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000000,#ffffff SIE}}} {{{#971010 재팬}}} {{{#000000,#ffffff 스튜디오 ^^△○×□^^}}}'''}}}[br]'''{{{#971010 ジャパン}}}{{{#000000,#ffffff スタジオ ^^△○×□^^}}}'''[br]'''{{{#971010 Japan}}} {{{#000000,#ffffff Studio ^^△○×□^^}}}''' || ||<-2> [[파일:SIE 재팬 스튜디오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SIE 재팬 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 '''유형'''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 || '''업종''' ||비디오 게임 사업 || || '''설립일''' ||[[1993년]] [[11월]] || || '''폐쇄일''' ||[[2021년]] [[7월]] || || '''소재지'''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코난1초메 6번 27호 || || '''주요 개발진''' ||앨런 베커[* 스튜디오의 수장. [[SIE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 출신이다.][br][[우에다 후미토]][* 팀 이코의 수장이다.][br]개빈 무어[* [[퍼피티어]]의 게임 디렉터이다.][br]이케다 유우키[* rain의 게임 디렉터이다.][br]토야마 케이이치로[* [[사이렌 시리즈|프로젝트 사이렌]]의 게임 디렉터이다.][br]와타나베 유스케[* ~~[[KILLZONE: SHADOW FALL]]과 어깨동무 했다는~~ KNACK의 프로듀서이다.][br]야마기와 마사아키[* [[도쿄 정글]]과 [[블러드본]]의 프로듀서이다.] || || '''대표작''' ||[[사이렌 시리즈]][br][[퍼피티어]][br][[파타퐁]][br][[도쿄 정글]][br][[소울 새크리파이스]][*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 AQL]], 콤셉트와 공동 개발.][br][[프리덤 워즈]][* 샤프트, [[딤프스]]와 공동 개발.][br][[데몬즈 소울]][* [[프롬 소프트웨어]]와 공동 개발.][br][[블러드본]][* [[프롬 소프트웨어]]와 공동 개발.][br]백기사 이야기 시리즈[* [[레벨 파이브]]와 공동 개발.][br][[나의 여름방학 시리즈]][br][[토로 시리즈]][br]ASTRO 시리즈[br]외 다수. || || '''기업 규모''' ||'''직원 수''': 400명 (2016년) || || '''모회사'''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 ||<-2> [[https://www.playstation.com/en-gb/footer/about-us/world-wide-studios/sie-japan-studi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스튜디오의 폐쇄로 홈페이지가 사라졌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SIE 재팬 스튜디오는 [[일본]]의 [[비디오 게임]] 개발 회사이며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를 만드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이하 SIE)의 자회사 [[SIE 월드와이드 스튜디오]]의 퍼스트 파티 전용 게임 개발사에 해당한다. 설립 초기에는 주로 외주 개발사들을 프로듀스하는 형태의 기업이었으나[* 그래서 초기의 SIE 재팬 게임들은 대부분 개발이 외부 개발사였다. PS1의 런칭 타이틀 중 유일한 SIE의 게임이었던 '크라임 크래커즈' 부터가 외부 개발사인 미디어 비전([[와일드 암즈 시리즈]] 등)이 개발한 게임.], 이후 자체적인 개발팀을 키워나가면서 이쪽의 비중도 커지게 된다. 실제 이름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엄연히 소니의 한 축을 담당하는 퍼스트 파티 개발진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그 덕분인지 각종 퍼스트 파티 타이틀들을 생산하기로 유명하다. 의외로 다들 이 재팬 스튜디오를 없는 취급하며 타 유명 게임을 공동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언급되지도 않는 회사로 유명하다. 보통 SIE Japan Studio로 표시되기 때문에 대부분 '아 그냥 소니가 만든 게임이구나'하고 넘어가는 듯 하다(...). 현재는 그나마 이름이 점점 알려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장인 앨런 베커를 중심으로 꽤나 많은 사람들이 주요 개발진으로 모여있다. 토야마 케이이치로와 개빈 무어, 야마기와 마사아키 등이 그렇다. 팀 이코의 수장인 [[우에다 후미토]] 또한 주요 개발진에 속해 있다. 의외로 창의적인 게임들을 많이 만들었다. [[무한회랑]]이라든지 [[퍼피티어]]라든지 [[GRAVITY RUSH]]라든지... 하지만 이런 창의적이고 새로운 도전을 한 IP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잘 안 알려져 있다. 이 회사, 의외로 플레이스테이션의 역사 대부분을 같이 걸어간 회사인데...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1.1|삐뽀사루 겟츄!]]를 제작하고 바로 인기를 끌었고, 덕분에 삐뽀사루 겟츄는 플레이스테이션 하면 떠오르는 마스코트 겸 캐릭터가 되었다. 현재는 그 명맥이 끊긴 상태라 그런지 인기는 많이 사그라들었다. 상술했다시피 퍼스트 파티 게임 이외에도 일본의 [[5pb.]], [[ATLUS]], [[D3퍼블리셔]],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니혼 팔콤]],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레벨 파이브]],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 [[반다이 남코 게임스]], ~~[[사이버프론트]],~~[* 폐업] [[세가 게임즈]], [[스퀘어 에닉스]], [[스파이크 춘소프트]], [[아이디어 팩토리]], [[아크 시스템 웍스]], [[아트딩크]], [[컴파일 하트]], [[캡콤]], [[코나미]], [[코에이 테크모]], [[어콰이어(게임 회사)|어콰이어]], [[토세]], [[프롬 소프트웨어]], [[플래티넘 게임즈]] 등의 [[서드파티]] 게임 제작 협력에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서드파티에 대해 파격적으로 후한 대우를 해주는 정책의 일환으로 보인다. 2021년 2월 스튜디오가 대규모 감축을 통해 재조직 되었다고 한다. 2020년부터 SIE 재팬 스튜디오의 관련 개발자들이 퇴사했는데 이러한 감축의 일환이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소니가 밝힌 바에 의하면 ASTRO 시리즈를 제작한 [[팀 아소비]]를 주축으로 재조직될 예정이라고 한다. [[https://www.ign.com/articles/playstation-reportedly-downscales-sony-japan-studio|#]] 사실상 SIEJS을 'ASTRO 시리즈 전용 스튜디오'로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사실 PS4 시절 신규 IP인 낵 시리즈, 그래비티 러쉬 시리즈는 전부 상업적으로 실패했기 때문에 그나마 실적이 있던 팀 아소비로 개편하는 게 최선이다.] 이후 뉴스에 따르면 재조직과 함께 블러드본, 그래비티 러쉬 시리즈, 데몬즈 소울 리메이크 등을 담당한 많은 베테랑 개발자들이 퇴사했다고 한다. 사실상 ASTRO 시리즈 개발진을 제외하면 거의 전부 퇴사 혹은 해고당했다고 보면 될 듯. 4월 1일에 더 많은 개발진들이 재팬 스튜디오를 퇴사했으며, 남은 직원들은 [[팀 아소비]]로 옮겨지거나,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로 흡수되었다. [[https://www.videogameschronicle.com/news/more-sony-japan-studio-staff-announce-departures-on-eve-of-dissolution/|#]] [[https://www.ign.com/articles/sony-japan-studio-restructure-mass-exodus-playstation|##]] 이후 7월 6일에 [[https://www.playstation.com/en-us/corporate/playstation-studios/|스튜디오 목록]]에서마저 사라지고, 그 자리를 팀 아소비가 대체 되었다. [[https://www.videogameschronicle.com/news/playstation-has-officially-removed-japan-studio-from-its-list-of-studios/|###]] 사실상 재팬 스튜디오는 폐쇄됐다. == 개발 작품 == * 비고의 빈 칸은 내부 개발. ||<-4>
'''{{{#white {{{+2 SIE}}}}}} {{{#red {{{+2 재팬}}}}}} {{{#white {{{+2 스튜디오 ^^△○×□^^}}}}}}''' || || {{{#000 '''발매연도'''}}} || {{{#000 '''제목'''}}} || {{{#000 '''플랫폼'''}}} || {{{#000 '''비고'''}}} || || '''1999년'''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1.1|삐뽀사루 겟츄!]] || [[플레이스테이션|PS1]] || || ||<|3> '''2001년'''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2.1|삐뽀사루 겟츄! 2001]] ||<|3> [[플레이스테이션 2|PS2]] ||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2.2|삐뽀사루 겟츄! 2]] || || ||[[이코]] ||팀 이코와 공동 개발 || || '''2003년''' ||[[사혼곡: 사이렌]] || PS2 || || || '''2004년'''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가챠 메카 스타디움 사루배틀]] || PS2 || || ||<|4> '''2005년''' ||[[로그 갤럭시]] ||<|4> PS2 ||[[레벨 파이브]]와 공동 개발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2.3|삐뽀사루 겟츄! 3]] ||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s-2.3.1|삐뽀사루 겟츄! P]] || || ||[[완다와 거상]] || || ||<|2> '''2006년''' ||[[사혼곡 2: 사이렌]] || PS2 || || ||[[로코로코]]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 || ||<|4> '''2007년''' ||삐요타마 || [[플레이스테이션 3|PS3]], PSP || || ||[[로코로코|어서 와요 로코로코!]][br]BuuBuu Cocoreccho! ||<|2> PS3 || || ||THE EYE OF JUDGMENT || || ||[[파타퐁]] || PSP ||피라미드와 공동 개발 || ||<|5> '''2008년''' ||[[무한회랑]] || PS3, PSP || || ||[[사혼곡 사이렌: New Translation]] ||<|2> PS3 || || ||The Last Guy || || ||[[로코로코|로코로코 2]] || PSP || || ||백기사 이야기 || PS3 ||[[레벨 파이브]]와 공동 개발 || ||<|4> '''2009년''' ||[[데몬즈 소울]] ||<|2> PS3 ||[[프롬 소프트웨어]]와 공동 개발 || ||휴지통 -GOMIBAKO- || || ||[[파타퐁 2 동챠카|파타퐁 2]] || PSP ||피라미드와 공동 개발 || ||Qruton/Numblast || PS3 || || ||<|7> '''2010년''' ||100만 톤의 조각 || PSP ||어콰이어와 공동 개발 || ||백기사 이야기 -빛과 어둠의 각성- ||<|2> PS3 ||[[레벨 파이브]]와 공동 개발 || ||쿵푸 라이더 || || ||THE EYE OF JUDGMENT: 신탁의 마법사 ||<|2> PSP || || ||용사 주제에 시건방지다 ||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Ape Escape On The Move![br]삐뽀사루 겟츄~!!]] ||<|2> PS3 || || ||[[무한회랑|무한회랑: 빛과 그림자 상자]] || || ||<|2> '''2011년''' ||백기사 이야기 -episode.portable- ||<|2> PSP ||매트릭스와 공동 개발 || ||[[파타퐁 3]] ||피라미드와 공동 개발 || ||<|2> '''2012년''' ||[[GRAVITY RUSH]]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PS VITA]] || || ||[[도쿄 정글]] || PS3 ||크리스피즈와 공동 개발 || ||<|5> '''2013년''' ||[[소울 새크리파이스]] || PS VITA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 AQL]], 콤셉트와 공동 개발 || ||[[퍼피티어]] ||<|2> PS3 || || ||[[로스트 인 더 레인]] ||어콰이어와 공동 개발 || ||KNACK || [[플레이스테이션 4|PS4]] || || ||더 플레이룸 || PS4 || || ||<|4> '''2014년''' ||데스티니 오브 스피리츠 ||<|4> PS VITA ||큐 게임즈와 공동 개발 || ||[[내 시체를 넘어서 가라 2]] ||[[알파 시스템]]과 공동 개발 || ||[[소울 새크리파이스 델타]]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 AQL]], 콤셉트와 공동 개발 || ||[[프리덤 워즈]] ||시프트, [[딤프스]]와 공동 개발 || ||<|2> '''2015년''' ||[[블러드본]] ||<|2> PS4 ||[[프롬 소프트웨어]]와 공동 개발 || ||[[GRAVITY RUSH|그래비티 러쉬 리마스터드]] ||[[블루포인트 게임즈]]와 공동 개발 || ||<|3> '''2016년''' ||더 플레이룸 VR || [[플레이스테이션 VR|PS VR]] || || ||[[더 라스트 가디언]] ||<|2> PS4 ||gen DESIGN과 공동 개발 || ||[[더 투모로우 칠드런]] ||큐 게임즈와 공동 개발 || ||<|4> '''2017년''' ||[[GRAVITY RUSH 2]] || PS4 || || ||[[용사 주제에 건방지다 시리즈|V! 용사 주제에 건방지다 R]] || PS VR ||어콰이어와 공동 개발 || ||[[New 모두의 골프]] ||<|2> PS4 ||클랩 핸즈와 공동 개발 || ||[[Knack 2]]|| || ||<|2> '''2018년''' ||[[완다와 거상(2018)|완다와 거상(리메이크)]] || PS4 ||블루포인트 게임즈와 공동 개발 || ||ASTRO BOT: RESCUE MISSION || PS VR || || ||<|2> '''2020년''' ||[[데몬즈 소울 리메이크|데몬즈 소울(리메이크)]] || PS5 ||블루포인트 게임즈와 공동 개발 || ||ASTRO's PLAYROOM || PS5 || || == 관련 회사 == * [[폴리포니 디지털]]: 재팬 스튜디오 사내 개발팀 중 하나였으나, [[그란 투리스모]] 1편의 성공으로 1998년 분사. * 다음 세 회사는 재팬 스튜디오 소속 부서가 1997년 분사하는 형태로 설립되었다가, 2000년 재합병하였다. * 아크 엔터테인먼트([[아크 더 래드 시리즈]] 등을 담당하던 부서가 분사) * 슈가 앤 로켓츠([[포포로크로이스 이야기 시리즈]] 등을 담당하던 부서가 분사) * 콘트레일([[와일드 암즈 시리즈]] 등을 담당하던 부서가 분사) [[분류: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분류:일본의 게임 제작사]][[분류:1993년 기업]][[분류:202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