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394ea8 '''The Chronic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8)]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40대 가장 혁신적인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2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38,연도2=2020,순위2=3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31)]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24)]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14)]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11)]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22)]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03, 연도=1998, 순위2=136,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53)]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The Chronic)] ---- }}} || ||||<#fff,#ddd> '''{{{#394ea8 {{{+1 ''The Chronic''}}}}}}'''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thechronic.jpg|width=100%]]}}}|| || 아티스트 || [[Dr. Dre]] || || 발매 || 1992년 12월 15일 || || 녹음 || 1992년 6월 || || 장르 || [[서부 힙합]] • [[갱스터 랩]] • [[G-funk|지펑크]] || || 길이 || 62분 52초 || || 트랙 || 16 || || 프로듀서 || [[닥터 드레|Dr. Dre]], Suge Knight[* Death Row Records의 전CEO]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2년 12월 15일에 데스로우 레코드에서 발매한 [[닥터 드레]]의 솔로 데뷔 앨범. 1990년대 서부 힙합과 G-Funk를 대표하는 앨범 중 하나이다. 또한, 서부 힙합이 본격적으로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오는 데 큰 공헌을 한 앨범이다.[* 이 앨범은 1992년에 나와서 서부 힙합 최초 메가히트곡인 Nuthin But A G Thang의 히트로 힙합의 대중화에 박차를 가했다는 평을 받는다.][* 참고로 이 앨범은 서태지가 난 알아요를 한국 대중가요계에 들고 온 지 몇 달 뒤에 발매되었다. 물론 한국에서는 이 당시에 랩이나 힙합이 그렇게 인지도가 높지는 않았다.] 닥터 드레가 제리 헬러, [[이지 이]]의 [[횡령]]에 빡친 뒤 [[N.W.A]]를 탈퇴한 후 솔로로 데뷔해서 낸 앨범으로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그 후 드레가 전 곡을 프로듀싱한 [[스눕 독]]의 [[Doggystyle|데뷔 앨범]]은 [[스눕 독]]을 슈퍼스타로 만드는 데 일조하였으며 이 앨범과 더불어 닥터 드레의 커리어에 있어서 전환점이라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데스로우 레코드에서 [[투팍 샤커]]와 [[스눕 독]]과 함께 90년대 초중반 서부 랩의 최전성기를 열었다. Chronic의 사전적인 의미는 '만성적인'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은어로서의 Chronic은 미 서부에서 [[대마초]][* 정확히는 대마초 중에서도 붉은 빛을 띄는 상급의 대마초를 의미한다]를 뜻하는 은어라고 한다. == 트랙리스트 == ||||<#ddd> '''{{{#394ea8 트랙리스트}}}''' || || '''트랙''' || '''제목''' || || 1 || The Chronic (Intro) || || 2 || [[Fuck wit Dre Day (And Everybody's Celebratin')]][* 조지 클린턴의 [[Atomic Dog]]과 [[펑카델릭]]의 [[(Not Just) Knee Deep]]을 샘플링 및 차용한 곡이다.] || || 3 || Let Me Ride (feat. Jewell) || || 4 || The Day The Niggaz Took Over (feat. [[Snoop Dogg]] & RBX) || || 5 || [[Nuthin' but a ‘G’ Thang]] (feat. Snoop Dogg) || || 6 || Deeez Nuuuts || || 7 || Lil' Ghetto Boy (feat. [[Snoop Dogg]]) || || 8 || A Nigga Witta Gun || || 9 || Rat-Tat-Tat-Tat || || 10 || The $20 Sack Pynamid || || 11 || Lyrical Gangbang[* [[레드 제플린]]의 [[When the Levee Breaks]]를 샘플링한 곡이다.] || || 12 || High Powered || || 13 || The Doctor's Office (feat. Jewell, Rage & Kevin Lewis) || || 14 || Stranded On Death Row || || 15 || The Roach (The Chronic Outro) || || 16 || Bitches Ain't Shit || 1. The Chronic (Intro) - Dr. Dre(이하 Dre로 표기), Snoop Dogg(이하 Snoop으로 표기) - 인트로 곡. 닥터 드레의 소개에 이어 스눕 독의 나레이션이 깔린다. 2. Fuck Wit Dre Day (And Everybody's Celebratin') [[https://www.youtube.com/watch?v=G6IJ02pQ7so|#]] - Dre, Snoop - 두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스눕 독과 함께한 곡이다. [[이지-E]]와의 불화가 있었을 때 만든 디스곡으로 뮤직 비디오를 봐도 제리 헬러[* Ruthless Records의 매니저]와 이지 E를 대놓고 희화화한 인물이 등장하며 가사 내용 역시 이지 E에 대한 강한 디스가 들어가 있다. 이후 이지-E는 [[Real Muthaphuckkin G's]]로 맞디스를 하여 루스리스 레코즈와 데스 로우 레코즈의 대립이 본격화되었다. 이 앨범에서 두 번째로 크게 성공한 싱글로, '''힙합 역대 최고로 성공한 디스곡'''으로 평가받으며 빌보드 싱글 차트 '''8위'''라는 디스곡치고 미친 성과를 올린다. 제목에 욕이 들어가다보니 Wit Dre Day 내지 '''Dre Day'''로 주로 불린다. 3. Let Me Ride [[https://youtu.be/zIG9BNugOEs|#]] - Dre, Snoop, RBX[* 본명은 에릭 드웨인 콜린스. 데스 로우에서부터 애프터매스까지 드레 사단에서 많은 피쳐링을 한 래퍼로 묵직한 보이스가 특징이다.] - 세 번째로 싱글컷 된 곡. 성공으로 드레에게 그래미에서 상을 안겨준 곡이기도 하다. Parliament의 1976년 곡 Mothership Connection (Star Child)에서 샘플을 가져왔다. 4. The Day The Niggaz Took Over - Dre, Snoop, RBX, [[Daz Dillinger|Dat Nigga Daz]](이하 Daz로 표기)[* 2인조 G펑크 듀오 Doog Pound의 멤버, Daz Dillinger로 이름을 바꾼다.] - "Break'Em off Somethin'"이라는 훅이 인상적인 트랙. 흑인 폭동에 대한 내용을 가사로 다루고 있다. 5. [[Nuthin' but a ‘G’ Thang]] - Dre, Snoop - 문서 참조. 6. Deeez Nuuuts - Dre, Daz, Snoop, Colin Wolfe, [[Nate Dogg]] - [[워런 G]]와 한 여자의 뻘소리(...)전화 인트로로 시작하는 트랙. ~~사실 트랙들 죄다 그렇긴 한데~~한량 갱스터로써로의 삶을 다루고 있다. 7. Lil' Ghetto Boy - Dre, Snoop, Daz - 어린 나이에 갱이 될 수 밖에 없는 흑인 빈민가의 소년의 삶을 다룬 트랙. 8. A Nigga Witta Gun - Dre, Snoop - 총으로 위협하는 갱스터의 SWAG을 다룬 트랙. 9. Rat-Tat-Tat-Tat - Dre, Snoop, RBX 10. The $20 Sack Pyramid - Skit 트랙을 빙자한 개그 트랙.(...) 닥터 드레가 TV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꽂힌 쌈마이 퀴즈 쇼 내용으로 질문 내용이 당연히 저 동네스럽다.(...) 목소리가 맛이 간 [[The D.O.C.]]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11. Lyrical Gangbang - Lady of Rage[* 드레 사단의 대표 여성 래퍼 G Funk intro의 미친 벌스로 유명하고 요즘 근황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Kurupt[* Daz와 더불어 Dogg Pound의 멤버. 다양한 기교에 스피드가 실린 날렵한 하이톤 랩이 특징.], RBX - 12. High Powered - Dre, RBX, Lady of Rage, Daz 13. The Doctor's Office (Skit) - [[검열삭제]] 신음소리 Skit 트랙. 14. Stranded On Death Row - Kurupt, RBX, Lady of Rage, Snoop 15. The Roach (The Chronic Outro) - RBX, Lady of Rage, Daz 16. Bitches Ain't Shit! - Dre, Snoop, Daz, Kurupt, Lady of Rage == 기타 == [[퀘이크 3]]의 유저맵/모델링 MOD중 도시맵이 하나 있고 추가 모델링으로 [[닥터 드레]]와 [[에미넴]]이 포함된 Chronic이라는 [[https://www.moddb.com/games/quake-iii-arena/addons/chronic|모드]]는 본 앨범명에서 따왔다. [[분류:닥터 드레]][[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1992년 데뷔 음반]][[분류:서부 힙합]][[분류:G-funk]][[분류:갱스터 랩]][[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