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AGS[br]{{{+2 '''S7 데스스토커'''}}}[br]'''S7 Deathstalker''' || ||<-4> [[파일:AGS_Deathstalker_0_O.webp|width=70%&align=center]] || || '''번호''' || 214 ||<|2> '''등급''' ||<|2> [[파일:SRankRoleNuker.png|width=100]] || || '''부대''' || [[AGS 로보테크|[[파일:UI_TeamIcon_AutoGuardSystem_cr.png|width=100]][br]'''{{{#ffffff {{{+1 AGS 로보테크}}}}}}''']] || || '''기업''' || 부대 소속기업 || '''타입''' || 중장형 || || '''제조사''' || - || '''역할''' || 공격기 || || '''최초 제조지''' || [[파일:국기.svg|width=20]] 제조국 || '''전고/전장''' || 2.5m || || '''Class''' || Fire Support Vehicle || '''중량''' || 20.5t || || '''무장''' || SDS installed railgun 'Pike' [br] Catatumbo machine gun || [[파일:UI_Icon_Consumable_GiftItem_Damage.png|width=20]] '''비밀의 방''' || AGS || || '''아이콘''' || [[파일:TbarIcon_AGS_Deathstalker_N.webp|width=100]] || '''출시일''' || 2023/08/22 || ||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공개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공개 || '''일러스트''' || [[라스트오리진/스태프#양윤영 / Superphotrone|Superphotrone]] || >안녕하십니까, [[사령관(라스트오리진)|사령관님]]. >화력지원용 다각기동전차 S7 데스스토커 유닛입니다. >본 유닛은 험지 전투와 시가전 등, 일반적인 화력지원기들이 활동하기 힘든 전장에서 적들을 섬멸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본 유닛에는 리버 메탈에서 개발한 '파이크' 레일건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목표의 표면을 스캔한 뒤, 목표 파괴에 필요한 에너지만으로 탄자를 발사하는 스마트 디스트럭션 시스템이 탑재된 병기로, 전차의 장갑판부터 유기생물체까지, 다양한 목표물을 효율적으로 파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안타깝게도 본 유닛은 멸망 전쟁 도중 대다수가 파괴당하고, 생산 라인마저 소실되어 오랜 기간 재생산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본 유닛은 제 2차 아나톨리아 전쟁과 카라카스 시위, 그리고 베네수엘라 내전 등 수많은 현장에서 신뢰성과 우수성을 입증한 훌륭한 병기입니다. >그러니, 본 유닛을 믿고 임무를 맡겨 주십시오. >사령관님이 명령하신다면 그 어떤 적이라도 제거하겠습니다. [목차] == 개요 == 모바일게임 [[라스트오리진]]에 등장하는 S급 [[라스트오리진/전투원/중장형 공격기|중장형 공격기]] [[AGS]]. == 설정 == [[https://m.cafe.naver.com/lastorigin/1105470|캐릭터 소개]] 2023년 8월 22일 추가되는 신규 AGS. [[데카르트 보이저 삿갓]] 이후 약 3개월만에 새로이 추가되는 AGS이며, 2년 5개월만에 새로이 추가된 [[AGS 로보테크]] 소속 AGS이다.[* 삿갓의 경우 공모전 캐릭이었기에 유저들은 드디어 자체적인 AGS가 나온다며 대환영을 했다.] [[라인리터]]와 [[데카르트 보이저 삿갓|삿갓]]의 외주 작가 'Superphotrone'이 다시 한번 작업했으며, 이름의 유래는 [[전갈]]의 한 종류인 [[데스스토커]]. 원본이 치명적인 독을 가진 전갈이라 그런지 꼬리 부분에 크고 아름다운 [[레일건]] 포신을 가지고 있다. 공개 이후 육족보행이라는 점과 전체적인 외형 때문에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 관련 드립이 나오는 중이다. 시위 진압 등에도 쓰였다는 점 때문에 기계적인 목소리를 예상한 이들이 많았으나, 실제로는 [[K180 셀주크]]와 마찬가지로 여성 목소리로 밝혀졌다. 다만 거의 인간스러운 톤인 셀주크보다는 에코가 많고 좀 더 기계스러운 목소리다. 여담으로 [[프리가(라스트오리진)|프리가]]와 [[트리톤(라스트오리진)|트리톤]] 때 한 번 교체되었던 캐릭터 소개 양식이 데스스토커를 기점으로 다시 한번 바뀌었다. == 작중 행적 == === 제 12구역 ===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시위 진압용으로 쓰인다고 언급된다. 카라카스 산업의 회장 시몬 블랑코가 고향인 카라카스로 돌아와 시위 진압을 하게 되었고, 겸사겸사 카라카스에서 산타 마르타 카르텔에게 직장과 가족을 모두 잃은 복수를 위해 카르텔을 쥐 잡듯이 강경하게 체포하게 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무고한 시민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 사건으로 시위가 격화되자 시몬은 자신이 모든 것을 걸고 마약 카르텔로부터 지키려던 도시가 자기 딸을 죽게 내버려둔 것도 모자라 그 카르텔을 위해 총을 들었다고 생각하여 배신감과 분노에 흑화하고 만다. 이후 시몬의 명령에 따라 레모네이드 베타의 지휘하에 시민을 학살하는데 동원되었다.[* 데스스토커만 해도 레일건에 개틀링 2문으로 무장한 보행전차라 시위 진압용으론 과잉화력이지만, 당시 시티가드의 공격 대상이었던 산타 마르타 카르텔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전차와 헬기를 보유한 상태였으며 잉글리쉬 셰퍼드가 남미로 급파되었을 때 시위대는 해킹한 중장갑 AGS까지 굴리고 있었기에 경우가 좀 다르다. 물론 잉글리쉬 셰퍼드가 지적했듯 이런 행위가 시티가드의 이름을 내걸고 정당화할 수 있는 짓은 아니다.] 언급을 보면 육족보행의 기동성을 살려 건물 외벽을 타고 올라가 옥상에서의 사격도 가능했다고 한다. 12지 2부에서 본격적으로 언급된다. 레모네이드 베타의 클론 중 하나였던 콰트로는 하수 처리시설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설계도와 다르게 탱크라도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로 이상하리만치 넓게 증축되어 있던 데다 어떤 열쇠로도 열리지 않던 구역이 있었고 그 곳을 열어보니 수십 대의 데스스토커가 그 곳에 보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계획이 틀어진 콰트로가 그 데스스토커를 가동시키고 만다. 12지 3부에서도 클론 쿠데타군의 히든 카드로 등장한다. 본래 빈민가에 AGS들을 풀어놓아 포위망을 형성하고 사령관 일행의 위치가 확인되는대로 밀어넣을 계획이었으나 사령관이 소규모 병력을 지휘하며 먼저 치고 들어오자 사령관을 본 시티가드들이 전향해버리고, 선봉으로 보낸 AGS들이 전멸당하는 등 클론들의 상정을 뛰어넘는 심각한 피해를 입자 투입된다. 그러나 데스스토커 부대를 기다리던 사령관이 댐을 터트려 도시를 물바다로 만들어버리자 수해에 휩쓸려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후 침수된 도시를 수색하던 사디어스의 앞에 수해를 피해 숨어있던 개체가 튀어나와 그녀를 제압하고 죽일 뻔하다 켈베로스로 변장한 잉글리시 셰퍼드에게 코어를 뚫려 기능정지한다. 이후 콰트로에 의해 밝혀진 바로 사실 카라카스에 남아있던 데스스토커는 고작 3기였으며, 나머지 기체들은 다름아닌 레모네이드 제타가 새로 생산하여 공급한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 외전 스토리 === === 공식만화 === == 성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성능''' || || '''공격력''' || '''방어력''' || '''속도''' || '''지구력''' || || A+ || C || A+ || B+ || ||<-2> '''공격 빈도''' ||<-2> '''보조 능력''' || ||<-2> C+ ||<-2> D || ||<-4> '''기본 능력치 [br] (100렙 '풀 링크(×2)'하기 전 시점 / 풀 링크한 이후의 능력치, 최대 레벨인 120렙 능력치''') || || '''체력''' || 240(3978 / 7956, ?) || '''전투력''' || -() || || '''공격력''' || 70(1149 / 2298, ?) || '''치명타''' || 4%(4%) || || '''방어력''' || 24(321, ?) || '''적중률''' || 112%(147%, ?) || || '''행동력''' || 3.44(3.44%) || '''회피율''' || 4%(4%) || ||<-4> '''운영 비용(코어 링크 0% ~ 500%순)''' || || '''부품''' ||<-3> 35 / 39 / 43 / 49 / 54 / {{{#orange '''62'''}}} || || '''영양''' ||<-3> 0 / 0 / 0 / 0 / 0 / {{{#lightgreen '''0'''}}} || || '''전력''' ||<-3> 31 / 34 / 38 / 43 / 47 / {{{#skyblue '''54'''}}} || ||<-4> '''장비 슬롯''' || || '''Lv. 20''' || '''Lv. 40''' || '''Lv. 60''' || '''Lv. 80''' || || 칩 || 칩 || OS || 보조장비 || ||<-4> '''코어링크 1개(100%)당 보너스''' || || '''체력''' || '''공격력''' || '''적중률''' || '''획득 경험치''' || || +20% || +20% || +7% || +4% || ||<-4> '''획득 방법''' || || '''제작 시간''' ||<-3> 4:44 || || '''드랍''' ||<-3> -##(메인 스테이지) || || '''기타''' ||<-3> -##(이벤트 스테이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선택 가능한 풀 링크 보너스''' || || 출격 비용 -25% || 스킬 위력 +20% || 사거리+1 || 치명타 +20% || 행동력+0.1 || }}} ##제작이 가능한 AGS 계열은 해당 템플릿을 제작 시간이랑 드랍 사이에 넣어주세요. HQ1 알바트로스 문서 참고 하시면 돼요. ##컬러 코드 옆에 자원 소모량 넣으시고, brbrbr 된 곳에 소모 재료 넣으시면 돼요. ||<|3> '''제작 재료''' || 1000 ||<|3><-2> AI 코어×1[br]시작형 파츠×100[br]특수 모듈×10[br]중무장 파츠×100 || || 0 || || 2000 || ##아래의 스킬 표에서 '효과 범위' 란은 위키 스킨 설정에서 글꼴 크기를 '매우 크게'로 설정한 값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이 미만의 수치로는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군 버프 스킬은 사거리 표시를 {{{#8CDCFF ■}}}로 합니다. ||<-6> {{{#ffffff 스킬}}} || || 분류 || 이름 || 효과 || 사거리 || 소모AP || 효과[br]범위 || || 액티브1 || '''카타툼보 머신건''' || 특수 제작된 탄환을 발사하여 전기 피해를 입힙니다.[br]적중 시, 3라운드 동안 대상의 전기 저항을 감소(29%)시킵니다.[br]{{{#a1a1a1 카타툼보 강은 지구상에서 가장 번개가 잦은 곳입니다. [br] 엄청난 속도로 총알을 뿜어내는 데스스토커의 머신건에 딱 맞는 이름이죠.}}} || 4 || 7 || □ □ □[br]□ {{{#c65911 ■}}} □[br]□ □ □ || || 액티브2 || '''파이크 레일건''' || 레일건을 충전하여 일직선상의 적에게 보호 무시 전기 피해를 입힙니다.[br]적중 시, 대상의 행 / 열 / 지정 보호를 해제합니다.[br]치명타 시, 피해량이 증가(48%)합니다.[br]{{{#a1a1a1 거의 무엇이든 닥치는대로 먹어치우는 민물꼬치고기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br]파이크 레일건이 파괴할 수 없는 건 별로 존재하지 않거든요.}}} || 3 || 9 || □ □ □[br]{{{#c65911 ▨}}} {{{#c65911 ■}}} {{{#c65911 ■}}}[br]□ □ □ || || 패시브1[br] || '''시위 강경 대응''' || 라운드 개시 시, 자신의 대 경장형 피해량이 증가(48%)합니다.[br]전투 개시 시 경장형 적이 4기 이상 있을 경우, 자신의 AP가 증가(2.9)합니다[br]{{{#a1a1a1 놀랍게도, 데스스토커는 시위 진압용으로도 자주 사용되었습니다.[br]시위자들의 안전이나 목숨을 고려한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 - || - || □ □ □[br]□ {{{#7fb6f8 ■}}} □[br]□ □ □ || || 패시브2[br] || '''헌터-킬러 프로토콜''' || 라운드 개시 시, 3라운도 동안 자신의 공격력이 증가(24%)합니다.[br]재공격 / 공격 지원 시, 2라운드 동안 지정 보호 상태가 아닌 모든 적의 회피를 감소(24%)시킵니다.[br]{{{#a1a1a1 데스스토커는 적을 끝까지 추적해 몰아넣은 다음,[br]장애물과 함께 분쇄하는 전법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 - || - || {{{#7fb6f8 ■}}} {{{#7fb6f8 ■}}} {{{#7fb6f8 ■}}}[br]{{{#7fb6f8 ■}}} {{{#7fb6f8 ■}}} {{{#7fb6f8 ■}}}[br]{{{#7fb6f8 ■}}} {{{#7fb6f8 ■}}} {{{#7fb6f8 ■}}} || || 패시브3[br](SS급 승급) || '''화력 지원 증강''' || 라운드 개시 시, 자신의 행동력이 증가(24%)합니다.[br]라운드 개시 시, 범위 내 아군 중장형 공격기 / 보호기의 공격을 지원합니다. [br]자신 외의 AGS가 있을 경우, 공격 지원의 대상이 '아군 공격기 / 보호기'로 완화되고 추가로 적중을 증가(29%)시킵니다.[br]{{{#a1a1a1 화력이 부족해서 위기에 빠졌다고요?[br][[드라군 놀이|하지만 데스스토커가 출동하면 어떨까요?]]}}} || - || - || {{{#7fb6f8 ■}}} {{{#7fb6f8 ■}}} {{{#7fb6f8 ■}}}[br]{{{#7fb6f8 ■}}} {{{#7fb6f8 ◎}}} {{{#7fb6f8 ■}}}[br]{{{#7fb6f8 ■}}} {{{#7fb6f8 ■}}} {{{#7fb6f8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등급''' || || [[파일:SRankRoleSurpporter.png|width=50px]] || →[br]승급 ||<-2> [[파일:SSRankRoleSurpporter.png|width=50px]] || ||<-4> '''승급 시 추가 능력치''' || || '''체력''' || +200 || '''전투력''' || - || || '''공격력''' || +100 || '''치명타''' || +16% || || '''방어력''' || +30 || '''적중률''' || +8% || || '''행동력''' || 0.05+ || '''회피율''' || +0% || ||<-4> '''승급 시 추가 운용 비용''' || || '''부품''' ||<-3> +8(노링) / +14(풀링) || || '''영양''' ||<-3> +0(노링) / +0(풀링) || || '''전력''' ||<-3> +7(노링) / +12(풀링) || }}} ##피해량은 적을 필요 없음. ex)대상에게 2832 피해를 주고 x 대상에게 피해를 주고 o ##특정 레벨에서 스킬의 범위가 증가하는 경우 액티브 2 스킬 템플릿 참고 하세요.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액티브 1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스킬 이름''' || - || - || □ □ □[br]□ {{{#red ■}}} □[br]□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단일, 십자 범위, 전체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9> □ □ □[br]□ {{{#red ■}}} □[br]□ □ □[br]단일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4> '''액티브 2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스킬 이름''' || - || - || □ {{{#red ■}}} □[br]{{{#red ■}}} {{{#red ■}}} {{{#red ■}}}[br]□ {{{#red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십자 일반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4> □ {{{#red ■}}} □[br]□ {{{#red ■}}} □[br]□ {{{#red ■}}} □[br]중열 일반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5> □ {{{#red ■}}} □[br]{{{#red ■}}} {{{#red ■}}} {{{#red ■}}}[br]□ {{{#red ■}}} □[br]십자 일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4> '''승급 시 신규 패시브 1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패시브 스킬 이름''' || - || - || □ □ □[br]□ {{{#8cdcff ■}}} □[br]□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단일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9> □ □ □[br]□ {{{#8cdcff ■}}} □[br]□ □ □[br]단일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 === 숙련도 === ||<-6> 액티브 || || '''Lv''' || - || - || || 1 || +-.:%[br] || - || || 2 || - || - || || 3 || - || - || || 4 || - || - || || 5 || - || - || || 6 || - || - || || 7 || - || - || || 8 || - || - || || 9 || - || - || || 10 || - || - || ||<-6> 패시브 || || '''Lv''' || - [br](A급 승급) || - [br](S급 승급) || - [br](SS급 승급) || || 1 || +-.:%[br] || - || - || || 2 || - || - || - || || 3 || - || - || - || || 4 || - || - || - || || 5 || - || - || - || || 6 || - || - || - || || 7 || - || - || - || || 8 || - || - || - || || 9 || - || - || - || || 10 || - || - || - || === 관련 영상 === ##액티브 1 스킬 시연 동영상 {{{#!html }}} ##액티브 2 스킬 시연 동영상 {{{#!html }}} === 패치노트 === || 패치노트[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cafe.naver.com/lastorigin/게시글 번호|20**.**.**]] ####해당 전투원의 패치 내용 ---- [[https://cafe.naver.com/lastorigin/게시글 번호|20**.**.**]] ####해당 전투원의 패치 내용 ---- ####{{{#009e25 버프}}} ####{{{#ff0000 너프}}} ####{{{#7030a0 혼합}}} ||}}} || === 전용 장비 === 2023년 11월 7일 12구역 추가와 함께 추가된 전용장비. 효과는 경장형공격력 30%, 중장형 공격력 30%에 1패시브 경장형 조건에 중장형 조건이 추가되어 절반정도 수치로 중장형에도 대응이 되는 장비다. 대경장형 전투에서는 엄청난 화력을 보여줄 수 있고 중장형 대상으로도 대응력이 생긴다는 점에서 꽤 장점이 있는 장비다. 기동형에 대해서는 여전히 대응력이 떨어지긴 하지만 그래도 강점은 극대화 시키고 단점을 어느정도 보완해서 유용한 장비로 평가할 수 있다. === 평가 === 경장형 타입의 적을 대상으로 큰 위력을 보여줄 수 있는 전기 딜러다. 1스킬은 3라운드 동안 전기 저항을 낮출 수 있는 단일 대상 전기 속성 공격이다. 2스킬은 일직선상의 적에게 보호무시 전기 피해를 주며 적중시 대상의 행, 열, 지정보호를 해제하고 치명타시 피해량이 증가한다. 1패시브는 대경장 피해량이 48%까지 증가하고 전투 개시시 경장형 적이 4기 이상이라면 AP를 2.9 확보 가능하다. 2패시브는 라운드 개시 3라운드 동안 공격력이 증가하며 중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재공격 또는 공격 지원 시 2라운드 동안 지정 보호 상태가 아닌 모든 적의 회피를 감소시킨다. 직관적이면서 단순한 전기 딜러로 적이 경장형이라는 조건 하나만 만족하면 위력적인 딜링과 높은 AP 확보가 가능한데 고정 전기 피해를 감수해야하는 [[니키 트레이시]], [[몽구스 팀]]을 요구하는 [[T-60 불가사리]], [[시티 가드(라스트오리진)|시티 가드]]와의 조합에 강점을 가지는 [[징벌의 사디어스]], 침수 상태를 유발해줄 수 있는 지원기가 필요한 [[레이시(라스트오리진)|레이시]] 등과 비교한다면 아군 조합을 크게 타지 않는다는 점에서 데스스토커의 강점이 드러난다. 동시에 2스킬을 이용해 행, 열, 지정보호 해제가 가능해 단순 공격 뿐만 아니라 아군의 후속 공격에도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다른 전기 딜러와 차별점을 가진다. 다만 단점이 없는건 아닌데 다수의 경장형 적이 등장하지 않는 전장에서는 가지고 있는 장점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단점이 크다. 즉 적이 기동형 중심이거나 중장형 중심이라면 딜링 능력과 AP를 상실하기에 아군 조합보다 적 조합을 탄다. 2패시브의 재공격과 공격 지원을 자체적으로 발동할 수 없다는 점도 단점인데 회피 감소치가 크진 않기에 이건 소소한 단점에서 그친다. ==== 승급 : SS ==== 최근 나오는 캐릭터들 답게 승급이 같이 나왔다. 패시브명은 화력 지원 증강으로 라운드 개시시 행동력이 증가하며 자신을 중심으로 전방위의 아군 중장형 공격기와 중장형 보호기에게 공격을 지원한다. 그리고 자신 외의 AGS가 있다면 조건을 아군 공격기와 보호기로 완화하며 추가로 적중을 받을 수 있다. 추가적인 행동력과 함께 중장형 공격기와 중장형 보호기 대상으로 공격지원이 가능해져 추가적인 딜링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AGS 조합에서는 중장형 조건이 빠져서 AGS 조합의 공격을 지원하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2패시브의 회피 감소까지 자체적으로 발동시킬 수 있다는 건 장점. 다만 아쉬운건 이 분야는 이미 [[와쳐 MQ-20]]라는 압도적인 강자가 있다는 점이다. 와쳐는 압도적인 공격횟수와 자체 재공격 능력, 높은 방관, 1스킬의 방어력 강화 해제, 받는 피해 증가, 표식 지정으로 상대의 방어력 같은건 무시해버리고 승급까지 하면 아예 방어막과 피해 감소까지 무시해버려서 데스스토커의 속성공격이라는 장점이 드러나지 않는다. === 육성 === == 스킨 == === 기본 === ||<-2>
'''S7 데스스토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GS_Deathstalker_0_O.webp|width=50%&align=center]]}}} || [[파일:중파일러|width=50%&align=center]] || || 통상 || 중파 || === 스킨 이름 === ## 문단 명은 스킨 이름(예시: 의장대 켈베로스)(도감 기준)가 들어가고, 표 상단에는 스킨의 번들 이름(예시: 켈베로스용 의장복)이 들어갑니다. 단, 스킨의 번들 이름과 스킨 이름이 같은 스킨들은 상점 상세 설명의 스킨 이름을 표 상단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위험한 가족 : 유혹하는 메이드 X, 리리스용 가정용 메이드복 O) ## 이미지는 적절히 잘라 상하단 공백을 없애서 올려주시고, 미검열 이미지의 경우 가릴 부분을 검정색 사각형으로 적절히 가려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철혈의 레오나 항목 참고) '''검열/미검열''' ||<-12> '''스킨 번들 이름''' || || [[파일:통상_검열.png|width=100%&align=center]] || [[파일:통상_미검열.png|width=100%&align=center]] || || 통상(검열) || 통상(미검열) || || [[파일:아이콘_스킨.png|width=64]] || [[파일:참치캔.png|width=30px]]'''???''' || || 아이콘 || 가격 || ||<-2>스킨 아이템 정보 || '''공통''' ||<-12> '''스킨 번들 이름''' || ||<-2> [[파일:통상_공통.png|width=100%&align=center]] || ||<-2> 통상(공통) || || [[파일:아이콘_스킨.png|width=64]] || [[파일:참치캔.png|width=30px]]'''???''' || || 아이콘 || 가격 || ||<-2>스킨 아이템 정보 || '''원작자와 다른 일러스트레이터가 작업한 스킨''' ||<-12> '''스킨 번들 이름''' || ||<-2> [[파일:통상_공통.png|width=100%&align=center]] || ||<-2> 통상(공통) || || [[파일:아이콘_스킨.png|width=64]] || [[파일:참치캔.png|width=30px]]'''???''' || || 아이콘 || 가격 || ||<-2>스킨 아이템 정보 || || 일러스트레이터 || 일러스트레이터 닉네임 [[https://cafe.naver.com/lastorigin|출처 링크 달기]] || == 대사 == === 기본 === ## 좌측 정렬로 써 주세요. ||<-4>획득||데스스토커, 화력 지원을 위해 합류했습니다.|| ||<-4>편성||데스스토커 가동. 섬멸 프로토콜 준비 완료. || ||<-4>리더 지정||본 유닛을 중심으로 대형을 형성하십시오. || ||<|5>리더||<-3>스쿼드 선택||전장으로 이동합니다. || ||<-3>출격||섬멸 프로토콜 시작. 적성 개체를 제거합니다. || ||<-3>퇴각||후방으로 이동합니다. || ||<|2>탐색||<-2>시작||자원 탐색 명령 확인. 임무를 개시합니다. || ||<-2>완료||자원 탐색 임무 완료. 수집한 자원을 공유합니다.|| ||<-4>전투 선택||제거할 목표를 지정해 주십시오. || ||<-4>전투 지시||명령을 실행하겠습니다. || ||<-2><|2>액티브||<-2> 1 || || ||<-2> 2 ||자세 안정화. 전력 충전. 목표를 제거합니다. || ||<-4>전투 불능||기체 중파. 명령 수행 불가. || ||<-4>수복||실패 원인 파악을 위해 작전 기록을 분석하겠습니다. || ||<-4>강화||섬멸 프로토콜의 효율 증가. || ||<-4>장비 장착||추가 무장 장착 완료. || ||<-4>코어 링크||전투 모듈 확장. || ||<|5>부관||<-3>접속||사령관님. 오늘은 어떤 목표를 제거할까요? || ||<-3><|3>일반 터치||본 유닛은 6족 보행형으로 설계되어 있어, 전차가 진입하기 힘든 시가전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합니다. || ||본 유닛은 다양한 탄종 사용을 지원합니다. 비살상용 전기충격 탄환을 장착할 수 있어, 시위 진압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 ||스마트 디스트럭션 시스템이 적용된 파이크 레일건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 ||<-3>전투 MVP||모든 적 섬멸 완료. 명령을 이행했습니다. || === 서약 대사 === ||<-4>편성|| || ||<-4>리더 지정|| || ||<|5>리더||<-3>스쿼드 선택|| || ||<-3>출격|| || ||<-3>퇴각|| || ||<|2>탐색||<-2>시작|| || ||<-2>완료|| || ||<-4>전투 선택|| || ||<-4>전투 지시|| || ||<-2><|2>액티브||<-2> 1 || || ||<-2> 2 || || ||<-4>전투 불능|| || ||<-4>수복|| || ||<-4>강화|| || ||<-4>장비 장착|| || ||<-4>코어 링크|| || ||<-4>선물|| || ||<|5>부관||<-3>접속|| || ||<-3><|3>일반 터치|| || || || || || ||<-3>특정 터치|| || ||<-4>불명|| || === 스킨 대사 === ||<-4>편성|| || ||<-4>리더 지정|| || ||<|5>리더||<-3>스쿼드 선택|| || ||<-3>출격|| || ||<-3>퇴각|| || ||<|2>탐색||<-2>시작|| || ||<-2>완료|| || ||<-4>전투 선택|| || ||<-4>전투 지시|| || ||<-2><|2>액티브||<-2> 1 || || ||<-2> 2 || || ||<-4>전투 불능|| || ||<-4>수복|| || ||<-4>강화|| || ||<-4>장비 장착|| || ||<-4>코어 링크|| || ||<-4>선물|| || ||<|9>부관||<-3>접속|| || ||<-3><|3>일반 터치|| || || || || || ||<-3>특정 터치|| || ||<|4> 호감도 ||<-2>호감[br](40)[br]이상 || || ||<-2>친밀[br](70)[br]이상 || || ||<-2>애정[br](100)[br]이상 || || ||<-2>애정[br](100)[br]특정[br]터치 || || ||<-4>서약|| || ||<-4>서약 후 터치|| || ||<-4>불명|| || == 이벤트 투표 이력 == || 이벤트 종류 || 투표 단위 || 소속 || 결과 || == 둘러보기 == === 구성원 === [include(틀:AGS 로보테크)] === 일러레 === [include(틀:양윤영 / Superphotrone 전투원)] === 출시순 === ||<-5> '''[[라스트오리진/전투원|{{{#ffffff 라스트오리진의 210번째 전투원}}}]]''' || || 2023/07/25 ||<|2> → || 2023/08/16 || || SS등급 [[알키오네(라스트오리진)|알키오네]] || S등급 [[S7 데스스토커]] || === 전투원 일람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종류)] [[분류:라스트오리진/전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