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파일:external/1.bp.blogspot.com/T2%2Btank.jpg|width=100%]] || || '''T2''' || [목차] == 개요 == 1930년부터 1932년까지 개발이 진행된 미국의 중형전차로 양산되지는 못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T2_tank]] == 제원 == ||
중량 ||13.6t|| || 전장 ||4.88m|| || 전폭 ||2.44m|| || 전고 ||2.77m|| || 승무원 ||4명 (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최고속도 ||40km/h(도로), 24km/h(야지)|| || 항속거리 ||195km|| || 출력비 ||1?.?hp/t|| || 엔진 ||리버티, V형 12기통 수랭식 가솔린 엔진, 338hp|| || 현가장치 ||수직폐쇄스프링|| || 장갑 ||6.4~25mm|| || 주무장 ||37mm 50구경 M5 전차포(110발 탑재)|| ||<|2> 부무장 ||12.7 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2,000발)|| ||7.62mm [[M1919 브라우닝|M1919A4]] 기관총 1정 (4,500발)|| == 특징 == [[https://en.wikipedia.org/wiki/T2_tank|참조]] == 파생형 == === T1 HMC === ||
[[파일:external/wiki.gcdn.co/T1_hmc.jpg|width=100%]] || || [[파일:external/wiki.gcdn.co/T1_hmc_%282%29.jpg|width=100%]] || || '''T1 HMC''' || 1930년 가을, T1 자주포는 T2 차체를 기반으로 T1 커닝햄의 특성을 결합해서[* 한마디로 T2 차체 길이를 줄임.] 제작되었다. 대공황의 여파로 시제 자주포 단계에서 기획이 취소되었다. == 매체에서의 등장 == [[http://wxpcdn.gcdn.co/dcont/tankopedia/usa/T2_med.png]] * [[월드 오브 탱크]]에서 [[월드 오브 탱크/미국 테크 트리/수집 전차#s-3.1|미국 수집 전차 중 2티어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분류:미군/기갑차량]][[분류:중형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