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Space Pirate Captain Harlock: The Endless Odyssey}}}'''[br](2003)}}}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ACE PIRATE CAPTAIN HERLOCK.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스페이스 오페라]] || || '''{{{#373a3c,#dddddd 원작}}}''' ||[[마츠모토 레이지]] || || '''{{{#373a3c,#dddddd 감독}}}''' ||[[린 타로]] || || '''{{{#373a3c,#dddddd 각본}}}''' ||[[무라이 사다유키]]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유키 노부테루]]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오조네 마사미(小曽根正美)[br][[야마다 카츠야]]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케다 히사시(池田 尚) || || '''{{{#373a3c,#dddddd 미술 설정 디자인}}}''' ||카네코 히데토시(金子英俊)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스즈키 타카코(すずきたかこ)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야마구치 히토시(山口 仁) || || '''{{{#373a3c,#dddddd CG 치프 디자이너}}}''' ||[[오자키 타카하루]] || || '''{{{#373a3c,#dddddd 편집}}}''' ||이나가키 아키(稲垣亜紀)[br]이토 유키코(伊藤勇喜子)[br]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br]테라우치 사토시(寺内 聡)[br]츠치야 유리카(土谷百合香) || || '''{{{#373a3c,#dddddd 음악}}}''' ||[[핫토리 타카유키]]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파일:매드하우스 로고.svg|height=20]]]] || || '''{{{#373a3c,#dddddd 제작}}}''' ||[[닛폰 테레비]][br]vap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3년 10월|2003. 10. 08.]] ~ 2003. 12. 31.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닛폰 테레비]] / (수) 00:53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vap.co.jp/herlock/|[[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린 타로]] 감독의 2003년판 [[캡틴 하록 시리즈]]. 린타로 감독이 제작한 1978년작 [[우주해적 캡틴 하록]] TV판의 후속편.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시리즈의 세계관하곤 별개다. 그렇다곤 해도 린 타로 감독도 TV판을 만든지 오래되었는지 설정이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78년작은 토에이가 제작했고, 이 작품은 [[매드하우스]] 제작이니 저작권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 일부러 다르게 했을 수도 있다. TV판의 분위기만 이어받은 후속작이라고 보는 게 좋다. [[마츠모토 레이지]]는 전혀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건 [[린 타로]] 작품이다." 라고 주장한다. 전작 [[하록선장]]에 비해서 상당히 스케일이 넓어진 작품이다. 다이바 박사의 죽음으로 인해 캡틴 하록의 배 [[아르카디아호]]에 오르게 된 다이바 타다시는 이번에는 [[마조온]]이 아닌 지구를 사라지게 만든 "누"라는 존재와 싸우게 된다.[* 마조온과 싸웠다는 설정은 남았는지, 하록이 극중에서 누를 두고 '어쩌면 마조온보다 더 무서운 상대일지 모른다'라고 평했다.] [[신세기 에반게리온]] 같은 작품의 영향을 받아 많이 난해해졌다는 평가가 있지만 연출력과 작화만큼은 최고 수준으로 충분히 완성도 있는 작품이다. 특히 당시 [[매드하우스]] 중 최고의 베테랑 연출가가 참여했고 [[유키 노부테루]]가 총작화 수정을 하여 영상미가 매우 뛰어나다. 회차 목록을 보면 당시 40대 이상인 베테랑 중의 베테랑 연출가가 많이 참가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작품 뒤로 린 타로 감독이 콘티 연출가 외에는 감독 활동을 거의 접으면서 린 타로 감독이 감독한 마지막 2D 애니메이션이다. [* 3D는 요나요나 펭귄이란 작품이 있다.] == 작중 설정 == === 누에 대해 === "누"는 [[빅뱅 우주론|빅뱅]]이 일어나고 나서 우주가 확대되기 이전의 소입자 시간, [[플랑크 시간]]을 지배하던 우주의 지배자다. 의지를 가진 거대한 생명체지만 정체에 대해서 이야기하기엔 매우 심층적이다. 원초적이면서도 심층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우주의 "공포"로 표현된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감정인 공포를 지배하는 것. "꼬인 실타래" 종족을 노예로 지배하기 위해서 창조했지만 "꼬인 실타래" 종족이 반란을 일으켜서 오히려 여기저기의 별들에 봉인되고 만다. 그 중의 하나가 지구.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누"의 노예인 "제 2의 꼬인 실타래"가 되기 위한 표식으로 DNA을 가지고 태어난다. [[DNA]], 뇌가 생각할 때 움직이는 회전처럼 몸 속에 있기 때문에 더욱 미지인 부분들을 통해서, 인간의 일반적인 질서법칙이 통하지 않는 부분들에서 "누"는 발현한다. 그래서 인간들을 노예로 만든다. 물론 캡틴 하록의 강한 정신력은 "누" 따위가 당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분명히 노예의 표식인 DNA을 가지고 있는 인간일텐데 흔들리지 않는 캡틴 하록 앞에서 "누"는 당황한다. === 등장 행성 및 지역 === * 쓰레기 행성 다이바 부자가 살고있는 곳으로, 매일같이 우주 곳곳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이 버려지는 변방의 우중충한 깡촌 행성. 사람들은 좁은 시가지에만 모여살고, 그 바깥에는 황량한 사막에 쓰레기가 잔뜩 쌓여있다. 특이하게도 전반적으로 일본풍인 세계관과는 동떨어지게 상당수의 간판이나 표지판 등의 글씨가 [[키릴 문자]][* [[조지아]]나 [[카자흐스탄]]등의 구소련 국가에서 쓰이는 문자는 안 보이는 걸로 봐서, 전부 [[러시아어]]인 듯?]로 되어있다. 도외 지역엔 수 억년전에 멸망한 꼬인 실타래 족의 문명의 잔재가 쌓여있는데, 인간들이 쓰레기를 아무 생각 없이 버리느라 유적이 파괴되어가고 있었다. 사연은 알 수 없지만,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아르카디아 호]]도 이 유적에 파묻혀있었다. * 감시위성 파노프티콘 우주 보안국의 본부가 되는 인공행성...이라기 보다는 콜로니. 인류가 진출해있는 모든 곳을 워프영상으로 실시간 감시하고, 방송을 통제하는 시설의 중추이자 우주함대의 본거지이며, 수용소 행성이 옆에 딸려있다. * [[지구]] 인류의 고향별. 노인과 병자들만 넘치고 쇠퇴한 곳이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그리워하는 마음의 고향으로 남아있으며, 하록과 토치로가 맹세한 약속의 별이기도 하다. 설정상, 플랑크 시대가 끝나면서 전 우주 흩어진 '''누'''의 육신 파편 중 하나이다. 때문에, 지구에서는 생명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결국 '''누'''의 부활을 위한 매개체로써 노려져 '밀도행렬포'를 맞고 아공간으로 날아가는 수모를 겪지만, 결국 캡틴의 활약으로 다시 현 우주로 되돌아온다.[* 덧붙여, 아공간을 거쳐기 때문에 (고차원상에서) 최단거리로 무지하게 빨리 날아가고 있다는 설정이 무색하게, 사실 '''아르카디아 호는 커녕 화물 트럭보다 느리다.'''(...) 게다가 돌아올 때에는 몇백시간의 딜레이 없이 바로 현 우주로 소환되기까지했으니...--봉인 기술을 봉인해제에 쓰니까 역효과가 있었다고 생각하자--] * [[달]] 꼬인 실타래족의 후예들의 지구 감시처로 쓰인 위성. 이곳의 관리자는 쓰레기 행성 유적의 여왕의 여동생이다. * [[명왕성]] & [[카론(위성)|카론]] 이리타 장관의 고향. 인류가 처음 외우주로 진출하면서 명왕성에 세운 기념관이 위치해있고, 작중 시간대인 31세기에 이르러서는 성소처럼 여겨지고 있다. 때문인지, 명왕성 출신이라고 하면 어디가서 꽤 알아주는 모양이다. 한편, 파타 모르가나 호가 명왕성에 나타나자 이를 파괴하기위해 함대 집중포화를 퍼부어 카론을 초승달로 만들고, 명왕성 한쪽 표면을 초토화시킬 만큼의 화력을 쏟아내었지만, 파타 모르가나 호는 재생능력으로 선체를 복구하고 함대끼리 자멸하게 만든다. * [[태양계]] 아르카디아 호가 지구가 없어진 자리 쪽으로 올 것을 예상한 '''누'''들이 미리 태양계에 가서 기다리는 동안, 그들의 여흥으로 사람들이 미쳐돌아가고, 서로 죽고 죽여서 태양계 지역은 초토화된다. * 광산 행성 변두리의 조용한 서부풍 광산 행성...이지만, 사실 과거 '''누'''에게 복종한 노예들이 세운 신전이 광산지대에 묻혀져있다. 지구가 소멸하고 '''누'''가 본격적으로 활동하게된 후, 신전이 깨어나면서 주민들 대부분이 광신도화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 모래시계 성운 인류 세력권의 최외곽 지대에 있는 성운. 지구에서 아르카디아 호의 최대속력으로 480시간 거리만큼 떨어져있다. 중앙의 눈 모양의 부분을 "이에달 성역"이라 부르며, 여기가 바로 태초에 꼬인 실타래 일족이 '''누'''의 정신체를 봉인한 장소다. "이에달 성역" 최심부엔 "이에달의 문"이 세워져 있고, 그 바로 앞에는 '''누'''를 봉인하는 무기, '밀도행렬포'의 설계도와 원시 우주의 역사가 쓰여진 석판이 놓여져있다. 이에달 성역 안쪽에선 강력한 정신파가 소용돌이치기 때문에 수많은 탐사대가 들어갔다가 거의 죽고, 극소수만이 미쳐서 생환한, 미지의 영역이었으나, 우주 유적 조사대는 뛰어난 항정신성 약물의 도움으로 이에달의 문 앞 까지 가는데 성공한다. * 네오 테라 모래시계 성운 바로 앞에 위치한 행성. 지구와 상당히 환경이 유사한지라 "끝자락의 지구"라는 이명을 가졌다. 꽤나 한적한 행성이지만, 이곳에도 과거 '''누'''의 노예가 된 종족이 만들어낸 초고대 유물이 봉인되어있으며[* 봉인한 자는 유적의 여왕 또는 그 여동생. 모든 인공지능을 다운시키는 힘을 가진 [[크고 아름다운]] 기둥이다.], 쓰레기 행성과 광산 행성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개발 및 유적 훼손 때문에 봉인이 약해지고 있었다.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무라이 사다유키]] / 메카닉 작화감독: 오조네 마사미(小曽根正美)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1 1st VOYAGE}}} || {{{-1 はきだめのブルース[br]쓰레기터의 블루스}}} || {{{-1 [[린 타로]]}}} ||<|2> {{{-1 코데라 카츠유키[br](小寺勝之)}}} ||<|2> {{{-1 [[유키 노부테루]]}}} || {{{-1 2003.10.08.}}} || || {{{-1 2nd VOYAGE}}} || {{{-1 誰がために友は眠る[br]누구를 위하여 친구는 잠드는가}}} || {{{-1 [[히라타 토시오]]}}} || {{{-1 2003.10.15.}}} || || {{{-1 3rd VOYAGE}}} || {{{-1 はるかなるヌーの呼び声[br]멀리서 누가 부르는 소리}}} || {{{-1 [[스기이 기사부로]]}}} || {{{-1 [[키쿠치 야스히토]]}}} || {{{-1 시마무라 히데카즈[br](島村秀一)[br][[토쿠라 노리모토]][*L 레이아웃][br]}}} || {{{-1 2003.10.22.}}} || || {{{-1 4th VOYAGE}}} || {{{-1 ヤッタラン・30秒の賭け[br]얏타맨 30초 내기}}} ||<-2> {{{-1 코데라 카츠유키}}} || {{{-1 [[아보 타카오]][br]후지카와 후토시[*L][br](藤川 太)}}} || {{{-1 2003.10.29.}}} || || {{{-1 5th VOYAGE}}} || {{{-1 戦場は墓標の星に[br]전장은 무덤의 별에}}} || {{{-1 코데라 카츠유키}}} ||<|2> {{{-1 키쿠치 야스히토}}} ||<|2> {{{-1 시마무라 히데카즈[br]토쿠라 노리모토[*L]}}} || {{{-1 2003.11.05.}}} || || {{{-1 6th VOYAGE}}} || {{{-1 追憶の髑髏は優しく嗤う[br]추억의 해골은 상냥하게 비웃다}}} || {{{-1 히라타 토시오}}} || {{{-1 2003.11.12.}}} || || {{{-1 7th VOYAGE}}} || {{{-1 約束の地に月は待つ[br]약속의 땅에 달은 기다리다}}} ||<|2> {{{-1 [[코지마 마사유키]]}}} || {{{-1 [[타나카 히로유키]]}}} || {{{-1 [[야마다 카츠야]][br][[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L]}}} || {{{-1 2003.11.19.}}} || || {{{-1 8th VOYAGE}}} || {{{-1 死滅の星の魔城[br]사멸의 별에 마성}}} || {{{-1 코데라 카츠유키}}} || {{{-1 아보 타카오[br]후지카와 후토시[*L][br](藤川 太)}}} || {{{-1 2003.11.26.}}} || || {{{-1 9th VOYAGE}}} || {{{-1 友よ。魂の深き闇の果てに[br]벗이여. 혼의 깊은 어둠 끝에}}} ||<|2> {{{-1 히라타 토시오}}} || {{{-1 타나카 히로유키}}} || {{{-1 야마다 카츠야[br]엔도 마사아키[*L]}}} || {{{-1 2003.12.03.}}} || || {{{-1 10th VOYAGE}}} || {{{-1 蛍・幻想[br]반딧불 환상}}} || {{{-1 카네코 신고[br](金子伸吾)}}} || {{{-1 아사키 아키코[br](朝来昭子)[br]후지카와 후토시[*L]}}} || {{{-1 2003.12.10.}}} || || {{{-1 11th VOYAGE}}} || {{{-1 震える宇宙[br]흔들리는 우주}}} || {{{-1 [[카와지리 요시아키]]}}} || {{{-1 엔도 타쿠지[br](遠藤卓司)}}} || {{{-1 시마무라 히데카즈[br]토쿠라 노리모토[*L][br]후지카오 후토시[*L]}}} || {{{-1 2003.12.17.}}} || || {{{-1 12th VOYAGE}}} || {{{-1 さいはてに魂は流れる。別れに言葉もなく[br]땅 끝에 혼은 흐른다. 작별의 말도 없이}}} || {{{-1 히라타 토시오}}} || {{{-1 타나카 히로유키}}} || {{{-1 아사키 아키코[br]엔도 마사아키[*L]}}} || {{{-1 2003.12.24.}}} || || {{{-1 13th VOYAGE}}} || {{{-1 …涯[br]…근처}}} ||<-2> {{{-1 린 타로}}} || {{{-1 야마다 카츠야}}} || {{{-1 2003.12.31.}}} || == 이야깃거리 == 커진 스케일과 함께 좀 더 철학적인 이야기를 많이 담은 OVA. 여전히 [[캡틴 하록]]이라는 작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사나이의 외로운 혼"에 대한 얘기는 그대로 싣고 간다. [[하록]]과 [[다이바 타다시]] 뿐 아니라 전작의 주요한 등장인물이었던 [[얏타란]], [[마스]], [[유키 케이]], [[마지 기관장]], [[닥터 제로]], [[토치로]], [[마유(캡틴 하록 시리즈)|마유]] 등이 등장해서 전작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분류:캡틴 하록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매드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