeline = PVSP[br]Programmable Pixel Shading Pipeline = PPS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UFORM = TF[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Vertex Unit = VU[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947|ANANDTECH ATI’s Radeon 9700 (R300) – Crowning the New King]] * [[https://www.anandtech.com/show/970|ANANDTECH ATI Radeon 9700 Pro - Delivering as Promised]] * [[https://www.anandtech.com/show/1020|ANANDTECH ATI's Radeon 9500 Pro]] * [[https://www.anandtech.com/show/1041|ANANDTECH ATI's Radeon 9500 Pro - Now Shipping & Faster]] * [[https://www.anandtech.com/show/946|ANANDTECH ATI Radeon 9000 Pro – The GeForce4 MX Killer]] * [[https://www.anandtech.com/show/1077|ANANDTECH ATI's Radeon 9800, 9600 & 9200: Still Fighting Strong]] * [[https://www.anandtech.com/show/1095|ANANDTECH ATI's Radeon 9600 Pro - Another Win for ATI]] * [[https://www.anandtech.com/show/1170|ANANDTECH Fall 2003 Video Card Roundup Part I - ATI's Radeon 9800 XT]] * [[https://www.anandtech.com/show/1180|ANANDTECH Fall 2003 Video Card Roundup - Part 3: ATI's Radeon 9600 XT]]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37|Beyond3D ATI Radeon 9700 PRO Review]]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32|Beyond3D Radeon 9700, 9500 PRO & 9500 P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ati-r300.html|iXBT LABS ATI RADEON 9700 preview or DX9=R300*NV30]]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700pro.html|iXBT LABS ATI RADEON 9700 Pro 128MB Video Card 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500pro.html|iXBT LABS ATI RADEON 9500 PRO 128MB Video Card 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500-9700-dx9-p1.html|iXBT LABS ATI RADEON 9500 64MB, 9500 128MB, 9500 PRO, 9700 and 9700 PRO in DirectX 9.0: Part 1 - Game benchmarks and 3DMark2001, and Soft9700!]]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500-9700-dx9-p2.html|iXBT LABS ATI RADEON 9500 64MB, 9500 128MB, 9500 PRO, 9700 and 9700 PRO in DirectX 9.0: Part 2 - New Synthetic Tests for DX9]]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800pro.html|iXBT LABS ATI RADEON 9800 PRO 128MB]]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600pro.html|iXBT LABS ATI RADEON 9600 PRO 128MB]]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9800xt.html|iXBT LABS ATI RADEON 9800 XT 256MB Card Review]]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ati-radeon-9700-pro,505.html|tom's HARDWARE ATi Radeon 9700 PRO - Pretender To The Thron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ati-delivers,556.html|tom's HARDWARE ATI Delivers: The Radeon 9500 PRO]]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introducing-ati,618.html|tom's HARDWARE Introducing ATi's New Middle Class: The Radeon 9600 PRO]]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eady-winter-games,687.html|tom's HARDWARE Ready For The Winter Games: ATI Radeon 9800 XT]] 2002년 7월부터 출시된 4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Khan. 칩셋 공정은 130~150nm. ATi가 2000년 인수했던 ArtX[* [[실리콘 그래픽스]]의 [[Nintendo 64]] 칩 설계팀이 독립해서 1997년 설립한 회사로, [[닌텐도 게임큐브]]의 GPU 역시 이 기업이 설계하고 있었다.] 소속이었던 설계팀들이 주축이 되어 설계하였다. DirectX 9.0, OpenGL 2.0을 지원하며, 라데온 9700 Pro를 첫 주자로 출시되었다. 주 경쟁상대는 지포스 FX 시리즈였는데 [[NVIDIA]]에게 계속해서 밀리던 ATI가 내놓은 회심의 일격으로 출시되자마자 하이엔드 시장을 장악했다. [[NVIDIA]]는 부랴부랴 FX 5800 Ultra를 출시했지만 성능, 소비전력, 발열까지 그 무엇을 비교하더라도 9700을 따라잡기는 커녕 엄청난 발열과 떨어지는 성능으로 제 무덤만 팠다. 해외에서는 FX 시리즈 시절은 물론이고 무려 지포스 6800 Ultra 출시 뒤에도 한 동안 라데온이 확실히 더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다. 단 국내시장은 제외. 지포스 FX 5600과 FX 5700이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을 때로, 점유율이 꽤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지포스의 강세였다. 국내 시장에서는 [[리니지 2]]의 지포스 FX 지원 선언과 함께, 지포스 계열의 OEM 납품량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당시 국내 홈쇼핑 채널에서 팔던 PC들은 지포스 FX 5200, 5500으로 도배될 정도였다(...)~~홈쇼핑 물량공세~~ 라데온 9550 시리즈의 변종 모델들이 출시된 것은 보급형 FX 시리즈가 이미 시장에 보급된 이후였고, FX 시리즈 중에서도 변종 모델이 등장한 시점은 카탈리스트의 악명이 드높아졌던 그 무렵이었다. '''이 시기 라데온과 지포스 FX의 성능 차는 마치 지포스 2 시리즈와 Voodoo 4, 5 시리즈의 대결과 비슷했다. 당연히 라데온 쪽이 지포스 2의 입장이었다.''' 하지만 [[엔비디아]]와 [[3dfx]]의 차이점이라면 엔비디아는 가격 정책을 어느 정도 성공했고 홍보전에서도 밀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9700은 지포스 4 시리즈, 지포스 FX 시리즈를 모두 상대했고, 지포스6 시리즈 보급형인 6600 대결에도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려 3세대를 상대해버리는 ATi 그래픽 카드 중 희대의 명품. 9500은 R300 코어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보급 모델 주제에 고급 모델인 9700의 기능을 거의 대부분 가지고 있어 회로 개조나 오버클럭 등을 통하여 고성능화로 사용하는 파워유저들이 꽤 있었다. 특히 9500 NP는 아주 약간의 개조를 통하여 간단히 9500 Pro로 변경되었다. 기판의 어느 부분을 이어 주기만 하면 간단히 개조가 되었다. 흑연이 전기가 통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연필로 슥슥 그어 주기만 해도 되는 개조법--연필 신공--까지 등장했다. 이렇게 하면 바이오스 상으로는 9700이지만 스펙은 9500 Pro와 같다. 문제는 너무 개조가 쉬워지면서 제품군의 경계가 붕괴될 지경이 되었고, 이에 ATI는 9500과 9700 시리즈를 단종시킨 후 2003년에 이 문제를 해결한 R350 기반의 9800 시리즈와 RV350 기반의 9600 시리즈를 내놓게 된다. 본래 9500 시리즈가 9700 시리즈 단종 이후 9600 시리즈로 이어갈 계보였으나, 2004년에 9600과 같은 RV350 기반에 9550이라는 이름의 모델이 나온 것 때문에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는 이를 처음 상태에서 오버클럭을 하여 판매하거나, '''9600 XT의 기판에 9550을 붙이고 오버클럭하여''' 판매하는 등, 수많은 변종 모델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지포스쪽의 FX 5700 LE라는 변종 모델의 등장으로 생각 외로 별 재미를 못 봤을 뿐더러, 라데온 9600 Pro와 XT를 팀킬 해버려서 회사에 이득은 별로... 그나마 빈곤했던 지포스 FX의 2003년 4분기 ~ 2004년 상반기 점유율은 FX 5700 시리즈 덕분에 무너지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9550 모델의 팬층이 있을 정도로 베스트셀러 카드인 것은 분명하다. 여담으로 VIVO 제품군이 있는데 이는 Video In Video Out의 약자로, 일반적인 그래픽카드가 비디오 출력만 가능한데, 이 제품군은 비디오 입력도 가능하다. 즉 TV카드나 그에 준하는 비디오 입력 장비가 없더라도, 다른 기기에서 컴퓨터에 영상을 보내 녹화를 하거나 볼 수 있던 제품이다. 그 중 9700 VIVO가 압도적이었다. 게이밍 성능도 성능이지만, Video in을 담당하는 칩셋 차이 때문에 화질의 차이가 심했다. ATI는 자체 제작 칩셋을 사용했고, [[NVIDIA]]는 타회사 칩셋을 사용했는데, [[NVIDIA]]는 화질 열화가 무척이나 심했다. * R300 Radeon 9700 - 9800 출시 이후 단종. * R300 Radeon 9500 - 9700과 같은 코어를 사용하여 약간의 개조를 통한 9700급 활용으로 인기가 높았으나 9700의 단종으로 9550으로 대체. * R300 Radeon 9500Pro - 같은 이유로 단종 * R350 Radeon 9800 - 9700의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 * RV350 Radeon 9600 - 9500의 미세공정판 * RV350 Radeon 9550 - 라데온 사상 희대의 베스트셀러. 원래 9600과 같은 코어에서 클럭을 약간 낮춰 내놓은 것이었는데 이러다 보니 오버클럭이 너무 잘 됐다. 아예 제조사들이 발 벗고 오버클럭한 변종을 내놓았고, 결과적으로 9600보다 더 성능이 좋은 제품이 쏟아져 나왔다. 아예 9600Pro나 XT에 쓰이던 RV360코어와 기판을 이용했던 제조사도 있었다. 때문에 성능이 9600XT 수준이라 당연히 반응은 폭발적. 9000 시리즈 끝물에 그야말로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다. * RV360 Radeon 9600Pro, 9600XT - 픽셀 파이프라인과 TMU는 오히려 절반인 각각 4개로 잘려나갔지만 코어클럭을 큰 폭으로 상승시켜 성능을 만회하였고 하이엔드인 9800과는 아예 구역을 나누어 팀킬을 방지했다. * RV250 Radeon 9000 - 이전 세대인 8500의 중가형 모델이기 때문에 DirectX 8.1, OpenGL 1.3까지만 지원하며, 지포스 4 MX나 지포스 3 Ti 200에 대응. * R200 Radeon 9100 - 이전 세대인 8500 LE의 리네이밍 버전으로, 이게 나온 이유는 9000대 그래픽 카드가 이전과는 달리 성능을 차등화한 여러 제품을 하나의 제품군으로 묶어서 한꺼번에 내놨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전 세대의 그래픽카드인 8500과 현 세대 그래픽카드의 저가형 제품인 9000과의 성능 역전 현상이 벌어졌고, 설상가상으로 8500 그래픽카드의 가격이 크게 떨어져 9000과 비슷해졌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9000이 아닌 8500을 사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따라서 브랜드 네임 조정의 목적으로 8500 LE를 9100으로 리네이밍해서 내놓은 것. * RV280 Radeon 9200 - 9000에서 AGP 8x를 추가한 버전. 다만 대부분 64-bit 메모리버스 구조로 다운그레이드. 지포스 2 MX나 TNT2 M64~~아직도 팔리냐~~에 대응하는 저가형으로 팔림 === R400 / X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R410ddr.jpg]] (사진은 R410이 사용된 Radeon X700Pro 모델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PVSP:PPSP:TFU:ROP[br](TF, 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X800 XT AGP''' ||<|5> R420[br]^^(AGP)^^[br],,(130㎚),,[br]^^(281㎟)^^ || 6:16:16:16[br](1, 1, 24, 1, 64) || 500 || 256 || GDDR3 || 500[br](1000) || 256 || ? || ? || ||'''Radeon X800 XT AGP Platinum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20 || 256 || GDDR3 || 560[br](1120) || 256 || ? || ? || ||'''Radeon X800 VE AGP''' || 6:16:16:16[br](1, 1, 24, 1, 64) || 425 || 256 || GDDR3 || 398[br](796) || 256 || ? || ? || ||'''Radeon X800 PRO AGP''' || 6:12:12:12[br](1, 1, 24, 1, 48) || 475 || 256 || GDDR3 || 450[br](900) || 256 || ? || ? || ||'''Radeon X800 SE AGP''' || 6:8:8:8[br](1, 1, 24, 1, 32) || 450 || 256 || DDR || 400[br](800) || 256 || ? || ? || ||'''Radeon X800 XT''' ||<|4> R423[br]^^(PCIe)^^[br],,(130㎚),,[br]^^(289㎟)^^ || 6:16:16:16[br](1, 1, 24, 1, 64) || 500 || 256 || GDDR3 || 500[br](1000) || 256 || ? || ? || ||'''Radeon X800 XT Platinum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20 || 256 || GDDR3 || 560[br](1120) || 256 || ? || ? || ||'''Radeon X800 CrossFire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00 || 256 || GDDR3 || 500[br](1000) || 256 || ? || ? || ||'''Radeon X800 SE''' || 6:8:8:8[br](1, 1, 24, 1, 32) || 425 || 256 || DDR || 350[br](700) || 128 || ? || ? || ||'''Radeon X800 XL''' ||<|3> R430[br]^^(PCIe)^^[br],,(110㎚),,[br]^^(240㎟)^^ || 6:16:16:16[br](1, 1, 24, 1, 64) || 400 || 256 || GDDR3 || 490[br](980) || 256 || ? || ? || ||'''Radeon X800''' || 6:12:12:12[br](1, 1, 24, 1, 48) || 400 || 256 || DDR || 350[br](700) || 256 || ? || ? || ||'''Radeon X800 GT''' || 6:8:8:8[br](1, 1, 24, 1, 32) || 475 || 256 || DDR || 493[br](986) || 128 || ? || ? || ||'''Radeon X850 XT''' ||<|6> R480[br]^^(PCIe)^^[br],,(130㎚),,[br]^^(297㎟)^^ || 6:16:16:16[br](1, 1, 24, 1, 64) || 520 || 256 || GDDR3 || 540[br](1080) || 256 || ? || ? || ||'''Radeon X850 XT Platinum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40 || 256 || GDDR3 || 590[br](1180) || 256 || ? || ? || ||'''Radeon X850 CrossFire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20 || 256 || GDDR3 || 540[br](1080) || 256 || ? || ? || ||'''Radeon X850 PRO''' || 6:12:12:12[br](1, 1, 24, 1, 48) || 507 || 256 || GDDR3 || 520[br](1040) || 256 || ? || ? || ||'''Radeon X800 GTO''' || 6:12:12:12[br](1, 1, 24, 1, 48) || 400 || 256 || GDDR3 || 490[br](980) || 256 || ? || ? || ||'''Radeon X800 GT''' || 6:12:12:12[br](1, 1, 24, 1, 48) || 475 || 256 || GDDR3 || 493[br](986) || 256 || ? || ? || ||'''Radeon X850 XT AGP''' ||<|3> R481[br]^^(AGP)^^[br],,(130㎚),,[br]^^(297㎟)^^ || 6:16:16:16[br](1, 1, 24, 1, 64) || 520 || 256 || GDDR3 || 540[br](1080) || 256 || ? || ? || ||'''Radeon X850 XT AGP Platinum Edition''' || 6:16:16:16[br](1, 1, 24, 1, 64) || 540 || 256 || GDDR3 || 590[br](1180) || 256 || ? || ? || ||'''Radeon X850 PRO AGP''' || 6:12:12:12[br](1, 1, 24, 1, 48) || 500 || 256 || GDDR3 || 500[br](1000) || 256 || ? || ? || ||'''Radeon X700 AGP''' ||<|8> RV410[br],,(110㎚),,[br]^^(156㎟)^^ || 6:8:8:8[br](1, 1, 24, 1, 32) || 400 || 128 || DDR || 250 || 128 || ? || ? || ||'''Radeon X700''' || 6:8:8:8[br](1, 1, 24, 1, 32) || 400 || 128 || DDR || 250[br](500) || 128 || ? || ? || ||'''Radeon X700 PRO AGP''' || 6:8:8:8[br](1, 1, 24, 1, 32) || 425 || 128 || DDR || 236[br](472) || 128 || ? || ? || ||'''Radeon X700 PRO''' || 6:8:8:8[br](1, 1, 24, 1, 32) || 425 || 128 || GDDR3 || 430[br](860) || 128 || ? || ? || ||'''Radeon X700 XT''' || 6:8:8:8[br](1, 1, 24, 1, 32) || 475 || 128 || GDDR3 || 525[br](1050) || 128 || ? || ? || ||'''Radeon X740 XL''' || 6:8:8:8[br](1, 1, 24, 1, 32) || 425 || 128 || GDDR3 || 450[br](900) || 128 || ? || ? || ||'''Radeon X700 LE''' || 6:8:8:8[br](1, 1, 24, 1, 32) || 400 || 128 || DDR || 350[br](700) || 128 || ? || ? || ||'''Radeon X700 SE''' || 6:4:4:4[br](1, 1, 24, 1, 16) || 400 || 64 || DDR || 250[br](500) || 128 || ? || ? || ||'''Radeon X600''' ||<|3> RV370[br],,(110㎚),,[br]^^(74㎟)^^ || 2:4:4:4[br](1, 1, 8, 1, 16) || 400 || 128 || DDR || 250[br](500) || 256 || ? || ? || ||'''Radeon X600 PRO''' || 2:4:4:4[br](1, 1, 8, 1, 16) || 400 || 128 || DDR || 300[br](600) || 128 || ? || ? || ||'''Radeon X600 SE''' || 2:4:4:4[br](1, 1, 8, 1, 16) || 325 || 64 || DDR || 250[br](500) || 128 || ? || ? || ||'''Radeon X600 XT''' || RV380[br],,(130㎚),,[br]^^(92㎟)^^ || 2:4:4:4[br](1, 1, 8, 1, 16) || 500 || 128 || DDR || 370[br](740) || 128 || ? || ? || ||'''Radeon X550''' ||<|2> RV370[br],,(110㎚),,[br]^^(74㎟)^^ || 2:4:4:4[br](1, 1, 8, 1, 16) || 400 || 128 || DDR || 250[br](500) || 128 || ? || ? || ||'''Radeon X550 Hyper Memory''' || 2:4:4:4[br](1, 1, 8, 1, 16) || 400 || 128 || DDR2 || 250[br](500) || 256 || ? || ? || ||'''Radeon X550 XT''' ||<|2> RV410[br],,(110㎚),,[br]^^(156㎟)^^ || 6:4:4:4[br](1, 1, 24, 1, 16) || 400 || 128 || GDDR3 || 300[br](600) || 128 || ? || ? || ||'''Radeon X550 XTX''' || 6:8:8:8[br](1, 1, 24, 1, 32) || 400 || 128 || DDR || 300[br](600) || 128 || ? || ? || ||'''Radeon X300''' ||<|4> RV370[br],,(110㎚),,[br]^^(74㎟)^^ || 2:4:4:4[br](1, 1, 8, 1, 16) || 375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X300 SE''' || 2:4:4:4[br](1, 1, 8, 1, 16) || 325 || 64 || DDR || 200[br](400) || 64 || ? || ? || ||'''Radeon X300 SE Hyper Memory''' || 2:4:4:4[br](1, 1, 8, 1, 16) || 325 || 64 || DDR || 300[br](600) || 128 || ? || ? || ||'''Radeon X300 LE''' || 2:4:4:4[br](1, 1, 8, 1, 16) || 325 || 128 || DDR || 200[br](400) || 64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Programmable Vertex Shading Pipeline = PVSP[br]Programmable Pixel Shading Pipeline = PPS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Vertex Unit = VU[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1314|ANANDTECH ATI Radeon X800 Pro and XT Platinum Edition: R420 Arrives]] * [[https://www.anandtech.com/show/1482|ANANDTECH ATI Radeon X700 XT: More PCIe Midrange]] * [[https://www.anandtech.com/show/1558|ANANDTECH ATI's New Radeon X850 and X800 Lines: A Smorgasbord of GPUs]] * [[https://www.anandtech.com/show/1673|ANANDTECH ATI's Radeon X800 XL 512MB - A toe in the 512MB pool]] * [[https://www.anandtech.com/show/1698|ANANDTECH ATI's Multi-GPU Solution: CrossFire]] * [[https://www.anandtech.com/show/1799|ANANDTECH ATI's X8xx CrossFire Graphics Arrive]] * [[https://www.anandtech.com/show/1798|ANANDTECH ATI Radeon X800 GT: A Quality Mid-range Solution]]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4|Beyond3D ATI Radeon X800 XT Platinum Edition / PRO Review]]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8|Beyond3D ATI Radeon X700 XT / PRO 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420.html|iXBT LABS ATI RADEON X800 XT and X800 PRO (R420) 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1.html|iXBT LABS ATI RADEON X700XT (RV410): Part 1]],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2.html|Part 2]],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3.html|Part 3]],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4.html|Part 4]],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5.html|Part 5]],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6.html|Part 6]],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7.html|Part 7]],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8.html|Part 8]],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09.html|Part 9]],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10.html|Part 10]],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11.html|Part 11]],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v410-p12.html|Part 12]] * [[http://ixbtlabs.com/articles2/radeon/r480.html|iXBT LABS ATI RADEON X850XT PE 256MB PCI-E]]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430-5.html|iXBT LABS ATI RADEON X800 XL 512MB PCI-E]]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cf.html|iXBT LABS ATI CrossFire: Part 1. First 3D Tests Based on 2 x RADEON X850 XT]]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spravka-r4xx.html|iXBT LABS Reference Information on RADEON R[V]4XX Graphics Cards]]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ati,802.html|tom's HARDWARE ATi's X800 Pulls Off Another Coup in the Graphics Performance War]] 2004년 5월부터 출시된 5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Loki. 칩셋 공정은 110~130nm. DirectX 9.0b, OpenGL 2.0을 지원했지만 엔비디아에서 이보다 1달 먼저 DirectX 9.0b가 아닌 9.0c를 완벽 지원하는 지포스 6 시리즈의 기술력과 가격을 앞세워 결국 ATI의 점유율이 다시 떨어지기 시작했다. 스펙으로만 보면 6 버텍스 파이프라인, 16 픽셀 파이프라인, 16 텍스처 유닛, 16 렌더 백엔드[* 양대 회사가 서로 부르는 명칭이 다른데 [[NVIDIA]]에서는 ROP라 부르고 ATI에서는 렌더 백엔드라고 불렀다. AMD로 인수합병된 현재는 ROP들의 묶음 단위로써 취급하고 있다. 1개의 렌더 백엔드 안에 4개의 ROP이 구성되어 있는 식.]로 경쟁하던 지포스 6800에 전혀 부족함이 없어 하이엔드 시장에선 그럭저럭 경쟁했지만 메인스트림 시장에선 DirectX 9.0c를 앞세운 지포스 6600에게 시장을 내주고 만다. (사실 ATI의 원래 계획대로라면 6600을 이길 수 있었지만, 6600GT를 이기기 위한 X700XT가 끔찍한 수율로 출시 자체를 포기하면서 모든게 꼬였다. 결국 절치부심하여 이후 세대에서 만회하기로 하였지만, 아래 항목들에 서술되어 있다시피 이후 세대들도...) [[크로스파이어]]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나, 이때의 크로스파이어는 CF 전용 마스터 카드와 케이블이 필요했기 때문에 별로 실용성 있진 않았다. 최후반기에 나온 X800GTO2라는 변종 모델이 존재하는데 바이오스 개조를 통해 최상위급 모델인 X850XT로 변신이 가능해서(...) 꽤 주목을 받았었다. 비슷한 시기에 나왔던 지포스 6800LE도 이것이 가능했지만 그쪽은 인터페이스가 AGP인 모델만 지원해서... 테크데모에 지금도 ATI의 캐릭터로 유명했던 루비가 등장했다. [[Xbox 360]]의 2004년 버전 알파 개발킷([[Power Mac]] G5 기반이다)에 라데온 X800 Mac Edition이 장착되어 있었다. * R480 Radeon X850XT * R430 Radeon X800XT * R420 Radeon X800XL * RV410 Radeon X700 * RV380, RV370 Radeon X600 * RV410, RV370 Radeon X550 * RV370 Radeon X300 === R500 / X1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RV530ddr.jpg]] (사진은 RV530이 사용된 Radeon X1600 Pro 모델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3>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PVSP:PPSP:TFU:ROP[br](TF, TCL, VU, RZ, PU) || 클럭[br]^^(MHz)^^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0> '''데스크탑용 제품군''' || ||'''Radeon X1800 XT''' ||<|4> R520[br],,(90㎚),,[br]^^(288㎟)^^ || 8:16:16:16[br](1, 1, 32, 1, 64) || 600 || 256 || GDDR3 || 700[br](1400) || 512 || ? || 549$ || ||'''Radeon X1800 XL''' || 8:16:16:16[br](1, 1, 32, 1, 64) || 500 || 256 || GDDR3 || 500[br](1000) || 256 || ? || ? || ||'''Radeon X1800 CrossFire Edition''' || 8:16:16:16[br](1, 1, 32, 1, 64) || 600 || 256 || GDDR3 || 700[br](1400) || 512 || ? || ? || ||'''Radeon X1800 GTO''' || 8:16:12:12[br](1, 1, 32, 1, 64) || 500 || 256 || GDDR3 || 495[br](990) || 512[br]256 || ? || ? || ||'''Radeon X1900 XT''' ||<|4> R580[br],,(90㎚),,[br]^^(352㎟)^^ || 8:48:16:16[br](1, 1, 32, 1, 192) || 625 || 256 || GDDR3 || 725[br](1450) || 256 || ? || 299$ || ||'''Radeon X1900 XTX''' || 8:48:16:16[br](1, 1, 32, 1, 192) || 650 || 256 || GDDR3 || 775[br](1550) || 512 || ? || 399$ || ||'''Radeon X1900 CrossFire Edition''' || 8:48:16:16[br](1, 1, 32, 1, 192) || 625 || 256 || GDDR3 || 725[br](1450) || 512 || ? || ? || ||'''Radeon X1900 GT''' || 8:36:12:12[br](1, 1, 32, 1, 144) || 575 || 256 || GDDR3 || 600[br](1200) || 256 || ? || ? || ||'''Radeon X1950 XT''' ||<|4> R580+[br],,(90㎚),,[br]^^(352㎟)^^ || 8:48:16:16[br](1, 1, 32, 1, 192) || 625 || 256 || GDDR3 || 900[br](1800) || 256 || ? || ? || ||'''Radeon X1950 XT AGP''' || 8:48:16:16[br](1, 1, 32, 1, 192) || 625 || 256 || GDDR3 || 703[br](1406) || 256 || ? || ? || ||'''Radeon X1950 XTX''' || 8:48:16:16[br](1, 1, 32, 1, 192) || 650 || 256 || GDDR4 || 1000[br](2000) || 512 || ? || 449$ || ||'''Radeon X1950 CrossFire Edition''' || 8:48:16:16[br](1, 1, 32, 1, 192) || 650 || 256 || GDDR4 || 1000[br](2000) || 512 || ? || ? || ||'''Radeon X1950 PRO''' ||<|5> RV570[br],,(80㎚),,[br]^^(230㎟)^^ || 8:36:12:12[br](1, 1, 32, 1, 144) || 575 || 256 || GDDR3 || 690[br](1380) || 256 || ? || ? || ||'''Radeon X1950 PRO AGP''' || 8:36:12:12[br](1, 1, 32, 1, 144) || 575 || 256 || GDDR3 || 690[br](1380) || 512 || ? || ? || ||'''Radeon X1950 PRO DUAL''' || 8:36:12:12[br](1, 1, 32, 1, 144)[br]×2 || 575 || 256[br]×2 || GDDR3 || 690[br](1380) || 512[br]×2 || ? || ? || ||'''Radeon X1950 GT''' || 8:36:12:12[br](1, 1, 32, 1, 144) || 500 || 256 || GDDR3 || 600[br](1200) || 256 || ? || 140$ || ||'''Radeon X1950 GT AGP''' || 8:36:12:12[br](1, 1, 32, 1, 144) || 500 || 256 || GDDR3 || 600[br](1200) || 256 || ? || ? || ||'''Radeon X1700 SE''' || RV560[br],,(80㎚),,[br]^^(230㎟)^^ || 8:24:8:8[br](1, 1, 32, 1, 96) || 500 || 128 || DDR2 || 500[br](1000) || 512 || ? || ? || ||'''Radeon X1700 FSC''' || RV535[br],,(80㎚),,[br]^^(131㎟)^^ || 5:12:4:4[br](1, 1, 20, 1, 48) || 587 || 128 || GDDR3 || 695[br](1390) || 256 || ? || ? || ||'''Radeon X1600 XT''' ||<|3> RV530[br],,(90㎚),,[br]^^(150㎟)^^ || 5:12:4:4[br](1, 1, 20, 1, 48) || 590 || 128 || GDDR3 || 690[br](1380) || 256 || ? || ? || ||'''Radeon X1600 PRO'''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GDDR3 || 390[br](780) || 256 || ? || 199$ || ||'''Radeon X1600 PRO AGP'''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GDDR3 || 390[br](780) || 256 || ? || ? || ||'''Radeon X1600''' || RV516[br],,(80㎚),,[br]^^(100㎟)^^ || 2:4:4:4[br](1, 1, 8, 1, 16) || 635 || 128 || DDR2 || 400[br](800) || 512 || ? || ? || ||'''Radeon X1650 XT''' ||<|4> RV560[br],,(80㎚),,[br]^^(230㎟)^^ || 8:24:8:8[br](1, 1, 32, 1, 96) || 525 || 128 || GDDR3 || 700[br](1400) || 256 || ? || 199$ || ||'''Radeon X1650 XT AGP''' || 8:24:8:8[br](1, 1, 32, 1, 96) || 540 || 128 || GDDR3 || 680[br](1360) || 512 || ? || ? || ||'''Radeon X1650 XT DUAL''' || 8:24:8:8[br](1, 1, 32, 1, 96)[br]×2 || 525 || 128[br]×2 || GDDR3 || 700[br](1400) || 256[br]×2 || ? || ? || ||'''Radeon X1650 GT''' || 8:24:8:8[br](1, 1, 32, 1, 96) || 400 || 128 || GDDR3 || 400[br](800) || 128 || ? || ? || ||'''Radeon X1650 PRO''' ||<|2> RV535[br],,(80㎚),,[br]^^(131㎟)^^ || 5:12:4:4[br](1, 1, 20, 1, 48) || 600 || 128 || GDDR3 || 700[br](1400) || 256 || ? || ? || ||'''Radeon X1650 PRO AGP''' || 5:12:4:4[br](1, 1, 20, 1, 48) || 600 || 128 || GDDR3 || 700[br](1400) || 256 || ? || ? || ||'''Radeon X1650''' ||<|3> RV530[br],,(90㎚),,[br]^^(150㎟)^^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DDR2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650 AGP'''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DDR2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650 GTO''' || 5:12:4:4[br](1, 1, 20, 1, 48) || 587 || 128 || DDR2 || 392[br](784) || 256 || ? || ? || ||'''Radeon X1550''' || RV515[br],,(90㎚),,[br]^^(100㎟)^^ || 2:4:4:4[br](1, 1, 8, 1, 16) || 600 || 128 || DDR2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550 AGP''' || RV505[br],,(90㎚),,[br]^^(100㎟)^^ || 2:4:4:4[br](1, 1, 8, 1, 16) || 600 || 64 || DDR2 || 330[br](660) || 256 || ? || ? || ||'''Radeon X1550 PCI''' || RV516[br],,(80㎚),,[br]^^(100㎟)^^ || 2:4:4:4[br](1, 1, 8, 1, 16) || 452 || 64 || DDR2 || 266[br](532) || 256 || ? || ? || ||'''Radeon X1300 XT''' ||<|2> RV530[br],,(90㎚),,[br]^^(150㎟)^^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DDR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300 XT AGP''' || 5:12:4:4[br](1, 1, 20, 1, 48) || 500 || 128 || GDDR3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300 PRO''' ||<|6> RV515[br],,(90㎚),,[br]^^(100㎟)^^ || 2:4:4:4[br](1, 1, 8, 1, 16) || 600 || 128 || DDR || 400[br](800) || 128 || ? || ? || ||'''Radeon X1300 PRO AGP''' || 2:4:4:4[br](1, 1, 8, 1, 16) || 600 || 128 || DDR || 400[br](800) || 256 || ? || ? || ||'''Radeon X1300''' || 2:4:4:4[br](1, 1, 8, 1, 16) || 450 || 128 || DDR || 250[br](500) || 256 || ? || ? || ||'''Radeon X1300 AGP''' || 2:4:4:4[br](1, 1, 8, 1, 16) || 450 || 128 || DDR || 250[br](500) || 256 || ? || ? || ||'''Radeon X1300 PCI''' || 2:4:4:4[br](1, 1, 8, 1, 16) || 450 || 128[br]64 || DDR[br]DDR2 || 250[br](500) || 128 || ? || ? || ||'''Radeon X1300 LE''' || 2:4:4:4[br](1, 1, 8, 1, 16) || 500 || 128 || DDR2 || 400[br](800) || 64 || ? || ? || ||<|2>'''Radeon X1050''' || RV410[br],,(110㎚),,[br]^^(156㎟)^^ || 6:8:8:8[br](1, 1, 24, 1, 32) || 400 || 64 || DDR || 200[br](400) || 128 || ? || ? || || RV370[br],,(110㎚),,[br]^^(74㎟)^^ || 2:4:4:4[br](1, 1, 8, 1, 16) || 400 || 64 || DDR2 || 333[br](666) || 128 || ? || ? || ||<|2>'''Radeon X1050 AGP''' || RV360[br],,(110㎚),,[br]^^(92㎟)^^ || 2:4:4:4[br](1, 1, 8, 1, 16) || 250 || 128 || DDR || 203[br](406) || 128 || ? || ? || || RV350[br],,(130㎚),,[br]^^(92㎟)^^ || 2:4:4:4[br](1, 1, 8, 1, 16) || 250 || 128 || DDR || 200[br](400) || 128 || ? || ? || ||<-10><)>{{{#!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Programmable Vertex Shading Pipeline = PVSP[br]Programmable Pixel Shading Pipeline = PPS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Transform, Clipping, Lighting = TCL[br]Rasterizer = RZ[br]Vertex Unit = VU[br]Pixel Unit = PU[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1794|ANANDTECH ATI's Avivo Platform - H.264 Decode and Transcode Acceleration on R5xx]] * [[https://www.anandtech.com/show/1810|ANANDTECH ATI's Late Response to G70 - Radeon X1800, X1600 and X1300]] * [[https://www.anandtech.com/show/1814|ANANDTECH ATI's X1000 Series: Extended Performance Testing]] * [[https://www.anandtech.com/show/1897|ANANDTECH ATI's Avivo Update - H.264 Acceleration & a Special Downloadable Surprise]] * [[https://www.anandtech.com/show/1901|ANANDTECH ATI MultiGPU Done Right: The Radeon X1800 CrossFire Edition]] * [[https://www.anandtech.com/show/1930|ANANDTECH ATI's New Leader in Graphics Performance: The Radeon X1900 Series]] * [[https://www.anandtech.com/show/2069|ANANDTECH ATI's New High End and Mid Range: Radeon X1950 XTX & X1900 XT 256MB]] * [[https://www.anandtech.com/show/2104|ANANDTECH ATI Radeon X1950 Pro: CrossFire Done Right]] * [[https://www.anandtech.com/show/2110|ANANDTECH Introducing the Radeon X1650 XT: A New Mainstream GPU from ATI]]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24|Beyond3D ATI Avivo Technology Preview]]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27|Beyond3D ATI R520: Radeon X1800]]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2|Beyond3D ATI R580: Radeon X1900 XTX & Crossfire]]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1.html|iXBT LABS ATI Technologies' counter-offensive: RADEON X1800 (R520), X1600 (RV530), and X1300 (RV515) Series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2.html|Part 2: Video cards' features, synthetic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3.html|Part 3: Performance in Game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4-a.html|Part 4: Rendering Quality, New Anti-Aliasing and Anisotropic Filtering Mode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5p.html|Part 5: Brief Introduction into AVIVO and Bottom Lin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20-part6.html|Part 6: Interview with Guennadi Riguer (ATI Technologie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avivo.html|iXBT LABS ATI AVIVO. Part 0: Introduction and Description of Video Technologie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avivo_1.html|iXBT LABS ATI AVIVO. Part 1: Video Encode]]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art1.html|iXBT LABS ATI Technologies' Counter-Offensive is Still in Progress: RADEON X1900 XTX/XT (R580)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art2.html|Part 2: Video Card's Features, Synthetic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art3.html|Part 3: Performance in Game Test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cf2.html|iXBT LABS ATI CrossFire Based on RADEON X1900 XT, 2x512MB]]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lus-part1.html|iXBT LABS The Same Candy in a New Wrapper and Probably Sweeter... ATI RADEON X1950 XTX (R580+)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lus-part2.html|Part 2: Video card's features, synthetic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plus-part3.html|Part 3: Performance in Game Test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580-6.html|iXBT LABS ATI RADEON X1900 XT 256MB PCI-E]]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v570.html|iXBT LABS ATI RADEON X1950 PRO 256MB PCI-E (RV570)]]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v570-f.html|iXBT LABS ATI RADEON X1950 PRO 256MB PCI-E (RV570) and ATI RADEON X1650 XT 256MB PCI-E (RV560)]] 2005년 10월부터 출시된 6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R(V)5xx. 전작처럼 별다른 명칭이 없다. 칩셋 공정은 80~90nm. 라데온 그래픽카드에서도 그제서야 DirectX 9.0c를 지원하게 되었다. 당시 ATI는 XBOX 360의 GPU Xenos 설계에 집중하느라 PC 시장에 다소 소홀해지는 바람에 지포스 7 시리즈보다 늦게 출시했다. 설상가상으로 7800GTX보다 개선된 90nm 공정으로 제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성능으로 R400에 이어 실망감을 주었다. 게다가 메인스트림 제품인 X1300과 X1600은 지포스 7300, 7600과 경쟁은 커녕 전세대 메인스트림인 6200과 6600과 엎치락 뒤치락하는 수준이라 그냥 대차게 말아먹었다... X1300은 지포스 6200에서, X1600은 지포스 6600에서 TMU와 ROP를 줄이고 픽셀 셰이더를 늘린 미래지향형에 가까운 스펙이었다. 현 세대 게임에서 TMU와 ROP 수가 발목 잡아서 제 성능이 안 나오는 단점 또한 실성능으로 그대로 이어졌기에 전체적으로 앞선 스펙을 내세운 7300/7600 시리즈의 상대가 될 수 없었다. 2006년 1월 R520 코어를 아예 뜯어고친 R580이 공개되었다. 스펙은 무려 3배가 늘어난 48 픽셀 셰이더!! 물론 기존의 픽셀 파이프라인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지금까지는 엔비디아나 ATI나 한 개의 픽셀 파이프라인 안에는 픽셀 셰이더 유닛+TMU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TMU를 분리하여 그대로 두고 픽셀 셰이더 유닛을 16개에서 무려 48개로 늘렸다. 사실 RV530과 RV515도 이런 구조였다. 12 픽셀 셰이더+4TMU라는 조잡한 구조였지만 R580을 위한 실험작으로 보인다. 경쟁 제품인 지포스 7600 시리즈가 12 픽셀 파이프라인(12 픽셀 셰이더+12 TMU)이었기 때문에 경쟁이 되지 않았던 것인데 그 당시엔 생소한 개념이라 그냥 제품 설명에도 12 픽셀 파이프라인으로 되어 있었고 사용자들도 왜 같은 12 픽셀 파이프라인인데 밀리느냐 하고 어리둥절했다. 여기서 ATI의 개발철학을 알 수 있는데 ATI는 미래에는 TMU보다 PSU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런 아키텍처를 개발했다고 한다. 놀랍게도 당시 게임에서는 7900이나 X1900이나 별 차이가 없었지만 Futuremark 사의 [[3DMark|3Dmark05]]에서는 X1900이 7900을 압도했으며 추후에 출시된 게임일수록 X1900이 7900을 이기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경향 자체는 X1600이나 X1300도 혜택을 받긴 했지만, 이 때쯤이면 이미 구세대 보급형은 플레이 가능한 프레임 자체가 안 나오게 된 후라, 경쟁 지포스가 3프레임 나오는걸 9프레임으로 쳐바르는 식으로 [[아이고 의미없다]].) --하이엔드만 사랑하는 바보-- 그리고 R580을 약간 개선한 R580+를 출시했다. 2006년 8월, ATI는 AMD와 인수합병 후 공정 개선판 모델이 출시되었다. 제조 공정이 80nm로 미세화되었으며 최초로 네이티브 크로스파이어를 지원하는 RV570과 RV560. X1950 Pro는 X1900 GT을 대체하여 보다 좋은 성능과 낮은 발열, 소비전력, 그리고 DirectX 10 초기에도 9.0c 버전의 영향력이 여전히 강력했기 때문에 공격적인 가격으로 지포스 8 시리즈에 다시 뺏긴 시장에서 홀로 선전했었다. [[다나와]] 기준으로 판매량 상위 2~5위 모두 [[NVIDIA]] 시리즈였지만 1위는 X1950 Pro였던 시기도 있었다. X1650 XT는 24 픽셀 셰이더, 8 TMU, 8 버텍스 셰이더, 8 ROP로 지포스 7600 GT보다 조금 나은 모습을 보여 주었지만 메인스트림 시장을 빼앗기엔 시기가 너무 늦어버렸다. (출시 당시만 보면 7600GT를 이기기에 충분했으나, 나온지 오래돼서 이미 본전 뽑은 지 오래인 7600 GT는 가격인하로 도망가 버렸다. 혼자 20만원 가까운 가격대에 남겨져 벙쪄있던[* 출시 직후인 제품은 이미 들어간 개발비를 벌어야 되기 때문에 함부로 인하하기 힘들다.] X1650 XT는 결국 X1900 GT와 8800 GS의 가격인하 전쟁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새우등 터지는 식]]으로 실패.) AMD는 여기서 또 병크를 저지르는데 X1650 Pro와 X1650 XT는 완전히 다른 GPU였고 X1600 XT = X1650 Pro였던 것. 전에도 X1300 XT = X1600 Pro로 이름 장난질을 쳤는데 이런 모습은 좋지 않다. 또 다른 병크로는 X1950 Pro 초기 일부 제품의 전원부 쿨러 유격문제로 추정되는 불안정문제로 삐그덕대기도 했다. 여담으로 핀란드의 한 오버클러커 팀이 X1800 XT를 이용하여 GPU 최초로 코어클럭 1GHz를 달성했다. * R580 Radeon X1900 * R580 Radeon X1900 XTX * R580+ Radeon X1950 XTX - 리테일용 그래픽카드 최초로 1000MHz 메모리 클럭의 GDDR4 VRAM을 지원. * RV570 Radeon X1950 Pro * R520 Radeon X1800 * R520 Radeon X1800 XT * RV530 Radeon X1600 * RV560 Raeon X1650 * RV530 Radeon X1300 XT * RV516 Radeon X1550 * RV515 Radeon X1300 * RV410 Radeon X1050 == gfx300 / [[TeraScale]] 1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r600-blockdiagram.jpg]] [[파일:amd-r600-blockdiagram2.png]] 라데온 HD 2900 XT에 사용된 R60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md-rv770-blockdiagram.png]] [[파일:amd-rv770-blockdiagram2.png]] 라데온 HD 4870에 사용된 RV770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0>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VA || GA || TSL || TRS || RZ || SC || SP || SPU[br],,(FP32),,[br]^^(INT32)^^ || SPU[br],,(SFU),, || TFU || ,,셰이더,,[br]^^캐시^^[br]^^(KB)^^ || LDS[br]^^(KB)^^ || L1[br],,텍스처,,[br]^^캐시^^[br]^^(KB)^^ || L2[br],,텍스처,,[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21> '''R600''' || ||'''R600''' || 80 || 420 || 1 || 1 || 1 || 1 || 1 || 4 || 64 || 320 || 64 || 16 || 8 || - || 32 || 256 || - || 4 || 16 || 64×8 || ||'''RV630''' || 65 || 153 || 1 || 1 || 1 || 1 || 1 || 3 || 24 || 120 || 24 || 8 || 8 || - || 32 || 64 || - || 1 || 4 || 64×2 || ||'''RV610''' || 65 || 85 || 1 || 1 || 1 || 1 || 1 || 2 || 8 || 40 || 8 || 4 || 8 || - || 32 || 32 || - || 1 || 4 || 64×1 || ||'''RV670''' || 55 || 192 || 1 || 1 || 1 || 1 || 1 || 4 || 64 || 320 || 64 || 16 || 8 || - || 32 || 256 || - || 4 || 16 || 64×4 || ||'''RV635''' || 55 || 135 || 1 || 1 || 1 || 1 || 1 || 3 || 24 || 120 || 24 || 8 || 8 || - || 32 || 64 || - || 1 || 4 || 64×2 || ||'''RV620''' || 55 || 67 || 1 || 1 || 1 || 1 || 1 || 2 || 8 || 40 || 8 || 4 || 8 || - || 32 || 32 || - || 1 || 4 || 64×1 || ||<-21> '''R700''' || ||'''RV770''' || 55 || 256 || 1 || 1 || 1 || 1 || 1 || 10 || 160 || 800 || 160 || 40 || - || 16×10 || 16×10 || 256 || 16 || 4 || 16 || 64×4 || ||'''RV740''' || 40 || 137 || 1 || 1 || 1 || 1 || 1 || 8 || 128 || 640 || 128 || 32 || - || 16×8 || 16×8 || 128 || 16 || 4 || 16 || 64×2 || ||'''RV730''' || 55 || 146 || 1 || 1 || 1 || 1 || 1 || 4 || 64 || 320 || 64 || 32 || - || 16×4 || 16×4 || 128 || 16 || 2 || 8 || 64×2 || ||'''RV710''' || 55 || 73 || 1 || 1 || 1 || 1 || 1 || 1 || 16 || 80 || 16 || 8 || - || 16×1 || 16×1 || 64 || 16 || 1 || 4 || 64×1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TeraScale 1''' || ||'''R600''' ||<|3> DirectX 10.0[br]^^(FEATURE_LEVEL_10_0)^^[br]OpenGL 3.3 ||<|7> OpenCL 1.0[br]^^(S/W)^^ || AVIVO ||<|3> PCIe 1.1 ×16 || GDDR3[br]GDDR4 ||<|6> DCE 2.0 || ||'''RV630''' ||<|2> --AVIVO HD--[br]UVD 1.0 || DDR2[br]GDDR3[br]GDDR4 || ||'''RV610''' || DDR2[br]GDDR3 || ||'''RV670''' ||<|9> DirectX 10.1[br]^^(FEATURE_LEVEL_10_1)^^[br]OpenGL 3.3 ||<|4> UVD 1.0 ||<|9> PCIe 2.0 ×16 ||<|2> GDDR3[br]GDDR4 || ||'''R680''' || ||'''RV635''' || DDR2[br]GDDR3[br]GDDR4 || ||'''RV620''' || DDR2[br]GDDR3 || DCE 3.0 || ||'''RV770''' ||<|5> OpenCL 1.1 ||<|2> UVD 2.0 ||<|2> DDR3[br]GDDR5 ||<|2> DCE 3.1 || ||'''R700''' || ||'''RV740''' ||<|3> UVD 2.2 || GDDR5 ||<|3> DCE 3.2 || ||'''RV730''' ||<|2> DDR2[br]DDR3 || ||'''RV710''' || }}} * CP: Command Processor * VA: Vertex Assembler * GA: Geometry Assembler * TSL: Tessellator * TRS: Triangle Setup * RZ: Rasterizer * LDS: Local Data Share * GDS: Global Data Share * SC: SIMD Core * SP: Streaming Processor * SPU: Stream Processing Unit * FP32: 32-bit(Single-precision) Floating-point Real Number * FP64: 64-bit(Double-precision) Floating-point Real Number * INT32: 32-bit Integer * SFU: Special Function Unit * TFU: Texture Filter Unit * RB: Render Backend * ROP: Render Output * MC: Memory Controller === R600 / HD 2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RV610.png|align=center]]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U:TFU:ROP[br]^^(VA, GA, TSL, RZ)^^ || 클럭[br]^^(MHz)^^ || L2[br]캐시[br]^^(K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2>'''HD 2900 XT''' ||<|5> R600[br],,(80㎚),,[br]^^(420㎟)^^ ||<|2> 320:16:16[br](1, 1, 1, 1) ||<|2> 743 ||<|2> 256 ||<|2> 512 || GDDR3 || 828[br](1656) ||<|2> 512[br]1024 ||<|2> 215 ||<|2> 399 || || GDDR4 || 1050[br](2100) || ||<|2>'''HD 2900 PRO''' ||<|2> 320:16:16[br](1, 1, 1, 1) ||<|2> 600 ||<|2> 256 ||<|2> 256 || GDDR3 || 800[br](1600) ||<|2> 512[br]1024 ||<|2> 200 || 249 || || GDDR4 || 925[br](1850) || 299 || ||'''HD 2900 GT''' || 240:12:12[br](1, 1, 1, 1) || 601 || 256 || 256 || GDDR3 || 800[br](1600) || 256 || 150 || 199 || ||<|2>'''HD 2600 XT''' ||<|4> RV630[br],,(65㎚),,[br]^^(153㎟)^^ ||<|2> 120:8:4[br](1, 1, 1, 1) ||<|2> 800 ||<|2> 64 ||<|2> 128 || GDDR3 || 700[br](1400) ||<|2> 256[br]512 || 45 || 119 || || GDDR4 || 1100[br](2200) || 50 || 149 || ||<|2>'''HD 2600 PRO''' ||<|2> 120:8:4[br](1, 1, 1, 1) ||<|2> 600 ||<|2> 64 ||<|2> 128 || DDR2 || 500[br](1000) ||<|2> 256[br]512 ||<|2> 35 || 89 || || GDDR3 || 700[br](1400) || 99 || ||<|2>'''HD 2400 XT''' ||<|3> RV610[br],,(65㎚),,[br]^^(85㎟)^^ ||<|2> 40:4:4[br](1, 1, 1, 1) ||<|2> 650 ||<|2> 32 ||<|2> 64 || DDR2 || 500[br](1000) ||<|2> 256 ||<|2> 25 || 69 || || GDDR3 || 700[br](1400) || 79 || ||'''HD 2400 PRO''' || 40:4:4[br](1, 1, 1, 1) || 525 || 32 || 64 || DDR2 || 400[br](800) || 256[br]512 || 20 || 49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ing Unit = SPU[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Vertex Assembler = VA[br]Geometry Assembler = GA[br]Tessellator = TSL[br]Rasterizer = RZ[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2231|ANANDTECH ATI Radeon HD 2900 XT: Calling a Spade a Spade]] * [[https://www.anandtech.com/show/2243|ANANDTECH AMD's UVD Debacle]] * [[https://www.anandtech.com/show/2261|ANANDTECH More Mainstream DX10: AMD's 2400 and 2600 Series]]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16|Beyond3D AMD R600 Architecture and GPU Analysis]]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28|Beyond3D AMD RV610 and RV630 Introduction]]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47|Beyond3D AMD R6xx: Image Quality Analysis w/ AA focu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600-part1.html|iXBT LABS AMD/ATI DirectX 10 Series: RADEON HD 2900 XT (R600)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600-part2.html|Part 2: Graphics card features, synthetic benchmark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600-part3.html|Part 3. Game benchmark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600-part4.html|Part 4. AF & AA Quality]]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v630-part1.html|iXBT LABS A Detailed Analysis of the ATI RADEON HD 2400XT/2600PRO/2600XT (RV610/630)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v630-part2-page1.html|Part 2. Graphics cards' features, synthetic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v630-part3-page1.html|Part 3. Performance in Game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r600-2-page1.html|iXBT LABS ATI RADEON HD 2900 XT 1024MB]] 2007년 5월부터 출시된 7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R(V)6xx. 경쟁사의 지포스 8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통합 셰이더를 라데온 시리즈 중 최초로 지원하였지만, MIMD 구조로 모든 면에서 새로 설계된 지포스 8 시리즈와는 달리 HD 2000 시리즈는 기존의 SIMD 구조를 계승한 전통적인 노선을 택하여 경쟁했지만, 최고급이었던 HD 2900XT가 지포스 8800GTX보다 6개월 늦게 출시된 주제에 성능은 한 단계 아래인 8800GTS급이면서 소비전력에서도 처참하게 밀리면서 남아있던 시장 점유율이 거의 증발될 뻔 했다. 이 때 당시 했던 언플들(지포스 8800GTX가 대학생이 고등학생을 바르듯이 쳐바를 것이다. 수율을 본 협력사들이 덩실덩실 춤을 추었다는 등)은 AMD 골수팬들조차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 [[흑역사]]가 되었다. 오죽하면 출시 후, 이런 제품을 팔아야 된다는 생각에 [[멘붕]]해서 [[반어법|춤춘게]] 아니냐는 댓글이 나왔을 정도. 게다가 원래는 HD 2900XTX가 최상위 제품이 될 예정이었으나, 하도 쪽팔려서 XTX 이름은 결국 써먹지도 못했다! 비록 공식적인 확언까지는 없었지만 이미 X1900XTX와 X1950XTX가 있는데 HD 2000 시리즈에서 갑자기 2900XTX가 아닌 2900'''XT'''가 최상위 제품이라는 건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HD 2900XT는 무려 '''512-bit'''나 되는 쓸데없이 넓은 메모리 버스와 나중에 '''GDDR4''' VRAM을 사용하면서 기판과 전원부, 메모리의 원가가 급격히 상승하여 완성된 VGA의 가성비가 별로였다. 코어의 성능을 보면 256-bit 내지는 384-bit로도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었는데 플래그십이라는 자존심은 있었나 보다. 그리고 10년 뒤에 나온 RX 베가 시리즈 역시 엔비디아의 최상위 제품인 TITAN Xp와는 비교할수도 없는 성능에 차상위 제품인 지포스 GTX 1080과 겨우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점, 전력 소모량은 지포스 GTX 1080의 1.6배 수준인 점, 폭발하는 전력 소모량 및 대역폭 확보를 위한 HBM2가 양산이 지연됨에 따라 출시일정이 속절없이 지연되었으며, 가격 또한 경쟁사 제품에 비하여 비싸다는 점 등에서 보았을 때 역사는 반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RV670이 등장하기 전에는 지포스 8 시리즈의 고급 모델에 가격으로도, 성능으로도, TDP에서도 --빠심으로도-- 상당히 불리했었다. 성능은 겨우 지포스 8800GTS(640MB, 320MB)와도 비교당할 정도였으나, 후에 FireGL 개조가 풀리면서 물량이 증발... 하지만 2007년 6월 말에 출시된 메인스트림 라인인 HD 2600 시리즈는 65nm 공정으로 제조되어 80nm 공정으로 제조된 지포스 8600 시리즈보다 선행된 공정이었으나 정작 실성능은 지포스 8600GT와 비교해도 뚜렷한 장점이 없어 처참하게 밀렸다. HD 2000 시리즈의 막내로 출시된 HD 2400 시리즈는 이미 HD 2600 시리즈부터 적용된 동영상 재생 기술인 AVIVO HD(훗날 UVD로 변경)의 [[H.264]] 및 VC-1 하드웨어 가속이라는 강점으로 홍보되었는데 VC-1 하드웨어 가속이 부실했던 경쟁 모델인 G86 기반의 지포스 8400GS에 비해 확실한 우위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HD 2900, 2600 시리즈에 비해 혹평이 덜한 편이었다. 하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문제점이 많은 제품군이었기 때문에 HD 2000 시리즈로 라인업된 칩셋의 종류가 OEM용까지 전부 포함해서 겨우 8가지로, 전작 대비 1/4 이하의 종류로 대폭 감소되었다. AMD GPU 역사상 최악을 겪었던 칩셋이지만 구조적으로는 훗날에 인기를 얻기 시작한 후속 시리즈들의 근간을 마련했다는 점. 아키텍처 이름도 당시에는 전통적인 명명법에 따라 'R600 아키텍처', 2005년 [[Xbox 360]]에 이어서 '2세대 통합 셰이더 아키텍처', 이전 세대보다 더 많은 스칼라 연산과 다양한 연산 명령어 형식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슈퍼스칼라 셰이더 아키텍처'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렀으나, 다다음 시리즈에서 FP32 연산 속도가 단일 GPU 기준으로 1 TFLOPS룰 달성하게 되자 2008년 8월에 개최되었던 [[SIGGRAPH]] 2008에서 TeraScale라고 부른 이후로 R600도 TeraScale 아키텍처에 편입되었다. 또한, 2001년 라데온 8500부터 탑재된 하드웨어 [[테셀레이션]]인 TRUFORM이 세대마다 꾸준히 개선되면서 테셀레이터로 계승된 것도 근간을 마련한 기능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TRUFORM 시절에 이를 활용한 게임은 20여가지 정도 뿐이라 널리 알려지지 못 했고, 이것이 발전된 형태가 TeraScale의 테셀레이터였지만 여전히 비표준 상태였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은 건 마찬가지였다. 여담으로 HD 2600XT 등 일부 모델은 [[http://gameabout.com/gnews/12855|AGP]]로도 출시가 되었으며, 단종될 때까지 정식 드라이버는 쓰질 못하고 핫픽스 드라이버로 따로 사용하였다. 데스크탑/노트북용 이외에, 임베디드 시장을 위한 HD 2400 XT 기반의 라데온 E2400이 출시되었다. PCI-Express 카드 형태와 MXM 형태로 모두 발매되었으며, 주로 의료 장비, 계측 장비, 키오스크, 업무용 게임기 등에 탑재되었다. 업무용 게임기 중에서는 [[리듬 게임]] [[BEMANI]] 구동용 기판에 다수 채용되었으며, 비디오 [[슬롯머신]]에서도 다수 채용되었다. '''[[Windows 10]]을 지원하는 최소사양 그래픽카드이다.''' === R600 / HD 3000 시리즈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U:TFU:ROP[br]^^(VA, GA, TSL, RZ)^^ || 클럭[br]^^(MHz)^^ || L2[br]캐시[br]^^(K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2>'''HD 3870''' ||<|2> RV670[br],,(55㎚),,[br]^^(192㎟)^^ ||<|2> 320:16:16[br](1, 1, 1, 1) ||<|2> 777 ||<|2> 256 ||<|2> 256 || GDDR4 || 1126[br](2252) ||<|2> 512[br]1024 ||<|2> 106 ||<|2> --269--[br]199 || || GDDR3 || 950[br](1900) || ||<|2>'''HD 3870 X2''' ||<|2> R680[br],,(55㎚),,[br]^^(192×2㎟)^^ ||<|2> 320:16:16[br](1, 1, 1, 1)[br]×2 ||<|2> 825 ||<|2> 256[br]×2 ||<|2> 256[br]×2 || GDDR3 || 901[br](1802) ||<|2> 512[br]×2 ||<|2> 200 ||<|2> 449 || || GDDR4 || 1125[br](2250) || ||<|3>'''HD 3850''' ||<|5> RV670[br],,(55㎚),,[br]^^(192㎟)^^ ||<|3> 320:16:16[br](1, 1, 1, 1) ||<|3> 668 ||<|3> 256 ||<|3> 256 || GDDR3 || 830[br](1660) ||<|3> 512[br]1024 ||<|3> 75 ||<|3> 179 || || GDDR4 || 900[br](1800) || || DDR2 || 500[br](1000) || ||'''HD 3850 X2'''[br][* ASUS에서는 트리플 GPU가 탑재된 HD 3850 X3이라는 정신나간 모델을 선보인 바 있다. 별도의 수랭 모듈을 탑재하고 있으며, 그래픽 카드 자체의 무게만 1.45Kg에 달하는 괴물.] || 320:16:16[br](1, 1, 1, 1)[br]×2 || 669 || 256[br]×2 || 128[br]×2 || GDDR3 || 828[br](1656) || 512[br]×2 || 140 || 349 || ||'''HD 3830''' || 320:16:16[br](1, 1, 1, 1) || 668 || 256 || 128 || GDDR3 || 828[br](1656) || 256 || 75 || ? || ||'''HD 3750''' ||<|3> RV635[br],,(55㎚),,[br]^^(135㎟)^^ || 120:8:4[br](1, 1, 1, 1) || 796 || 64 || 128 || GDDR3 || 693[br](1386) || 512 || 65 || ? || ||'''HD 3730''' || 120:8:4[br](1, 1, 1, 1) || 722 || 64 || 128 || DDR2 || 396[br](792) || 512[br]1024 || 65 || ? || ||'''HD 3650''' || 120:8:4[br](1, 1, 1, 1) || 725 || 64 || 128 || DDR2[br]GDDR3[br]GDDR4 || 800[br](1600) || 256[br]512[br]1024 || 65 || ? || ||'''HD 3570''' ||<|5> RV620[br],,(55㎚),,[br]^^(67㎟)^^ || 40:4:4[br](1, 1, 1, 1) || 796 || 32 || 64 || DDR2 || 495[br](990) || 512 || 30 || ? || ||'''HD 3550''' || 40:4:4[br](1, 1, 1, 1) || 594 || 32 || 64 || DDR2 || 396[br](792) || 512 || 30 || ? || ||'''HD 3470''' || 40:4:4[br](1, 1, 1, 1) || 800 || 32 || 64 || GDDR3 || 950[br](1900) || 256[br]512 || 30 || ? || ||<|2>'''HD 3450''' ||<|2> 40:4:4[br](1, 1, 1, 1) ||<|2> 600 ||<|2> 32 ||<|2> 64 || DDR2 || 500[br](1000) ||<|2> 256[br]512 ||<|2> 25 ||<|2> ? || || GDDR3 || 700[br](1400)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ing Unit = SPU[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Vertex Assembler = VA[br]Geometry Assembler = GA[br]Tessellator = TSL[br]Rasterizer = RZ[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2376|ANANDTECH ATI Radeon HD 3870 & 3850: A Return to Competition]] * [[https://www.anandtech.com/show/2398|ANANDTECH AMD Hybrid CrossFire Preview: Making Two Slow GPUs... Not So Slow]] * [[https://www.anandtech.com/show/2424|ANANDTECH Sub $100 Graphics: AMD Radeon HD 3600 and 3400 Series]] * [[https://www.anandtech.com/show/2428|ANANDTECH ATI Radeon HD 3870 X2: 2 GPUs 1 Card, A Return to the High End]] * [[https://www.anandtech.com/show/2451|ANANDTECH AMD's CrossFireX: Tri & Quad GPU Preview]] * [[https://www.anandtech.com/show/2473|ANANDTECH CrossFireX Arrives: First Look at 3 and 4 GPUs in 2 Card Setups]]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50|Beyond3D AMD Radeon HD 3870 and 3850 First Look]]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670-part1-page1.html|iXBT LABS ATI RADEON 3850/3870 (RV670) Part 1: Theory and architecture]],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670-part2-page1.html|Part 2: Features, Synthetic Tests]],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670-part3-page1.html|Part 3: Performance in games]] * [[http://ixbtlabs.com/articles2/video/spravka-r6xx.html|iXBT LABS AMD(ATI) RADEON Graphics Cards]] 2007년 11월부터 출시된 8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R(V)6xx. 80nm 공정이었던 HD 2900XT의 출시 이후 고작 6개월만에 65nm 공정을 건너뛰고, 55nm 공정으로 전환되면서 GPU 다이 크기가 크게 축소된 건 물론이고 발열, 소비전력, 원가 개선까지 한꺼번에 이루어졌다. 시기적으로는 NVIDIA가 65nm 공정 전환의 첫 주자였던 G92 기반의 지포스 8800GT를 막 투입시켜 경쟁하는 구도였다. 지포스 8 시리즈 라인업으로 번창하면서 등한시했던 DirectX 10.1을 AMD에서는 재빠르게 도입했고 [[GPGPU]]용 오픈소스 API인 [[OpenCL]] 1.0을 도입했다. 처음부터 지원했던 건 아니고 추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 지원되었다. GPU 아키텍처 자체는 R60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256-bit 메모리 버스를 사용하면서 개발 비용을 줄였으며 조금 더 경제적인 기판과 전원부를 이용하여 HD 3870, 3850은 경쟁할만한 가격과 성능으로 시장에 투입되었다. 결과적으로는 가성비가 훌륭하여 얼리어답터 들의 사랑을 받았다. 지포스 8600GT가 13만원, 라데온 HD 3850이 15만원, 라데온 HD 3870과 지포스 8800GT 256MB가 20만원, 8800GT 512MB가 30만원에 가까운 가격이었는데 성능은 HD 3850이 8600GT보다 거의 1.6배 이상 높았으며, HD 3870은 8800GT에 비해 약 10% 정도 밖에 낮지 않았다. 또 HD 3850을 크로스파이어로 구성할 경우 8800GT와 같은 가격으로 약 1.3배 이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부터 AMD의 플래그십 모델 개발 방식이 바뀌었는데, 최고의 GPU를 개발하기 보다는 경제적인 GPU를 개발하여 하나의 기판에 2개의 GPU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지향하였다. 긍정적인 평가 덕분에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라인업이 다시 확장되어 다양한 수요층을 확보하였다. 단정밀도 연산 기능을 위주로 활용되고 있는 게임 개발 업계에서 그다지 큰 주목을 받진 못했지만 HD 3800 시리즈에 사용된 RV670, R680 한정으로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실수 연산 기능이 적용되었다. 성능은 기존의 단정밀도의 1/5 수준. 그리고 하위 라인에서 HD 2600 시리즈의 후속작인 HD 3600, 3700 시리즈와 HD 2400 시리즈의 후속작인 HD 3400, 3500 시리즈도 65nm에서 55nm 공정으로 모두 전환되면서 전성비가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 R700 / HD 4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HD4850.jpg|align=center]]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U:TFU:ROP[br]^^(VA, GA, TSL, RZ)^^ || 클럭[br]^^(MHz)^^ || L2[br]캐시[br]^^(K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HD 4890''' || RV790[br],,(55㎚),,[br]^^(282㎟)^^ || 800:40:16[br](1, 1, 1, 1) || 850 || 256 || 256 || GDDR5 || 975[br](3900) || 1024[br]2048 || 190 || 249 || ||'''HD 4870''' || RV770[br],,(55㎚),,[br]^^(256㎟)^^ || 800:40:16[br](1, 1, 1, 1) || 750 || 256 || 256 || GDDR5 || 900[br](3600) || 512[br]1024 || 150 || 299 || ||'''HD 4870 X2''' ||<|2> R700[br],,(55㎚),,[br]^^(256×2㎟)^^ || 800:40:16[br](1, 1, 1, 1)[br]×2 || 700 || 256[br]×2 || 256[br]×2 || GDDR5 || 900[br](3600) || 1024[br]×2 || 286 || --549--[br]449 || ||'''HD 4850 X2''' || 800:40:16[br](1, 1, 1, 1)[br]×2 || 625 || 256[br]×2 || 256[br]×2 || GDDR3 || 995[br](1990) || 512[br]×2 || 250 || --399--[br]299 || ||<|3>'''HD 4850''' ||<|5> RV770[br],,(55㎚),,[br]^^(256㎟)^^ ||<|3> 800:40:16[br](1, 1, 1, 1) ||<|3> 625 ||<|3> 256 ||<|3> 256 || GDDR3 || 993[br](1986) || 512[br]1024 ||<|3> 110 ||<|3> --199--[br]99 || || GDDR4 || 1100[br](2200) ||<|2> 512 || || GDDR5 || 900[br](3600) || ||'''HD 4830''' || 640:32:16[br](1, 1, 1, 1) || 575 || 256 || 256 || GDDR3 || 900[br](1800) || 512 || 95 || 129 || ||'''HD 4810''' || 640:32:8[br](1, 1, 1, 1) || 625 || 128 || 128 || GDDR5 || 900[br](3600) || 512 || 95 || ? || ||'''HD 4770''' ||<|3> RV740[br],,(40㎚),,[br]^^(137㎟)^^ || 640:32:16[br](1, 1, 1, 1) || 750 || 128 || 128 || GDDR5 || 900[br](3600) || 512 || 80 || 109 || ||'''HD 4750''' || 640:32:16[br](1, 1, 1, 1) || 730 || 128 || 128 || GDDR5 || 800[br](3200) || 512 || 100 || ? || ||'''HD 4730''' || 640:32:8[br](1, 1, 1, 1) || 750 || 128 || 128 || GDDR5 || 900[br](3600) || 512 || 110 || 79 || ||'''HD 4670''' ||<|3> RV730[br],,(55㎚),,[br]^^(146㎟)^^ || 320:32:8[br](1, 1, 1, 1) || 750 || 128 || 128 || GDDR3 || 800[br](1600) || 512 || 59 || ? || ||<|2>'''HD 4650''' ||<|2> 320:32:8[br](1, 1, 1, 1) ||<|2> 600 ||<|2> 128 ||<|2> 128 || GDDR3 || 700[br](1400) || 256[br]512 ||<|2> 48 ||<|2> ? || || DDR2 || 400[br](800) || 512[br]1024 || ||'''HD 4570''' ||<|6> RV710[br],,(55㎚),,[br]^^(73㎟)^^ || 80:8:4[br](1, 1, 1, 1) || 650 || 64 || 64 || DDR2 || 500[br](1000) || 1024 || 25 || ? || ||'''HD 4550''' || 80:8:4[br](1, 1, 1, 1) || 600 || 64 || 64 || DDR2 || 655[br](1310) || 256[br]512 || 25 || 59 || ||'''HD 4520''' || 80:8:4[br](1, 1, 1, 1) || 600 || 64 || 64 || DDR2 || 400[br](800) || 512 || 25 || ? || ||'''HD 4450''' || 80:8:4[br](1, 1, 1, 1) || 600 || 64 || 64 || DDR2 || 400[br](800) || 512 || 25 || ? || ||<|2>'''HD 4350''' ||<|2> 80:8:4[br](1, 1, 1, 1) ||<|2> 600 ||<|2> 64 ||<|2> 64 || DDR3 || 400[br](800) || 512 || 20 ||<|2> ? || || DDR2 || 400[br](800) || 256[br]512[br]1024 || 25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ing Unit = SPU[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Vertex Assembler = VA[br]Geometry Assembler = GA[br]Tessellator = TSL[br]Rasterizer = RZ[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2556|ANANDTECH The Radeon HD 4850 & 4870: AMD Wins at $199 and $299]] * [[https://www.anandtech.com/show/2567|ANANDTECH ATI Radeon HD 4870 X2 - R700 Preview: AMD's Fastest Single Card]] * [[https://www.anandtech.com/show/2584|ANANDTECH AMD's Radeon HD 4870 X2 - Testing the Multi-GPU Waters]] * [[https://www.anandtech.com/show/2616|ANANDTECH AMD Radeon HD 4670: Ruling from Top to Bottom]] * [[https://www.anandtech.com/show/2626|ANANDTECH The Radeon HD 4870 1GB: The Card to Get]] * [[https://www.anandtech.com/show/2630|ANANDTECH ATI Radeon HD 4350 and 4550: Great HTPC Solutions]] * [[https://www.anandtech.com/show/2647|ANANDTECH AMD Radeon HD 4830: Affordable Performance And Heavy Competition]] * [[https://www.anandtech.com/show/2651|ANANDTECH Retesting the Radeon HD 4830: Too Few SIMDs Enabled]] * [[https://www.anandtech.com/show/2679|ANANDTECH The RV770 Story: Documenting ATI's Road to Success]] * [[https://www.anandtech.com/show/2756|ANANDTECH Faster Graphics For Lower Prices: ATI Radeon HD 4770]]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52|Beyond3D ATI RV740 GPU and Architecture Analysis]]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70-part1-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850 512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70-2-part1-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870 512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70-3-part0-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870 X2 (R700) 2x1024MB Preview]]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70-3-part1-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870 X2 2x1024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30-part1-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670 512MB Graphics Card]]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40-part1-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770 (RV740) 512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90-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890 1024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v770-7-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4730 512MB Graphics Card]]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spravka-r7xx-p1.html|iXBT LABS AMD(ATI) RADEON R(V)7XX Referenc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4850,1957.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4850: Smarter by Design?]]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4870,1964.html|tom's HARDWARE Radeon HD 4870: Better Than GTX 260!]]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4770,2281.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4770: 40nm Goes Mainstream]]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ATI-Radeon-HD4650-HD4670,2444.html|tom's HARDWARE ADVERTORIAL: ATI Radeon HD 4650/70: Top Value for Bottom Dollar]] 2008년 6월 말부터 출시된 9번째 라데온 시리즈. 개발 코드네임은 R(V)7xx. 주 경쟁상대는 지포스 200 시리즈보단 9 시리즈로 HD 3870 출시 이후 약 7개월만에 등장하여 지포스 8 시리즈를 압도하는 성능에 매우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을 엎어버린다. 출시 당시 기준 최상위 제품인 HD 4870도 아닌 HD 4850의 성능이 당시 [[NVIDIA]]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였던 지포스 9800GTX와 별반 차이나지 않는 성능이었는데다 일부에서는 9800GTX를 능가하기도 했기에 [[NVIDIA]]는 큰 위협을 느끼고 9800GTX의 MSRP가 $100만큼 인하되었을 정도. 차후 [[NVIDIA]]도 G92를 55nm 공정 미세화시켜서 클럭을 높인 9800GTX+를 출시하여 HD 4850을 다시 앞지르게 됐지만, 기존 9800GTX을 팀킬하기 곤란한 상황이었는지 $229로 책정되어 생산 단가와 가격 면에서 $199인 HD 4850이 여전히 우위의 경쟁력을 가졌다. 이는 [[NVIDIA]]의 하이엔드 카드를 사용하던 유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가격 인하가 되기 얼마 전에 카드를 구매한 유저들은 상당한 허탈감에 시달리게 되었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캐시백 등의 보상을 해 주었지만, 한국에선 안 해 줬다. 심지어 출시 직전에도 제대로된 스펙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그저 480개의 SPU와 당시 지포스처럼 코어/셰이더 클럭을 분리하여 성능을 꾀할 것이다라는 루머만 나돌았다가 경쟁사 엔비디아는 물론 모두가 깜빡 속아 넘어갔다. 여기에는 비화가 있는데 ATI는 전통적으로 자사의 팬을 직원으로 채용했었는데 그 직원이 HD 4800 시리즈가 800개의 스트림 프로세싱 유닛을 가져야 한다고 끈질기게 엔지니어들을 설득한 끝에 그렇게 발매되었다. AMD는 지포스의 거의 모든 라인업에 대응할만한 라인업을 세우고, 가격을 무기로 경쟁을 시작하였기에, [[NVIDIA]]도 가격을 상당히 다운시키고 GTX 275를 런칭하는 등 시장을 선도하려고 애를 썼지만 상당한 점유율을 잃게 된다. AMD는 또 여기서 쓰라린 고통이 있었는데 자신들이 HD 3800 시리즈부터 그렇게 광고하던 PowerPlay가 라데온 HD 4850에서는 멀쩡히 동작하였는데 상위모델인 HD 4870과 나중에 나온 최상위 모델인 HD 4890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던 것. HD 4870과 HD 4890은 독일제 퀴몬다 GDDR5 메모리를 사용했는데 알고보니 메모리의 결함으로 메모리 클럭조절이 되지 않았다. 해당 유저는 카탈리스트의 프로파일이나 ATI Tray Tool 같은 유틸을 통해 수동으로 PowerPlay를 이용하면 소비전력과 발열을 많이 낮출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람. HD 4830은 HD 4850에 비해 스트림프로세서 수가 약간 적고 클럭이 낮은데, 이 중 스트림프로세서가 800개로 해금이 되거나 되어 있는 모델이 추후 발견, 이를 통해 사파이어에서 HD 4830의 변종모델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는 오버클럭이었기 때문에 정상동작하지 않는 카드도 있었고, 소비자의 항의로 이어졌다. 결국 한국의 경우 수입사에서 HD 4830 800SP라는 명칭으로 출시된 모델을 HD 4850으로 교환해 주는 선에서 마무리 되었다. 코어를 살펴보면 같은 55nm 공정인데도 SPU와 TFU는 각각 320개와 16개에서 800개, 40개로 무려 2.5배나 늘어난 것에 비해 다이 사이즈는 1.5배 수준으로 50%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하였고 결과적으로 다이 면적 대비 성능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소소한 부분을 보면 Global Cache Memory와 SIMD 코어당 1개의 Local Cache Memory를 추가하여 레이턴시를 개선하였고, ROP도 이전 세대와 같은 16개라도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메모리 컨트롤러를 링 버스에서 허브로 바꾸어 전력과 다이 사이즈를 최적화했다. --기술 덕후-- 변경된 캐시 메모리 구조는 다다음 시리즈까지 채택되었으며, 허브 구조는 아키텍처가 완전히 바뀐 현재까지도 채택되고 있다. TeraScale 아키텍처라고 명명한 것도 이 시절부터였다. FP32 연산 속도가 단일 GPU 기준 1 TFLOPS를 달성한 최초의 시리즈이기 때문. HD 2000, 3000 시리즈도 비록 1 TFLOPS를 달성하지 못 했지만 핵심은 같기 때문에 모두 TeraScale 아키텍처라는 이름으로 편입되었다. HD 4770은 40nm 공정 제조 GPU인 RV740으로 제조된 새로운 모델이지만 뿌리는 R700 계열. 저전력과 고성능을 앞세워 돌풍을 일으킬 '''뻔'''했으나, TSMC의 수율 문제가 불거져 수율 안정화 때까지 거의 비슷한 성능인 '''HD 4850을 $99로 떡드랍''' 시킨다는 발표 이후에 지포스는 더더욱 가격을 다운시킬 수 밖에 없었다. 수율 문제 때문인지 RV730이 사용된 HD 4670과 RV710이 사용된 HD 4570은 둘 다 55nm 공정으로 제조되었다. HD 3000 시리즈부터 상당히 안정화된 드라이버는 HD 4000 시리즈로 넘어오면서 빛을 보게 되었고, 지포스 드라이버가 불안정해지기 시작한 시점도 이 시점이라 점유율을 크게 얻게 된다. 하지만 하이엔드급 VGA가 저렴한 가격에 팔리자 너도나도 사게 되고 저가 파워 서플라이를 쓰는 유저들이 자신의 시스템을 살피지 않고 무리하여 파워가 터지는 사고가 속출하였다.....고는 하는데, 실제 이런 사고의 주 대상이 되는 것은 6핀 보조 전원 2개 이상(즉 최대 전력 소모량이 최소한 150W를 초과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상위 지포스 제품이 큰 공헌을 했다. 2009년 6월에는 임베디드용인 라데온 E4690이 출시되었다. HD 4650 기반으로, E2400처럼 PCI-Express 카드 형태와 MXM 형태로 모두 발매되었으며, 사용 용도도 거의 비슷하다. 리듬 게임 BEMANI 시리즈 기판에서도 한때 주력 그래픽 카드로 사용했었다. == gfx400 / TeraScale 2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cypress-blockdiagram.jpg]] [[파일:amd-cypress-blockdiagram2.png]] 라데온 HD 5870에 사용된 Cypress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md-barts-blockdiagram.png]] 라데온 HD 6870에 사용된 Barts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0>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VA || GA || TSL || TRS || RZ || SC || SP || SPU[br],,(FP32),,[br]^^(INT32)^^ || SPU[br],,(SFU),, || TFU || LDS[br]^^(KB)^^ || L1[br],,컴퓨트,,[br]^^캐시^^[br]^^(KB)^^ || L1[br],,텍스처,,[br]^^캐시^^[br]^^(KB)^^ || L2[br],,텍스처,,[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21> '''Evergreen''' || ||'''Cypress''' || 40 || 334 || 1 || 1 || 1 || 1 || 2 || 20 || 320 || 1600 || 320 || 80 || 32×20 || 8×20 || 16×20 || 512 || 64 || 8 || 32 || 64×4 || ||'''Juniper''' || 40 || 166 || 1 || 1 || 1 || 1 || 1 || 10 || 160 || 800 || 160 || 40 || 32×10 || 8×10 || 16×10 || 256 || 64 || 4 || 16 || 64×2 || ||'''Redwood''' || 40 || 104 || 1 || 1 || 1 || 1 || 1 || 5 || 80 || 400 || 80 || 20 || 32×5 || 8×5 || 16×5 || 256 || 64 || 2 || 8 || 64×2 || ||'''Cedar''' || 40 || 59 || 1 || 1 || 1 || 1 || 1 || 2 || 16 || 80 || 16 || 8 || 16×2 || 32×2 || 16×2 || 128 || 64 || 1 || 4 || 64×1 || ||<-21> '''Northern Islands''' || ||'''Barts''' || 40 || 255 || 1 || 1 || 1 || 1 || 2 || 14 || 224 || 1120 || 224 || 56 || 32×14 || 8×14 || 16×14 || 512 || 64 || 8 || 32 || 64×4 || ||'''Turks''' || 40 || 118 || 1 || 1 || 1 || 1 || 1 || 6 || 96 || 480 || 96 || 24 || 32×6 || 8×6 || 16×6 || 256 || 64 || 2 || 8 || 64×2 || ||'''Caicos''' || 40 || 67 || 1 || 1 || 1 || 1 || 1 || 2 || 32 || 160 || 32 || 8 || 32×2 || 8×2 || 16×2 || 128 || 64 || 1 || 4 || 64×1 || ||<-21> '''iGPU''' || ||'''Beaver Creek''' || 32 || ? || 1 || 1 || 1 || 1 || 1 || 5 || 80 || 400 || 80 || 20 || 32×5 || 8×5 || 16×5 || 64 || 64 || 2 || 8 || 64×2 || ||'''Winter Park''' || 32 || ? || 1 || 1 || 1 || 1 || 1 || 2 || 32 || 160 || 32 || 8 || 32×2 || 8×2 || 16×2 || 64 || 64 || 1 || 4 || 64×2 || ||'''Ontario''' || 40 || ? || 1 || 1 || 1 || 1 || 1 || 1 || 16 || 80 || 16 || 8 || 32×1 || 8×1 || 16×1 || 64 || 64 || 1 || 4 || 64×2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TeraScale 2''' || ||'''Cypress''' ||<|11> DirectX 11.0[br]^^(FEATURE_LEVEL_11_0)^^[br]OpenGL 4.5 ||<|11> OpenCL 1.2 ||<|5> UVD 2.3 ||<|8> PCIe 2.0 ×16 ||<|2> GDDR5 ||<|5> DCE 4.0 || ||'''Hemlock''' || ||'''Juniper''' ||<|2> DDR3[br]GDDR5 || ||'''Redwood''' || ||'''Cedar''' || DDR2[br]DDR3[br]GDDR5 || ||'''Barts''' ||<|3> UVD 3.1 || GDDR5 ||<|3> DCE 5.0 || ||'''Turks''' ||<|2> DDR3[br]GDDR5 || ||'''Caicos''' || ||'''Beaver Creek''' ||<|3> UVD 3.0 ||<|3> UMI ||<|3> DDR3 ||<|3> DCE 4.1 || ||'''Winter Park''' || ||'''Ontario''' || }}} === Evergreen / HD 5000 시리즈 === [[파일:attachment/5870.jpg|align=center]][* 원래 xfx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만 전문적으로 만드는 회사였고 가장 인지도가 높았던 축에 속했지만 HD 4000 시리즈때 라데온 제품을 출시하여 엔비디아측과 마찰이 있었고 결국 HD 5000 시리즈부터는 라데온 제품만 생산하게 되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U:TFU:ROP[br]^^(VA, GA, TSL, RZ)^^ || 클럭[br]^^(MHz)^^ || L2[br]캐시[br]^^(K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G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HD 5870''' || Cypress[br],,(40㎚),,[br]^^(334㎟)^^ || 1600:80:32[br](1, 1, 1, 2) || 850 || 512 || 256 || GDDR5 || 1200[br](4800) || 1[br]2 || 188 || 399 || ||'''HD 5970''' || Hemlock[br],,(40㎚),,[br]^^(334×2㎟)^^ || 1600:80:32[br](1, 1, 1, 2)[br]×2 || 725 || 512[br]×2 || 256[br]×2 || GDDR5 || 1000[br](4000) || 1[br]×2 || 294 || 699 || ||'''HD 5850''' ||<|2> Cypress[br],,(40㎚),,[br]^^(334㎟)^^ || 1440:72:32[br](1, 1, 1, 2) || 725 || 512 || 256 || GDDR5 || 1000[br](4000) || 1[br]2 || 151 || 299 || ||'''HD 5830''' || 1120:56:16[br](1, 1, 1, 2) || 800 || 512 || 256 || GDDR5 || 1000[br](4000) || 1 || 175 || ? || ||'''HD 5770''' ||<|4> Juniper[br],,(40㎚),,[br]^^(166㎟)^^ || 800:40:16[br](1, 1, 1, 1) || 850 || 256 || 128 || GDDR5 || 1200[br](4800) || 1 || 108 || 159 || ||'''HD 5750''' || 720:36:16[br](1, 1, 1, 1) || 700 || 256 || 128 || GDDR5 || 1150[br](4600) || 1 || 86 || ? || ||<|3>'''HD 5670''' ||<|2> 640:32:8[br](1, 1, 1, 1) ||<|2> 750 ||<|2> 256 ||<|2> 128 || GDDR5 || 1000[br](4000) || 0.5[br]1 ||<|2> 64 ||<|2> 119 || || GDDR3 || 1000[br](2000) || 2 || ||<|4> Redwood[br],,(40㎚),,[br]^^(104㎟)^^ || 400:20:8[br](1, 1, 1, 1) || 775 || 256 || 128 || GDDR5 || 1000[br](4000) || 1 || 64 || 119 || ||<|2>'''HD 5570''' ||<|2> 400:20:8[br](1, 1, 1, 1) ||<|2> 650 ||<|2> 256 ||<|2> 128 || GDDR3 || 800[br](1600) ||<|2> 0.5[br]1 ||<|2> 39 ||<|2> ? || || GDDR5 || 900[br](3600) || ||'''HD 5550''' || 320:16:8[br](1, 1, 1, 1) || 550 || 256 || 128 || GDDR5 || 800[br](3200) || 0.5[br]1[br]2 || 39 || ? || ||<|2>'''HD 5450''' ||<|2> Cedar[br],,(40㎚),,[br]^^(59㎟)^^ ||<|2> 80:8:4[br](1, 1, 1, 1) ||<|2> 650 ||<|2> 128 ||<|2> 64 || DDR2 ||<|2> 400[br](800) || 0.5 ||<|2> 19 ||<|2> ? || || GDDR3 || 1[br]2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ing Unit = SPU[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Vertex Assembler = VA[br]Geometry Assembler = GA[br]Tessellator = TSL[br]Rasterizer = RZ[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2841|ANANDTECH AMD's Radeon HD 5870: Bringing About the Next Generation Of GPUs]] * [[https://www.anandtech.com/show/2848|ANANDTECH AMD’s Radeon HD 5850: The Other Shoe Drops]] * [[https://www.anandtech.com/show/2856|ANANDTECH AMD’s Radeon HD 5770 & 5750: DirectX 11 for the Mainstream Crowd]] * [[https://www.anandtech.com/show/2877|ANANDTECH The Radeon HD 5970: Completing AMD's Takeover of the High End GPU Market]] * [[https://www.anandtech.com/show/2917|ANANDTECH AMD's Radeon HD 5670: Sub-$100 DirectX 11 Starts Today]] * [[https://www.anandtech.com/show/2931|ANANDTECH AMD’s Radeon HD 5450: The Next Step In HTPC Video Cards]] * [[https://www.anandtech.com/show/2935|ANANDTECH AMD’s Radeon HD 5570: Low Profile, Higher Performance]] * [[https://www.anandtech.com/show/2937|ANANDTECH The RV870 Story: AMD Showing up to the Fight]] * [[https://www.anandtech.com/show/2947|ANANDTECH AMD’s Radeon HD 5830: A Filler Card at the Wrong Price]] * [[https://www.anandtech.com/show/3621/amds-radeon-hd-5870-eyefinity-6-edition-reviewed|ANANDTECH AMD's Radeon HD 5870 Eyefinity 6 Edition Reviewed]]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53|Beyond3D ATI Cypress GPU and Architecture analysis]] * [[https://www.beyond3d.com/content/reviews/54|Beyond3D ATI Cypress Gaming Performance Analysis]]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cypress-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870 1024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cypress-3-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850 Graphics Card]]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juniper-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750/5770 1024MB]]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cypress-4-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970 Graphics Card]]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redwood-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670 Graphics Card]]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juniper-2-p1.html|iXBT LABS ATI Radeon HD 5750/5770 Graphics Cards]] * [[http://ixbtlabs.com/articles3/video/spravka-r8xx-p1.html|iXBT LABS RADEON R(V)8XX Referenc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870,2422.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5870: DirectX 11, Eyefinity, And Serious Speed]]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850,2433.html|tom's HARDWARE Radeon HD 5850: Knocking Down GTX 295 In CrossFir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770,2446.html|tom's HARDWARE Radeon HD 5770 And 5750 Review: Gentlemen, Start Your HTPCs]]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970,2474.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5970 2GB: The World's Fastest Graphics Card]]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670,2533.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5670: DirectX 11 For $99]]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570,2552.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5570: Reasonable Gaming Performance For $80?]]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550-radeon-hd-5570-gddr5,2704.html|tom's HARDWARE Radeon HD 5550 And 5570: Pumped Up With GDDR5]]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5450,2549.html|tom's HARDWARE ATI Radeon HD 5450: Eyefinity And HTPCs For Everyone?]] 2009년 9월부터 출시된 10번째 라데온 시리즈. 코드네임은 Evergreen. 최초의 DirectX 11 지원 GPU이자 에버그린부터 코드명을 숫자에서 단어로 바꿨다. 발매 이전부터 성능을 가지고 많은 기대를 불러 모으면서 많은 추측과 루머를 불러 모았고, 2009년 9월에 미 해군박물관 USS 항모 호넷에서 시연한 시연회에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7680×3200해상도로 풀옵션 80프레임으로 돌리는 괴물같은 짓을 하고, 최강의 단일카드 그래픽카드였던 지포스 GTX 295[* 이 모델의 단일 GPU 버전이 GTX 275이다.]을 크라이시스 벤치에서 완전히 압도[* 옵션 설정 정도에 따라 거의 비등한 경우도 있다.]하여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또한 단일 그래픽카드로는 최초로 3개의 모니터를 지원하며, 하이엔드급에서는 6개까지 지원하는 Eyefinity를 탑재, 지원 모니터도 출시 예정이라고. 2010년 3월 말에 출시된 [[NVIDIA]]의 지포스 GTX 480, 470과 경쟁했으며 HD 5870에 사용된 Cypress는 RV770의 노하우를 응용한 GPU로, 이는 수많은 그래픽 처리 유닛들을 하나의 클러스터 단위로 묶고 그 클러스터가 2개로 구성되어 이를 한 개의 칩셋으로 통솔하여 쓰는 구조. [[CELL-Broadband Engine|CELL/BE]]도 이런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애초에 GPU 자체가 병렬 처리가 가능한 대규모 멀티코어 프로세서다. 이는 내부 연산유닛의 다수화, 즉 여러 개의 연산유닛을 넣는 형태로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기대가 되는 기술이다. HD 5970은 2009년 11월에 출시되었는데, 다소 낮아진 클럭때문에 실성능은 HD 5850을 크로스파이어한 성능에 가깝다. TDP는 294W, 전원부 설계는 400W까지는 넉넉히 견디게 제작되었다. 하지만 쿨러 설계 미스로 레퍼런스 기판 디자인의 경우 쿨러 형태에 문제가 있어 사용중 과열증상이 있으니 주의. 2010년 중순까지 "단일 카드"로는 HD 5970을 앞서는 카드는 없었으나, 지포스 GTX 580이 나오면서 역전. HD 5700시리즈의 경우 AMD가 GPU의 생산성에 주력하는 통에 당초 예상보다 다소 낮은 스펙으로 발매되었지만, 전성비가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800개의 SP를 탑재한 HD 5770은 출시 초기엔 대역폭 때문에 HD 4870보다 약간 못미치는 성능을 보여주지만 128-bit의 GDDR5 1GB를 탑재하고도 TDP 108W를 보여주고 있다. 이후 AMD는 2010년 전반기까지 경쟁사보다 반 년 가까이 앞서 엔트리급의 HD 5450에 이르는 완전한 DirectX 11 세대의 라인업을 갖추었다.[* 반면 [[NVIDIA]]는 DirectX 11 세대로 막 진입하기 시작했으나 성능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심해서 7월이 될 때까진 암흑기를 보냈다.] AMD는 최근 발표에서 HD 5000 시리즈가 2천 5백만 개 이상이 판매되어 DirectX 11 세대의 GPU 시장 점유율에서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또한 AMD의 외장 그래픽 카드 시장 점유율 역시 51%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HD 2000 시리즈부터 시작된 커다란 점유율 하락이 HD 5000 시리즈에서 반등을 넘어 역전된 셈이다. * R800 Hemlock(Cypress x2) - HD 5900 시리즈 * RV870 Cypress(XT/Pro/LE) - HD 5800 시리즈 * RV840 Juniper(XT/LE) - HD 5700 시리즈 * RV830 Redwood(XT/Pro/Pro2) - HD 5600/5500 시리즈 * RV810 Cedar - HD 5400 시리즈 참고링크 - HD 5870 벤치마크 모음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vganews&page=1&sn1=&divpage=2&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407|탐스하드웨어 벤치]] [[http://www.playwares.com/xe/?document_srl=7528824#139|플웨즈 벤치]]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idepc_new2&no=858660&page=1|아난드텍 벤치]] 그레이 스크린과 프리징 현상이라는 이름의 --복병--[[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vganews&no=7893|버그]]가 나타났으나 현재는 패치완료. 이 문제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최신 드라이버/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도록 하자. HD 5850의 경우 2011년 4월경 단종 직전에 반짝 인기를 누렸는데, 사파이어사에서 이 무렵 내놓은 HD 5850의 가격이 10만원대 후반이었기 때문이다. 메인스트림급 가격으로 전 세대의 하이엔드 그래픽 카드를 장만할 수 있다는 이야기였다. 이 시기가 [[통큰치킨]]이 단종된 직후였기 때문에 하드웨어 사이트에서는 '''[[http://prod.danawa.com/info/?pcode=1340303|통큰 5850]]'''이라고 불리면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이 당시 주력 메인스트림이었던 HD 6850과 지포스 GTX 460 1GB 모델의 평균가가 20만원 대 초중반이었다. 그런데 이 놈보다 더 성능이 좋은 전 세대 하이엔드가 10만원 대 후반이다!! 성능이 비슷한 HD 6870과 지포스 GTX 560은 거의 30만원 턱 밑에서 놀고 있었다. 당연하지만 미친듯이 팔려나갔다. HD 6850의 기판/쿨러에 HD 5850의 코어만 씌원 염가판이었는데도!!] 여담으로, [[카탈리스트(소프트웨어)|카탈리스트]]가 14.4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이전에 지원하지 않았던 [[OpenGL]] 4.4를 기본 지원하게 되었다. 나중에 밝혀진 비하인드 스토리에 따르면, 처음 HD 5800 시리즈에 사용된 Cypress 설계 당시 내부에서 비판과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CPU나 GPU는 시장변화에 비해 설계하는데 매우 오래걸리기 때문에[* 인텔이 틱톡 전략을 처음 발표할 당시 밝힌게, 설계에 4년 + 디버깅 및 대량 생산등 최종 출시준비가 모두 합쳐서 1년 = 총 5년이 걸린다는 얘기였다. GPU라고 딱히 더 빨리 만들 수 있을리가 없다.] 당시만 해도 HD 4870 출시전이라, 혹시라도 HD 4870이 망하면 같은 설계사상을 그대로 밀고나간 HD 5870은 자동으로 망하기 때문에 [[프레스캇|2세대 연속]][[불도저#s-2|으로 망하는]][* 둘 다 [[인텔 펜티엄D 시리즈#s-3|바로 다음]] [[AMD 불도저 마이크로아키텍처#s-3|세대의 개량형]]으로 어느정도 만회했지만 워낙 폭망인 세대를 개량한거라 그 다음세대도 별로 좋은 소리는 잘 못 들었다.] 대참사가 뻔하기 때문. 때문에 위험분산 측면에서 이번에는 설계사상을 바꾸자는 대안이 유력하게 제시되었고, 구체적으로 다이사이즈와 발열을 감수하고 최대성능을 뽑아내는 빅뷰티 안이 추진될 뻔 했다고 한다. (동세대의 빅뷰티 GPU로 유명한 녀석이 --실제 출시는 좀 늦었지만-- 바로 경쟁사의 [[NVIDIA/GPU#s-2.18|지포스 GTX 480]] 되시겠다) 하지만 바로위의 800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의 주인공인 팬 출신 직원이 혼자 설득하다시피해서 원안을 고수했고, 결과는 다들 아시는대로. == gfx500 / TeraScale 3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cayman-blockdiagram.png]] 라데온 HD 6970에 사용된 Cayman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VA || GA || TSL || TRS || RZ || SC || SP || SPU[br],,(FP32),,[br]^^(INT32)^^ || TFU || LDS[br]^^(KB)^^ || L1[br],,컴퓨트,,[br]^^캐시^^[br]^^(KB)^^ || L1[br],,텍스처,,[br]^^캐시^^[br]^^(KB)^^ || L2[br],,텍스처,,[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9> '''Northern Islands''' || ||'''Cayman''' || 40 || 389 || 2 || 2 || 2 || 2 || 2 || 24 || 384 || 1536 || 96 || 32×24 || 8×24 || 16×24 || 512 || 64 || 8 || 32 || 64×4 || ||<-20> '''iGPU''' || ||'''Devastator''' || 32 || ? || 1 || 1 || 1 || 1 || 1 || 6 || 96 || 384 || 24 || 32×6 || 8×6 || 16×6 || 64 || 64 || 2 || 8 || 64×2 || ||'''Scrapper''' || 32 || ? || 1 || 1 || 1 || 1 || 1 || 3 || 48 || 192 || 12 || 32×3 || 8×3 || 16×3 || 64 || 64 || 1 || 4 || 64×2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GPU[br]이름 ||<:>그래픽[br]가속 ||<:>GPGPU[br]가속 ||<:>비디오[br]가속 ||<:>호스트[br]인터페이스 ||<:>메모리[br]규격 ||<:>디스플레이[br]출력 || ||<-7> '''TeraScale 3''' || ||'''Cayman''' ||<|4><:>DirectX 11.0[br]^^(FEATURE_LEVEL_11_0)^^[br]OpenGL 4.5 ||<|4><:>OpenCL 1.2 ||<|2><:>UVD 3.1 ||<|2><:>PCIe 2.0 ×16 ||<|2><:>GDDR5 ||<|2><:>DCE 5.0 || ||'''Antilles''' || ||'''Devastator''' ||<|2><:>UVD 3.2[br]VCE 1.0 ||<|2><:>UMI ||<|2><:>DDR3 ||<|2><:>DCE 6.1 || ||'''Scrapper''' || }}} === Northern Islands / HD 6000 시리즈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U:TFU:ROP[br]^^(VA, GA, TSL, RZ)^^ || 클럭[br]^^(MHz)^^ || L2[br]캐시[br]^^(K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M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HD 6970''' || Cayman[br],,(40㎚),,[br]^^(389㎟)^^ || 1536:96:32[br](2, 2, 2, 2) || 880 || 512 || 256 || GDDR5 || 1375[br](5500) || 2 || 250 || 369 || ||'''HD 6990''' || Antilles[br],,(40㎚),,[br]^^(389×2㎟)^^ || 1536:96:32[br](2, 2, 2, 2)[br]×2 || 830 || 512[br]×2 || 256[br]×2 || GDDR5 || 1250[br](5000) || 2[br]×2 || 375 || 699 || ||'''HD 6950''' ||<|2> Cayman[br],,(40㎚),,[br]^^(389㎟)^^ || 1408:88:32[br](2, 2, 2, 2) || 800 || 512 || 256 || GDDR5 || 1250[br](5000) || 1[br]2 || 200 || 299 || ||'''HD 6930''' || 1280:80:32[br](2, 2, 2, 2) || 750 || 512 || 256 || GDDR5 || 1200[br](4800) || 1[br]2 || 186 || 179 || ||<|2>'''HD 6870''' || Barts[br],,(40㎚),,[br]^^(255㎟)^^ || 1120:56:32[br](1, 1, 1, 2) || 900 || 512 || 256 || GDDR5 || 1050[br](4200) || 1[br]2 || 151 || 239 || || Cypress[br],,(40㎚),,[br]^^(334㎟)^^ || 1600:80:32[br](1, 1, 1, 2) || 850 || 512 || 256 || GDDR5 || 1050[br](4200) || 1 || 175 || ? || ||<|2>'''HD 6850''' || Barts[br],,(40㎚),,[br]^^(255㎟)^^ || 960:48:32[br](1, 1, 1, 2) || 775 || 512 || 256 || GDDR5 || 1000[br](4000) || 1 || 127 || 179 || || Cypress[br],,(40㎚),,[br]^^(334㎟)^^ || 1440:72:32[br](1, 1, 1, 2) || 725 || 512 || 256 || GDDR5 || 1000[br](4000) || 1[br]2 || 151 || 299 || ||<|2>'''HD 6770''' ||<|4> Juniper[br],,(40㎚),,[br]^^(166㎟)^^ ||<|2> 800:40:16[br](1, 1, 1, 1) ||<|2> 850 ||<|2> 256 ||<|2> 128 || GDDR5 || 1200[br](4800) ||<|2> 0.5[br]1 ||<|2> 108 ||<|2> 129 || || GDDR3 || 1200[br](2400) || ||<|2>'''HD 6750''' ||<|2> 720:36:16[br](1, 1, 1, 1) ||<|2> 700 ||<|2> 256 ||<|2> 128 || GDDR5 || 1150[br](4600) ||<|2> 0.5[br]1 ||<|2> 86 ||<|2> 119 || || GDDR3 || 1150[br](2300) || ||<|2>'''HD 6670''' ||<|4> Turks[br],,(40㎚),,[br]^^(118㎟)^^ ||<|2> 480:24:8[br](1, 1, 1, 1) ||<|2> 800 ||<|2> 256 ||<|2> 128 || GDDR5 || 1000[br](4000) ||<|2> 0.5[br]1 ||<|2> 66 ||<|2> 99 || || GDDR3 || 1000[br](2000) || ||<|2>'''HD 6570''' ||<|2> 480:24:8[br](1, 1, 1, 1) ||<|2> 650 ||<|2> 256 ||<|2> 128 || GDDR5 || 900[br](3600) ||<|2> 0.5[br]1[br]2 ||<|2> 60 ||<|2> 79 || || GDDR3 || 900[br](1800) || ||<|2>'''HD 6450''' ||<|2> Caicos[br],,(40㎚),,[br]^^(67㎟)^^ ||<|2> 160:8:4[br](1, 1, 1, 1) ||<|2> 625 ||<|2> 128 ||<|2> 64 || GDDR5 || 800[br](3200) ||<|2> 0.5[br]1 ||<|2> 18 ||<|2> 55 || || GDDR3 || 900[br](1800) || ||'''HD 6350''' || Cedar[br],,(40㎚),,[br]^^(59㎟)^^ || 80:8:4[br](1, 1, 1, 1) || 650 || 128 || 64 || GDDR3 || 800[br](1600) || 0.5 || 19 || 25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Stream Processing Unit = SPU[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Vertex Assembler = VA[br]Geometry Assembler = GA[br]Tessellator = TSL[br]Rasterizer = RZ[br]Total Board Power = TBP,,}}} || }}} * [[https://www.anandtech.com/show/3987/amds-radeon-6870-6850-renewing-competition-in-the-midrange-market|ANANDTECH AMD’s Radeon HD 6870 & 6850: Renewing Competition in the Mid-Range Market]] * [[https://www.anandtech.com/show/4061/amds-radeon-hd-6970-radeon-hd-6950|ANANDTECH AMD's Radeon HD 6970 & Radeon HD 6950: Paving The Future For AMD]] * [[https://www.anandtech.com/show/4136/amd-launches-the-radeon-hd-6950-1gb|ANANDTECH AMD Launches The Radeon HD 6950 1GB]] * [[https://www.anandtech.com/show/4209/amds-radeon-hd-6990-the-new-single-card-king|ANANDTECH AMD's Radeon HD 6990: The New Single Card King]] * [[https://www.anandtech.com/show/4260/amds-radeon-hd-6790-coming-up-short-at-150|ANANDTECH AMD's Radeon HD 6790: Coming Up Short At $150]] * [[https://www.anandtech.com/show/4263/amds-radeon-hd-6450-uvd3-meets-htpc|ANANDTECH AMD's Radeon HD 6450: UVD3 Meets The HTPC]] * [[https://www.anandtech.com/show/4278/amds-radeon-hd-6670-radeon-hd-6570|ANANDTECH AMD’s Radeon HD 6670 & Radeon HD 6570: Two’s Company, Sub-$100’s A Crowd]] * [[https://www.anandtech.com/show/4296/amds-radeon-hd-6770-radeon-hd-6750-the-retail-radeon-5700-rebadge|ANANDTECH AMD’s Radeon HD 6770 & Radeon HD 6750: The Retail Radeon 5700 Rebadg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6870-radeon-hd-6850-barts,2776.html|tom's HARDWARE AMD Radeon HD 6870 And 6850: Is Barts A Step Forward?]]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6970-radeon-hd-6950-cayman,2818.html|tom's HARDWARE Radeon HD 6970 And 6950 Review: Is Cayman A Gator Or A Crock?]]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6990-antilles-crossfire,2878.html|tom's HARDWARE AMD Radeon HD 6990 4 GB Review: Antilles Makes (Too Much) Noise]]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6570-radeon-hd-6670-turks,2925.html|tom's HARDWARE AMD Radeon HD 6670 And 6570: Turkeys Or Turkish Delights?]] * [[https://www.tomshardware.com/uk/reviews/radeon-hd-6450-caicos-blu-ray-3d,2920.html|tom's HARDWARE AMD Radeon HD 6450 Review: Caicos Cometh]] 2010년 10월부터 출시된 11번째 라데온 시리즈. 코드네임은 Northern Islands. 기존에 TSMC의 32nm 공정이 취소되면서, 대체품인 Southern Islands를 출시한다는 말이 있었다. 하지만 캐털리스트 10.8의 INF를 보면 코드명 뒤에는 곳곳에 NI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다. 예상과는 달리 서던 아일랜즈는 결국 노던 아일랜즈(Northern Islands)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노던 아일랜즈 패밀리는 TSMC의 40nm 공정에서 제작된다. Cayman GPU가 사용된 HD 6900 시리즈 한정으로 TeraScale 3 아키텍처가 도입된 시리즈이기도 하며, TeraScale 2까지 이어졌던 기존 VLIW5 구조에서 VLIW4 구조로 스트림 프로세싱 유닛이 조정되어 스트리밍 프로세서를 늘리지 않아도 성능 효율을 높여 결과적인 성능 향상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그 덕분에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실수 연산 성능이 기존의 1/5에서 1/4로 동작하게 되었다. 3개월 전에 출시된 지포스 GTX 460의 영향력이 무섭게 커지면서 가장 먼저 내놓았던 하이엔드 라인이 아닌 메인스트림 제품군을 먼저 투입될 필요성을 느낀 AMD는 신규 아키텍처가 도입된 HD 6900 시리즈의 출시를 미루고 HD 5000 시리즈에서 페르미 기반의 지포스 400 시리즈보다 상대적으로 뒤쳐졌던 [[테셀레이션]] 성능과 지오메트리 연산 성능이 보완된 HD 6800 시리즈를 1순위로 투입시켰다.[* HD 6800 제품군은 8세대 테셀레이션이 1개씩, HD 6900 제품군은 테셀레이터가 7세대에서 8세대로 발전됨과 동시에 2개씩 탑재된다. 참고로 HD 6800 제품군의 테셀레이션 성능은 유닛의 수가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팩터가 늘어나면 테셀레이터가 1개씩이었던 HD 5000 제품군과 거의 비슷해진다.] 또한 미니 [[DisplayPort]], HDMI 1.4, UVD 3[* 3D 블루레이 재생 가능]를 지원한다. 다만 제품 출시보다 [[http://foldurl.com/165230|예상 로드맵]]이 빨리 발표된 상황이다. 노던 아일랜즈 제품군의 코드네임 * 카이코스(Caicos): 라데온 HD 6450 * 터크스[* 코드명 이름은 위의 '카이코스'와 같이 [[카리브#s-1.3.1|카리브해의 루케이언 제도]]에 있는 영국령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에서 따왔다. ](Turks): 라데온 HD 6570, HD 6670 * [[생바르텔레미|바츠]][* 바츠(Barts)는 [[생바르텔레미]]의 약자이다.](Barts): 라데온 HD 6800 시리즈 (Pro: HD 6850, XT: HD 6870) * [[케이맨 제도|케이맨]](Cayman): 라데온 HD 6900 시리즈 (Pro: HD 6950, XT: HD 6970) * [[카리브#s-1.3.2|앤틸리스]](Antilles): 라데온 HD 6990 바츠가 HD 6700 시리즈, 케이맨이 HD 6800 시리즈로 브랜딩될 것이라고 추측되었으나, 결국 바츠가 HD 6800 시리즈인 것으로 드러났다. AMD에게 있어서 900번대의 네이밍은 하이엔드 GPU를 뜻하는 것이다. AMD는 HD 2900 XT가 시장에서 참패한 뒤로 900대 이름을 가진 GPU들을 만들지 않고 있었으나, 에버그린의 성공으로 점유율이 오르면서 다시 900번대의 하이엔드 GPU를 만들 자신감을 갖춘 듯하다. 2010년 10월 22일에 바츠(Barts)를 라데온 HD 6800 시리즈로 출시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바츠는 사이프러스(HD 5800 시리즈)와 [[http://foldurl.com/165231|SP 구조가 동일하지만]], 다이 사이즈를 약 25% 가량 줄이면서 효율성을 개선[* 사이프러스와 비교하여 스펙은 조금 줄었지만 Ultra Thread Dispatch Processor를 이원화하는 등 아키텍처를 미세하게 최적화했다.]하여 성능의 감소를 줄이는데 성공하였다. 바츠는 800번대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나 사이프러스를 이어받는 라인업은 아니다.[* AMD 측에서는 HD 4800 시리즈를 이어받는 라인업이라고 설명했다. 사이프러스가 특이하게 성능 및 가격이 높았던 케이스.] 사이프러스보다 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바츠는 800번대의 네이밍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HD 6850의 성능은 지포스 GTX 460 1G와 비슷하나 그보다 대체적으로 조금 더 높은 수준이다. 라데온 HD 6870의 성능은 지포스 GTX 470과 비슷하며 HD 5870과는 몇 % 차이로 뒤처진다. 비록 싱글 성능은 조금 밀리지만 [[크로스파이어]]시의 효율은 HD 5800 시리즈보다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http://foldurl.com/165228|6850 CF 결과]][[http://foldurl.com/165229|6870 CF 결과]] 결과적으로 GTX 480은 물론 그보다 성능이 더 높은 이전 세대의 플래그십 HD 5970도 간단히 제압하는 성능을 보여준다. 풀로드시 전력 소모는 이전 세대보다 크게 개선된 것은 없지만, 유휴 전력은 약간 줄어들었다. 라데온 HD 6800 시리즈는 공시가가 각각 240달러(HD 6870)와 180달러(HD 6850)로 책정되어 동급의 [[NVIDIA]] 제품들의 가격 인하를 유도했다는 점에서 특히 많은 호평을 받았다. 그리고 기대하던 TeraScale 3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HD 6900 시리즈 벤치마크가 나왔으나, 결과는 [[NVIDIA]]에게 참패. HD 6970은 지포스 GTX 570보다 성능이 떨어지면서 GTX 570과 비슷한 소비 전력을 보여줬다. HD 6950은 지포스 GTX 470보단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 GTX 480에겐 처참히 발렸다. 사람들은 하나같이 망작이란 말을 하고 있다. 이에 가격 인하를 공표했다.[* http://foldurl.com/190901 인하 대상은 HD 6870 1GB 약 29만원→약 24만원 으로 인하 HD 6950 1GB 약 34만3천원→ 약 29만원으로 인하, HD 6950 2GB 약 36만 6천원→ 약 30만~ 약 32만원 으로 인하 예정이다.] 단 이건 레퍼런스 기준이며 비레퍼런스 의 경우 각 유통사 마다 다르다. 특히 마의 [[용팔이]] 던전이라면... [[파일:attachment/6950_bios.jpg]] 그런데 12월 26일, HD 6950이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HD 6970으로 변할 수 있는것이 발견되자 HD 6950의 인기가 오를것으로 예상이 된다. HD 6970으로 변한 HD 6950은 정품 HD 6970과 똑같은 성능을 보여준다. 이로서 300달러로 350~370달러근처로 매겨진 GTX 570과 HD 6970의 성능을 얻을수 있다.[* 국내 기준으로는 6950 1GB는 24만 1500원 , 2GB 모델은 29만 3500원 6970은 2GB 모델만 출시 가격은 41만 5천원 2011년 7월 17일 다나와 최저가 기준] 69xx 시리즈의 특징인 듀얼바이오스 덕택에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실패해도 원래의 바이오스로 돌아갈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도전해 볼지도 모른다. 다만 대부분의 HD 6950 구매자들이 HD 6970으로 변해도 안정적으로 잘 돌아간다고는 하나, 실패한 유저도 있다는걸 명심하자. 만약 당신의 HD 6950이 업데이트 이후로 불안정 하거나 화면이 깨지면 주저하지 말고 HD 6950의 바이오스로 되돌리자. 애초에 듀얼바이오스로 6950이 나온 것부터 AMD가 노리고 만들었다 [[카더라]]. 그리고 12월 29일, techpowerup에서 rui0317라는 유저가 HD 6950의 바이오스를 개조해서 셰이더 개수는 HD 6970과 동급으로 올리지만 메모리 타이밍 등은 HD 6950 상태로 두는 바이오스를 배포하기 시작했다. 이로서 HD 6950 → HD 6970 업데이트가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한 유저들이 이 개조 바이오스가 셰이더 개수를 HD 6970급으로 유지하고 동시에 안정성있게 돌아가게 되었다고 한다. [[지포스]] GTX 570으로 하이엔드 시장에서 다시 역전이 이루어지나 했으나...이번 바이오스 개조로 인해 당분간 AMD의 공세가 계속 이어질 듯 하다. 바이오스 업데이트의 자세한 설명은 [[http://forums.techpowerup.com/showthread.php?t=137136|(영어) 여기서 볼수 있다]]. ...결국엔 HD 69xx 시리즈가 PCB 리비젼에 들어간다는 뉴스가 12월 말에 나오게 되었다. 바이오스 언락때문이라고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웬만한 유저는 리비젼을 통해서 바이오스 언락 막기위한게 뻔하다고 생각하는 중. PCB 리비젼된 HD 6950은 아마도 이 바이오스 편법이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이니 아직도 HD 6950 바이오스 개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1월 중순이 들이닥치기 전에 초기 HD 6950을 구매하시는게 좋을 듯. HD 6950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이슈가 된 이후 마침내 HD 69XX 시리즈 끝판왕 격인 라데온 HD 6990의 샘플이 공개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은 HD 6950 코어 2개를 넣은거라 생각했지만 확인 결과 SPU 개수가 3072개로 HD 6970에 사용된 Cypress를 2개 넣은것이다. 그리고 초기 예상 가격은 끝판왕 ~~종결자~~ 답게 500$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2011년 2월 17일 유럽에서 HD 6870 1GB 제품이 먼저 가격인하 되기 시작했다. 지포스 GTX 560Ti 런칭에 대한 맞대응. 그리고 HD 6990이 발매되었다. [[http://blog.naver.com/vobavoba/80125952995|6990 벤치마크 결과]] 심히 공포스러운 스펙이 아닐 수 없다. 듀얼 GPU가 탑재되었기에 싱글 GPU인 지포스 GTX 580을 가볍게 씹어먹는것은 물론이요 오버클럭시 '''똑같이 오버클럭한 지포스 GTX 580 SLI 상태의 성능도 씹어먹어버린다!''' VGA 램도 서버용 그래픽카드에나 사용될법한 크기인 '''4GB'''로 불어났다. 하지만 그와 함께 전력소모도 대폭 불어났다(…) --일을 빡세게 하는데 많이 먹어야지 그럼.--. 들려오는 소문엔 권장 파워가 750W라고도 한다. 가격은 699$.--이로서 평범한 유저들에게는 딱히 관심없는 얘기가 되어버렸다-- 결국 NVIDIA에서는 HD 6990을 견제할 지포스 GTX 590을 내놓았는데 결과는 무자비한 크로스파이어 만랩 효율로 오히려 지포스 GTX 590이 떡실신 당해버렸다. 한마디로 HD 6990 승리.. 아니 AMD 이사람들 [[외계인 고문]]을 즐기고있다!!! --외계인 고문류 甲--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vganews&no=9734|링크]] 데스크톱에서의 선전을 등에 업고 노트북 시장에서도 HD 6990M은 상당히 위력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반년이 지나고 수많은 HD 6990M의 코어가 냉납으로 터져나가기 시작해 안전성 이슈가 발생했다. 풀로드시 90도를 기웃거리는 고발열 때문에 납땜이 녹아버리는 것. 애당초 데스크톱용 HD 6870을 소형화시킨 구조 때문에 안전성 문제는 어느 정도 예견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생각보다 발열 제어가 전혀 안 되어 HD 6990M은 1년만에 죽어버리는 폭발물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거기다가 지포스 600 시리즈의 코드네임인 케플러는 2012년[* 참고로 케플러 후속 맥스웰은 2014년으로 연기 크리. 이게다 TSMC 때문이다.]으로 연기되었다. 그렇게 [[NVIDIA]]가 페르미 아키텍처로 삽질하고 있는 도중, [[AMD]]는 발빠르게 다음 세대인 28nm 공정을 기반으로 한 HD 7000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었다.--어째 40nm을 우려먹는 거 같더라----[[인텔|모 회사]]에서 자주 본 풍경--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vganew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736&cstart_page=0|링크]] 1세대 GCN 아키텍처인 7000 시리즈부터는 호환 문제 없이 무난하게 사용할수있지만 다이렉트 12를 기본 API로 전환하면서 레거시 코드를 들어내고있는 어도비 같은 작업용 프로그램들의 경우 HD6000번대 이하부터는 드라이버와 하드웨어 노후로 인한 호환성 문제가 있다. 어도비의 경우 CC 2021 부터는 레거시 관련 코드를 지워버렸는데, 다이렉트 12와 OpenCL 2.0을 지원하지 않는 HD 6000 이하의 라데온의 경우 AMD 공식 홈페이지의 카탈리스트와 크림슨 드라이버 어느쪽을 설치해도 OpenCL이 활성화 되지않아 오류로 인해 어도비 프로그램들을 사용할수 없다. 윈도우를 포맷후 재설치한다음 놔두면 자동으로 설치되는 카탈리스트는 OpenCL 가속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버전도 AMD 공식 홈페이지보다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가 더 높기때문에 현재 윈도우 10에서 사용하려면 드라이버를 별도로 깔지말고 윈도우가 자동으로 설치해주는걸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2021년 현재 시점에서는 윈도우10 이상의 시스템에서 실사용 용도로 구매시에 최소 7000번대 이상으로 가는것이 좋다. 6000번대는 2015 년 7월 29일에 배포된 "15.7.1 WHQL 카탈리스트"를 마지막으로 드라이버 지원이 끊겼다. 7000번대도 지원이 끊긴건 마찬가지지만 현재 시점에서 사용시 큰 무리는 없다. 7000번대는 윈10,윈7 64비트 기준 2021년 6월 21일에 배포된 Adrenalin 21.5.2 Recommended (WHQL)까지 설치할 수 있고, 윈10,윈7 32비트 기준 2018년 11월 5일에 배포된 Adrenalin Edition 18.9.3를 마지막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에서 GPU 점유율을 보려면 GPU 드라이버가 WDDM 2.0을 지원해야 하는데 6000번대는 WDDM 1.3에 불과해 작업 관리자에서 GPU 점유율을 볼 수 없다. 또한 6000번대 카드는 동영상 하드웨어 인코딩 엔진인 [[Video Core Next|VCE]],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용 API인 [[DirectX|DirectX12]]와 [[Vulkan(API)]]가 존재하지 않아 이 기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다. Xbox Game Bar의 클립녹화, [[OBS Studio]]등등의 프로그램이 동영상 녹화(인코딩)시 [[Video Core Next|VCE]] 혹은 [[NVIDIA NVENC]], [[Intel Quick Sync Video]] 라는 동영상 인코딩 기능을 이용하는데 6000번대는 이 기능의 부재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AMD Radeon™ HD7000 Series, GeForce 600 시리즈 이상, GeForce 800M 시리즈 이상, Quadro Kxxx 시리즈 이상이 요구된다. 또한 [[DirectX|DirectX12]]와 [[Vulkan(API)]]를 사용하는 게임도 실행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콜 오브 듀티: 워존]] 여담으로 악명높은 2차 [[그래픽카드 채굴 대란]]의 영향을 받지 않은 그래픽카드의 상한선이다. 이후의 모델들은 대부분 채굴 대란의 영향으로 인해 중고시장마저 심각하게 망가지면서 중고가가 상승하였다. == gfx600 / 1세대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tahiti-blockdiagram.jpg]] 라데온 HD 7970에 사용된 Tahiti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7>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ACE || GE || RZ || 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7> '''Southern Islands''' || ||'''Tahiti''' || 28 || 352 || 2 || 2 || 2 || 32 || 2048 || 32 || 128 || 64×32 || 16×32 || 768 || 64 || 8 || 32 || 64×6 || ||'''Pitcairn''' || 28 || 212 || 2 || 2 || 2 || 20 || 1280 || 20 || 80 || 64×20 || 16×20 || 512 || 64 || 8 || 32 || 64×4 || ||'''Curacao''' || 28 || 212 || 2 || 2 || 2 || 20 || 1280 || 20 || 80 || 64×20 || 16×20 || 512 || 64 || 8 || 32 || 64×4 || ||'''Trinidad''' || 28 || 212 || 2 || 2 || 2 || 20 || 1280 || 20 || 80 || 64×20 || 16×20 || 512 || 64 || 8 || 32 || 64×4 || ||'''Cape Verde''' || 28 || 123 || 2 || 1 || 1 || 10 || 640 || 10 || 40 || 64×10 || 16×10 || 256 || 64 || 4 || 16 || 64×2 || ||<-17> '''Sea Islands''' || ||'''Oland''' || 28 || 90 || 2 || 1 || 1 || 6 || 384 || 6 || 24 || 64×6 || 16×6 || 256 || 64 || 4 || 8 || 64×1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GCN 1''' || ||'''Tahiti''' ||<|8> DirectX 12[br]^^(FEATURE_LEVEL_11_1)^^[br]OpenGL 4.6[br]Vulkan 1.2 ||<|8> OpenCL 2.0 ||<|3> UVD 3.2[br]VCE 1.0 ||<|7> PCIe 3.0 ×16 ||<|6> GDDR5 ||<|8> DCE 6.0 || ||'''New Zealand''' || ||'''Malta''' || ||'''Pitcairn''' ||<|5> UVD 4.0[br]VCE 1.0 || ||'''Curacao''' || ||'''Trinidad''' || ||'''Cape Verde''' ||<|2> DDR3[br]GDDR5 || ||'''Oland''' || PCIe 3.0 ×8 || }}} * GCP: Graphics Command Processor * ACE: Asynchronous Compute Engine * GDS: Global Data Share * GE: Geometry Engine (= Vertex Assembler + Geometry Assembler + Tessellator) * RZ: Rasterizer (+ Scan Converter + Hierarchical Z) * CU: Compute Unit * LDS: Local Data Share * SU: Scalar Unit * SP: Stream Processor * TFU: Texture Filter Unit * RB: Render Backend * ROP: Render Output === Southern Islands / [[AMD/GPU/HD 7000 시리즈|HD 7000 시리즈]] === 12번째 라데온이자, 라데온 최초로 [[GCN|GCN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제품군이다. 다만 HD 7700 시리즈까지만 GCN이고 HD 7690 이하부터는 40nm TeraScale VLIW5 기반으로 제조된 테마스의 리브랜딩이다. 예외적으로 HD 7790은 2세대 GCN 기반이다. == gfx700 / 2세대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bonaire-blockdiagram.jpg]] 라데온 HD 7790에 사용된 Bonaire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md-hawaii-blockdiagram.jpg]] 라데온 R9 290X에 사용된 Hawaii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8>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ACE || SE || GP || RZ || 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8> '''Volcanic Islands''' || ||'''Hawaii''' || 28 || 438 || 8 || 4 || 4 || 4 || 44 || 2816 || 44 || 176 || 64×44 || 16×44 || 1024 || 64 || 16 || 64 || 64×8 || ||<-18> '''Sea Islands''' || ||'''Bonaire''' || 28 || 160 || 2 || 2 || 2 || 2 || 14 || 896 || 14 || 56 || 64×14 || 16×14 || 256 || 64 || 4 || 16 || 64×2 || ||'''Tobago''' || 28 || 160 || 2 || 2 || 2 || 2 || 14 || 896 || 14 || 56 || 64×14 || 16×14 || 256 || 64 || 4 || 16 || 64×2 || ||<-18> '''iGPU''' || ||'''Kaveri''' || 28 || ? || ? || 1 || 1 || 1 || 8 || 512 || 8 || 32 || 64×8 || 16×8 || ? || 64 || 2 || 8 || 64×2 || ||'''Kabini''' || 28 || ? || ? || 1 || 1 || 1 || 2 || 128 || 2 || 8 || 64×2 || 16×2 || ? || 64 || 1 || 4 || 64×2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GCN 2''' || ||'''Hawaii''' ||<|6>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0)^^[br]OpenGL 4.6[br]Vulkan 1.2 ||<|6> OpenCL 2.0 ||<|6> UVD 4.2[br]VCE 2.0 ||<|4> PCIe 3.0 ×16 ||<|4> GDDR5 ||<|2> DCE 8.5 || ||'''Vesuvius''' || ||'''Bonaire''' ||<|2> DCE 8.2 || ||'''Tobago''' || ||'''Kaveri''' ||<|2> UMI ||<|2> DDR3 || DCE 8.1 || ||'''Kabini''' || DCE 8.3 || }}} * SE: Shader Engine * GP: Geometry Processor (= Vertex Assembler + Geometry Assembler + Tessellator) === Volcanic Islands / [[AMD/GPU/Rx 200 시리즈|Rx 200 시리즈]] === 13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1[* R9 280X, 280, 270X, 270, R7 250X, 250, R5 240],2[* R9 290X ,290, HD 7790의 리네이밍인 R7 260X, 260],3세대[* 지포스 GTX 760 킬러로 뒤늦게 등장한 R9 285] [[GCN|GCN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제품군. == gfx800 / 3세대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일:amd-tonga-blockdiagram.jpg]] 라데온 R9 285에 사용된 Tonga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md-fiji-blockdiagram.png]] 라데온 R9 FURY X에 사용된 Fiji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SE || GP || RZ || 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9> '''Pirate Islands''' || ||'''Fiji''' || 28 || 596 || 2 || 4 || 4 || 4 || 4 || 64 || 4096 || 64 || 256 || 64×64 || 16×64 || 2048 || 64 || 16 || 64 || 512×8 || ||<-19> '''Volcanic Islands''' || ||'''Tonga''' || 28 || 366 || 2 || 4 || 4 || 4 || 4 || 32 || 2048 || 32 || 128 || 64×32 || 16×32 || 768 || 64 || 8 || 32 || 64×4 || ||'''Antigua''' || 28 || 366 || 2 || 4 || 4 || 4 || 4 || 32 || 2048 || 32 || 128 || 64×32 || 16×32 || 512 || 64 || 8 || 32 || 64×4 || ||<-19> '''iGPU''' || ||'''Carrizo''' || 28 || ? || ? || ? || 1 || 1 || 1 || 8 || 512 || 8 || 32 || 64×8 || 16×8 || ? || 64 || 2 || 8 || 64×2 || ||'''Bristol Ridge''' || 28 || ? || ? || ? || 1 || 1 || 1 || 8 || 512 || 8 || 32 || 64×8 || 16×8 || ? || 64 || 2 || 8 || 64×2 || ||'''Stoney Ridge''' || 28 || ? || ? || ? || 1 || 1 || 1 || 3 || 192 || 3 || 12 || 64×3 || 16×3 || ? || 64 || 1 || 4 || 64×2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GCN 3''' || ||'''Fiji''' ||<|6>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0)^^[br]OpenGL 4.6[br]Vulkan 1.2 ||<|6> OpenCL 2.0 || UVD 6.0[br]VCE 3.0 ||<|3> PCIe 3.0 ×16 || HBM ||<|3> DCE 10.0 || ||'''Tonga''' ||<|2> UVD 5.0[br]VCE 3.0 ||<|2> GDDR5 || ||'''Antigua''' || ||'''Carrizo''' ||<|2> UVD 6.0[br]VCE 3.1 ||<|3> UMI || DDR3[br]DDR4 ||<|3> DCE 11.0 || ||'''Bristol Ridge''' || DDR4 || ||'''Stoney Ridge''' || UVD 6.2[br]VCE 3.4 || DDR3[br]DDR4 || }}} * HWS: Hardware Scheduler === Pirate Islands / [[AMD/GPU/Rx 300 시리즈|Rx 300 시리즈 & FURY 시리즈]] === 14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1[* 뒤에 적은 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2[* R9 390X, 390, R7 360],3[* R9 퓨리X,퓨리, 380X, 380]세대 [[GCN|GCN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제품군이다. === Rx 400 시리즈 === 폴라리스에 쓰인 RX 400네이밍의 GPU들과는 다른 제품으로, 폴라리스 11이 노트북에 쓰이기 전까지 쓰인 OEM전용 라인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R9/R7/R5/R3 M300번대의 GPU와 전혀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 gfx800 / 4세대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Polaris) == [[파일:amd-polaris10-blockdiagram.png]] 라데온 RX 480에 사용된 Ellesmere(Polaris 10)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SE || GP || RZ || 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9> '''Arctic Islands''' || ||'''Ellesmere[br]^^(Polaris 10)^^''' || 14 || 232 || 2 || 4 || 4 || 4 || 4 || 36 || 2304 || 36 || 144 || 64×36 || 16×36 || 2 || 64 || 8 || 32 || 32×8 || ||'''Baffin[br]^^(Polaris 11)^^''' || 14 || 123 || 2 || 4 || 2 || 2 || 2 || 16 || 1024 || 16 || 64 || 64×16 || 16×16 || 1 || 64 || 4 || 16 || 32×4 || ||'''Lexa[br]^^(Polaris 12)^^''' || 14 || 101 || 2 || 4 || 2 || 2 || 2 || 10 || 640 || 10 || 40 || 64×10 || 16×10 || 0.5 || 64 || 4 || 16 || 32×4 || ||'''Polaris 20''' || 14 || 232 || 2 || 4 || 4 || 4 || 4 || 36 || 2304 || 36 || 144 || 64×36 || 16×36 || 2 || 64 || 8 || 32 || 32×8 || ||'''Polaris 21''' || 14 || 123 || 2 || 4 || 2 || 2 || 2 || 16 || 1024 || 16 || 64 || 64×16 || 16×16 || 1 || 64 || 4 || 16 || 32×4 || ||'''Polaris 30''' || 12 || 232 || 2 || 4 || 4 || 4 || 4 || 36 || 2304 || 36 || 144 || 64×36 || 16×36 || 2 || 64 || 8 || 32 || 32×8 || ||<-19> '''VEGA M''' || ||'''Polaris 22''' || 14 || 208 || ? || ? || ? || ? || ? || 24 || 1536 || 24 || 96 || 64×24 || 16×24 || 1 || 64 || ? || 64 || 1024×1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GCN 4''' || ||'''Ellesmere[br]^^(Polaris 10)^^''' ||<|7>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0)^^[br]OpenGL 4.6[br]Vulkan 1.2 ||<|7> OpenCL 2.0 ||<|7> UVD 6.3[br]VCE 3.4 ||<|3> PCIe 3.0 ×16 ||<|6> GDDR5 ||<|7> DCE 11.2 || ||'''Polaris 20''' || ||'''Polaris 30''' || ||'''Baffin[br]^^(Polaris 11)^^''' ||<|4> PCIe 3.0 ×8 || ||'''Polaris 21''' || ||'''Lexa[br]^^(Polaris 12)^^''' || ||'''Polaris 22''' || HBM2 || }}} * PDA: Primitive Discard Accelerator === [[AMD/GPU/RX 400 시리즈|RX 400 시리즈]] === 15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Polaris 아키텍처가 적용된 제품군이다. 한때 Arctic Islands라는 제품군 코드네임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 [[AMD/GPU/RX 500 시리즈|RX 500 시리즈]] === 16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기존 RX 400시리즈에서 공정을 개선하고 클럭을 상승시킨 제품군. 써보면 알겠지만 같은 클럭에서 들어가는 전압이 많이 차이난다. === [[AMD/GPU/RX VEGA 시리즈|RX VEGA M 시리즈]] === 브랜드 명칭과는 다르게 Vega 아키텍처가 아닌 Polaris 아키텍처 + HBM2라는 특이한 조합으로 채택되었다. 특이하게도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사용 모델#s-4.1|인텔 CPU]]'''에 들어가는 ~~[[끔찍한 혼종]]~~ 고성능 APU의 형태로 들어간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RX Vega M, rd1=AMD/GPU/RX VEGA 시리즈, anchor1=s-2.1)] === RX 600 시리즈 === E3 2019 당시 보여주었던 프레젠테이션 상에서 본래 RX 5000 시리즈는 RX 600 시리즈로 출시되어야 했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넘버링이 5000번대로 변경되었고, RX 690 또한 RX 5700 XT로 명칭이 바뀌었다. RX 600 시리즈는 디바이스 ID가 RX 550X, 540X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 RX 500 시리즈 하위 라인업들의 리브랜딩 모델로 추정되며, 2019년 하반기에 출시되었다. 625 이하의 라인업들은 노트북용 GPU에 탑재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그래픽 카드[br]모델명 ||<-4> GPU ||<-4> 그래픽 메모리 ||<|2> TBP[br]{{{-5 ^^(데스크탑)^^}}}[br]GPUP[br]{{{-5 ^^(노트북)^^}}}[br]^^(W)^^ ||<|2> 출고[br]가격[br]^^($)^^ || || 이름[br],,(공정),,[br]^^(면적)^^ || SP:TFU:ROP[br]^^(ACE, GP, RZ)^^ || 클럭[br]^^(부스트)^^[br]^^(MHz)^^ || L2[br]캐시[br]^^메모리^^[br]^^(MB)^^ || 버스[br]^^(bit)^^ || 규격 || 클럭[br]^^(비트레이트)^^[br],,(MHz),,[br]^^(Mbps)^^ || 용량[br]^^(GB)^^ || ||<-11> '''데스크탑용 제품군''' || ||<|2>'''RX 640''' ||<|3> Lexa[br]^^(Polaris 12)^^[br],,(14 ㎚),,[br]^^(101 ㎟)^^ || 640:40:16[br](4, 2, 2) || ?[br](1287) || 0.5 || 64 || GDDR5 || 1750[br](7000) || 4 || 50 || - || || 512:32:8[br](4, 2, 2) || ?[br](1287) || 0.5 || 64 || GDDR5 || 1500[br](6000) || 4 || 50 || - || ||'''630''' || 512:32:8[br](4, 2, 2) || ?[br](1219) || 0.5 || 64 || GDDR5 || 1500[br](6000) || 4 || 50 || - || ||<-11> '''모바일용 제품군''' || ||'''625''' ||<|4> Lexa[br]^^(Polaris 12)^^[br],,(14 ㎚),,[br]^^(101 ㎟)^^ || 384:24:8[br](4, 2, 2) || ?[br](1024) || 0.128 || 64 || GDDR5 || 1125[br](4500) || 4 || ? || - || ||<|2>'''620''' || 384:24:8[br](4, 2, 2) || ?[br](1024) || 0.128 || 64 || DDR3[br]GDDR5 || 1125[br](4500) || 4 || ? || - || || 320:20:8[br](4, 2, 2) || ?[br](1024) || 0.128 || 64 || DDR3[br]GDDR5 || 1125[br](4500) || 4 || ? || - || ||'''610''' || 320:20:4[br](4, 2, 2) || ?[br](1030) || 0.128 || 64 || GDDR5 || 1125[br](4500) || 4 || ? || - || ||<-11><)>{{{#!folding 【용어 전체 이름 펼치기 · 접기】 ,,Asynchronous Compute Engine = ACE[br]Stream Processor = SP[br]Texture Filter Unit = TFU[br]Render Output Pipeline = ROP[br]Geometry Processor = GP[br]Rasterizer = RZ[br]Typical Board Power = TBP[br]GPU Power = GPUP,,}}} || }}} == gfx900 / 5세대 GCN 마이크로아키텍처 (Vega) == [[파일:amd-vega10-blockdiagram.png]] 라데온 RX VEGA 64에 사용된 Vega 10의 블록 다이어그램 [[파일:amd-raven-ridge-vega-igpu-blockdiagram.jpg]] 라이젠 5 2400G에 사용된 Vega 내장 그래픽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GP || NGE || DSBR || N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K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19> '''dGPU''' || ||'''Vega 10''' || 14 || 495 || 2 || 4 || 4 || 4 || 4 || 64 || 4096 || 64 || 256 || 64×64 || 16×64 || 4 || 64 || 16 || 64 || 2048×1 || ||'''Vega 12''' || 14 || ? || ? || ? || ? || ? || ? || 20 || 1280 || 20 || 80 || 64×20 || 16×20 || 1 || 64 || 8 || 32 || 1024×1 || ||'''Vega 20''' || 7 || 331 || 2 || 4 || 4 || 4 || 4 || 64 || 4096 || 64 || 256 || 64×64 || 16×64 || 4 || 64 || 16 || 64 || 2048×2 || ||<-19> '''iGPU''' || ||'''Raven Ridge''' || 14 || 210 || 2 || 4 || 1 || 1 || 1 || 11 || 704 || 11 || 44 || 64×11 || 16×11 || 1 || 64 || 2 || 8 || 64×2 || ||'''Picasso''' || 12 || 210 || 2 || 4 || 1 || 1 || 1 || 11 || 704 || 11 || 44 || 64×11 || 16×11 || 1 || 64 || 2 || 8 || 64×2 || ||'''Renoir''' || 7 || 156 || 2 || 4 || 1 || 1 || 1 || 8 || 512 || 8 || 32 || 64×8 || 16×8 || 1 || 64 || 2 || 8 || 64×2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GCN 5''' || ||'''Vega 10''' ||<|5>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1)^^[br]OpenGL 4.6[br]Vulkan 1.2 ||<|5> OpenCL 2.0 || UVD 7.0[br]VCE 4.0 || PCIe 3.0 ×16 ||<|2> HBM2 || DCE 12.0 || ||'''Vega 20''' || UVD 7.2[br]VCE 4.1 || --PCIe 4.0 ×16--[br]PCIe 3.0 ×16 || DCE 12.1 || ||'''Raven Ridge''' ||<|2> VCN 1.0 ||<|3> PCIe 3.0 ×8 ||<|2> DDR4 ||<|2> DCN 1.0 || ||'''Picasso''' || ||'''Renoir''' || VCN 2.0 || DDR4[br]LPDDR4X || DCN 2.1 || }}} * WGD: Work Group Distributor * GP: Graphics Pipeline (= Shader Engine) * NGE: Next-generation Geometry Engine * DSBR: Draw Stream Binning Rasterizer * CE: Compute Engine * NCU: Next-generation Compute Unit * PE: Pixel Engine (= Render Back-End) === [[AMD/GPU/RX VEGA 시리즈|RX VEGA 시리즈]] === 17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Vega 아키텍처가 적용된 제품군이다. === 7nm VEGA 시리즈 / [[Radeon VII]] === 18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Vega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사용된 첫 7nm 공정 소비자용 제품. == gfx1010 / [[RDNA]] 1 마이크로아키텍처 (Navi 1X) == [[파일:amd-navi10-blockdiagram.jpg]] 라데온 RX 5700 XT에 사용된 Navi 10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1>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GP || SE || PU || RZ || WGP[br]^^(DCU)^^ || SP[br],,(FP32),,[br]^^(INT32)^^ || SU || TFU || LDS[br]^^(KB)^^ || L0[br]^^캐시^^[br]^^(KB)^^ || L1[br]^^캐시^^[br]^^(KB)^^ || L2[br]^^캐시^^[br]^^(MB)^^ || GDS[br]^^(KB)^^ || RB || ROP || MC[br],,(bit),,[br]^^(채널)^^ || ||<-21> '''RDNA 1''' || ||'''Navi 10''' || 7 || 251 || 1 || 4 || 1 || 2 || 4 || 4 || 20 || 2560 || 80 || 160 || 128×20 || 16×40 || 128×4 || 4 || 64 || 16 || 64 || 32×8 || ||'''Navi 14''' || 7 || 158 || 1 || 4 || 1 || 1 || 2 || 2 || 12 || 1536 || 48 || 96 || 128×12 || 16×24 || 128×2 || 2 || 64 || 8 || 32 || 32×4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RDNA 1''' || || '''Navi 10''' ||<|2>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1)^^[br]OpenGL 4.6[br]Vulkan 1.2 ||<|2> OpenCL 2.0 ||<|2> VCN 2.0 || PCIe 4.0 ×16 ||<|2> GDDR6 ||<|2> DCN 2.0 || ||'''Navi 14''' || PCIe 4.0 ×8 || }}} * GCP: Graphics Command Processor * ACE: Asynchronous Compute Engine * HWS: Hardware Scheduler * GDS: Global Data Share * WGD: Work Group Distributor * GP: Geometry Processor * RZ: Rasterizer * SE: Shader Engine * PU: Primitive Unit * LDS: Local Data Share * DCU: Dual Compute Units * WGP: Work Group Processor * SP: Stream Processor * SU: Scalar Unit * TFU: Texture Filter Unit * RB: Render Backend * ROP: Render Output Pipeline 하드웨어 관점에서는 [[RDNA]] 마이크로아키텍처이고 [[https://gpuopen.com/wp-content/uploads/2019/08/RDNA_Shader_ISA_7July2019.pdf|ISA도 RDNA ISA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https://clrx.nativeboinc.org/|CLRX(CLRadeonExtender)라는 확장 로우레벨 개발 도구 관점에서는 GCN ISA 1.5 버전]]으로 취급하고 있다. === [[Radeon RX 5000 시리즈|RX 5000 시리즈]] === 2019년 7월 7일에 출시된 19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RDNA 1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첫 제품군. == gfx1030 / RDNA 2 마이크로아키텍처 (Navi 2X) == [[파일:amd-rdna2-navi21-block-diagram.png]] 라데온 RX 6900 XT에 사용된 Navi 21의 블록 다이어그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3>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GP || SE || PU || RZ || WGP[br]^^(DCU)^^ || SP[br],,(FP32),,[br]^^(INT32)^^ || SU || RA || TU || LDS[br]^^(KB)^^ || L0[br],,캐시,,[br]^^메모리^^[br]^^(KB)^^ || L1[br],,캐시,,[br]^^메모리^^[br]^^(KB)^^ || GDS[br]^^(KB)^^ || RB || ROP || L2[br],,캐시,,[br]^^메모리^^[br]^^(MB)^^ || 인피니티[br],,캐시,,[br]^^메모리^^[br]^^(MB)^^ || MC[br],,(bit),,[br]^^(채널)^^ || ||<-23> '''RDNA 2''' || ||'''Navi 21''' || 7 || 519.8 || 1 || 4 || 1 || 4 || 4 || 4 || 40 || 5120 || 160 || 80 || 320 || 128×40 || 16×80 || 128×8 || 64 || 16 || 128 || 4 || 128 || 16×16 || ||'''Navi 22''' || 7 || 336.0 || 1 || 4 || 1 || 2 || 2 || 2 || 20 || 2560 || 80 || 40 || 160 || 128×20 || 16×40 || 128×4 || 64 || 8 || 64 || 3 || 96 || 16×12 || ||'''Navi 23''' || 7 || 237.0 || 1 || 4 || 1 || 2 || 2 || 2 || 16 || 2048 || 64 || 32 || 128 || 128×16 || 16×32 || 128×4 || 64 || 8 || 64 || 2 || 32 || 16×8 || ||'''Navi 24''' || 6 || 107.0 || 1 || 4 || 1 || 1 || 1 || 1 || 8 || 1024 || 32 || 16 || 64 || 128×8 || 16×16 || 128×2 || 64 || 4 || 32 || 1 || 16 || 16×4 || ||'''Rembrandt''' || 6 || 208.3 || 1 || 4 || 1 || 1 || 1 || 1 || 6 || 768 || 24 || 12 || 48 || 128×6 || 16×12 || 128×2 || 64 || 4 || 32 || 2 || - || 32×4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RDNA 2''' || ||'''Navi 21[br]^^(Sienna Cichlid)^^''' ||<|5>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2)^^[br]OpenGL 4.6[br]Vulkan 1.2 ||<|5> OpenCL 2.0 ||<|4> VCN 3.0[br][* Navi 24 한정으로 모든 코덱의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고, [[AV1]] 디코딩도 지원하지 않는다.] ||<|2> PCIe 4.0 ×16 ||<|4> GDDR6 ||<|4> DCN 3.0 || ||'''Navi 22[br]^^(Navy Flounders)^^''' || ||'''Navi 23[br]^^(Dimgrey Cavefish)^^''' || PCIe 4.0 ×8 || ||'''Navi 24[br]^^(Beige Goby)^^''' || PCIe 4.0 ×4 || ||'''Rembrandt''' || VCN 3.1 || PCIe 4.0 ×8 || DDR5[br]LPDDR5 || DCN 3.1 || }}} * RA: Ray Accelerator === [[Radeon RX 6000 시리즈|RX 6000 시리즈]] === 2020년 11월 18일부터 출시된 20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RDNA 2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첫 제품군. == gfx1100 / RDNA 3 마이크로아키텍처 (Navi 3X)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4> GPU별 최대 내부 구성 요소 || || GPU[br]이름 || 공정[br]^^(㎚)^^ || 면적[br]^^(㎟)^^ || HWS || ACE || GP || SE || PU || RZ || CUP[br]^^(UCU)^^ || SP[br],,(2×FP32),,[br]^^(INT32)^^ || SU || RTA || AMA || TU || LDS[br]^^(KB)^^ || L0[br],,캐시,,[br]^^메모리^^[br]^^(KB)^^ || L1[br],,캐시,,[br]^^메모리^^[br]^^(KB)^^ || GDS[br]^^(KB)^^ || RB || ROP || L2[br],,캐시,,[br]^^메모리^^[br]^^(MB)^^ || 인피니티[br],,캐시,,[br]^^메모리^^[br]^^(MB)^^ || MC[br],,(bit),,[br]^^(채널)^^ || ||<-24> '''RDNA 3''' || ||<|2>'''Navi 31[br]^^(Plum Bonito)^^''' || 5 || 306 || ? || 4 || 1 || 6 || 6 || 6 || 96 || 6144 || ? || 96 || 192 || 384 || ?×96 || 32×96 || ?×12 || ? || 24 || 192 || 6 || - || - || || 6 || 37.5×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 16×24 || ||<|2>'''Navi 32[br]^^(Wheat Nas)^^''' || 5 || ? || ? || ? || ? || 4 || ? || 4 || 60 || 3840 || ? || 60 || 120 || 240 || ?×60 || 32×60 || ?×8 || ? || 16 || 128 || ? || - || - || || 6 || 37.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 || 16×16 || ||'''Navi 33[br]^^(Hotpink Bonefish)^^''' || 6 || 204 || ? || ? || ? || 2 || ? || 2 || 32 || 2048 || ? || 32 || 64 || 128 || ?×32 || 32×32 || ?×4 || ? || 8 || 64 || ? || ? || ? || ||'''Phoenix'''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 || ? || ? || ? || ? || - || 32×4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GPU별 특성 || || GPU[br]이름 || 그래픽[br]가속 || GPGPU[br]가속 || 비디오[br]가속 || 호스트[br]인터페이스 || 메모리[br]규격 || 디스플레이[br]출력 || ||<-7> '''RDNA 3''' || ||'''Navi 31[br]^^(Plum Bonito)^^''' ||<|4> DirectX 12[br]^^(FEATURE_LEVEL_12_2)^^[br]OpenGL 4.6[br]Vulkan 1.3 ||<|4> OpenCL 2.1 ||<|3> VCN 4.0 ||<|3> PCIe 4.0 ×16 ||<|3> GDDR6 ||<|3> DCN 4.0 || ||'''Navi 32[br]^^(Wheat Nas)^^''' || ||'''Navi 33[br]^^(Hotpink Bonefish)^^''' || ||'''Phoenix''' || VCN ?.? || PCIe 4.0 ×? || DDR5[br]LPDDR5 || DCN ?.? || }}} * CUP: Compute Unit Pair * UCU: Unified Compute Units * RTA: Ray Tracing Accelerator * AMA: AI Matrix Accelerator === [[Radeon RX 7000 시리즈|RX 7000 시리즈]] === 2022년 12월 13일부터 출시될 예정인 21번째 라데온 시리즈이자 RDNA 3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첫 제품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MD/GPU, version=1883, paragraph=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