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Thumnail.jpg|width=100%]]}}} || || '''СУ-76И'''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8MMAIOIxL8)]}}} || || '''SU-76I 소개 영상''' || '''"SU-76I"'''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소련 측에서 자주포의 부족으로 인해 노획한 [[3호 전차]]의 포탑을 제거하고, 고정형 전투실과 76.2mm F-34 전차포를 얹은 [[자주포]]이며, 이름의 I는 러시아어로 "외국제 (иностранная)"를 뜻한다. == 제원 == ||<-2>
'''{{{#FFFFFF СУ-76И (Самоходная Артйлерийская Установка 76мм Иностранная)}}}''' || ||<-2> '''{{{#FFF 제원}}}''' || || '''{{{#FFF 개발 기관}}}''' ||소련 육군 병기부 || || '''{{{#FFF 개발 연도}}}''' ||1943년 || || '''{{{#FFF 생산 기관}}}''' ||제37번 공장|| || '''{{{#FFF 생산 연도}}}''' ||1943년 4월 ~ 1943년 11월 || || '''{{{#FFF 생산 댓수}}}''' ||201문 || || '''{{{#FFF 운용 연도}}}''' ||1943년 ~ 1944년 || || '''{{{#FFF 운용 국가}}}''' ||[[소련]] 포함 도합 2개국 사용 || || '''{{{#FFF 전장}}}''' ||6.3m || || '''{{{#FFF 전폭}}}''' ||2.91m || || '''{{{#FFF 전고}}}''' ||2.38m || || '''{{{#FFF 전비 중량}}}''' ||22.5t|| || '''{{{#FFF 탑승 인원}}}''' ||4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 || '''{{{#FFF 엔진}}}''' ||마이바흐-HL120TRM A형 수랭식 60도 V형 12기통 가솔린 엔진 || || '''{{{#FFF 최고 출력}}}''' ||300hp || || '''{{{#FFF 출력비}}}''' ||22.72hp/t || || '''{{{#FFF 최고 속도}}}''' ||50km/h || || '''{{{#FFF 항속 거리}}}''' ||180km || || '''{{{#FFF 현가장치}}}''' ||토션 바 || || '''{{{#FFF 장갑 수치}}}''' ||15mm ~ 60mm|| || '''{{{#FFF 주무장}}}''' ||[[76mm F-34|76.2mm F-34]] 1문 (98발) || || '''{{{#FFF 부무장}}}''' ||없음 ||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blueprint.png|width=100%]]}}} || || '''SU-76I 도면''' || '''"SU-76I"'''는 [[3호 전차]]의 차체를 베이스로 하여, 새로운 전투실과 고정형 포를 장착한 소련의 자주포로, 1943년 4월부터 11월 도합 7개월 가량 201문만이 생산되었다. 해당 자주포는 비록 적국인 [[나치 독일]]제였으나, 기동성이 좋은 [[3호 전차]]의 차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졌기에 운용 인원들의 평가가 매우 높은 편에 속했으며, 전투시에도 강력한 화력을 지원 가능했기에 보병들 또한 이를 매우 선호하였다. 현재는 우크라이나에 1문, 모스크바 승전 공원에 1문, 총 2문이 보존되어 있으며 우랄 전투 영광 박물관에 지휘차형의 레플리카가 전시되어 있다.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prototype.jpg|width=100%]]}}} || || '''SU-76I 프로토타입''' || 당시 [[SU-76]]의 변속기 및 구동계 결함으로 인해 자주포 수급에 큰 차질이 생기자, 소련 군부에서는 노획 차량들을 수리하여, 무장과 구동계를 변경해 붉은 군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각 공장에 하달하였다. 이 당시, 독일군의 [[3호 전차]]는 [[T-34-76]]과의 격차로 인해 다수의 단차가 격파되거나, 유기되는 일이 잦았는데, 제37번 공장에서는 해당 차량들을 수거하여, 여러 실험 끝에 1943년, T-34와 [[KV-1]]이 사용하는 76mm F-34를 장착하였으며, 기존의 포탑이 비좁기에 아예 포탑을 드러내는 대신, 고정형 전투실을 장착하여 자주포로 개수하였다. 성공적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은 군부에게도 대호평을 받았으며, '''"SU-76I"'''라는 제식명을 하달받기에 이르렀다. 이후 1943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역 각지에서 배송된 노획 3호 전차들을 본격적으로 개조하기 시작했으며, [[이오시프 스탈린]]도 매우 고무되어 1,000문의 생산을 37번 공장에 의뢰하였으나, 동년 [[SU-76M]]이 개발에 성공하며 자주포 생산이 원활해지자 201문을 끝으로 생산을 종료하게 되었다. == 형식 == === 일반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Thumbnail.jpg|width=100%]]}}} || || '''СУ-76И''' || 일반형 SU-76I는 3호 전차를 베이스로 하여 고정식 전투실과 F-34포를 장착한 형식으로, 도합 180문이 생산되었다. === 지휘차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Commander.webp|width=100%]]}}} || || '''СУ-76И (командир)''' || 지휘차형은 기존의 SU-76I에다 3호 전차가 사용하던 독일제 단차장용 전망탑(큐폴라)과 신형 무전기를 장착한 형식으로 도합 20여문이 생산되었다. == 평가 == === 장점 === * 강력한 화력 76mm F-34 포의 화력은 [[ZiS-3]] 야포와 동일하였기에 보병 지원 및 대전차 화력이 높은 편에 속하였으며, 적시적소에서 보병들을 지원기 안성맞춤이었다. * 높은 기동성 [[3호 전차]]의 기동성은 가벼운 무게에 고회전형 가솔린 엔진을 얹은 차체에서 비롯되었기에, 3호 전차를 베이스로 제작된 SU-76I 또한 3호 전차의 기동성을 물려받아 높은 기동성을 자랑하였으며, 특히 좌우 선회가 매우 매끄러웠다는 조종수의 기록이 남아 있다. * 높은 방호력과 거주성 [[SU-76]] 및 [[T-26]]에 비해 장갑 수치가 두꺼운 편에 속하였으며, 신형 전투실 또한 경사장갑으로 제작되어 독일군의 대전차포에 대해 어느 정도의 방호력을 보장할 수 있었다. 이 덕에 거주성도 원본인 3호 전차보다 더 좋아져서 운용 인원들이 전투 시에도 무리 없이 원활하게 작전을 치룰 수 있었다고 한다. === 단점 === * 가솔린 엔진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는 문제 때문에 절대 다수의 차량들이 [[경유]]를 사용하는 소련군 내에서 연료 보급에 차질을 겪었기에 혼성 편제 없이 오직 해당 자주포만을 사용하는 부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 수리 공정의 부재 및 낮은 수량 [[3호 전차]]는 독소전 초반에는 독일 국방군의 기갑 전력의 주력으로써 다수의 차량이 투입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3호 전차는 후방으로 돌려지고 그 대신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등의 후계 전차들이 투입되며 수리 부속이나, 공정을 확보하기 어려워져 201문만 생산되고 단종되는데에 영향을 끼쳤다. === 총평 === 총평으로는, 급한 상황에서도 제 몫을 잘 해낸 자주포라고 평가된다. 비록 201문이라는 낮은 수량이었지만, SU-76I는 자주포가 부족한 상황에서 소련군에게 화력지원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었기에, 운용 인원 뿐만 아니라 보병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고, 드네프르 강 전투 당시 독일군을 몰아내는데 일익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 실전 ==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 [[드네프르 강 전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beutepanzer.jpg|width=100%]]}}} || || '''드네프르 강 전투 당시의 독일 국방군 육군 제23기갑사단 제128대전차자주포대대 노획 Jagdpanzer SU-76I(r)''' || 제2차 세계 대전 중, SU-76I가 유일하게 대규모로 사용된 전장은 바로 1943년 여름에 벌어진 드네프르 강 전투였다. 당시 제1902자주포연대로 편제된 90문이 투입되었으며, 해당 차량들은 1943년에서 1944년 초까지 각지에서 [[SU-76]]의 빈자리를 적절하게 매꿔주는 활약을 하였다. 특히, 이 전투 중 독일군은 자신들의 전차가 새롭게 바뀌어서 투입되었다는 사실에 매우 놀랐으며, 이는 독일 국방군 제1기갑군이 육군 정보부에 보낸 평가에서 나타난다. >'''적군 제7기계화군단 소속 제64기계화여단 소속의 제177전차연대에는 11대씩 총 4소대로 이루어진 전차 중대가 존재합니다.''' > >'''해당 자주포는 마이바흐 엔진을 사용하는 3호 전차 섀시로 만들어졌는데, 새로운 전투실의 전면 장갑은 3~4cm이고, 측면은 1-1.5cm 정도로 추정되며, 전투실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었습니다.''' > >'''이 자주포의 포각은 가로 15도, 부앙각은 7도로 확인되었습니다.''' >----- > 독일 국방군 육군 제1기갑군이 육군 정보부에 보낸 보고서의 일부.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해당 보고서에서 SU-76I의 상부가 없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아마 독일군이 탄약 유폭으로 파괴된 단차거나, 야전에서 임시로 상판을 제거한 채로 운용하던 단차를 조사하여서 생긴 오해로 추정된다. 이후 독일군과의 전투에서 다수가 파괴되었으며, 남은 10~15문의 차량은 후방으로 편제되며 SU-76I의 실전은 이렇게 끝나게 되었다. == 사용 국가 == === [[유럽]] ===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_moscow.jpg|width=100%]]}}} || || '''모스크바 포클론나야 승리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SU-76I "111번차"''' || 원조 사용국으로, 1943년부터 1944년 말까지 약 1년의 시간동안 사용하였으며, 43년 전투 중 다수의 차량을 망실하고, 이후에는 수리 부속의 부족으로 인해 퇴역 처분을 밟았다. 종전 이후 1문을 쿠빙카 인근에서 사용하였는데, 해당 단차도 1968년경 퇴역 처분을 밟고 스크랩되었다. ===== [[우크라이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kraine_SU-76I.jpg|width=100%]]}}} || || '''사르니 시 야외 전시 소련 육군 소속 SU-76I "3038번차"''' || 1972년, 드네프르 강에 수장되어 있던 SU-76I 1문을 인양해 복원하여 사르니 시 야외에 전시하고 있다. ==== [[중부유럽]] ====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76i-spg-winter.jpg|width=100%]]}}} || || '''독일 국방군 제23기갑사단 제128대전차자주포대대 노획 Jagdpanzer SU-76I(r)''' || 드네프르 강 전투 시기 최소 1문 이상의 SU-76I를 노획하여 사용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 미디어 ==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D0%A1%D0%A3-76%D0%98_scr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D0%A1%D0%A3-85%D0%98_scr_2.jpg|width=100%]]}}} || || '''SU-76I''' || '''SU-85I''' || 월드 오브 탱크에서 소련 프리미엄으로 기본형 SU-76I와 지휘차를 기반으로한 페이퍼플랜 자주포 SU-85I가 등장한다. == 모형 == === 프라모델 === ==== [[드래곤 모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iet SU-76i self-propelled gun.jpg|width=100%]]}}} || || '''Soviet SU-76i self-propelled gun''' || 1:3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참고 문헌 ==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Panzer_III.pdf|3호 전차 및 SU-76I 잔존 개체 목록]] * [[https://ru.wikipedia.org/wiki/%D0%A1%D0%A3-76%D0%B8|위키피디아 SU-76I 문서 러시아어판]] * [[https://www.tankarchives.ca/2013/12/su-76i.html|Tank Archives SU-76I 문서]] * [[https://tanks-encyclopedia.com/ww2/soviet/soviet-su-76i.php|Tank Encyclopedia SU-76I 문서]] * [[https://ko.topwar.ru/178865-ispolzovanie-trofejnyh-nemeckih-tankov-i-samohodnyh-artillerijskih-ustanovok-v-nachalnyj-period-velikoj-otechestvennoj-vojny.html|붉은 군대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제 노획 차량 사용기록]]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포]][[분류:자주곡사포]][[분류:대전차 자주포]][[분류:3호 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1943년 출시]][[분류:1943년 단종]]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3호 전차/파생형, versio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