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국의 프로토타입 초중전차, rd1=T28)]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틀필드 2042에 등장하는 T-14 아르마타의 가상의 개량형, rd1=배틀필드 2042/탑승 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5d326c13838375b423e7e95111da2c.jpg|width=100%]]}}} || || '''Т-28'''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5hKylgCdi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V8lpKL_7EQ)]}}} || || '''T-28 1938년형 복원 및 기동 영상''' || [[소련]]의 [[중형전차]]. 76mm 주포를 장착한 주포탑 1기, DT 기관총을 장착한 부포탑 2기를 가진 [[다포탑 전차]]로 다포탑 전차의 문제점을 자세하게 보여준 전차이다. 하지만 3인승 포탑과 포탑 바구니를 굉장히 이른시기 도입한 선진적인 면도 있었다. == 제원 == ||||
<:> '''{{{#ffffff T-28 }}}''' || ||<:> '''{{{#ffffff 분류}}}''' ||<(> '''중형전차''' || ||<:> '''{{{#ffffff 개발진}}}'''||<(> 보리시비크 공장 설계팀 || ||<:> '''{{{#ffffff 개발 년도}}}'''||<(> ~ [[1932년]] || ||<:> '''{{{#ffffff 생산 공장}}}'''||<(> 100 공장 || ||<:> '''{{{#ffffff 생산 년도}}}'''||<(> [[1933년]] ~ [[1940년]] || ||<:> '''{{{#ffffff 생산 대수}}}'''||<(> 503대[* 모든 개량형 및 파생형 포함] || ||<:> '''{{{#ffffff 개발국}}}'''||<(> [[소련]] || ||<:> '''{{{#ffffff 운용국}}}'''||<(> [[소련]], [[핀란드]] 등 || ||||
<:> '''{{{#ffffff T-28 1934년형(T-28A) 제원}}}'''|| ||<:> '''{{{#ffffff 전장}}}'''||<(> 7.36m || ||<:> '''{{{#ffffff 전폭}}}'''||<(> 2.87m || ||<:> '''{{{#ffffff 전고}}}'''||<(> 2.62m || ||<:> '''{{{#ffffff 중량}}}'''||<(> 28t || ||<:> '''{{{#ffffff 승무원}}}'''||<(> 6명 || ||||<:> '''{{{#ffffff 장갑}}}'''|| ||<:> '''{{{#ffffff 장갑}}}'''||<(> 압연 철 장갑 || ||<:> '''{{{#ffffff 차체 정면 장갑}}}'''||<(> 30~15mm || ||<:> '''{{{#ffffff 차체 측면 장갑}}}'''||<(> 20mm || ||<:> '''{{{#ffffff 차체 후면 장갑}}}'''||<(> 18mm || ||<:> '''{{{#ffffff 차체 상부 장갑}}}'''||<(> 10mm || ||<:> '''{{{#ffffff 차체 바닥 장갑}}}'''||<(> 15mm || ||<:> '''{{{#ffffff 포탑 정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측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후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상부 장갑}}}'''||<(> 10mm || ||<:> '''{{{#ffffff 포방패}}}'''||<(> 20mm || ||||<:> '''{{{#ffffff 기동계}}}'''|| ||<:> '''{{{#ffffff 엔진}}}'''||<(> [[M-17|M-17T]] 수랭식 12기통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 || ||<:> '''{{{#ffffff 마력}}}'''||<(> 450hp || ||<:> '''{{{#ffffff 출력비}}}'''||<(> 17.7hp/t || ||<:> '''{{{#ffffff 현가장치}}}'''||<(> 수직 스프링 || ||<:> '''{{{#ffffff 접지압(kg/cm^2)}}}'''||<(> 0.62kg || ||<:> '''{{{#ffffff 작전행동반경(도로)}}}'''||<(> 180km || ||<:> '''{{{#ffffff 작전 행동반경(야지)}}}'''||<(> 120km || ||<:> '''{{{#ffffff 최고 속력(도로)}}}'''||<(> 42km/h || ||<:> '''{{{#ffffff 최고 속력(야지)}}}'''||<(> 20km/h || ||<:> '''{{{#ffffff 돌파 가능한 경사}}}'''||<(> 37° || ||<:> '''{{{#ffffff 돌파 가능한 벽}}}'''||<(> 1m || ||<:> '''{{{#ffffff 돌파 가능한 참호}}}'''||<(> 3.5m || ||<:> '''{{{#ffffff 도하 가능한 수심}}}'''||<(> 1m || ||||<:> '''{{{#ffffff 무장}}}'''|| ||<:> '''{{{#ffffff 주무장}}}'''||<(> 76.2mm [[KT-28]] 전차포 1문 || ||<:> '''{{{#ffffff 주포 구경장}}}'''||<(> 16.5 || ||<:> '''{{{#ffffff 주포 휴행 탄수}}}'''||<(> 69발 || ||<:> '''{{{#ffffff 주포 부앙각}}}'''||<(> 25°/-5° || ||<:> '''{{{#ffffff 주포탑 회전각}}}'''||<(> 360° || ||<:> '''{{{#ffffff 부무장}}}'''||<(> 7.62mm [[덱탸료프 전차기관총|DT]] 동축기관총 4~5정 || ||<:> '''{{{#ffffff 부포탑 회전각}}}'''||<(> 165° || ||||
<:> '''{{{#ffffff T-28 1938년형(T-28B) 제원}}}'''|| ||<:> '''{{{#ffffff 전장}}}'''||<(> 7.37m || ||<:> '''{{{#ffffff 전폭}}}'''||<(> 2.87m || ||<:> '''{{{#ffffff 전고}}}'''||<(> 2.62m || ||<:> '''{{{#ffffff 중량}}}'''||<(> 25.4t || ||<:> '''{{{#ffffff 승무원}}}'''||<(> 6명 || ||||<:> '''{{{#ffffff 장갑}}}'''|| ||<:> '''{{{#ffffff 장갑}}}'''||<(> 압연 철 장갑 || ||<:> '''{{{#ffffff 차체 정면 장갑}}}'''||<(> 50~15mm || ||<:> '''{{{#ffffff 차체 측면 장갑}}}'''||<(> 20mm || ||<:> '''{{{#ffffff 차체 후면 장갑}}}'''||<(> 18mm || ||<:> '''{{{#ffffff 차체 상부 장갑}}}'''||<(> 10mm || ||<:> '''{{{#ffffff 차체 바닥 장갑}}}'''||<(> 15mm || ||<:> '''{{{#ffffff 포탑 정면 장갑}}}'''||<(> 50mm || ||<:> '''{{{#ffffff 포탑 측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후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상부 장갑}}}'''||<(> 10mm || ||<:> '''{{{#ffffff 포방패}}}'''||<(> 20mm || ||||<:> '''{{{#ffffff 기동계}}}'''|| ||<:> '''{{{#ffffff 엔진}}}'''||<(> [[M-17|M-17L]] 수랭식 12기통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 || ||<:> '''{{{#ffffff 마력}}}'''||<(> 500hp || ||<:> '''{{{#ffffff 출력비}}}'''||<(> 19.7hp/t || ||<:> '''{{{#ffffff 현가장치}}}'''||<(> 수직 스프링 || ||<:> '''{{{#ffffff 접지압(kg/cm^2)}}}'''||<(> 0.65kg || ||<:> '''{{{#ffffff 작전행동반경(도로)}}}'''||<(> 180km || ||<:> '''{{{#ffffff 작전 행동반경(야지)}}}'''||<(> 120km || ||<:> '''{{{#ffffff 최고 속력(도로)}}}'''||<(> 42km/h || ||<:> '''{{{#ffffff 최고 속력(야지)}}}'''||<(> 20km/h || ||<:> '''{{{#ffffff 돌파 가능한 경사}}}'''||<(> 37° || ||<:> '''{{{#ffffff 돌파 가능한 벽}}}'''||<(> 1m || ||<:> '''{{{#ffffff 돌파 가능한 참호}}}'''||<(> 3.5m || ||<:> '''{{{#ffffff 도하 가능한 수심}}}'''||<(> 1m || ||||<:> '''{{{#ffffff 무장}}}'''|| ||<:> '''{{{#ffffff 주무장}}}'''||<(> 76.2mm [[L-10]] 전차포 1문 || ||<:> '''{{{#ffffff 주포 구경장}}}'''||<(> 26.0 || ||<:> '''{{{#ffffff 주포 휴행 탄수}}}'''||<(> 69발 || ||<:> '''{{{#ffffff 주포 부앙각}}}'''||<(> 25°/-5° || ||<:> '''{{{#ffffff 주포탑 회전각}}}'''||<(> 360° || ||<:> '''{{{#ffffff 부무장}}}'''||<(> 7.62mm [[덱탸료프 전차기관총|DT]] 동축기관총 4~5정 || ||<:> '''{{{#ffffff 부포탑 회전각}}}'''||<(> 165° || ||||
<:> '''{{{#ffffff T-28E(T-28C) 제원}}}'''|| ||<:> '''{{{#ffffff 전장}}}'''||<(> 7.36m || ||<:> '''{{{#ffffff 전폭}}}'''||<(> 2.87m || ||<:> '''{{{#ffffff 전고}}}'''||<(> 2.62m || ||<:> '''{{{#ffffff 중량}}}'''||<(> 32.0t || ||<:> '''{{{#ffffff 승무원}}}'''||<(> 6명 || ||||<:> '''{{{#ffffff 장갑}}}'''|| ||<:> '''{{{#ffffff 장갑}}}'''||<(> 압연 철 장갑 || ||<:> '''{{{#ffffff 차체 정면 장갑}}}'''||<(> 80~15mm || ||<:> '''{{{#ffffff 차체 측면 장갑}}}'''||<(> 20mm || ||<:> '''{{{#ffffff 차체 후면 장갑}}}'''||<(> 18mm || ||<:> '''{{{#ffffff 차체 상부 장갑}}}'''||<(> 10mm || ||<:> '''{{{#ffffff 차체 바닥 장갑}}}'''||<(> 15mm || ||<:> '''{{{#ffffff 포탑 정면 장갑}}}'''||<(> 80mm || ||<:> '''{{{#ffffff 포탑 측면 장갑}}}'''||<(> 40mm || ||<:> '''{{{#ffffff 포탑 후면 장갑}}}'''||<(> 20mm || ||<:> '''{{{#ffffff 포탑 상부 장갑}}}'''||<(> 10mm || ||<:> '''{{{#ffffff 포방패}}}'''||<(> 20mm || ||||<:> '''{{{#ffffff 기동계}}}'''|| ||<:> '''{{{#ffffff 엔진}}}'''||<(> [[M-17|M-17L]] 수랭식 12기통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 || ||<:> '''{{{#ffffff 마력}}}'''||<(> 500hp || ||<:> '''{{{#ffffff 출력비}}}'''||<(> 15.6hp/t || ||<:> '''{{{#ffffff 현가장치}}}'''||<(> 수직 스프링 || ||<:> '''{{{#ffffff 접지압(kg/cm^2)}}}'''||<(> - || ||<:> '''{{{#ffffff 작전행동반경(도로)}}}'''||<(> - || ||<:> '''{{{#ffffff 작전 행동반경(야지)}}}'''||<(> - || ||<:> '''{{{#ffffff 최고속력(도로)}}}'''||<(> 20km/h || ||<:> '''{{{#ffffff 최고속력(야지)}}}'''||<(> - || ||<:> '''{{{#ffffff 돌파 가능한 경사}}}'''||<(> - || ||<:> '''{{{#ffffff 돌파 가능한 벽}}}'''||<(> 1m || ||<:> '''{{{#ffffff 돌파 가능한 참호}}}'''||<(> 3.5m || ||<:> '''{{{#ffffff 도하 가능한 수심}}}'''||<(> 1m || ||||<:> '''{{{#ffffff 무장}}}'''|| ||<:> '''{{{#ffffff 주무장}}}'''||<(> 76.2mm [[L-10]] 전차포 1문 || ||<:> '''{{{#ffffff 주포 구경장}}}'''||<(> 26.0 || ||<:> '''{{{#ffffff 주포 휴행 탄수}}}'''||<(> 69발 || ||<:> '''{{{#ffffff 주포 부앙각}}}'''||<(> 25°/-5° || ||<:> '''{{{#ffffff 주포탑 회전각}}}'''||<(> 360° || ||<:> '''{{{#ffffff 부무장}}}'''||<(> 7.62mm [[덱탸료프 전차기관총|DT]] 동축기관총 4~5정 || ||<:> '''{{{#ffffff 부포탑 회전각}}}'''||<(> 165° || == 개발 == 1920년대 말, 자신의 반대파인 [[레온 트로츠키]]를 숙청한 [[이오시프 스탈린]]은 "군축 따위는 부르주아 제국주의자들의 기만에 찬 위선이다!"라고 일갈하며 "부국강병"의 기치를 높이 치켜들고 있었다. 그리하여 제1차 5개년 계획하에 우선적으로 중공업이 집중 육성되었고, 이 기간 중에 노농적군 기갑/기계화 총국(GABTU)이란 부서가 신설되었다. 부서명이 암시하듯 이 부서의 임무는 바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붉은 군대의 기계화를 단기간내에 달성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세계 각국의 전차 기술을 물색하던 중 아무래도 전차의 종주국인 영국의 것이 가장 낫다는 생각에 영국의 기술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리하여 소련 기갑부대 탄생을 알리는 쌍두마차 [[BT 전차]] 시리즈와 [[T-26]] 경전차가 대량 생산이 되기 시작했다. BT 시리즈는 약 8,000대가 생산되었고 T-26은 12,000대라는 엄청난 양이 생산되어 붉은 군대 기갑부대의 46%라는 만만치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 형식 == === T-28 1933년형 === === T-28 1936년형 === === T-28 1938년형 === === T-28 1940년형 === == 파생형 == === 소련 === ==== 무장 교체 파생형 ==== ===== T-28-57 ===== 57mm ZiS-4 전차포를 탑재한 T-28이다. ===== T-28-85 ===== 85mm F-30 전차포를 탑재한 파생형이다. 프로토타입 차량만 만들어졌다. ===== SU-8 ===== T-28의 차대에 76mm 3-K 대공포를 장착한 자주포 계획안. 프로토타입은 제작되지 않았다. ==== 비무장 파생형 ==== ===== IT-28 ===== T-28의 차대를 이용해 만든 소련 최초의 [[교량전차]]로, 원판과 달리 설계상으로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시제차 1대만 만들어진 채 프로젝트 종료. [[https://m.blog.naver.com/minjune98/221077092828|#]] === 핀란드 === ==== 비무장 파생형 ==== ===== T-28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28V.jpg|width=100%]]}}} || || '''T-28V''' || == 사용국 == === 소련 === === 나치 독일 === === 핀란드 === === 루마니아 왕국 === === 헝가리 왕국 === == 문제점 == 문제는 하필이면 실전 데뷔 무대였던 1936년 [[스페인 내전]] 당시 독일군의 37mm 대전차포에 이들 전차들이 보기 좋게 격파당했다는 점이다. 이것이 소련의 전차 운용 전술 방향을 결정지었다. 스페인 내전의 전훈을 통해 독일은 "전차들을 최대한 집중시켜 운용해야 한다"는 방침을 정한 반면 소련은 어차피 전차 단독으로는 대전차포 등에 취약하니 보병과 함께 운용하도록 보병부대에 배속시킨다는 정반대의 결론을 내린 것이다. 여기에 1939년 [[할힌골 전투]]에서 [[관동군]] 제7, 23 보병사단을 상대로 압승을 거두었지만 대부분 전차와 장갑차 단독으로 공세를 취하는 바람에 상당한 수의 전차와 장갑차를 일본군 보병들의 결사적 저항으로 손실하면서 이러한 견해가 더욱 힘을 얻었고 그 결과 다포탑 전차라는 [[시대착오적]] 전차가 등장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보리시비에크 공장 설계국(이 설계국이 하필 [[T-100]]이라는 실패작을 설계했다)에서 설계한 T-28 전차는 그 일환으로 등장한 것 중의 하나로 이 외에도 [[SMK]], [[T-100]] 등의 차량 등이 더 있지만 이 차량들은 거의 대부분 시제 차량 수준에서 그치고 만 것들이다. 원래 [[다포탑 전차]]는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보병 지원없는 전차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던 당시의 한계를 극복할 방안으로 포탑을 여럿 설치해 전차의 사각지대를 없애자는 발상으로 등장했다. 당시 회전 포탑이 1개이던 전차로서는 자연히 한쪽 방향을 공격할 경우 사각지대로 공격이 이어질 수 있었기에 포탑이 여럿 설치된다면 그 사각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방안은 듣기에는 참으로 획기적이고 효율적일 수도 있었지만 현실에 적용하자면 그에 못지 않은 단점도 많았다. 우선 포탑이 여럿 설치되자면 자연히 차체가 크고 넓어야하니 그에 따른 중량 증가가 불가피하다. 자연스레 엔진이 감당할 수 있는 톤당 마력이 적어질 수 밖에 없고 이를 완화하려 경량화를 시행하면 장갑판의 두께를 희생시켜야 하니 방어력이 약해질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부분적으로 독일군의 37mm [[PaK 36]] [[대전차포]]나 [[2호 전차]]의 20mm '''[[기관포]]에도 관통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게다가 부포탑의 경우 특성상 주포탑보다 작고 방어력이 빈약할 수 밖에 없으며, 무리해서 중장갑을 둘러도 피탄시 쉽게 차체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무리 전면장갑을 강화해도 부포탑에 적의 포탄이 맞으면 그대로 격파당하기 딱 알맞다. 기동성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늘어난 중량을 전차의 엔진이 감당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당시 소련의 기술력으로 800마력 이상의 디젤 엔진을 개발한다는 것은 무리였다. 그러한 면에서 [[T-34-76|T-34]]의 V2 디젤 엔진은 소련 기술력의 기적과도 같은 것이라 해야겠다. 그나마 도로상에서는 간신히 시속 40km를 맞췄지만 전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야지에서의 기동력은 BT 시리즈 및 T-26보다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무엇보다 이 전차의 한계는 최소한 T-35가 37mm나 45mm급의 부포를 장비해서 측면이나 후방에서 습격하는 적의 전차를 어떻게든 상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과 달리 '''부무장이 전부 [[덱탸료프 전차기관총|DT 기관총]]'''이라는 점이다. 안그래도 다포탑 전차는 사각이 많다는 문제가 있는데, 그 화력도 기관총 수준이다보니 크기에 비해 화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하여간 이 전차는 1933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940년까지 약 '''503대라는 만만치 않은 양이 생산'''되었다. 이런 종류의 다포탑 전차치고는 의외로 많은 수였고 1939년 [[폴란드 침공]]과 그 뒤에 [[핀란드]]를 침공한 [[겨울전쟁]], 그리고 1941년 [[독소전쟁]] 초반에도 실전 투입되었다. == 실전 == === [[스페인 내전]] === === [[겨울전쟁]] === 하지만 데뷔 초기부터 전과는 신통치 않아 동년 핀란드 침공 당시 [[T-26]]과 더불어 선봉을 맡았다가 상당한 손실을 기록하였다. 핀란드군은 T-28을 우편 배달차라 불렀다. 노획한 T-28 내부에 병사들에게 보낼 우편물이 한가득 있었다고. 일단 [[겨울전쟁]] 당시에는 주로 엄폐된 [[핀란드군]]의 [[토치카]]에 대한 연속포격용으로 이용되었지만 여기서도 핀란드군 만네르하임 방어선의 대단한 저항이 있었다. 그래서 전면의 장갑을 50mm에서 80mm로, 측면장갑을 40mm로 강화한 개량형 200대를 투입했지만 이중 단지 20여대를 제외한 나머지는 핀란드군에 의해 모조리 파괴되어버려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을 경험해야 했다. 그중 2대는 노획되어 핀란드군에 의해 전쟁 중 계속 사용되다가 현재 핀란드 파롤라 전차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물론 [[독소전쟁]]에서도 전과가 영 탐탁치 않은 수준이었다. 일단 소련 전차들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무전기와 차내 인터폰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은 뭐 그렇다 치자. 어차피 [[T-34-76|T-34]]나 [[KV-1]]도 초반에는 그러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탑승하는 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단 한 명의 전차장이 효과적으로 이들을 지휘할 수 없었다. 주포는 위력적인 76.2mm였지만 T-34/76에 탑재된 F-34와 같은 대전차전을 감안한 것이 아닌 보병지원용 포였다. 게다가 주포탑의 주포는 부포탑의 간섭현상 때문에 사실상 아래 방향으로 사격을 할 수 없는데, 이런 약점을 커버해줄 부포탑은 모두 기관총탑이다!! 덤으로 기계고장도 잦아서 전투에 참가하기도 전에 퍼지는 사례가 많았다고 한다. 물론 [[T-35]]와 같은 전차보다는 나은 구석이 있긴 했다. 당시 소련군은 10명 이상이 탑승하는 병기에는 꼭 [[정치장교]] 1명씩을 탑승시켰다는데, T-35는 탑승 인원이 10명이니 당연히 정치장교가 탑승했고 그 결과는 익히 알려진 대로였다. 전차와 기갑전술 교리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차장보다 전차와 기갑전술 교리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물론 예외는 있었겠지만) 전차장보다 더 강력한 권력을 발휘하는 정치장교 때문에 전투에서 전차장이 효과적으로 전차병들을 지휘할 수 없었다. 전차장이 내린 명령을 정치장교가 취소시켜버리니 전차병들은 누구의 명령을 따라야할지 그야말로 대략 난감이 되기 일쑤였다. 그러나 T-35처럼 정치장교가 탑승하지는 않았지만 또 하나의 난제가 발목을 잡았는데, 개전 초반 스탈린이 군 내부의 반란을 우려한 나머지 NKVD 요원들에게 [[데그탸료프 기관단총|PPD-40]], [[PPSh-41]]을 지급해 탄약고를 철통같이 사수하도록 지시하면서 이러한 공황상태가 더욱 심각해졌다는 것이다. 자연히 T-34를 비롯한 소련 전차들은 포탄을 조금만 적재하거나 아예 적재하지 않은 채로 독일 기갑부대에게 달려들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는 재앙으로 다가왔다. 문제는 이게 T-28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T-34가 초반 독일 국방군에게 쇼크를 안겨줬듯 육중한 덩치의 T-28은 프랑스 전역의 [[르노 B1]]보다 거대하므로 분명 독일군의 37mm 대전차포반에게도 맞딱뜨릴 경우 공포의 대상이 될 수 있었겠지만 문제는 장갑이 얇은 대부분의 차량들이 37mm 대전차포에 관통될 수 있었다는 점이고 여기에 차내 인터폰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으니 포연이 자욱하고 요란한 포성과 기계음이 가득한 전장에서 100% 효과적인 지휘가 가능할리 없었다. 독일 전차들이야 첫 발이 관통되지 않더라도 무전기를 이용한 각 차량 간의 콤비 플레이를 통해 취약한 측면이나 후면을 집중 난타할 수 있다지만 느려터진 T-28은 그렇지가 못했다. 따라서 실전을 겪자마자 그 결과는 그야말로 재앙이었고 1941년 독소전 초반 한때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했던 소련 전차들은 대부분 전장의 고철이 되어 나뒹구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독소전 초기에 간신히 살아남은 T-28은 운반차량 등 다른 용도로 개수되었으며, 독일군에게 포획당한 차량은 독일 보병의 대전차전술 훈련용으로 운용되는 비극을 겪게 된다. == 평가 == T-28은 '''소련이 개발한 다포탑 전차들 중 유일하게 수백대 이상의 대량 생산이 이뤄진 차량'''이지만 시대착오적인 발상이 낳은 산물의 한계를 잘 보여주고 만 사례였다. 굳이 이 전차의 장점을 찾아보자면 포탑 회전부의 원형방어장갑은 독일의 [[4호 전차]]의 포탑 회전부 방어장갑보강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 정도다. 거기다 의외로 3인용 포탑과 터렛 바스켓을 상당히 이른 시기에 도입한 선진적인 면도 있었다. == 미디어 ==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D0%A2-28_scr_2.jpg|width=100%]]}}} || || '''T-28''' || [[월드 오브 탱크]]에서는 소련 중형전차 트리 소속 4티어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파생형인 SU-8 자주포는 소련 자주포 트리 6티어로, 방어력 개량형인 T-28E는 85mm 주포와 함께 4티어 프리미엄 전차로 등장한다.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T-28_(1938).jpg|width=100%]]}}} || || '''T-28 1936년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T-28.jpg|width=100%]]}}} || || '''T-28 1938년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T-28E.jpg|width=100%]]}}} || || '''T-28E''' || [[워 썬더/지상 병기/소련 트리|지상전 소련 트리]] 중전차 라인 1~2랭크에 등장한다. ==== [[인리스티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ot_3840x2160_2023.08.12_21.05.02.jpg |width=100%]]}}} || || '''모스크바 캠페인에서의 T-28''' || 워 썬더를 만든 가이진의 FPS인 인리스티드에도 등장한다. 모스크바 캠페인 소련군의 중상급 전차로 등장하며 76mm 주포로 모스크바의 모든 독일 전차를 박살낼 수 있지만 장갑이 얇아서 쉽게 관통당해 죽는다. ==== [[Hearts of Iron II]] ==== AOD를 비롯한 [[Hearts of Iron II|HOI2]] 기반 게임에서는 33년형 등의 초기 전차로 등장하지만 DHR에서는 T-34를 41년으로 밀어내고 39년형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 [[강철의 왈츠]] ==== 1성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중형전차|중형전차]]로 등장한다. 파생형인 SU-8은 3성 3도면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자주포|자주포]]로 등장한다. ==== [[로드 투 발러:월드워2]] ==== 소련군의 3코스트 전차로 나온다. 주포 발사속도와 사거리를 제외하면 성능은 거의 상급이다. 보병에도 효과적이고, 차량에도 효과적이지만, 전차에는 경장갑일 경우에만 그럭저럭한 성능이 나온다. ==== [[Steel Division 2]] ==== [[1944년]] 중순 시점인 게임으로 [[핀란드]]군의 노획 전차로만 소수가 등장한다. 거의 최하급 전차로 속도도 느리고 약해서 보병이나 경차량 정도만 상대 가능하다. === 만화 === ==== [[걸즈 앤 판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_130160_1ee265bf_orig.jpg|width=100%]]}}} || || '''걸즈 앤 판처의 T-28 삽화''' || [[걸즈 앤 판처 극장판|극장판]]에서 [[타케베 사오리]]의 전차 도감에 잠시 나온다. == 모형 == === 프라모델 === == 둘러보기 == [include(틀:키로프 공장의 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루마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헝가리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터키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중형전차]][[분류:다포탑 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핀란드군/기갑차량]][[분류:독일 국방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