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SSG 69}}}'''[br]''Scharfschützengewehr 69''[br]''69년형 저격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SG 69/SSG69.jpg|width=100%]]}}}|| || '''종류''' ||[[저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9년]]~현재 || || '''생산''' ||[[슈타이어 암즈]] || || '''생산년도''' ||[[1969년]]~[[2015년]]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인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등 || || '''사용된 전쟁''' ||[[레바논 내전]][br][[중국-베트남 전쟁]][br][[시리아 내전]][br][[예멘 내전(2014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SSG 69 PI[br]SSG 69 PII[br]SSG 69 PIV || ||<-2> {{{#White '''제원'''}}} || || '''탄약''' ||[[7.62×51mm NATO]][br].243 Winchester[br].22-250 Remington || || '''급탄''' ||5발들이 로터리 탄창 || || '''작동방식''' ||[[볼트액션]] || || '''총열길이''' ||650mm (SSG 69 PI, SSG 69 PII)[br]409mm (SSG 69 PIV) || || '''전장''' ||1,140mm (SSG 69 PI)[br]1,190mm (SSG 69 PII)[br]1,003mm (SSG 69 PIV) || || '''중량''' ||4kg (SSG 69 PI)[br]4.2kg (SSG 69 PII)[br]3.8kg (SSG 69 PIV) || || '''유효사거리''' ||800m || || '''최대사거리''' ||3,7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cBTuKzrVX4)]}}}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오스트리아]]의 제식 [[저격 소총]]. 개발사는 [[슈타이어 암즈|슈타이어]]이다. [[오스트리아]], [[아르헨티나]],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육군 특수전사령부]]에서 [[제707특수임무단]]과 공수특전단 예하 여단특임대 및 [[해군 특수전전단]] [[해군 특수전전단 특수임무대대|특수임무대대]]에서 사용 중.], [[파키스탄]],[* 이 총을 쓰는 파키스탄 부대가 '''S'''pecial '''S'''ervice '''G'''roup, 즉 '''SSG'''다.] [[칠레]], [[페루]], [[폴란드]], [[러시아]], [[네덜란드]], [[싱가포르]], [[인도]], [[그리스]], [[요르단]], [[아이슬란드]], [[튀니지]], [[토고]], [[시리아]],[* 정부군뿐만 아니라 자유 시리아군 역시 SSG 69를 사용하는 저격수가 있다.] [[미국]][* BORTAC(국경순찰대)에서 사용 중.]에서 사용중인 베스트셀러 저격소총이다. == 상세 == 1969년 오스트리아에서 먼저 채용되었다.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으며, 미군의 [[M24 SWS]]도 이 저격소총의 외관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바리에이션으로 군용 버전인 SSG 69 PI, 경찰용 버전인 SSG 69 PII, SSG 69 PIV가 있다. [[파일:external/olegvolk.net/SSG69_magazine_4604web.jpg|width=300]] 독특한 방식의 로터리식 탄창을 사용하며 장탄수는 5발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edia.midwayusa.com/12992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ruthaboutguns-zippykid.netdna-ssl.com/SSG-69-Pic-1.jpg|width=100%]]}}} || || 일반적인 형태의 박스탄창도 있다. || 박스형 탄창 장착시의 모습. || == 에어소프트건 == * 일본의 에어소프트건 제작 업체인 마루젠(MARUZEN)에서 APS2라는 이름으로 에어코킹식 볼트액션 저격소총으로 발매했다. 전체적인 퀄리티는 상당히 좋지만 탄창 부분이 실제 고증과는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aruzen-aps.com/p_aps-2o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cdn.redwolfairsoft.com/MRZ-4992487169621-5L.jpg|width=100%]]}}} || * 이걸 바탕으로 중국에서 따라 만들었는데, 바디에 나사구멍이 있는 등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진다. 거기에 외관은 SSG 69지만 내부는 마루젠제 원작과는 다르게 마루이의 VSR-10을 모방했는데, 그마저도 호환되는 부품이 없다.(...) [[파일:external/www.evike.com/sniper-asg-15433-2.jpg|width=400]] == 대중 매체 == 괜찮은 저격소총으로 많은 작품에 등장하지만 주로 경찰쪽이 많이 사용한다. 현재는 [[M24 SWS]]에 밀린 상황이다. 게다가 총 모르는 사람이나 그저 얼핏보면은 M24와 비슷하다 못해 거의 똑같이 생겼다. [[http://www.imfdb.org/wiki/Steyr_SSG_69|등장하는 작품 목록들.]] * [[BattleBit Remastered]]에서 기본 지급 저격총으로 등장한다. * [[서든어택]]에는 Scout SR-69란 이름으로 등장, 기본 저격총이다. * [[다이 하드]]에서 존슨 요원이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Die_Hard#Steyr_SSG_69|#]] * [[Tremors|불가사리]]에서 [[버트 거멀]]이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Tremors_(1990)#Steyr-Mannlicher_SSG-PII_Rifle|#]] * [[소녀전선]]에서는 [[SSG 69(소녀전선)|3성 저격총]]으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오스트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서독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리투아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슬로베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페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레바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저격소총]][[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슈타이어 암즈]][[분류:1969년 출시]][[분류:2015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